KR100443697B1 -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전사 필름과 그 전사 인쇄경질 기재 - Google Patents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전사 필름과 그 전사 인쇄경질 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697B1
KR100443697B1 KR10-2001-0045112A KR20010045112A KR100443697B1 KR 100443697 B1 KR100443697 B1 KR 100443697B1 KR 20010045112 A KR20010045112 A KR 20010045112A KR 100443697 B1 KR100443697 B1 KR 100443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film
ink composition
weigh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0235A (ko
Inventor
양철호
Original Assignee
양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철호 filed Critical 양철호
Priority to KR10-2001-004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69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전사 필름과 그 전사 인쇄 경질 기재(solid substrate)에 관한 것으로서,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은 승화성 염료 5∼20중량%, 아마이드 수지 9∼20중량%, 셀룰로오스 수지 1∼10 중량%, 슬립성 부여제 0.2∼3.0중량% 및, 잔부가 용제로 구성되며, 그 전사 필름은 베이스 필름과 그 일 표면상에 위의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이 소정 패턴으로 직접 인쇄된 전사 인쇄 잉크층의 2층으로 구성되고,
도막층용 전사 잉크는 열승화에 의해 도막층 내로 5∼50㎛깊이로 직접 침투되므로, 경시(經時) 안정성, 내광성, 내박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심미적으로도 탁월한 질감을 갖는 고급스러운 외관의 인쇄 패턴층 전사가 가능하며,또한, 전사 필름은 접착층 및/또는 이형층의 개재가 없으므로, 상기한 접착층 및/또는 이형층의 존재로 인한 이형 불량 및 접착 불량의 문제와, 블록킹 현상, 접착층의 노화에 기인하는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정의 간소화, 원가 절감 및 품질 상승을 이룰 수가 있고, 전사 잉크가 도막층 내에 직접 침투되어 있으므로 경시 안정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고, 인쇄층의 질감이 현저히 우수하여 고급스럽고 기품있는 미감을 창출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전사 필름과 그 전사 인쇄 경질 기재{TRANSFER INK COMPOSITION TO COATING LAYER, TRANSFER FILM CONNTAINING THE SAME AND TRANSFER PRINTED SOLID SUBSTRATE THEREOF}
본 발명은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전사 필름과 그 전사 인쇄 경질 기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基材:substrate), 특히 금속 기재 상에 코팅되어 있는 도막층에 열승화에 의해 직접 전사 가능한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베이스 필름과 그 일 표면상에 상기한 전사 잉크 조성물이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되어 있는 전사 인쇄 층으로 구성되는 도막층용 전사 필름과 도막층에 전사 인쇄된 경질 기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전사 필름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전사 필름(10)은 베이스 필름(2)의 상면에 이형층(6)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전사 인쇄 잉크층(3)이 형성되며, 다시 그 상면에는 접착층(7)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단면 구조를 하고 있다.
