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343B1 - 교량상판의 회전을 위한 회전수용받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상판의 회전을 위한 회전수용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343B1
KR100443343B1 KR10-2001-0082773A KR20010082773A KR100443343B1 KR 100443343 B1 KR100443343 B1 KR 100443343B1 KR 20010082773 A KR20010082773 A KR 20010082773A KR 100443343 B1 KR100443343 B1 KR 100443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bridge deck
top plate
rotation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745A (ko
Inventor
황낙연
김창환
Original Assignee
황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낙연 filed Critical 황낙연
Priority to KR10-2001-0082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3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rot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상판의 일단을 중심으로 교량상판의 타단을 회전시켜 기존 시설물 건너편에 설치된 교각 등의 거치구조물 위에 교량상판의 타단을 거치하는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의 적용시에 교량상판의 일단부가 그 회전지지점 구조물을 중심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용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지지점 구조물 위에 거치된 교량상판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교량상판의 자유단부를 회전시켜 기존 시설물 건너편에 설치된 거치구조물 위에 교량상판의 자유단부를 거치하는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의 적용시에 교량상판의 일단부가 그 회전지지점 구조물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교량상판(1)의 일단부 하부와 상기 회전지지점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수용받침장치로서, 교량상판의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횡방향구속받침유닛과; 상기 교량상판으로부터의 연직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교량상판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교량상판을 연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연직받침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회전수용받침장치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용받침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의 적용시에, 교량상판을 그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원활하고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량상판의 회전을 위한 회전수용받침장치{Apparatus for Rotating Bridge Superstructure}
본 발명은 교량상판의 회전을 위한 회전수용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상판의 일단을 중심으로 교량상판의 타단을 회전시켜 기존 시설물 건너편에 설치된 교각 등의 거치구조물 위에 교량상판의 타단을 거치시키는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의 적용시에 교량상판의 일단부가 그 회전지지점 구조물을 중심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용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을 시공할 때, 교량이 불가피하게 기존의 도로, 철도 등의 시설물과 교차하여 설치될 경우, 즉 신설 교량이 기설 도로, 철도 등의 시설물 위로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교량 시공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사항은 기존 시설물의 기능에어떠한 장애를 주지 않고 교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루 종일 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고속도로를 가로질러 교량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고속도로의 교통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교량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자는 교량상판의 일단을 중심으로 교량상판의 자유단부를 회전시켜 기존 시설물 건너편에 설치된 교각 등의 거치구조물 위에 교량상판의 자유단부를 거치하므로써 기존 시설물에 대한 방해 없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교량의 상판을 거치시킬 수 있는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의 적용에 적합한 신규한 회전수용받침장치를 제공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교량상판의 일단을 중심으로 교량상판의 자유단부를 회전시켜 기존 시설물 건너편에 설치된 교각 등의 거치구조물 위에 교량상판의 자유단부를 거치시키는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교량상판의 일단부가 그 회전지지점 구조물을 중심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회전수용받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a는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에 있어서, 고속도로변에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을 설치한 모습을 평면도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을 정면에서 도시학 개략도로서, 교량상판이 시공되기 전의 모습이며,
도 1c는 도 1b의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 위에 아치형 교량상판이 시공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a는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이 고속도로 건너편의 제2교각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측면도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b는 상기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교량상판의 자유단부가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형상을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용받침에 구비된 횡방향구속받침유닛이 교량상판의 일단부와 제1교각에 설치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부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용받침에 구비된 연직받침유닛이 교량상판의일단부와 제1교각에 설치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연직받침유닛의 설치 형상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량상판 10 :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
20 : 교량상판 회전용 가설구조물 30 : 횡방향구속받침유닛
40 : 연직받침유닛 50 : 레일
60 : 유압잭유닛 100 : 고속도로
