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808B1 -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쇄물 - Google Patents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808B1
KR100433808B1 KR10-2003-0009029A KR20030009029A KR100433808B1 KR 100433808 B1 KR100433808 B1 KR 100433808B1 KR 20030009029 A KR20030009029 A KR 20030009029A KR 100433808 B1 KR100433808 B1 KR 100433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aper
printing
adhesiv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138A (ko
Inventor
서영재
Original Assignee
서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재 filed Critical 서영재
Publication of KR2003007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색을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원하는 도안이나 문자를 종이 패드의 측면에 고해상도로 전사인쇄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전사인쇄 후 종이 패드를 한장씩 넘기거나 낱장으로 절취하더라도 인쇄된 도안이나 문자의 상태를 완벽하게 원형대로 유지할 수 있는 열전사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사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지를 피전사물에 가열·가압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 패드의 측면을 인쇄하기 위한 고해상도 열전사 인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사지의 제조는 종이 위에 침투방지제와 가열이형제를 순서대로 적층시켜 전사대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사대지 위에 전색제와 안료로 이루어지는 전사잉크를 적층시켜 가인쇄하는 단계, 및 가인쇄층 위에 전색제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쇄는 상기 전사지를 피전사물에 위치시키는 단계, 2 내지 8초간 상기 전사지를 가열·가압하여 피인쇄물에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지를 피전사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고해상도 열전사 인쇄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쇄물{HIGH-RESOLUTION COLOR HEAT TRANSFER METHOD AND PRINTED MATTER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여러장의 종이가 적층되어 일정한 두께를 지니고 한 측면이 접착수단 또는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낱장으로 넘길 수 있는 물건, 예컨대 종이 패드, 종이 블럭, 책 등과 같은 물건(이하에서는 "종이 패드"로 이들을 통칭한다)의 측면에 도안, 문자 등을 인쇄하기 위한 열전사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천연색을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원하는 도안이나 문자를 종이 패드의 측면에 고해상도로 전사인쇄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전사인쇄 후 종이 패드를 한장씩 넘기거나 낱장으로 절취하더라도 인쇄된 도안이나 문자의 상태를 완벽하게 원형대로 유지할 수 있는 열전사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측면으로는, 상기 열전사 인쇄방법에 사용되며 종이 패드의 측면에 고해상도 인쇄를 실현가능 하도록 하는 종이 패드의 측면인쇄용 고해상도 열전사지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는, 본 발명은 상기 열전사지 또는 상기 열전사 인쇄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 인쇄면을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가지고 있는 종이 패드, 종이 블럭, 책 등과 같은 전사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종이 패드의 측면에 컬러로 인쇄하는 기술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유용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개발이 이전부터 요청되어 왔다. 예컨대, 종이 패드의 측면에 원하는 도안을 인쇄함으로써 종이 패드 본래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장식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이 패드는 장기간 사용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 측면부에 기업 또는 비지니스와 관련된 도안을 인쇄하여 광고 매체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 즉 종이 패드의 측면에 인쇄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실크스크린 인쇄법이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이 패드 측면에 적용되는 실크스크린 인쇄는 주로 단색 인쇄만이 행해져 왔고 천연색의 인쇄는 사실상 기술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또한, 실크스크린 인쇄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품질의 인쇄 결과물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종이 패드와 실크스크린을 타이트하게 조이기 힘들기 때문에 종이들 사이에 움직임이 발생하여 양질의 인쇄물을 대량으로 얻을 수가 없었다.
이러한 실크스크린 인쇄의 대안으로는 전사 인쇄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전사인쇄란 전사대지 위에 가인쇄한 그림을 도자기, 유리, 플라스틱, 섬유, 종이와 같은 피인쇄물의 표면으로 이동(전사)시켜 인쇄하는 방식을 일컫는 것으로서, 현재 인쇄업계에서는 상기 예시한 재료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재료에 대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전사인쇄가 사용되고 있는 대상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도자기, 가구, 플라스틱, 섬유류 등이다. 그러나, 공지의 전사기술 또는 현재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전사지들 중에서 종이 패드의 측면인쇄에 적용하기에 적절한 것은 아직 개발된 사례가 없다.