도 4는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전사 필름(10)을 이용한 전사 작업 설명도로서, 도막층(5)이 형성되어 있는 기재(4) 상에 상기한 종래의 전사 필름(10)을 접착층(7)을 하방으로 하여 상기한 도막층(5)과 접촉하도록 상기한 기재(4) 상에 가열 압압하여 접착층(7)을 열경화 고정시킨 다음, 상기한 베이스 필름(2)을 이형층(6)으로부터 박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전사 필름(10)을 이용한 전사 인쇄에 있어서는, 접착층(7)이 기재(4)의 도막층(5) 상면에 열경화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이형층(6)으로부터 베이스 필름(2)이 박리되며, 전사 인쇄 잉크층(3)은 상기한 접착층(7)과 이형층(6) 사이에 개재(介在)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사 필름(10)은 기재(4)에의 접착 불량, 베이스 필름(2)의 이형 불량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이형층(6) 및 접착층(7)의 백화 현상 등에 의한 투명성 저하 문제가 있고, 접착층(7)의 존재로 인하여 내온성 및 내후성이 열등하며, 이형층(6) 및 접착층(7)의 노화 현상으로 인하여 전사 인쇄 잉크층(3)이 기재(4)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고, 또한 전사 필름(10) 중의 접착층을 이루는 접착제의 불충분한 건조시 전사 필름 롤에 블록킹 (blocking) 현상이 종종 유발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 코팅 불량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완전한 전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전사되는 부분 전사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제품 원가 상승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가 되어 왔다. 또한, 사용되는 전사 잉크와 접착제 및 이형제와의 물리적 및 화학적 상호 연관성, 그리고 전사 잉크와 피사체와의 적합성 등 복잡하고도 다양한 매개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전사 필름(10)은 접착층(7) 및 이형층(6)의 존재로 인하여 전사된 패턴의 질감이나 조직감 등이 열등하여 고급스럽고 기품있는 미감을 발현할 수 없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열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인쇄 잉크를 일정한 패턴으로 페이퍼 상에 인쇄하고 이를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직물에 적층시킨 다음, 열처리하여 페이퍼 상의 패턴을 직물에 승화 전사시키는 나염법이 알려져 있기는 하나, 기재가 섬유로 된 직물, 예컨대, 부인용 의류나 광고용 플래카드, 깃발 등과 같이 염료 포획용 보이드(void)가 다수이며 개개의 보이드가 큰 경우에나 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승화 전사법은 경질(硬質) 기재, 특히 금속 기재 상의 도막층에 대한 적용은 애당초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목적의 전사 인쇄 잉크나 필름은 현재까지 나와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금속,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 목재, 세라믹 소재 등과 같은 경질 기재 상의 도막층에 적용 가능한 전사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내온성, 내후성, 경시 안정성 등이 우수하면서도, 양호한 질감을 나타내는 등 우수한 미감의 발현이 가능한 경질 기재 상의 도막층에 적용 가능한 전사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이형층 및 접착층을 갖지 않음으로써, 이형 불량, 접착 불량, 접착 롤 필름의 블록킹 현상, 접착층의 노화에 의한 층 분리 현상, 이형층 및 접착층의 불투명화 현상 등을 원천적으로 제거함과 아울러, 전사 작업 공정의 간소화 및 원가 절감을 이룰 수가 있으며, 우수한 내온성, 내후성 및 경시 안정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질감 및 미감을 나타낼 수가 있는, 경질 기재 상의 도막층에 적용 가능한 전사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우수한 내후성, 내온성, 내스크랫치성, 경시 안정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질감 및 고급스러운 미감을 갖는 전사 인쇄 경질 기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승화성 염료 5∼20중량%, 바람직하게는10∼15중량%, 아마이드 수지 9∼20중량%, 바람직하게는 12∼18중량%, 셀룰로오스 수지 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8중량%, 슬립성 부여제 0.2∼3.0중량%,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 선택적 성분으로서의 분산제 0.1∼0.5중량% 및, 잔부가 용제로 구성되는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과 그 일 표면상에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에 따른 전사 잉크 조성물이 소정의 패턴으로 직접 인쇄된 전사 인쇄 잉크층으로 구성되는 도막층용 전사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세 번째 목적에 따른 도막층용 전사 필름에 의하여 전사 인쇄된 경질 기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전사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도 1의 전사 필름을 이용한 전사 작업 설명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핫스탬핑(hot stamping)용 전사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도 3의 핫스탬핑용 전사 필름을 이용한 전사 작업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의 전사 필름
2: 베이스 필름 3: 전사 인쇄 잉크층
4: 기재(基材:substrate) 5: 도막(塗膜)(층)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층용 전사 잉크는 열승화에 의해 도막층 내로 5∼50㎛깊이로 직접 침투되므로, 경시(經時) 안정성, 내광성, 내박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심미적으로도 탁월한 질감을 갖는 고급스러운 외관의 인쇄 패턴층 전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막층용 전사 잉크는 승화성 염료 5∼20중량%, 아마이드 수지 9 ∼20중량%, 셀룰로오스 수지 1∼10중량%, 슬립성 부여제 0.2∼3.0중량%, 선택적 성분으로서의 분산제 0.1∼0.5중량% 및, 잔부가 용제로 구성된다.
