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808B1 - 마이카를 기재로 한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마이카를 기재로 한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808B1
KR100442808B1 KR10-2001-0034480A KR20010034480A KR100442808B1 KR 100442808 B1 KR100442808 B1 KR 100442808B1 KR 20010034480 A KR20010034480 A KR 20010034480A KR 100442808 B1 KR100442808 B1 KR 100442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inorganic pigment
titanium dioxide
zinc oxid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6193A (ko
Inventor
이영근
윤명석
김재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1-0034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808B1/ko
Publication of KR2002009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smet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는 판상의 마이카; 상기 마이카 표면에 형성된 이산화티탄 코팅층; 상기 이산화티탄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표면에 형성된 산화아연 코팅층; 및 상기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표면에 형성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로 화장시 피부에 우수한 투명감과 건강한 혈색을 부여해줄 뿐만 아니라, 과도한 광택이나 번들거림이 없이 자연스러운 화장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마이카를 기재로 한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The inorganic pigment treated with complex coating on a mica substrate}
본 발명은 화장료에 사용되는 무기안료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피부에 우수한 투명감과 건강한 혈색을 부여해줄 뿐만 아니라, 과도한 광택이나 번들거림이 없이 자연스러운 화장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된다. 표피의 각질층은 물리 화학적 자극에 대한 방어벽 역할을 하는데, 하부의 세포들이 분화과정을 거쳐 핵을 비롯한 여러 가지 소기관이 소실되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각질층 밑의 표피에는 멜라닌 색소를 생산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syte)가 존재하고, 그 밑에는 피지선이나 혈관 등 여러 가지 기관이 존재하여 피부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피부의 색깔은 멜라닌 색소의 분포 및 과다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혈류와 연관되어 건강하고 자연스런 피부색이 연출된다. 그러나,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생성되는 기미, 주근깨 등에 의하여 피부가 나빠지거나, 건강상의 이유로 안색이 창백하게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피부의 결점을 보정하기 위하여, 또는 보다 심미적인 피부색을 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메이크업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페이스 파우더나 투웨이케익,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메이크업 색조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여 화장을 하게 되나, 일반적인 색조 화장료에 함유된 색소나 무기안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지나 땀에 의하여 색상이 짙어지므로 화장이 칙칙하게 변하거나 번들거림이 발생하여 화장이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또한 화장이 발려진 상태가 흐트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자연스러운 외관(natural look)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화장을 자주 고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 효과가 변하지 않는 무기안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 49-94714호 및 일본 특개소 62-16408호에는 판상의 마이카에 이산화티탄을 코팅하여 광택이 부여된 안료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소 63-277281호에는 마이카 표면에 이산화티탄과 알루미나를 코팅함으로써 표면광택이 적으며 발림성, 부착성이 우수한 안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에 개시된 무기안료들은 피지나 땀에 의해 발생하는 메이크업 색상의 변화를 방지하여 자연스러운 화장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현대여성이 선호하는 화장 경향(Trends)은 일반적인 피부보다 투명감이 있으면서 건강한 혈색이 발현되는데 있으며, 상기 공지된 무기안료들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화장료에 혼합시 피부에 우수한 투명감과 건강한 혈색을 부여해줄 뿐만 아니라, 과도한 광택이나 번들거림이 없이 자연스러운 화장을 제공할 수 있는 무기안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무기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무기안료에 대한 가시광선 영역의 광학반사율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의 마이카; 상기 마이카 표면에 형성된 이산화티탄 코팅층; 상기 이산화티탄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표면에 형성된 산화아연 코팅층; 및 상기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표면에 형성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안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안료에 있어서, 이산화티탄 코팅층은 마이카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53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산화아연 코팅층은 이산화티탄 코팅층 및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안료에 있어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코팅층은 이산화티탄 코팅층 및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량%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코팅층의 두께는 0.2 내지 0.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의 마이카; 상기 마이카 표면에 형성된 이산화티탄 코팅층; 상기 이산화티탄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표면에 형성된 산화아연 코팅층; 및 상기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표면에 형성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안료를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60중량%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강한 피부색은 가시광선의 청색 영역 부분에서 분광 반사율이 높아 투명감이 부여되고, 적색영역 부분에서도 분광 반사율이 높아 건강한 혈색이 부여되므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판상의 마이카(Mica) 기재 표면에 이산화티탄(TiO2)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하여 가시광선의 적색영역(650~750nm)의 분광 반사율을 높이므로써 건강한 혈색을 부여하고, 다시 이산화티탄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위에 산화아연(ZnO) 코팅층을 형성하여 청색영역(400~450nm)의 분광 반사율을 높이므로써 투명감을 부여하였다. 또한, 과도한 광택이나 번들거림이 없는 자연스러운 화장이 이루어지고 우수한 발림성이 부여되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코팅층을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위에 형성하였다.