110 : 제1교각 110' : 제2교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는, 회전지지점 구조물 위에 거치된 교량상판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교량상판의 자유단부를 회전시켜 기존 시설물 건너편에 설치된 거치구조물 위에 교량상판의 자유단부를 거치하는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의 적용시에 교량상판의 일단부가 그 회전지지점 구조물을 중심으로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교량상판(1)의 일단부 하부와 상기 회전지지점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수용받침장치로서, 교량상판의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횡방향구속받침유닛과; 상기 교량상판으로부터의 연직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교량상판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교량상판을 연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연직받침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회전수용받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상판의 회전수용받침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횡방향구속받침유닛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지지점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원통부재와; 교량상판의 일단부 하부의 회전 중심위치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원통부재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원통형 키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회전수용받침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부재의 측면에는 보강용 수직리브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원통부재에 삽입되는 원통형 키부재는 상기 원통부재의 내공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원통형 키부재의 외부직경은 상기 원통부재의 내부 직경보다 작으며, 그 사이 틈에는 윤활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에서 상기 연직받침유닛은, 회전지지점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강재의 판부재로서 그 상부면은 작은 마찰계수를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마찰판 받침부재와; 교량상판의 일단부 하부에 설치되며 표면이 작은 마찰계수를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교량상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마찰판 받침부재 위에서 미끄러지는 미끄러짐 부재로 구성된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자가 개발한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을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용받침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수용받침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교량의 형식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편의상 교량상판이 아치교로 구성되고, 교량상판이 기존 시설물인 고속도로를 경사진 형태로 가로질러 시공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자가 개발한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을 살펴보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기존 시설물에 해당하는 고속도로(100)를 가로질러 대향되는 위치에 양측으로 제1 및 제2교각(110, 110')이 기설되어 있는 현장에서, 일측의 제1교각(110)을 시점으로 하여 고속도로(100)와 나란하게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10)을 축조한다. 상기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10)은 교량상판(1)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주형 가설 구조물로 축조될 수 있다. 도 1b에서 교량상판(1)은 시공되기 전의 상태이므로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10)을 지지구조물로 삼아 그 위에 교량상판(1)을 시공한다. 이때, 교량상판(1)의 일단부는 상기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10)의 시점이 되는 제1교각(11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량상판(1)의 일단부가 놓여지는 상기 제1교각(110)은 교량상판(1)의 회전을 위한 축으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교량상판(1)의 시공 당시부터 교량상판(1)의 일단부가 상기 제1교각(110) 위에 놓여져야 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가 완전히 회전되어 고속도로(100) 건너편으로 횡단한 후 교량상판(1)을 이동하여 그 일단부는 제1교각(110) 위에 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한 실시예에서, 교량상판(1)의 일단부가 거치되어 회전하게 되는 회전지지점 구조물로서 제1교각(110)이 사용되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교각(110)과는 별도로 임시 구조물을 설치하고 교량상판(1)이 기존 시설물을 가로질러 거치된 후에 상기 임시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되던 교량상판(1)의 일단부를 제1교각(110)에 영구 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교량상판(1)의 시공과 동시에 또는 후속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상판(1)의 타단부가 회전하여 고속도로(100) 위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20)을 상기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10)의 끝단과 고속도로 건너편의 제2교각(110') 사이에 축조한다. 즉, 상기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10)의 끝단과 고속도로 건너편의 제2교각(110')이 상기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20)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가 개발한 교량상판거치공법에서는 교량상판(1)의 일단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를 회전시켜 하부의 시설물을 횡단한 후 건너편 교각에 설치되며, 회전되는 교량상판(1)의 이동궤적은 직선이 아닌 원호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가 회전하여 고속도로(100) 위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20)의 상부에는 상기 교량상판(1) 자유단부가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가이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수단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상판(1) 자유단부의 회전궤적, 즉 원호형 궤적과 동일한 선형을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20)이 직선의 선형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20) 역시 원호형 이동가이드수단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선형을 갖도록 축조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가이드수단은 레일(50)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상기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20)은 빔이나 트러스 등 여러 형식의 구조물로 시공될 수 있다.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20)의 축조와 교량상판(1)의 시공이 완료되면, 교량상판(1)의 일단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를 상기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20) 위의 이동가이드수단을 따라 회전시켜 고속도로(100)의 건너편으로 이동시킨다. 즉,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교각(110)의 상부에 놓여진 교량상판(1)의 일단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를 회전시킨 후, 회전된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를 제2교각(110') 위에 거치시킨다. 