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803B1 -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범포위치 결정장치 - Google Patents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범포위치 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803B1
KR100440803B1 KR1019970009271A KR19970009271A KR100440803B1 KR 100440803 B1 KR100440803 B1 KR 100440803B1 KR 1019970009271 A KR1019970009271 A KR 1019970009271A KR 19970009271 A KR19970009271 A KR 19970009271A KR 100440803 B1 KR100440803 B1 KR 100440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cord
gear
molding di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887A (ko
Inventor
미치오 다나카
오사무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08Toothed driving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를 성형용 금형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결정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유연성을 갖는 위치결정 끈(22)의 일단을 성형용 금형(1)의 일단측에 고정하고, 타단측을 당겨서 위치결정 끈(22)에 장력을 부여하고, 이 긴장상태의 위치결정 끈(22)으로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를 눌러 기어부 성형용 홈부(3)에 위치 결정한다. 계속해서 심체 코드를 나선형으로 감은 후, 위치결정 끈(22)의 장력을 해제하여 기어부 성형용 홈부(3)에서 제거한다. 그 후, 미가황 고무 시트를 심체 코드의 위에서부터 감은 후, 가압 가황 성형하여 원통형상의 슬라브를 성형하고, 슬래브를 소정 폭으로 원통형으로 잘라서 기어부착 벨트를 얻는다.

Description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범포위치 결정장치
본 발명은 기어부 표면이 신축성 범포로 덮인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위치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형상으로 봉합하여 연결한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를 기어부착 벨트의 기어부의 이 끝면에 대응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등의 전동 벨트로서 사용되는 기어부착 벨트는 심체 코드가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어 있는 동시에, 다수의 기어부가 상기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일체 성형되고, 또, 신축성 범포가 기어부 표면에 피착된다.
이와 같은 기어부착 벨트는 통상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된다. 우선, 통형상으로 봉합하여 연결한 신축성 범포를 원통형상의 성형용 금형에 외부에서 끼운다. 이 성형용 금형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가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둘레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심체 코드를 상기 신축성 범포의 위에서부터 나선형으로 감아 붙인다. 그 후, 미가황 고무 시트를 상기 심체 코드의 위에서부터 감아 붙인 후, 가압 가황 성형에 의해 상기 미가황 고무 시트의 일부를 상기 각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충전하여 내주면에 둘레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내주 기어를 갖는 원통형상의 슬래브를 성형하고, 이 슬래브를 소정 폭으로 둥근 모양으로 자름으로써 심체 코드가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어 있는 동시에, 다수의 기어부가 상기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일체 성형되고, 또 신축성 범포가기어부 표면에 피착된 기어부 벨트를 얻는다.
그런데, 상기 신축성 범포는 통상, 재봉실로 통형상으로 봉합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가 벨트 성형 후에 이뿌리원이나 이끝원에 위치하고 있으면 기어부착 풀리와의 맞물림에 의한 마찰, 굴곡, 인장 등에 의해 상기 재봉실이 절단하여 연결부가 열리고, 이 때문에 기어부의 고무층이 열림부로부터 노출되어 기어부착 풀리와 직접 접촉하여 균열의 발생을 초래하기 쉽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태가 생기지 않도록 연결부를 기어부의 이 끝면에 정확히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에서는 신축성 범포를 성형용 금형에 외부에서 끼울 때 그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해도 그 후에 심체 코드를 감아 붙일 때에 연결부가 움직이기 때문에 연결부의 위치가 반드시 결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함이 생긴다.
그래서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의 위치결정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3-6962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법에 제안되어 있다. 그 방법을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신축성 범포를 통형상으로 봉합할 때 단단한 걸림봉을 함께 봉합하여 이 걸림봉을 연결부와 일체화시킨다. 이어서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 설치한 플랜지에 걸림봉의 일단을 거는 한편, 걸림봉의 타단을 성형용 금형의 타단측에서 테이프 형상의 것으로 고정한다.
