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521B1 - 반도체디바이스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디바이스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521B1
KR100443521B1 KR1019960050303A KR19960050303A KR100443521B1 KR 100443521 B1 KR100443521 B1 KR 100443521B1 KR 1019960050303 A KR1019960050303 A KR 1019960050303A KR 19960050303 A KR19960050303 A KR 19960050303A KR 100443521 B1 KR100443521 B1 KR 10044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ipping
semiconductor device
polysilico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823A (ko
Inventor
채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6005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52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with the semiconductor substrates being dipped in baths 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We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화막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실리콘막 상에 질화막이 형성된 반도체 디바이스에 있어서, 질화막을 H3PO4용액에 디핑하여 식각한 후, 질화막의 식각 공정시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에 발생된 워터-스포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NH4OH 용액에 소정 시간 디핑한다. 그리고 나서,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에 성장된 자연 산화막을 식각하기 위하여 BOE 용액에 소정 시간 디핑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실리콘막 상에 형성된 질화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디바이스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반도체 소자를 활성 영역과 필드 영역으로 분리하기 위한 아이솔레이션 공정으로서, PBL(Poly Buffer LOCOS) 방법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것은, 웨이퍼 표면 상에 성장 저지층으로서 패드 산화막, 폴리실리콘막 및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식각 및 산화 공정을 실시하여 필드 영역을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아이솔레이션 공정이 완료되면, 반도체 디바이스의 활성 영역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웨이퍼 표면 상에 형성된 성장 저지층을 제거해야 하며, 상기 성장 저지층은 식각 용액 및 탈이온수에 의한 세정 공정으로 제거한다.
도 1A 및 도 1B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세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먼저,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1)의 활성 영역에 패드 산화막(2), 폴리실리콘막(3) 및 질화막(4)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이들을 성장저지층으로 하여 PBL 공정을 진행하여 필드 영역에 필드 산화막(2)을 형성한다.
PBL 공정을 완료한 후, 웨이퍼(1)의 활성 영역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 활성 영역에 형성되어진 성장 저지층들을 제거한다. 즉,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1)를 약 175℃의 H3PO4에 디핑(Dipping)하여 식각한 후, 핫 탈이온수(Hot DI Water)및 콜드 탈이온수(Cold DI Water)로 린스(Rinse)하여 질화막(4)을 제거한다. 그리고 나서, 소정 식각 용액 및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폴리실리콘막(3) 및 패드 산화막(2)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세정 방법은 웨이퍼를 H3PO4에 디핑하여 질화막을 식각한 후에 폴리실리콘막(4) 표면에 남아있는 H3PO4용액과 질화막의 잔여물을 세척하기 위해 탈이온수로 린스하는 과정에서, 폴리실리콘이 소수성을 갖는 특성으로 인하여, 폴리실리콘막(4) 표면에 워터 스포트(water spot : 6)가 발생되고, 이러한 워터 스포트가 폴리실리콘막(4)의 식각시 식각 장벽 역할을 한다. 그 결과, 폴리실리콘막(4)이 완전히 식각되지 않고, 식각후에도 남아있게 되어 소자의 제조 수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실리콘막 상에 형성된 질화막을 H3PO4및 탈이온수로 제거할 때, 폴리실리콘 표면에 발생된 워터 스포트를 NH4OH 용액에 디핑시켜 제거한 후, 워터 스포트가 제거된 웨이퍼를 BOE 용액에 디핑시킴으로써, 이후, 폴리실리콘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세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 내지 도 1B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세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세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웨이퍼 12 : 필드 산화막
13 : 패드 산화막 14 : 폴리실리콘막
15 : 질화막 16 : 워터 스포트
상기와 같은 목적은, 웨이퍼의 폴리실리콘막 상에 질화막이 형성된 반도체 디바이스에 있어서, 질화막을 H3PO4용액에 디핑하여 식각하는 단계; 상기 질화막의 식각 공정시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에 발생된 워터-스포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NH4OH 용액에 소정 시간 디핑하는 단계; 및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에 성장된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BOE 용액에 소정 시간 디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세정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H3PO4에 의한 질화막의 제거후, 폴리실리콘막 표면에 발생된 워터-스포트로를 NH4OH 용액으로 제거함으로써, 이후, 폴리실리콘막의 제거효율을 높여 디바이스의 안정화와 제조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세정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11)의 활성 영역에 패드 산화막(13), 폴리실리콘막(14) 및 질화막(15)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이 층들을 성장저지층으로 하여 PBL 공정을 진행하여 필드 영역에 필드 산화막(2)을 형성한다. PBL 방식에 의한 필드 산화막(2)의 형성시, 웨이퍼(11)의 질화막 상부(15)에는 매우 얇은 두께의 산화물(도시되지 않음)층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산화물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100 : 1 BOE 용액에 약 3분간 디핑한다.