예를들면, 물을 이용하여 전사하는 수전사지의 경우는 전사과정에서 반드시 물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종이 패드의 측면에 전사하는 용도로서는 방법상 매우 부적절하다. 또한, 수전자지의 인쇄물은 종이 패드의 각 낱장의 측면에 흡수되는 형태라기 보다는 흡사 스티커와 같이 종이 패드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인쇄된 도안은 각 낱장별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단점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종이 패드를 낱장으로 넘기거나 절취할 때 인쇄된 도안은 제 형태를 유지하지못하고 제멋대로 찢어져서 흉한 모습을 지니게 되므로 본 용도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섬유용 전사지는 종이 위에 전사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양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없다. 게다가, 섬유용 전사지는 고무 탄성을 지니고 있는 잉크로 제조되기 때문에, 전사 후에도 인쇄된 도안이 고무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종이 패드는 낱장으로 분리되지 않아 본 용도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승화 전사지는 종이에 전사할 수 있으면서도 인쇄 후 낱장으로 분리도 용이하게 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종이 위에 형성된 승화 전사물의 해상도는 너무 낮기 때문에 원하는 도안이나 문자를 선명하게 인쇄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인쇄물로서의 가치가 없다.
이렇듯, 기존의 전사지 또는 전사방법으로는 본 발명이 의도하고자 하는 인쇄, 즉, 종이 패드의 측면에 고해상도로 인쇄되도록 하면서도 낱장으로 잘 분리가 되어 도안의 원래형태를 유지하는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종이 패드의 측면에 고해상도 컬러 인쇄를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지금까지는 제안된 바 없다는 사실로부터 시작한 것으로서, 종이 패드의 측면에 고해상도의 컬러인쇄를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열전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전사 후에도 종이 패드를 낱장으로 넘기거나 절취하는 것이 인쇄 전과 동일하게 용이하며, 낱장으로 넘기거나 절취하더라도 측면의 도안이 전혀 손상되지 않는 전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열전사 인쇄에 사용되는 종이 패드의 측면용 열전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 나아간 목적은 상기 전사방법 또는 상기 전사지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인쇄면을 가지는 종이 패드, 종이 블럭, 책 등의 인쇄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전사방법에 사용되는 전사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인쇄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쇄물의 한 예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이
2: 침투 방지제
3: 가열 이형제
4: 전사용 옵셋 잉크
5: 접착제
6: 전사지
7: 종이 패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이류, 특히 종이 패드의 측면에 열전사하기에 적절한 열전사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전사지를 피전사물에 가열·가압하여 전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열전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사지의 제조는 종이 위에 침투방지제와 가열이형제를 순서대로 적층시켜 제조되는 전사대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사대지 위에 전사잉크를 적층시키는 단계, 및 그 위에 접착제를 최종적으로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사인쇄는 전사지를 피전사물에 위치시키는 단계, 소정 온도 및 압력으로 2 내지 10초간 가열·가압하는 단계, 및 전사지를 피전사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사대지의 기저를 이루는 종이는 일반적인 전사지에 사용되는 것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며, 본 발명의 용도로서는 옵셋 인쇄가 가능한 두께의 모조지 120g/㎠가 바람직하다.
종이 위에 적층되는 침투방지제는 옵셋 잉크가 종이로 스며들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필름과 같이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성질을 지닌 물질이면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OPP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가열 이형제는 전사 인쇄시 가열·가압의 과정 때 용융되는 물질로서, 가열·가압에 의해 전사대지 위의 잉크층을 피인쇄물에 전달(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열이형제로서 EVA(Ethylene Vinyl acetate) 또는 EVA와 왁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EVA는 초산비닐과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EVA의 물성은 중합도와 초산비닐의 함유량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EVA는 초산비닐의 함유량에 의해 크게 물성이 변화하는데, 본 발명에 적합한 것은 초산비닐의 함량이 35 내지 50%인 것,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2%인 것, 더 바람직하게는 40%인 것이 사용된다.