이로써 연결부를 걸림봉마다 성형용 금형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 내에 유지하여 기어부착 벨트의 기어부의 이 끝면에 연결부를 정확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또, 이 걸림봉은 그 후에 행해지는 심체 코드 감기 공정을 종료한 후, 신축성 범포와 심체 코드 사이에서 빠진다.
그런데, 상기 공보예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① 걸림봉을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에 함께 봉입하기 위한 특수 기술이 필요하다
②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가 복수의 장소에 있는 경우에는 걸림봉을 봉입하는 작업에 시간이 걸리는 동시에, 걸림봉의 필요 개수가 증가한다.
③ 신축성 범포를 걸림봉마다 운반해야 하고 중량이 커서 운반이나 보관에 불편하다.
④ 성형용 금형의 중심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걸림봉이 필요하게 되어 걸림봉의 보관에 번거롭다.
⑤ 걸림봉의 일단을 고정하는 플랜지부를 성형용 금형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형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⑥ 또, 가장 유의해야 하는 점은 걸림봉을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서 빼낼 때 걸림봉에는 걸림봉을 연결부에 봉입하는 재봉실의 장력이나 심체 코드의 감김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커다란 힘으로 당기지 않으면 걸림봉을 빼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그 때문에 걸림봉을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서 빼내기 위한 특수한 빼내기 기구가 필요하게 되고, 더구나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 걸림봉을 빼내는 만큼의 빼내기 스트로크, 즉 적어도 걸림봉의 길이 만큼의 빼내기 공간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걸림봉을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에 봉입하지 않고, 이 걸림봉에 의해 연결부를 위에서부터 눌러 연결부를 걸림봉마다 성형용 금형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 내에 유지하고, 걸림봉에 심체 코드의 감김력만이 작용하도록 하여 걸림봉을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서 빼내기 쉽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걸림봉의 양단을 성형용 금형의 양단측에서 고정했을 때, 걸림봉의 중앙부 부근이 성형용 금형의 반경 방향 바깥쪽을 따라 부상(浮上)하고, 연결부 전체를 걸림봉으로 누를 수 없고, 이것에서는 연결부가 심체 코드 감김 시에 작동할 우려가 있어서 그 위치결정이 곤란하다. 또, 걸림봉에 작용하는 힘은 심체 코드의 감김력뿐이라고는 할 수 없고, 걸림봉은 단단하므로 심체 코드의 감김력을 흡수할 수 없고, 단단하게 묶여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걸림봉을 성형용 금형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서 빼낼 때에는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상기 공보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쉽게 빼낼 수 없다. 또, 걸림봉을 빼내기 위한 빼내기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것도 상기 공보예의 경우와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가지 사항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를 성형용 금형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누르고, 상술한 바와 같은 걸림봉으로 연결부를 위치 결정하는 경우의 여러 가지 결점을 해소하여 기어부착 벨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를 위치 결정끈으로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위치 결정한 상태를 도시한 성형용 금형의 일측방의 사시도
도 2는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를 위치결정 끈으로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위치 결정한 상태를 도시한 성형용 금형의 타측방의 사시도
도 3은 고정 지그의 사시도
도 4는 장력 부여 지그의 사시도
도 5는 제 1 래치 기구의 구성도
도 6은 제 2 래치 기구의 구성도
도 7은 위치결정 끈의 확대도
도 8은 심체 코드의 감기 공정 종료 후의 성형용 금형 외주부 부근의 종단면도
도 9는 성형용 금형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의 확대도
도 10은 기어부착 벨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성형용 금형에서 분리한 슬래브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성형용 금형 2 : 기어부착 벨트
3 : 기어부 성형용 홈부 5 : 제1 축
6 : 제 2 축 7 : 벨트 본체
8 : 심체 코드 9 : 기어부
10 : 신축성 범포 11 : 슬래브
12 : 연결부 21 : 범포 위치결정 장치
22 : 위치결정 끈 22a : 필라멘트 실
23 : 고정 지그(고정 수단) 24 : 장력 부여 지그(장력 부여 수단)
25 : 후크 26 : 고정부
27 : 후크부재 28 : 감김장치
31 : 틀체 32 : 회전축
33 : 감김 드럼 34 : 제 1 조작 레버
35 : 제 1 래치 기구 36 : 제 2 래치 기구
38 : 제 1 래치 기어 39 : 제 1 클램프
40 : 커버(고정측) 41 : 제 2 래치 기어
43 : 제 2 클램프 44 : 스프링
45 : 제 2 조작 레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유 상태에서는 유연성을 갖지만, 장력 부여시에는 단단한 봉과 같이 일직선 형상으로 될 수 있는 끈을 위치결정수단으로서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심체 코드가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어 있는 동시에 다수의 기어부가 상기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일체 성형되고, 또 신축성 범포가 기어부 표면에 피착된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범포 위치결정 장치를 대상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해결수단을 강구한다.