교량상판(1)의 회전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교량상판 횡단용 가설구조물(20)을 철거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이 완료된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가 직접 제2교각(110')에 거치되었으나, 역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교각(110')과는 별도로 임시 구조물을 설치하고 교량상판(1)이 기존 시설물을 가로질러 거치된 후에 상기 임시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되던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를 이동시켜 제2교각(110')에 영구 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교량상판(1)의 회전형상이 단계별로 도시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시공완료되어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10) 위에 놓여 있는 교량상판(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즉, 교량상판(1)의 지지조건을 해제하여)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가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도 3a).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를 상기 교량상판 회전용 가설구조물(20)을 따라 이동시킨다(도 3b).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 후방 위치에서 교량상판 회전용 가설구조물(20) 위에 유압장치를 두어 교량상판(1)을 후방에서 밀어내거나 또는 전방에 견인장치를 두어 전방에서 끌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기계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교량상판(1)의 자유단부를 제2교각(110') 위에 설치한 후(도 3c), 교량상판 회전용 가설구조물(20)을 철거한다. 그 후 상기 교량상판(1)의 양단부를 제1교각(110) 및 제2교각(110')의 영구받침장치에 거치시키고,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교량상판(1)에 슬래브를 시공하고 기타 부대공사를 시행하여 교량을 완성하게 된다.
위와 같은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은 교량과 기존 시설물과의 교차각도가 작을 수록 유리하다. 왜냐하면, 교차각이 작을 수록 교량상판의 자유단부가 회전하면서 이동하여야 하는 거리가 단축되고 그에 따라 교량상판 회전용 가설구조물의 제작 시공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교량상판의 시공을 위하여 고속도로 변에 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10)을 설치하였으나, 교량의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위와 같은교량상판 시공용 가설구조물(10)을 별도로 설치하지 아니하고, 지상에서 교량상판을 시공한 후, 크레인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상판을 들어올린 후 제1교각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개발한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에서는, 교량상판(1)이 그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므로 그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교량상판(1)의 일단부와 그 일단부가 놓여지는 위치에는 회전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며, 바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용받침장치는 이러한 교량상판(1)의 일단부가 회전지지점 구조물(위의 실시예에서는 제1교각)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용받침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회전수용받침장치(70)는 교량상판(1)의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횡방향구속받침유닛(30)과, 교량상판(1)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교량상판(1)을 연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연직받침유닛(40)으로 구성된다.
도 4a에는 상기 횡방향구속받침유닛(30)의 실시예가 교량상판(1)과 제1교각(110)에 설치되어 있는 형상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에는 도 4a의 A부분의 상세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교량상판(1)은 그 일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구속받침유닛(30)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지지점 구조물의 상부에,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교각(1)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원통부재(31)와, 교량상판(1)의 일단부 하부의 회전 중심위치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원통부재(31)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원통형 키(key)부재(32)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부재(31)는 하부판(33)에 의하여 회전지지점 구조물, 즉 위의 예에서는 제1교각(110)의 상부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고정설치된다. 상기 원통부재(31)의 측면에는 보강을 위하여 수직리브(34)를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원통부재(31)에 삽입되는 원통형 키부재(32)는 상기 원통부재(31)의 내공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회전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원통형 키부재(32)의 외부직경을 상기 원통부재(31)의 내부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하여 그 사이에 소정의 틈을 두는 것이 좋으며, 그 틈에는 윤활제 등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키부재(32)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교량상판(1)의 일단부 하부에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교량상판(1)의 일단부 하부에 설치된 원통형 키부재(32)가 회전지지점이 되는 상기 제1교각(1)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원통부재(31)에 삽입되므로 교량상판(1)의 횡방향 이동이 구속되면서도, 상기 원통형 키부재(32)가 원통부재(31)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교량상판(1)이 상기 원통형 키부재(31)의 설치위치, 즉 회전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5a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용받침장치에 구비된 연직받침유닛(40)의 실시예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서도 교량상판(1)과 회전지지점이 되는제1교각(110)은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직받침유닛(40)은, 교량상판의 연직하중을 지지하여 교각으로 전달하면서도 교량상판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연직받침유닛(40)은, 제1교각(1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강재의 판부재로서 그 상부면은 작은 마찰계수를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마찰판 받침부재(41)와, 교량상판(1)의 일단부 하부에 설치되며 하면이 작은 마찰계수를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교량상판(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마찰판 받침부재(41) 위에서 미끄러지는 미끄러짐 부재(42)로 구성된다. 도 5a에서 부재번호 43은 마찰판 받침부재(41)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임시판부재(43)이다.