승화성 염료로서는 160∼230℃의 온도 범위에서 승화 침투성이 양호한 것이라면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니트로 염료, 아조 염료, 키노후타론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하이드로퀴논 염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승화성 염료의 첨가량은 전사용 잉크 조성물의 전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0∼15중량%의 범위이다. 승화성 염료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전사 잉크 칼라의 채도가 떨어져서 목적하는 색상의 발현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사 필름에 이면 전사(migration) 현상 또는 색상 번짐 현상이 나타나거나 내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수지 바인더의 선택은 인쇄 잉크의 접착성, 피인쇄체로의 전이성, 잉크 피막 부여성, 염료 분산성, 후가공 적성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들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아마이드 수지 및 셀룰로오스 수지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마이드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폴리아마이드, 아마이드 왁스 등을 들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 수지의 예로서는, 부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에틸 셀룰로오스, 니트로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고, 그 외에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는 수지 바인더로서는 프로피오네이트, 알키드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 열거한 수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상기한 수지 바인더의 함량은 전사 인쇄 잉크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10∼30중량%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5∼26중량%의 범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마이드 수지는 전사 인쇄 잉크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9∼20중량%, 바람직하게는 12∼18중량%이며, 셀룰로오스 수지는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3∼8중량%이다. 전술한 선택적 수지 바인더 성분은 필요에 따라 0∼5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한 수지 바인더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슬립성 부여제로서는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첨가량은 전사 잉크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0.2∼3.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이다. 폴리에틸렌 왁스는 피막 보강 효과에 의한 내스크랫치(antiscratch)성을 부여하며 첨가되는 경우 전사 잉크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0.2∼1.5중량%, 바람직하게는 0.3∼0.8중량%이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내열성 및 내스크랫치성 부여와 표면장력 저하 효과 부여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첨가되는 경우 전사 잉크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0.2∼1.5중량%, 바람직하게는 0.2∼0.7중량%이다.
유기 용제는 수지의 용해도 조절, 점도 조절, 건조 속도 조절 등의 매개 변수를 고려하여 선택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톨루엔,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셀로솔브),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텔(부틸셀로솔브), 메틸에틸케톤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톨루엔,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유기 용제의 함량은 전사 잉크 전 중량 기준으로 47∼84.8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8.2∼74.7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필요에 따른 적절한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그 점도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3,000∼5,000cp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막층용 전사 필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전사 필름(1)의 단면도로서, 베이스 필름(2)과 그 일 표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전사 인쇄 잉크층(3)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종래의 전사 필름(10)에서와 같은 접착층(7) 및 이형층(6)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베이스 필름(2)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합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셀로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도포층을 갖는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필름 등, 전사 작업시 가해지는 고온, 예컨대, 160∼230℃(약200℃)의 온도에 견딜 수 있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작업상의 여건에 따라서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 안정한 필름을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페이퍼나 왁스 코팅 페이퍼, 또는 금속 박막 등을 베이스 필름(2)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 인쇄 잉크층(3)은 상기한 본 발명의 열승화성 전사 잉크 조성물을 120∼200메시, 바람직하게는 150∼175메시의 그라비아 롤(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한 베이스 필름(2)의 일 표면상에 인쇄한다. 