잉크는 전색제(vehicle)에 안료 등의 색체를 분산시켜 제조되는 옵셋인쇄용 잉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전사방법에서는 잉크가 각 낱장마다 접착되어야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전색제와 안료가 혼합된 잉크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피인쇄물에 대한 접착력이 떨어져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색제와 안료가 혼합된 잉크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용도로 사용되는 접착제는 핫 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인데, 그 예로는 폴리초산비닐(polyvinyl acetate), 폴리아미드, 페녹시수지,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이소부틸렌, 석유수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가 있다. 상기의 접착제는 인쇄조건 및 피인쇄물의 종류에 따라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제로서 유동성 조정제, 건조제를 첨가하면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색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건성유를 250℃ 내지 300℃로 가열시킨 중합유(스탠드 오일(stand oi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상기 잉크층을 피인쇄물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핫 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를 사용한다. 접착제층은 잉크층 위에 도포되는데, 접착제 단독으로는 잉크층 위에 도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전색제와 혼합되어 사용된다. 더 바람직한 형태로는 상기 전색제와 접착제 혼합물에 보조제를 추가할 수 있다.
고품질의 인쇄를 하기 위한 열과 압력의 정도는 사용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온도는 150℃ 내지 25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10℃의 것을 사용하게 되며, 사용 압력은 900kg/㎠ 내지 1100kg/㎠, 바람직하게는 950kg/㎠ 내지 1050kg/㎠의 것을 사용한다. 가열·가압시간은 2 내지 10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초로 비교적 단시간동안만 수행하며, 장시간일 경우는 원하는 인쇄물을 얻을 수 없게 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을 한다.
실시예 1
(전사지의 제조)
본 발명에 의한 전사지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전사지는 인쇄될 도안이나 문자가 가인쇄되는 전사대지, 도안이나 문자를 포함하는 잉크(4) 및 접착제(5)로 구성되며, 상기 전사대지는 종이(1), 침투방지제(2) 및 가열이형제(3)를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전사지(6)의 제조는 전사대지를 제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전사대지는 옵셋인쇄가 가능한 두께의 종이(1)로서 모조지를 사용하였고, 가열이형제나 잉크가 상기 종이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투방지제(2)층을 종이(1) 위에 형성시켰다. 종이(1) 위에 침투방지제(2)층을 형성시킨 후, 가열이형제(3)로서 왁스가 함유된 EVA를 도포하여 전사대지를 완성하였다.
인쇄될 도안이나 문자를 포함하는 잉크(4)층을 상기에서 준비된 전사대지 위에 가인쇄하였다. 상기 가인쇄의 잉크는 스탠드 오일 60%, 폴리아미드 수지 20%, 무기안료 15% 및 보조제 5%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가인쇄 방법은 일반적인 옵셋인쇄 방식과 동일하나, 잉크층을 통상의 것보다 두껍게 인쇄하여 은폐력을 향상시켰다. 전사대지 위에 원하는 도안을 포함하는 잉크층을 형성시킨 후, 접착제(5)를 도포하여 전사지(6)를 완성시켰다. 상기 접착제는 전색제 65%, 폴리아미드 수지 30%, 및 보조제 5%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열전사 인쇄)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인쇄 과정을 도시하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전사지(6)를 피전사물의 인쇄될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전사지를 가열·가압하였다. 온도는 150℃ 내지 250℃의 범위, 압력은 900kg/㎠ 내지 1100kg/㎠의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180℃의 온도, 1000kg/㎠의 압력을 사용하였다. 가열·가압시간은 10초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5초간 가열·가압하였다. 참고로, 10초 이상의 가열·가압은 전사지의 열가소성 수지를 눌러붙도록 만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인쇄 결과를 얻게 된다. 가열·가압 후, 전사지를 피인쇄체로부터 분리하여 컬러 인쇄면을 가지는 종이 패드를 얻었다. 이같은 과정을 4번 반복하여, 4개의 인쇄면을 가지는 종이 패드를 얻었다.