도 5b에는 상기 연직받침유닛(40)의 설치 형상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편의상 제1교각(110)과 교량상판(1)의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점선은 회전하기 이전 상태에서 연직받침유닛(40)의 미끄러짐 부재(42) 위치를 나타내며, 실선은 회전한 상태에서의 상기 미끄러짐 부재(42)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직받침유닛(40)은 상기 횡방향구속받침유닛(30)의 주위에 배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횡방향 구속유닛받침(30) 주위의 3곳에 배치되어 있다. 횡방향구속받침유닛(30)에 의하여 횡방향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제1교각(110) 위에 그 일단이 설치되어 있던 교량상판(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연직받침유닛(40)의 미끄러짐 부재(42)가 제1교각(110) 위에 고정설치된 마찰판 받침부재(41) 표면에서 미끄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의 중심이 되는 교량상판의 단부 하부와 제1교각의 상부에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용받침장치를 구비하게 되므로써 교량상판의 연직하중을 지지하면서도 제1교각을 중심으로, 즉 회전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교량상판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교각이 아니라 별도의 가설구조물을 회전지지점으로 삼아 교량상판을 회전시켜 고속도로를 가로지른 후, 교량상판의 양단부를 각각 제1교각 및 제2교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횡방향구속받침유닛(30)의 원통부재(31)와, 상기 연직받침유닛(40)의 마찰판 받침부재(41)는 교각이 아니라 회전지지점이 되는 회전지지점 구조물에 설치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용받침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의 적용시에, 교량상판을 그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원활하고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용받침장치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므로, 시공시 적은 비용만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우수하다.

Claims (4)

  1. 삭제
  2. 회전지지점 구조물 위에 거치된 교량상판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교량상판의 자유단부를 회전시켜 기존 시설물 건너편에 설치된 거치구조물 위에 교량상판의 자유단부를 거치하는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의 적용시에 교량상판의 일단부가 그 회전지지점 구조물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교량상판(1)의 일단부 하부와 상기 회전지지점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수용받침장치로서,
    상기 회전수용받침장치는, 교량상판(1)의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횡방향구속받침유닛(30)과;
    상기 교량상판(1)으로부터의 연직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교량상판(1)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교량상판(1)을 연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연직받침유닛(40)으로 구성되며;
    상기 횡방향구속받침유닛(30)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지지점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원통부재(31)와; 교량상판(1)의 일단부 하부의 회전 중심위치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원통부재(31)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원통형 키부재(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회전수용받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재(31)의 측면에는 보강용 수직리브(34)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원통부재(31)에 삽입되는 원통형 키부재(32)는 상기 원통부재(31)의 내공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원통형 키부재(32)의 외부직경은 상기 원통부재(31)의 내부 직경보다 작으며, 그 사이 틈에는 윤활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회전수용받침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받침유닛(40)은,
    회전지지점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강재의 판부재로서 그 상부면은 작은 마찰계수를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마찰판 받침부재(41)와;
    교량상판(1)의 일단부 하부에 설치되며 표면이 작은 마찰계수를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교량상판(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마찰판 받침부재(41) 위에서 미끄러지는 미끄러짐 부재(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회전수용받침장치.