상기한 베이스 필름(2)의 두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통상적으로 약 16∼40㎛의 범위이다. 상기한 베이스 필름(2)의 일 표면상에 인쇄되는 전사 인쇄 잉크층(3)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통상적으로 약 1∼15㎛ 범위이며, 이 인쇄 두께 범위는 소비자의 수요, 인쇄 문양의 종류 및 문양의 색도, 피인쇄층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층용 전사 필름(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2)과, 베이스 필름(2)의 일 표면상에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직접 형성되는 전사 인쇄 잉크층(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층용 전사 필름(1)은 이형제층 및/또는 접착층을 갖지 아니하므로 전사 인쇄 잉크층(3)이 열승화 침투에 의해 피인쇄체(기재)(4)의 도장층(5) 내부로 침투 가능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며, 인쇄층(또는 인쇄 잉크층)(3)이 도장층(5) 내부로 침투됨에 따라, 내후성, 내광성 및 질감 및 미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재(4)와 전사 잉크층(3)의 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접착층의 접착불량이나 이형층의 이형불량, 전사 필름 롤에서의 블록킹 현상 등이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전사 인쇄 잉크층(3)의 보호를 위하여 상기한 전사 인쇄 잉크층(3)의 상면에 사용시 박리되는 임시적인 보호층(미도시)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 직전에 분리된다. 이러한 보호층의 재질로서는 실리콘 수지나 테플론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층용 전사 필름(1)은, 경질 기재, 특히 금속 기재 표면에 처리된 분체 도막층(5) 및 PCM(Precoated Metal)의 도막층(5)에 대한 전사 인쇄잉크층(3)의 전사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습식 페인트 도막층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도막층(5)의 도막 두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쇄 잉크의 침투 깊이를 고려할 때 적어도 5∼80 미크론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150 미크론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30∼200 미크론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40∼150 미크론의 범위이다.
또한, 기재(4)의 종류에는 도막층(5)이 형성되어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금속, 목재,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수지, 세라믹, 글래스 등의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금속 및 세라믹 소재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속이며, 적용 가능한 금속 기재의 종류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통상적으로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강철, 스테인레스, 황동, 주석 등 다양한 표면에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도 1의 전사 필름(1)을 이용한 전사 작업 설명도로서, 이형층 및 접착층이 존재하지 않는 베이스 필름(2)의 일 표면상에 본 발명에 따른 전사 인쇄 잉크층(3)을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시킨 본 발명에 따른 전사 필름(1)을 도막층(5)이 형성되어 있는 기재(4)의 도막층(5) 쪽에 전사 인쇄 잉크층(3)을 접촉시키고, 예컨대, 가열 압압 롤(미도시)을 이용하여 전사 인쇄 잉크층(3) 반대 쪽의 베이스 필름(2) 쪽에 약 160∼230℃의 열을 가하면서 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기재(4)의 일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도막층(5), 예컨대, 분체 도막층 또는 PCM 도막층 내로 열에 의한 화학적 승화에 의해 본 발명에 다른 전사 인쇄 잉크를 침투시켜 소정의 패턴을 전사하게 된다. 전사 후, 전사 인쇄 잉크층(3)에 인접한 베이스 필름(2)은 박리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 인쇄 잉크층(3)의 도막층(5)으로의 열승화에 의한 침투 깊이는 5∼8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50㎛의 범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사 필름(1)은, 종래의 전사 필름(10)과 같이, 도 3에 도시한 이형층(6)과 접착층(7)을 사용하지 않으며, 전사 인쇄 잉크층(3)의 열승화를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전사 인쇄 잉크층(3)이 전사 필름(10)의 베이스 필름(2)으로부터 기재(4)의 도막층(5)으로 직접 전사 인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 필름(1)은 접착층 및/또는 이형층의 개재가 없으므로, 상기한 접착층 및/또는 이형층의 존재로 인한 이형 불량 및 접착 불량의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정의 간소화, 원가 절감 및 품질 상승을 이룰 수가 있고, 전사 잉크가 도막층 내에 직접 침투되어 있으므로 경시 안정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고, 인쇄층의 질감이 현저히 우수하여 고급스럽고 기품있는 미감을 창출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전사 필름 롤에 있어서의 블록킹 현상 등이 존재하지 않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 양태를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6 : 전사 인쇄 잉크 조성물의 제조
톨루엔 : 이소프로필 알코올 : 에틸 아세테이트=1:1:1의 혼합 유기 용제를 50∼70℃의 온도 범위에서의 교반 하에, 하기한 조성의 열승화성 염료와 수지 바인더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수지 혼합후, 슬립성 부여제 및 분산제를 소량 첨가,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한 전사 인쇄 잉크 조성물의 성분 및 조성비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며, 수치는 조성물 전 중량에 대한 중량%이다.