이산화티탄 코팅층의 피복처리 양은 마이카 중량 대비 35 내지 5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 날 경우 적색영역 부분에서의 분광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산화아연 코팅층의 피복처리 양은 분광 특성을 고려할 때, 이산화티탄 코팅층 및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안료에 있어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코팅층의 피복처리 양은 이산화티탄 코팅층 및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으로 처리할 경우 원하는 효과가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5중량%를 초과하면 미끈거리는 사용감이 과도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황산티타늄(Ti(SO4)2), 황산티타닐(TiOSO4), 사염화티탄(TiCl4), 테트라에톡시티탄(tetraethoxy titan) 등에서 선택된 티탄화합물을 용해한 정제수에 판상의 마이카를 투입하여 분산시킨 후, 교반하면서 수상의 온도를 60 ~ 90℃로 가온하여 가수분해가 충분히 일어나도록 유지하면서 티탄수화물의 형태로 마이카 표면에 흡착되도록 일정시간 반응시킨다. 이때, 티탄화합물의 가수분해는 촉매 없이도 반응이 진행되지만, 선택한 티탄화합물의 가수분해와 표면 흡착의 속도를 촉진시키기 위해 알칼리를 촉매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후속 공정인 여과, 세척 및 소결 과정에서의 잔류문제 등을 고려할 때 암모니아수(NH4OH)와 우레아(urea)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티탄화합물이 가수분해되어 표면에 흡착된 마이카를 세척하고 여과하여 잔류물을 얻은 후, 다시 분체 표면에 산화아연을 흡착시키기 위해 징크 클로라이드(Zinc Chloride)용액 또는 징크 설페이트(Zinc Sulfate)용액을 가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진행한다. 여기서 얻은 수득물을 세척하고 여과한 후, 건조하여 전기로에 넣어 소결처리하고 분쇄하여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 코팅층을 갖는 분체를 얻는다. 소결과정은 600℃ 내지 1000℃에서 1 내지 5시간 정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의 표면에 PMMA를 코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를 완성할 수 있다. 이 때, PMMA 코팅시 그 두께가 0.2㎛내지 0.4㎛ 정도로 형성되도록 조절하는 것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는 페이스 파우더, 투웨이케익, 파운데이션, 아이새도, 립스틱 등의 다양한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6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가 함유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면, 간섭색이 적색영역과 청색영역에서 나타나 건강한 혈색과 투명감을 동시에 만족시켜 자연스럽고 건강한 느낌이 부여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마이카 100g을 정제수 500ml에 분산시키고 여기에 황산티탄(Ti(SO4)2) 131.4g을 부가하고 가온하여 교반하면서, 수상의 온도를 70℃로 조정하고 10시간 가수분해 반응을 시킨 다음 정치한 후, 여과하고 세척하는 것을 2회 반복하였다. 이때, 얻은 여과액은 따로 모아두었다. 이어서, 이산화티탄 수화물이 코팅된 마이카의 수득물을 정제수 500ml에 다시 분산시키고 가온하여 수상의 온도를 70℃로 조정하고, 징크 설페이트(ZnSO4) 20g을 100ml의 정제수에 용해한 것을 수상에 서서히 부가하여 교반하였다. 여기에 전단계에서 따로 모아둔 여과액으로 수상의 pH가 6이 되도록 적하하였다. 수상의 점도가 급격히 변하는 pH 6 부근의 시점에서 적하를 멈추고 교반을 계속하였다. 4시간 후 교반을 종료하고 그 반응물을 여과하고 세척한 후, 110℃에서 2시간 건조하고 800℃에서 2시간 소결처리 하였다. 