즉, 제 1∼8의 해결수단은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해결수단은, 우선 통형상으로 봉합하여 연결한 신축성 범포와, 다수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가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또 둘레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원통형상의 성형용 금형을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신축성 범포를 성형용 금형에 외측에서 끼워 그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위치 결정한다. 그 후, 유연성을 갖는 위치결정 끈을 상기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에 대응시켜서 그 일단을 상기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 고정한 후, 타단을 상기 성형용 금형의 타단측에서 당겨서 그 장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측에 눌러 연결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위치 결정한다. 그 후, 상기 심체 코드를 신축성 범포의 위에서부터 나선형으로 감아 붙인 후, 상기 위치결정 끈의 장력을 해제하여 위치결정 끈을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서 제거한다. 그 후, 미가황 고무 시트를 심체 코드의 위에서부터 감아 붙인 후, 가압 가황성형에 의해 상기 미가황 고무 시트의 일부를 상기 각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충전하여 내주면에 둘레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내주 기어를 갖는 원통형상의 슬래브를 성형하고, 이 슬래브를 소정 폭으로 둥글게 자름으로써, 심체 코드가 벨트 본체에 벨트길이 방향을 따라 매설되는 동시에 다수의 기어부가 상기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일체로 성형되고, 또 신축성 범포가 기어부 표면에 피착된 기어부착 벨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해결수단에서는 위치결정 끈에 장력이 작용하면 이 위치결정 끈이 일직선으로 펴지고, 또 본래 갖고 있는 유연성에 의해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 전체에 작용하고, 연결부 전체가 위치결정 끈에 의해 확실하게 눌려져서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서 분리되지 않고 연결부가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정확히 위치 결정된다.
또, 심체 코드 감김 후에 상기 위치결정 끈의 장력을 해제하면 이 위치결정 끈은 긴장상태에서 해방되어 이완되고, 원래의 유연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위치결정 끈을 성형용 금형의 일단으로부터 차례로 넘겨 오게 하는 것만으로 그 빼내기가 가능하며, 광범위한 빼내기 공간이 필요 없게 된다. 이 때 심체 코드 감김력이 위치결정 끈에 작용하고 있어도 이 위치결정 끈은 직경방향으로 변형하여 심체 코드 감김력이 흡수되고, 구속력이 약해져서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빼내진다. 따라서 단단한 걸림봉을 빼낼 때 필요하였던 특수한 빼내기 기구도 필요 없게 된다.
또, 단단한 걸림봉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필요하던 연결부로의 특수한 봉입 기술, 복수의 연결부로의 봉입 작업의 번거로움, 중량 증가에 따르는 신축성 범포의 운반이나 보관의 불편함, 긴 걸림봉의 보관의 번거로움 및 성형용 금형에 플랜지부를 부설함에 따른 형 구조의 복잡화 등이라는 결점이 모두 해소된다.