전사 인쇄 잉크 조성물의 제형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열승화성 염료(안트라퀴논염료) 11 - - - - -
열승화성 염료(아조염료) - 13 - - - -
열승화성 염료(키노후타론염료) - - 15 - - -
열승화성 염료(니트로염료) - - - 8 - 12
열승화성염료(하이드로퀴논염료) - - - - 17 -
니트로 셀룰로오스 5 5 2 5 3
에틸 셀룰로오스 - 1 6 - 8 10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3 1 - - - -
폴리아마이드 10 14 10 15 8 10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4 - 2 - 5 2
폴리에틸렌 왁스 - 0.2 0.5 - 0.2 0.3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0.2 - 0.3 0.8 0.8 0.5
분산제 0.1 - 0.1 0.2 0.1 0.2
유기 용제 66.7 65.8 64.1 71.0 57.9 65.0
실시예 7 내지 12 및 비교예 1 : 전사 인쇄 필름의 제조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전사 인쇄 잉크 조성물 각각을, 베이스 필름으로서 두께 2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 표면상에 170메시의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상기한 베이스 필름(2)의 일 표면상에 두께 6㎛의 나뭇결 무늬 패턴층으로 인쇄하였다.
비교예 1로서는, 베이스 필름으로서 두께 2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 표면상에 두께 5㎛의 폴리에틸렌 왁스 이형층을 형성시키고 실시예 1의 전사 인쇄 잉크 조성물을 동일한 두께 및 패턴으로 형성시킨 다음, 두께 8㎛의 에폭시계 접착층을 도포하였다.
시험예 1 : 전사 필름 자체에 대한 평가
상기한 실시예 7 내지 1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사 필름을 하기의 항목에 관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전사 필름에 대한 평가 결과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1
인쇄 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전사필름 롤의블로킹 현상 유무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약간있음
전사잉크층의 부착성(테이프 박리시험) 박리없음 박리없음 박리없음 박리없음 박리없음 미세박리 박리인정
전사필름의 컬링현상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약간발생
제조공정의 편리성 간편 간편 간편 간편 간편 간편 복잡
상기한 표 2에서의 테이프 박리 시험은 전사 인쇄 잉크층에 테이프를 부착한 후 5회 박리 시험을 행하고 박리가 1회 이하인 경우는 '박리없음'으로, 박리가 2회 이하인 경우는 '미세 박리'로, 박리가 3회 이하인 경우는 '박리 인정'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접착층을 도포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예 2 : 인쇄층 전사 기재에 대한 평가
실시예 7 내지 1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사 필름을 기재로서 분체 도장된 알루미늄 샤시(백색 도막 두께 80㎛)에 밀착시키고 가열 압압롤을 이용하여 전사 인쇄 잉크층 반대쪽의 베이스 필름에 약 200℃의 열을 가하면서 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전사 인쇄 잉크층을 전사하였다.
고급스러운 미감 및 인쇄 질감의 정도, 인쇄 선명도에 대한 평가 항목은, 10인의 패널에 대해 평가를 의뢰하고, 8인 이상이 양호 판정시는 ◎, 7인이 양호 판정시는 O, 6인이 양호 판정시는 △, 5인 이하가 양호 판정시는 X로 평가하였다.
도막층의 침투 깊이에 대한 평가는 전사 완료후 알루미늄 샤시 상의 전사 문양의 전사된 도막층을 임의의 3개소에서 면도칼로 조심스럽게 절취한 후, 도막층 내로 침투된 전사 잉크의 깊이를 현미경 검경으로 평가하였다.
스크랫치성에 대한 평가는 문양이 전사된 표면 5개소를 손톱으로 긁은 후, 전사된 인쇄층이 박리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해 평가하였으며, 단 1회라도 전사 패턴이 박리된 경우에는 X로, 단 1회도 전사 패턴이 박리되지 않은 경우는 O로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낸다.