산화물을 제거한 후, 웨이퍼(11)를 약 175℃의 H3PO4에 약 60분간 디핑시켜 질화막(15)을 식각하고, 계속해서, 웨이퍼(11) 표면 상의 질화막(15)의 잔여물 및 H3PO4를 세척하기 위해 핫 탈이온수로 린스 공정을 실시한다.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막(14) 표면에 폴리실리콘이 소수성을 갖는 특성으로 인하여, 워터 스포트(14)가 발생된다.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스포트(16)를 제거하기 위하여 웨이퍼(11)를 NH4OH 용액에 약 10분간 디핑시킨다. 이 때, 워터-스포트(16)가 제거된 폴리실리콘막(14)의 표면에는 NH4OH 용액에 의한 세정시 자연 산화막(도시되지 않음)이 성장된다. 이러한,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100 : 1 의 BOE 용액에 재차 약 60초간 디핑을 실시하여, 깨끗한 폴리실리콘막(14)의 표면을 얻는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은, 웨이퍼의 폴리실리콘막 상에 질화막이 형성된 반도체 디바이스에 있어서, H3PO4용액으로 질화막을 식각할 때,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에 발생된 워터-스포트는 NH4OH로 제거하고, 이 때, 발생된 자연 산화막은 BOE 용액으로 제거함으로써, 반도체 디바이스의 안정화와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웨이퍼의 폴리실리콘막 상에 질화막이 형성된 반도체 디바이스에 있어서, 질화막을 H3PO4용액에 디핑하여 식각하는 단계; 상기 질화막의 식각 공정시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에 발생된 워터-스포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NH4OH 용액에 소정 시간 디핑하는 단계; 및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에 성장된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BOE 용액에 소정 시간 디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 표면에 발생된 워터-스포트를 제거하도록 NH4OH 용액에 약 10분간 디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100 : 1 BOE에 약 60초간 디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을 식각하기 전에 질화막 상의 산화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은 BOE 용액에 3분간 디핑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19960050303A 1996-10-30 1996-10-30 반도체디바이스의제조방법 KR10044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303A KR100443521B1 (ko) 1996-10-30 1996-10-30 반도체디바이스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303A KR100443521B1 (ko) 1996-10-30 1996-10-30 반도체디바이스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823A KR19980030823A (ko) 1998-07-25
KR100443521B1 true KR100443521B1 (ko) 2004-10-14

Family

ID=3735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303A KR100443521B1 (ko) 1996-10-30 1996-10-30 반도체디바이스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5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5921A (ja) * 1990-08-24 1992-12-09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60019559A (ko) * 1994-11-30 1996-06-17 김주용 디글레이즈 세정 방법
KR0126655B1 (ko) * 1993-12-01 1998-04-02 김주용 금속배선 형성방법
KR0150668B1 (ko) * 1994-09-01 1998-12-01 김주용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5921A (ja) * 1990-08-24 1992-12-09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26655B1 (ko) * 1993-12-01 1998-04-02 김주용 금속배선 형성방법
KR0150668B1 (ko) * 1994-09-01 1998-12-01 김주용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960019559A (ko) * 1994-11-30 1996-06-17 김주용 디글레이즈 세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823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039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apparatus for cleaning substrate
US5747377A (en) Process for forming shallow trench isolation
KR100706798B1 (ko) 실리콘막과 실리콘 게르마늄막이 노출된 기판의 세정 방법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제조 방법
KR20050074915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70021476A (ko) 섀로우 트렌치 아이솔레이션의 제조방법
US5803980A (en) De-ionized water/ozone rinse post-hydrofluoric processing for the prevention of silicic acid residue
US5607543A (en) Integrated circuit etching
US5215930A (en) Integrated circuit etching of silicon nitride and polysilicon using phosphoric acid
KR100443521B1 (ko) 반도체디바이스의제조방법
JPH0521595A (ja) 半導体基板の洗浄方法
US6720235B2 (en) Method of forming shallow trench isolation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KR100196420B1 (ko) 소자격리영역의 형성방법
EP0767487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KR960012625B1 (ko) 반도체 소자의 웰 크린닝 공정방법
KR100895824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827471B1 (ko) 아날로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CN1501470A (zh) 在半导体基底之中形成浅沟槽隔离物的方法
KR960013781B1 (ko) 필드산화막 제조방법
KR20000073585A (ko) 반도체 소자의 질화막 및 패드산화막 제거방법
KR0150668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20000061508A (ko) 트렌치 격리의 제조 방법
KR19980045329A (ko) 반도체 소자의 세정방법
KR100218740B1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100632053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막의 제조 방법
KR100871373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