제 2 해결수단은, 제 1 해결수단에 있어서 위치결정 끈을 합성섬유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해결수단은,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합성섬유로서 나일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선택된 하나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2, 3의 해결수단에서는 위치결정 끈은 그 소재의 특성에 따라 신축성 범포 및 심체 코드에 대하여 매우 미끌어지기 쉽고, 위치결정 끈을 빼낼 때의 저항이 더욱 작아져서 빼내기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제 4 해결수단은, 제 1 해결수단에 있어서, 위치결정 끈으로서 복수개의 필라멘트 실(filament yarn)로 끈목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4 해결수단에서는 위치결정 끈은 반복 사용해도 꼬인 끈 등과 같이 꼬임이 풀리거나 하지 않고 위치결정 끈의 내구성 및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다.
제 5 해결수단은 제 4 해결수단에 있어서 끈목으로서 둥근 끈목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5 해결수단에서는 둥근 끈목은 내부의 중공부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크게 변형 가능하며, 둥근 끈목에 작용하는 심체 코드 감김력이 충분히 흡수되어 둥근 끈목에 대한 구속력이 약해지고, 둥근 끈목의 빼내기 작업이 더한층 쉽게 된다.
제 6 해결수단은, 제 1 해결수단에 있어서, 위치결정 끈에서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측에 눌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 결정끈을 심체 코드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해결수단은, 제 1 해결수단에 있어서, 위치결정 끈으로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측에 눌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심체 코드를 융기시키지 않을 정도로 상기 위치결정 끈을 심체 코드에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6, 7의 해결수단에서는 심체 코드가 연결부에서 흔들리지 않게 벨트 전체에 걸쳐서 규칙적으로 매설된다. 또, 제 6 해결수단에서는 위치결정 끈에 빼내기 저항이 걸리지 않고 빼내기 작업이 더 용이하게 된다. 제 7 해결수단에서는 위치결정 끈에 걸리는 빼내기 저항은 매우 작고, 위치결정 끈이 작은 힘으로 빠진다.
제 8 해결수단은, 제 1 해결수단에 있어서 위치결정 끈의 직경을 기어부 성형용 홈부의 깊이의 30∼80%에 상당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8 해결수단에서는 제 6, 7의 해결수단의 작용효과가 보증된다.
제 9∼12의 해결수단은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범포 위치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9 해결수단은 제 1∼8의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의 해결수단에 기재한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범포 위치결정 장치에 있어서, 고정수단을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고정수단에 의해 위치결정 끈의일단을 상기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 고정한다. 또, 장력 부여 수단을 상기 성형용 금형의 타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일단이 상기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 고정된 위치결정 끈의 타단을 상기 장력 부여 수단에 의해 상기 성형용 금형의 타단측으로부터 당겨서 그 장력에 의해 범포의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측에 눌러 연결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위치 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9 해결수단에서는 위치결정 끈을 연결부에 배치하고, 장력 부여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연결부가 위치 결정된다. 또, 고정 수단 및 장력 부여 수단은 모두 탈착 방식이며, 성형용 금형의 형 구조의 변경은 불필요하며 기존의 성형용 금형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확대된다.
제 10 해결수단은 제 9 해결수단에 있어서,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의 단면에 제 1 축을 외측방으로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성형용 금형의 타단측의 단면에 제 2 축을 외측방으로 돌출 설치한다. 또, 고정수단으로서 일단측이 U자형으로 만곡하여 상기 제 1 축에 걸어 맞추는 후크를 구성하고 있는 동시에, 타단측이 접어져서 위치결정 끈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성하고 있는 고정 지그를 채용한다. 또, 장력 부여 수단으로서 전체가 U자형으로 만곡하여 상기 제 2 축을 걸어 맞추는 후크부재와 이 후크부재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끈의 타단측을 감는 감김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0 해결수단에서는 고정수단(고정 지그)의 후크를 제 1 축에, 장력 부여 수단의 후크부재를 제 2 축에 각각 걸어 맞추는 것만으로 상기 고정 수단 및 장력 부여 수단의 세팅이 가능하며, 신축성 범포의 위치결정 조작이 간단하게 된다.