인쇄층 전사 기재에 대한 평가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고급감(미감) X
인쇄 질감 O
전사상태(인쇄선명도)
도막층 침투 깊이 36㎛ 29㎛ 43㎛ 47㎛ 34㎛ 39㎛ -
스크랫치성 O O O O O O O
전사작업효율성 O O O O O O X
본 발명에 따른 도막층용 전사 잉크는 열승화에 의해 도막층 내로 15∼50㎛깊이로 직접 침투되므로, 경시(經時) 안정성, 내광성, 내박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심미적으로도 탁월한 질감을 갖는 고급스러운 외관의 인쇄 패턴층 전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사 필름은 접착층 및/또는 이형층의 개재가 없으므로, 상기한 접착층 및/또는 이형층의 존재로 인한 이형 불량 및 접착 불량의 문제와, 이형층과 베이스 필름간의 분리 현상 및 접착제 미건조에 의한 블록킹 현상, 접착층의 노화 현상에 따른 외관 및 물리화학적 성상의 변질에 기인하는 색조 변화, 광택 소실, 흠과 갈라짐의 발생 등과 같은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해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정의 간소화, 원가 절감 및 품질 상승을 이룰 수가 있고, 전사 잉크가 도막층 내에 직접 침투되어 있으므로 경시 안정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고, 인쇄층의 질감이 현저히 우수하여 고급스럽고 기품있는 미감을 창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수정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Claims (16)

160 내지 230℃의 온도 범위에서 승화 침투성을 승화성 염료 5∼20중량%, 아마이드 수지 9∼20중량%, 셀룰로오스 수지 1∼10 중량%, 슬립성 부여제 0.2∼3.0중량% 및, 잔부가 용제로 구성되는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승화성 염료가 니트로 염료, 아조 염료, 키노후타론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및 하이드로퀴논 염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그 첨가량이 전사용 잉크 조성물의 전 중량에 대하여 10∼15중량%의 범위인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아마이드 수지가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폴리아마이드 및 아마이드 왁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그 첨가량이 전사용 잉크 조성물의 전 중량에 대하여 12∼18중량%의 범위인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수지가 부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에틸 셀룰로오스, 니트로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그 첨가량이 전사용 잉크 조성물의 전 중량에 대하여 3∼8중량%의 범위인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이 프로피오네이트, 알키드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바인더 수지를 전사용 잉크 조성물의 전 중량 기준으로 0∼5중량% 또한 포함하는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립성 부여제가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그 첨가량이 전사 잉크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0.5∼1.5중량%인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왁스가 첨가되는 경우 그 첨가량은 전사 잉크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0.3∼0.8중량%이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첨가되는 경우 그 첨가량은 전사 잉크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0.2∼0.7중량%인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유기 용제가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톨루엔,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셀로솔브),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텔(부틸셀로솔브) 및 메틸에틸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그 함량이 전사 인쇄 잉크 조성물의 전 중량 기준으로 58.2∼74.7중량%인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점도가 3,000∼5,000cps이며, 통상의 분산제를 전사 인쇄 잉크 조성물의 전 중량 기준으로 0.1∼0.5중량% 포함하는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 표면상에 제1항에 따른 전사 잉크 조성물이 소정 패턴으로 직접 인쇄된 전사 인쇄 잉크층의 2층으로 구성되는 도막층용 전사 필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 필름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셀로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도포층을 갖는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필름, 페이퍼, 왁스 코팅 페이퍼 및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도막층용 전사 필름.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 필름의 두께가 16∼40㎛이고, 상기한 전사 인쇄 잉크층(3)의 두께가 1∼15㎛인 도막층용 전사 필름.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사 인쇄 잉크층의 보호를 위한 보호층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한 보호층은 전사시 박리되고, 실리콘 수지 또는 테플론 수지로 형성되는 도막층용 전사 필름.