이 결과물을 분쇄하여 마이카에 이산화티탄 코팅층 및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를 얻었다. 이어서, PMMA를 졸(Sol) 상태로 만들어 위에서 얻은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수득물을 투입하고 수상을 60℃로 유지하면서 기포 생성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교반하고 여과한 후, 이것을 150℃에서 4시간 건조 열처리하므로써 마이카 표면에 이산화티탄 코팅층, 산화아연 코팅층 및 PMMA 코팅층이 형성된 본 발명의 복합 피복처리 무기안료를 얻었다.
비교예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6408호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마이카 표면에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무기안료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얻은 무기안료와, 메이크업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마이카에 대하여 분광 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 Varian, 호주)로 380 ~ 700nm의 파장 범위에서 광학 반사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A)는 비교예 1의 이산화티탄만이 코팅된 무기안료(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푸른색 영역(400 ~ 450nm 파장 부근)의 분광 반사율이 높아 피부색의 보색으로 작용하므로 피부가 투명감 있게 보이도록 하며, 또한 적색영역(650 ~ 700nm 파장 부근)의 분광 반사율이 높아 건강한 혈색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화장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무기안료를 첨가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무기안료를 산화철 색소와 오일 결합제(Binder)와 함께 혼합하여 분쇄한 다음,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투웨이 케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의 무기안료를 산화철 색소와 오일 결합제(Binder)와 함께 혼합하여 분쇄한 다음,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투웨이 케익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2 비교예 2
실리콘 처리 세리사이트 33.8 33.8
실리콘 처리 탈크 20.0 20.0
실리콘 처리 이산화티탄 10.0 10.0
실시예 1의 무기안료 20.0 -
비교예 1의 무기안료 - 20.0
적색산화철 0.8 0.8
황색산화철 3.8 3.8
흑색산화철 0.4 0.4
스테아린산아연 1.0 1.0
디메티롤리실록산 3.0 3.0
스쿠알란 2.8 2.8
화장효과 측정
피시험자 20명을 선정하여 블라인드 시험(blind test)으로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투웨이케익을 얼굴에 반반씩 바르게 한 후(half-face test), 4시간이 경과한 뒤에 보다 건강한 화장상태가 유지된 얼굴면을 선택하게 하였다. 17명(85%)이 본 발명에 따른 무기안료를 함유하는 실시예 2의 제품을 선택하였고, 2명(10%)은 '잘 모르겠다'고 응답하였으며, 1명(5%)은 비교예 2의 제품을 선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가 보다 건강한 화장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는 가시광선의 적색영역(650~750nm)의 분광 반사율 및 청색영역(400~450nm)의 분광 반사율을 높일 수 있는 각각의 코팅층을구비하므로써 피부에 건강한 혈색과 투명감을 부여한다. 또한, 과도한 광택이나 번들거림이 없고 우수한 발림성이 부여되는 코팅층을 구비하므로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로 메이크업시 자연스러운 화장이 이루어진다.