제 11의 해결수단은, 제 10 해결수단에 있어서 감김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위치결정 끈이 감겨진 감김 드럼을 틀체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 제 1 조작 레버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 제 1 래치 기구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하고, 이 제 1 래치 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조작 레버의 위치결정 끈 김 방향으로의 회전력만을 회전축에 전달하고, 반대 방향인 인출방향으로의 회전력은 회전축에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또, 제 2 래치 기구를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설치하고, 이 제 2 래치 기구에 의해 상기 감김 드럼의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인 인출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해결수단은 제 11 해결수단에 있어서, 제 1 래치 기구를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즉, 제 1 래치 기어를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한다. 또, 제 1 클램프를 제 1 조작 레버에 고정하고, 이 제 1 조작 레버의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클램프를 제 1 래치 기어에 맞물리는 한편, 반대방향인 인출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클램프를 제 1 래치 기어에서 분리한다. 한편, 제 2 래치 기구를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즉, 제 2 래치 기어를 회전축의 타단에 고정한다. 또, 제 2 클램프를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 이 제 2 클램프를 당겨서 상기 제 2 래치 기어에 맞물리게 하고, 감김 드럼의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스프링을 설치한다. 또, 제 2 조작레버를 상기 제 2 클램프에 설치하고, 이 제 2 조작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클램프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 2 래치 기어에서 분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1, 12의 해결수단에서는 위치결정 끈의 감김 조작 및 인출 조작이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행해진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차량의 엔진 등의 전동 벨트로서 사용되는 기어부착 벨트(2)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기어부착 벨트(2)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범포 위치결정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우선 상기 기어부착 벨트(2)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어부착 벨트(2)는 벨트 본체(7)를 구비하며, 이 벨트 본체(7)에는 심체 코드(8)가 벨트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어 있다. 또, 상기 벨트 본체(7)의 한쪽면(도 10에서 하면)에는 다수의 기어부(9)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일체 성형되고, 이들 기어부(9) 표면에는 신축성 범포(10)가 피착되어 있다.
상기 벨트 본체(7) 및 기어부(9)는 천연 고무(NR), 스틸렌부타디엔 고무(SBR), 클로로프렌 고무(CR), 니트릴 고무(NBR), 부틸 고무(IIR), 등의 단일재 혹은 이들을 혼합한 것으로 구성된다. 이 벨트 본체(7) 및 기어부(9)는 벨트 제조에 있어서는 일정 두께의 미가황 고무 시트의 형태로 이용된다.
상기 심체 코드(8)는 유리섬유,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카본 섬유, 스틸 와이어 등을 소재로 하는 저신축도 고강력의 항인장체 로프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성 범포(10)는 경사(經絲)와 위사(緯絲)로 기어부착 벨트(2)의 범포로서 요구되는 내마모성 및 마찰 계수를 만족하도록 짜인 직물이며, 이들 실로서는 면, 테트론, 나일론, 아라미드 등으로 구성되는 실 또는 혼방사를 단독 혹은 조합시켜서 사용한다. 특히 벨트 길이방향으로 배향하는 실에는 울리 나일론사 등의 신축성을 갖는 실을 채용한다. 이 신축성 범포(10)는 벨트 제조에 있어서는 1매의 사각형상의 것을 통형상으로 봉합하여 연결한 원통형상의 형태로 사용되고, 연결부(12)가 있다. 이 연결부(12)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라미드 등의 필라멘트 연사, 또는 모노필라멘트사를 1종 혹은 2종 조합시킨 재봉실(13)(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에 의해 봉합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착벨트(2)의 제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통형상의 신축성 범포(10), 성형용 금형(1) 및 범포 위치결정 장치(21)(도 1∼4 참조)를 준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용 금형(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기어부착 벨트(2)의 기어부(9)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3)가 돌출부(4)를 사이에 두고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또 