실시예 2
현재 시중 구입할 수 있는 전사지를 이용하여 종이 패드의 측면에 전사인쇄를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물과 비교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8종의 전사지는 물 전사지, 섬유용 전사지, 고무 전사지, 승화 전사지, 안료 전사지, 도자기용 전사지, 플라스틱용 핫스템핑 전사지 및 진공증착 금박 전사지로서, 이들의 특성에 대해서는 종래기술편에서 이미 상술하였다. 전사 인쇄는 각 전사지에 최적화된 방법 또는 본 방법을 모두 수행한 결과 우수한 것을 기록하였다.
상기 8종의 전사지를 이용한 인쇄물과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인쇄물을 비교·실험한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전사지 종류 전사 상태 해상도 원형 유지 비고
물 전사지 2 3 1 물을 사용하므로 종이에 전사하는 것이 부적절 함
섬유용 전사지 1 1 1 낱장분리 불가능
고무 전사지 1 3 1 낱장분리 불가능
승화 전사지 1 1 3 종이에 완전하게 전사하는 것이 불가능
안료 전사지 3 1 1 낱장분리 불가능
도자기용 전사지 · · · 종이에 전사 불가능
플라스틱용 핫스템핑 전사지 · · · 종이에 전사 불가능
진공증착 금은박 전사지 3 1 3 단색 인쇄만 가능
본 발명의 전사지 3 3 3
* 상기 수치 1-3은 실험결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결과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 1:불량, 2:양호, 3:우수
물 전사지는 전사시에 물을 사용해야 하므로 종이류에 인쇄하는 용도로는 적절하지 못했다. 종이로 전사 인쇄를 할 수 있었지만 깨끗한 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는 없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종이 패드를 낱장으로 넘기는 경우는 인쇄된 도안이 심하게 망가졌다.
섬유용 전사지는 종이에 전사가 잘 되지 않았으며, 섬유용 전사지의 잉크는 고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이 패드를 낱장으로 넘기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고무 전사지도 섬유용 전사지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즉, 종이에 잘 전사되지 않았고, 전사 후 잉크의 고무성질로 인해 낱장분리가 불가능하였다.
승화 전사지는 종이에 전사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낱장분리도 원활하였지만, 종이 패드의 측면에서 도안이 번져 있었고 인쇄물의 색감도 좋지 않았다. 즉, 인쇄 해상도가 너무 낮아 인쇄물로서 가치가 없었다. 안료 전사지는 종이로의 전사는 비교적 잘 수행되었지만, 잉크층이 너무 두꺼워 낱장분리가 불가능하였다. 도자기용 전사지는 종이에 전사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플라스틱용 핫스템핑 전사지는 옵셋인쇄가 불가능 하므로 그라비아 인쇄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소량으로 인쇄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옵셋인쇄에 비해 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든다. 상기한 바와같이, 플라스틱용 핫스템핑 전사지는 종이에 전사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방법의 용도로는 적절하지 못하다.
진공증착 금은박 전사지는 동판을 복록판으로 제작하여 열로서 인쇄하는 방식이다. 낱장분리는 우수하였으나, 상기 방법으로는 단색으로만 인쇄 가능하기 때문에 천연색을 사용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실시예 1의 전사지는 종이 패드의 측면에 100% 전사가 이루어져서, 가인쇄된 도안이 그대로 종이 패드의 측면에 인쇄되었다. 결과물은 천연색으로 인쇄되어 원래 색감을 모두 유지하였고 인쇄 후 낱장분리에 있어서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사지를 이용한 방법이 종이 패드의 측면 인쇄에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인쇄방법에 따르면, 원하는 도안을 종이 패드의 측면에 고해상도로 컬러인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이 패드의 각 낱장에 도안이 부착되기 때문에 낱장으로 넘기거나 절취하여도 도안은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전사인쇄된 종이 패드, 종이 블럭 또는 책은 우수한 미감을 가져서 장식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그 미려한 외관으로 인해 구매흡인력을더욱 증가 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종이 패드 등은 비교적 장기간 사용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 측면에 광고 도안을 인쇄하면 매우 뛰어난 광고 매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Claims (11)

  1. 전사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지를 피전사물에 가열·가압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 패드의 측면을 인쇄하기 위한 고해상도 열전사 인쇄방법으로서,
    상기 전사지의 제조는 종이 위에 침투방지제와 가열이형제를 순서대로 적층시켜 전사대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사대지 위에 전색제와 안료로 이루어지는 전사잉크를 적층시켜 가인쇄하는 단계, 및 가인쇄층 위에 전색제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쇄는 상기 전사지를 피전사물에 위치시키는 단계, 2 내지 10초간 상기 전사지를 150℃ 내지 250℃의 온도 및 900kg/㎠ 내지 1100kg/㎠의 압력으로 가열·가압하여 피인쇄물에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지를 피전사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 인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이형제는 EVA 또는 EVA와 왁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 인쇄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잉크는 접착제와 보조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폴리초산비닐, 폴리아미드, 페녹시수지,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이소부틸렌, 석유수지 및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 인쇄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접착제는 폴리초산비닐, 폴리아미드, 페녹시수지,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이소부틸렌, 석유수지 및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 인쇄방법.