KR10-2001-0082773A 2001-12-21 2001-12-21 교량상판의 회전을 위한 회전수용받침장치 KR100443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773A KR100443343B1 (ko) 2001-12-21 2001-12-21 교량상판의 회전을 위한 회전수용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773A KR100443343B1 (ko) 2001-12-21 2001-12-21 교량상판의 회전을 위한 회전수용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745A KR20030052745A (ko) 2003-06-27
KR100443343B1 true KR100443343B1 (ko) 2004-08-09

Family

ID=2957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773A KR100443343B1 (ko) 2001-12-21 2001-12-21 교량상판의 회전을 위한 회전수용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283B1 (ko) * 2002-10-23 2005-09-27 배석동 교각의 가로보 시공 방법
CN108221711A (zh) * 2018-01-12 2018-06-29 中铁九局集团有限公司 跨越既有铁路营业线简支系杆拱顶推平转及高位落梁装置
CN110106795A (zh) * 2019-05-13 2019-08-09 中铁十四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转体施工的滑道钢板及施工方法
CN110499706B (zh) * 2019-08-20 2022-02-18 中土集团福州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大吨位转体支座的制作方法及安装方法
CN111305039B (zh) * 2020-01-22 2021-06-01 长沙理工大学 一种改善转体斜拉桥应力分布的装置及其安装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5904A (ja) * 1982-09-20 1984-03-31 日本国有鉄道 橋桁架設装置
JPS59220503A (ja) * 1983-05-30 1984-12-12 三井造船株式会社 旋回式可動橋
JPH0227008A (ja) * 1988-07-18 1990-01-29 Mitsubishi Heavy Ind Ltd 橋梁の架設工法
KR19990008818A (ko) * 1997-07-04 1999-02-05 신영균 힌지 턴오버 공법
KR200241295Y1 (ko) * 2001-01-11 2001-09-26 한국토지공사 교각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티형 교각 가설구조
KR20030052742A (ko) * 2001-12-21 2003-06-27 (주)대우건설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5904A (ja) * 1982-09-20 1984-03-31 日本国有鉄道 橋桁架設装置
JPS59220503A (ja) * 1983-05-30 1984-12-12 三井造船株式会社 旋回式可動橋
JPH0227008A (ja) * 1988-07-18 1990-01-29 Mitsubishi Heavy Ind Ltd 橋梁の架設工法
KR19990008818A (ko) * 1997-07-04 1999-02-05 신영균 힌지 턴오버 공법
KR200241295Y1 (ko) * 2001-01-11 2001-09-26 한국토지공사 교각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티형 교각 가설구조
KR20030052742A (ko) * 2001-12-21 2003-06-27 (주)대우건설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745A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4242B2 (ja) 桁の架設工法
US5509753A (en) Retractable speed bump
KR100442471B1 (ko) 회전식 교량상판거치공법
JP5295989B2 (ja) 橋脚の張出し梁部施工用回転支持構造
CN109826110A (zh) 一种带边跨地滑道的连续梁转体系统
JP4671912B2 (ja) 橋梁の架け替え工法
KR100443343B1 (ko) 교량상판의 회전을 위한 회전수용받침장치
JPS6319310A (ja) 平坦な折り畳み交番バリヤ−
JP4175718B2 (ja) 橋梁の架設装置
JPH11158814A (ja) 高架橋梁の門型橋脚構築方法
JP3349463B2 (ja) 増設桁の架設方法
KR101024804B1 (ko) 직선 및 회전 런칭을 이용한 교량상판 거치공법 및 교량상판 거치장치
CN211735003U (zh) 门架式桥墩以及高架桥
CN105507159B (zh) 一种适用于大跨度预应力盖梁体系转换的临时支座装置
KR200400009Y1 (ko) 장경간 교량 설치에 적용되는 회전장치
JP2005090108A (ja) 橋梁の架設工法
JP2004278230A (ja) 道路立体交差施工方法及び橋脚接続構造
SU1765038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 работ на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JP4047093B2 (ja) 立体交差道路の建設方法
KR102247200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시공방법 및 상부 구조물 시공방법
KR102476885B1 (ko) 신속시공이 가능한 중앙분리대용 개별데크 회전형 비상회차장치
CN210341650U (zh) 一种基于城市高架桥梁的施工防护装置
CN210482088U (zh) 一种市政道路桥梁简支梁施工结构
CN108330760B (zh) 岛式活动高架道路
JPH042980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