둘레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중심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성형용 금형(1)의 일단측(도 1에서 우단)의 단면에는 제 1 축(5)이 외측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성형용 금형(1)의 타단측(도 2에서 좌단)의 단면에는 제2 축(6)이 외측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이들 제 1 축(5) 및 제 2 축(6)으로 성형용 금형(1)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범포 위치결정 장치(21)는 고정 수단으로서의 고정지그(23)와 장력 부여 수단으로서의 장력 부여 지그(24)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지그(23)는 일단측이 U자형으로 만곡하여 상기 성형용 금형(1)의 제 1 축(5)에 걸어 맞추는 후크(25)를 구성하는 동시에 타단측이 헤어핀 형상으로 접어져서 후술하는 위치결정 끈(22)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26)를 구성하고 있고, 전체가 J자형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25)를 제 1 축(5)에 걸어 맞추는 것으로 고정 지그(23)를 성형용 금형(1)의 일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위치결정 끈(22)의 일단을 상기 고정부(26)에 연결하는 것으로 위치결정 끈(22)의 일단을 성형용 금형(1)의 일단측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력 부여 지그(24)는 전체가 U자형으로 만곡하여 상기 성형용 금형(1)의 제 2 축(6)에 걸어 맞추는 후크부재(27)를 구비하며, 이 후크부재(27)를 제 2 축(6)에 걸어 맞추는 것으로 장력 부여 지그(24)를 성형용 금형(1)의 타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재(27)의 일단에는 감김장치(28)가 설치되며, 이 감김장치(28)는 회전축(3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틀체(31)를 구비하며, 회전축(32)에는 감김 드럼(33)이 일체로 설치되며, 이로써 감김 드럼(33)이 회전축(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틀체(31)에 지지된다. 이 감김 드럼(33)에는 위치결정 끈(22)의 타단측에 감겨지고, 감김 드럼(33)의 정회전·역회전 동작에 의해 위치결정 끈(22)을 감거나 혹은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 끈(22)의 일단에는 환상 걸림부(30)가 형성되고, 이 환상 걸림부(30)를 상기 고정 지그(23)의 고정부(26)에 빠지지 않도록 걸어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 끈(22)은 그 장력에 의해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3)측에 눌러 연결부(12)를 움직이지 않도록 기어부 성형용 홈부(3)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4개 이상의 나일론 섬유의 필라멘트 실(22a)을 끈 제조기에 걸어서 원통형상으로 짠 둥근 끈목으로 구성되고(도 7 참조), 내부에는 중공부(도시 생략)가 형성된다. 이 둥근 끈목은 그 구조 특성에 의해 내굴곡 피로성이 특히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고, 반복 사용하여도 꼬인 끈 등의 꼬임이 풀리지 않고, 위치결정 끈의 내구성 및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위치결정 끈(22)의 굵기는 예를 들면 직경 1.8∼2.2mm 정도이지만, 이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위치결정 끈(22)은 둥근 끈목에 한정되지 않고, 납작한 끈목이어도 되며, 또 끈목 이외의 끈이어도 된다. 또, 이 위치결정 끈(22)은 나일론 섬유 이외에 예를 들면 아라미드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이라도 되고, 이 이외에 위스커 섬유, 유리 섬유 또는 금속 섬유 등이라도 된다. 특히 위치결정 끈(22)이 합성 섬유인 경우에는 위치결정 끈(22)이 신축성 범포(10) 및 심체 코드(8)에 대하여 매우 미끌어지기 쉽고, 위치결정 끈(22)을 뺄 때의 저항을 더욱 적게 할 수 있어서 빼내기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 끈(22)은 상기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3)측에 눌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심체 코드(8)를 융기시키지 않을 정도로 심체 코드(8)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이것은 위치결정 끈(22)의 장력에 의한 신축성 범포(10)의 눌리는 양에 의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위치결정 끈(22)의 직경의 상한을 상기 성형용 금형(1)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3)의 깊이(h)(도 9 참조)의 80% 이하에 상당하는 치수로 설정하면 된다. 또, 위치결정 끈(22)의 소재에 의하기도 하지만, 강도 등을 고려하여 위치결정 끈(22)의 직경의 하한을 상기 성형용 금형(1)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3)의 깊이(h)의 30% 이상에 상당하는 치수로 설정하면 된다. 