  5. 종이, 침투방지제 및 가열이형제를 순서대로 적층시켜 형성된 전사대지, 상기 전사대지 위에 형성되며 전색제와 안료로 이루어지는 전사잉크, 그리고 최상층으로서 전색제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이형제는 EVA 또는 EVA와 왁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패드의 측면인쇄용 컬러 열전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VA 는 초산비닐을 35% 내지 50%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패드의 측면인쇄용 컬러 열전사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잉크는 접착제와 보조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폴리초산비닐, 폴리아미드, 페녹시수지,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이소부틸렌, 석유수지 및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패드의 측면인쇄용 컬러 열전사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접착제는 폴리초산비닐, 폴리아미드, 페녹시수지,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이소부틸렌, 석유수지 및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패드의 측면인쇄용 컬러 열전사지.
  9.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인쇄면 또는
    제 5 항 내지 제 8 항에 따른 전사지에 의해 형성된 인쇄면을 하나 이상의 측면에 가지고 있는 인쇄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은 종이 패드, 종이 블럭 또는 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11. 삭제
KR10-2003-0009029A 2002-12-26 2003-02-13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쇄물 KR100433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83874 2002-12-26
KR1020020083874 2002-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138A KR20030074138A (ko) 2003-09-19
KR100433808B1 true KR100433808B1 (ko) 2004-06-01

Family

ID=3222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029A KR100433808B1 (ko) 2002-12-26 2003-02-13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쇄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24B1 (ko) * 2007-05-09 2008-01-09 (주)삼영코넥 금속접착몰딩방법 및 금속접착몰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138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8248A (en) Heat transfer sheet and base sheet therefor
FR2645472A1 (fr) Element decoratif auto-coll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4726979A (en) Heat transfer barrier label
US2920009A (en) Decalcomania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433808B1 (ko) 고해상도 컬러 열전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쇄물
CN209683229U (zh) 一种数码可变热转印膜
US6346312B1 (en) Transfer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use
KR0171244B1 (ko) 전사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되는 전사지
US4770733A (en) Molten heat transfer labeling process
US4082593A (en) Printing on the sides of paper pads
CN106163787B (zh) 将印迹从基底转印至表面的方法和装置
JP2002264597A (ja) インクジェット画像転写方法
JPS6168289A (ja) 印刷物に転写箔を転写する方法
JPS6387284A (ja) 転写方法
JPS6345097A (ja) 金属箔画像を備えた表装シ−トの製造方法
KR100778378B1 (ko) 유리 표면용 전사인쇄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쇄물
KR100488674B1 (ko) 오프셋 인쇄가능한 실리콘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260108B1 (ko) 옵셋인쇄를 이용한 침투성 전이 전사방법
JPH03293130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6020B1 (ko) 합성피혁에 승화잉크를 전사하는 방법
KR100415847B1 (ko) 열압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383028B1 (ko) 폴리에스테르를 매체로 전사한 고형물
US5954905A (en) Method of applying layer structure on host surface material
JP2001030691A (ja) 転写印刷法
EP0749846A2 (en) Composite sheet or ribbon, particularly for printing with thermal sublimation dy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