Claims (6)

  1. 판상의 마이카 기재;
    상기 마이카 표면에 형성된 이산화티탄 코팅층;
    상기 이산화티탄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표면에 형성된 산화아연 코팅층; 및
    상기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표면에 형성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코팅층은 마이카 기재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53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 코팅층은 이산화티탄 코팅층 및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코팅층은 이산화티탄 코팅층 및 산화아연 코팅층이 형성된 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코팅층의 두께는 0.2 내지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6. 제1항의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가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60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01-0034480A 2001-06-18 2001-06-18 마이카를 기재로 한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KR100442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480A KR100442808B1 (ko) 2001-06-18 2001-06-18 마이카를 기재로 한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480A KR100442808B1 (ko) 2001-06-18 2001-06-18 마이카를 기재로 한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193A KR20020096193A (ko) 2002-12-31
KR100442808B1 true KR100442808B1 (ko) 2004-08-04

Family

ID=2770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480A KR100442808B1 (ko) 2001-06-18 2001-06-18 마이카를 기재로 한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481A1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복합안료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06B1 (ko) * 2004-11-18 2006-12-06 (주) 라이스산업 곡물선별기
KR20220151058A (ko) * 2021-05-04 2022-11-1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자외선 차단능력을 상승시키는 무기성 복합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2389A (en) * 1982-09-22 1984-11-13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Nacreous pigments
JPS6216408A (ja) * 1985-07-12 1987-01-24 Shiseido Co Ltd 化粧料
JPS63208511A (ja) * 1987-02-20 1988-08-30 Noebia:Kk 化粧料
JPH06157262A (ja) * 1992-11-13 1994-06-03 Pola Chem Ind Inc 紫外線防護用重層化粧料
JPH07157688A (ja) * 1993-12-08 1995-06-20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緑色真珠光沢顔料
JPH1129429A (ja) * 1997-07-08 1999-02-02 Shiseido Co Ltd 化粧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2389A (en) * 1982-09-22 1984-11-13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Nacreous pigments
JPS6216408A (ja) * 1985-07-12 1987-01-24 Shiseido Co Ltd 化粧料
JPS63208511A (ja) * 1987-02-20 1988-08-30 Noebia:Kk 化粧料
JPH06157262A (ja) * 1992-11-13 1994-06-03 Pola Chem Ind Inc 紫外線防護用重層化粧料
JPH07157688A (ja) * 1993-12-08 1995-06-20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緑色真珠光沢顔料
JPH1129429A (ja) * 1997-07-08 1999-02-02 Shiseido Co Ltd 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481A1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복합안료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193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053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hollow metal oxide plate powder
EP2052037B1 (en) Flake pig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smetic using the same
KR100509850B1 (ko) 피부색조정용조성물
JP2020169341A (ja) エフェクト顔料内のカーボンブラック
EP1198218B2 (en) Optical makeup composition comprising an interference pigment and a metal oxide pigment
KR101690143B1 (ko)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복합안료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7682604B2 (en) Composite powder,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e powder
CN101355923A (zh) 包括干涉色颜料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0319540A (ja) 光透過性新規複合機能粉体
EP1539087B1 (en) Colored cosmetic compositions with pearlescent and color pigment blends
EP3166576B1 (en) Cosmetic composition
EP1413284A1 (en) Cosmetic
JP2010185073A (ja) 鮮やかな外観色と干渉色を有する二色性顔料
JP3986304B2 (ja) 積層型干渉性紫外線遮蔽顔料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100442808B1 (ko) 마이카를 기재로 한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KR20050093557A (ko) 복합 코팅처리 무기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메이크업 화장료
AU2005226840B2 (en) UV-protective cosmetic preparation and use of decorative pigments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JP2003261421A (ja) 複合粉末、それを配合したメークアップ化粧料、及び複合粉末の製造方法
KR20080043781A (ko) 황산바륨을 함유하는 제조물
JP3656313B2 (ja) フレーク状金属酸化物
EP2684557B1 (en) Foundation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344921B1 (ko) 복합 피복처리 무기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컵 화장료
JP4391674B2 (ja) 複合無機粉体
JP3332253B2 (ja) 紫外線吸収性顔料
JP2002338424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