또, 위치결정 끈(22)은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3) 측으로 눌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심체(8)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상기 감김장치(28)의 회전축(32)의 일단(도 4에서 우단)에는 제 1 조작 레버(3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가로에는 제 1 래치 기구(35)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 1 래치 기구(35)는 상기 회전축(32)의 일단에 고정된 제 1 래치 기어(38)와 상기 제 1 조작 레버(34)에 핀(37)으로 고정된 제 1 클램프(39)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제 1 클램프(39)는 상기 제 1 조작 레버(34)의 위치결절 끈 감김 방향(화살표 A1방향)으로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래치 기어(38)의 이(38a)에 맞물리는 한편 반대방향인 인출방향(화살표 B1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래치 기어(38)의 이(38a)에서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제 1 래치 기구(35)는 제 1 조작 레버(34)의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으로의 회전력만을 회전축(32)에 전달하고, 반대방향인 인출방향으로의 회전력은 회전축(32)에 전달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제 1 조작 레버(34)의 회전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제 1 래치 기어(38)를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화살표 A2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고, 위치결정 끈(22)을 감김 드럼(33)에 감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래치 기구(35)와 반대측의 틀체(31) 측면에는 커버(40)가 설치되고, 이 커버(40) 내에서 제 2 래치 기구(36)가 상기 회전축(32)의 타단(도 4에서 좌단)에 설치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 2 래치 기구(36)는 상기 회전축(32)의 타단에 고정된 제 2 래치 기어(41)와 고정측인 상기 커버(40) 내벽에 축(42)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클램프(43)를 구비하고, 이 제 2 클램프(43)의 중간에는 스프링(4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이 스프링(44)의 타단은 상기 커버(40) 내벽에 연결되고, 스프링(44)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제 2 클램프(43)를 당겨서 상기 제 2 래치 기어(41)의 이(41a)에 맞물리게 하고, 감김 드럼(33)의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화살표(A3)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클램프(43)에는 제 2 조작 레버(45)가 설치되고, 이 제 2 조작 레버(45)의 단부는 상기 커버(40)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있고, 이 제 2 조작 레버(45)의 화살표 B2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클램프(43)를 스프링(4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 2 래치 기어(41)로부터 분리하도록 된다. 즉, 이 제 2 래치 기어(41)는 상기 감김 드럼(33)의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인 인출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1 래치 기구(35)의 제 1 조작 레버(34)를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으로 조작하여 다음의 조작으로 이동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갔을 때, 감김 드럼(33)이인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의 위에서부터 성형용 금형(1)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3)에 따르게 한 위치결정 끈(22)의 환상 걸림부(30)를 고정 지그(23)의 고정부(26)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 1 래치 기구(35)의 제 1 조작 레버(34)를 반복하여 회전 조작하면 상기 위치결정 끈(22)이 감김 드럼(33)에 감겨서 긴장상태가 되고, 그 장력에 의해 상기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가 기어부 성형용 홈부(3) 측으로 눌려져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 결정된다.
또, 상기 위치결정 끈(22)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조작하면 된다. 즉, 제 1 조작 레버(34)를 화살표 B1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 1 클램프(39)를 제 1 래치 기어(38)의 이(38a)에서 분리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조작 레버(45)를 화살표 B2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 2 클램프(43)를 제 2 래치 기어(41)의 이(41a)에서 분리한다. 이로써 감김 드럼(33)이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결정 끈(22)이 이완하므로 이 상태에서 위치결정 끈(22)의 환상 걸림부(30)를 고정 지그(23)의 고정부(26)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제 1 조작 레버(34) 및 제 2 조작 레버(45)를 회전 조작하여 제 1 클램프(39)를 제 1 래치 기어(38)의 이(38a)에, 제 2 클램프(43)를 제 2 래치 기어(41)의 이(41a)에 각각 맞물리게 한다. 이로써 위치결정 끈(22)의 인출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이 상태로부터 장력 부여 지그(24)를 제 2 축(6)으로부터 분리하여 당기면 위치결정 끈(22)을 빼낼 수 있다.