(삭제)
(삭제)
(삭제)
KR10-2001-0045112A 2001-07-26 2001-07-26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전사 필름과 그 전사 인쇄경질 기재 KR100443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12A KR100443697B1 (ko) 2001-07-26 2001-07-26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전사 필름과 그 전사 인쇄경질 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12A KR100443697B1 (ko) 2001-07-26 2001-07-26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전사 필름과 그 전사 인쇄경질 기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235A KR20030010235A (ko) 2003-02-05
KR100443697B1 true KR100443697B1 (ko) 2004-08-11

Family

ID=2771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112A KR100443697B1 (ko) 2001-07-26 2001-07-26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전사 필름과 그 전사 인쇄경질 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6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495A (ko) * 2006-06-12 2007-12-17 유창현 소방 안전 유도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128B1 (ko) * 2002-01-28 2004-08-09 (주)현대특수나염 산업용 유성그라비아승화전사 pet 필름
KR100858371B1 (ko) * 2007-02-13 2008-09-11 (주)씨케이 니트로셀룰로오스 래커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389A (ja) * 1989-08-14 1991-03-28 Nitto Denko Corp 熱転写インク紙
KR910007065A (ko) * 1989-09-20 1991-04-30 아라이 가꾸지 형광램프 및 그것에 사용되는 형광체
KR950005576A (ko) * 1993-08-25 1995-03-20 구형우 승화형 감열 전사 기록용 수용지
KR19980086361A (ko) * 1997-07-14 1998-12-05 송판갑 인쇄용 칼라 전사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KR20000074223A (ko) * 1999-05-19 2000-12-15 유광선 자외선 경화형 점착성 전사잉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389A (ja) * 1989-08-14 1991-03-28 Nitto Denko Corp 熱転写インク紙
KR910007065A (ko) * 1989-09-20 1991-04-30 아라이 가꾸지 형광램프 및 그것에 사용되는 형광체
KR950005576A (ko) * 1993-08-25 1995-03-20 구형우 승화형 감열 전사 기록용 수용지
KR19980086361A (ko) * 1997-07-14 1998-12-05 송판갑 인쇄용 칼라 전사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KR20000074223A (ko) * 1999-05-19 2000-12-15 유광선 자외선 경화형 점착성 전사잉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495A (ko) * 2006-06-12 2007-12-17 유창현 소방 안전 유도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235A (ko)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8772A (en) Composite sheet for transfer of an image from same to a substrate
US6042881A (en) Temporary tatto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4354851A (en) Method for making a decorated, water-resistant, rigid panel and the product made thereby: transfer dye process onto rigid panel
US6506445B2 (en) Image transfer sheet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103024A1 (en) Method of making a colour hard copy
NO167608B (no) Optisk filter.
CN109628011A (zh) 用于印刷品的热裱膜
KR100443697B1 (ko) 도막층용 전사 잉크 조성물 및 전사 필름과 그 전사 인쇄경질 기재
EP1270256B1 (en) Heat transfer recording medium and printed product
PL190115B1 (pl) Kalkomania odbłyskowa, sitodrukowa oraz sposób wytwarzania kalkomanii odbłyskowej, sitodrukowej i jej zastosowanie
US6716487B1 (en) Decorative stickers from inkjet printing and method therefor
JP2973172B2 (ja) 金属光沢部が形成されたゴルフボール
KR0171244B1 (ko) 전사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되는 전사지
JP2686657B2 (ja) 熱転写カバーフイルム
JP3130015B2 (ja) 金属光沢部が形成された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KR100259198B1 (ko) 스탬핑 호일
JPS6372598A (ja) 複合シ−トおよび該シ−トから基質へ画像を転写する方法
JP2000351265A (ja) アルミニウム転写蒸着記録用紙及びそれを用いたタック加工記録用紙
KR100258725B1 (ko) 스탬핑 호일
KR100433808B1 (ko)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쇄물
JPH045048A (ja) 転写物
JPS597598B2 (ja) 転写方法
KR100258726B1 (ko) 스탬핑 호일
KR100319232B1 (ko) 스탬핑 호일
KR100258728B1 (ko) 스탬핑 호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