다음에, 기어부착 벨트(2)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① 원통형상의 신축성 범포(10)를 성형용 금형(1)에 제 1 축(5) 또는 제 2축(6)측으로부터 외측에서 끼운다. 이 때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를 성형용 금형(1)의 임의의 하나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3)에 대응시킨다.
② 고정 지그(23)의 후크(24)를 성형용 금형(1)의 제 1 축(5)에 걸어서 고정 지그(23)를 성형용 금형(1)의 일단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장력 부여 지그(24)의 후크 부재(27)를 성형용 금형(1)의 제 2 축(6)에 걸어서 장력 부여 지그(24)를 성형용 금형(1)의 타단측에 설치한다.
③ 장력 부여 지그(24)의 제 1 래치 기구(35)의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34, 45)를 회전 조작하여 제 1 및 제 2 클램프(39, 43)를 제 1 및 제 2 래치 기어(38, 41)에서 분리하고, 위치결정 끈(22)을 감김 드럼(33)에서 인출하여 상기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기어부 성형용 홈부(3)) 위에 배치한다.
④ 상기 위치결정 끈(22)의 환상 걸림부(30)를 고정 지그(23)의 고정부(26)에 걸어서 고정한다.
⑤ 상기 제 1 조작 레버(34)를 고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반복 회전 조작하고, 위치결정 끈(22)의 타단측을 감김 드럼(33)에 감는다. 이로써 상기 위치결정 끈(22)이 당겨져서 장력이 부여되고, 이 장력이 상기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에 작용하여 연결부(12)가 기어부 성형용 홈부(3) 측에 눌려져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결정 유지된다.
이 때, 위치결정 끈(22)은 일직선으로 당기고 또 본래 갖고 있는 유연성에 의해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 전체에 작용하여 연결부(12) 전체를 위치결정 끈(22)에 의해 확실하게 눌러서 기어부 성형용 홈부(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있고, 연결부(12)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3)에 정확히 위치결정 유지할 수 있다.
⑥ 이 상태에서 상기 신축성 범포(10)에 심체 코드(8)를 일정한 장력으로 나선형으로 감고, 이 심체 코드(8)의 감김력에 의해 연결부(12)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3) 내에 고정한다. 이 위치결정 끈(22)은 기어부 성형용 홈부(3)의 홈 깊이(h)의 치수의 30∼80% 의 직경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심체 코드(8)에 간섭하지 않고, 예를 들어 간섭했다고 해도 심체 코드(8)를 융기시키지 않는 정도이며, 또 강도도 적당히 확보되어 있고, 이로써 위치결정 끈(22)에 작용하는 심체 코드(8)의 감김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심체 코드(8)를 연결부(12)에서 흔들리지 않게 벨트 전체에 걸쳐서 규칙적으로 매설할 수 있다.
⑦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34, 45)를 모두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제 1 및 제 2 클램프(39, 43)를 제 1 및 제 2 래치 기어(38, 41)에서 분리하고, 위치결정 끈(22)을 느슨하게 하여 그 환상 걸림부(30)를 고정부(26)에서 분리하거나 혹은 환상 걸림부(30)를 잘라낸다.
이로서 위치결정 끈(22)은 장력이 해제되어 이완하고 원래의 유연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⑧ 상기 장력 부여 지그(24)를 성형용 금형(1)의 제 2 축(6)에서 분리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34, 45)를 모두 회전 조작하여 제 1 및 제 2 클램프(39, 43)를 제 1 및 제 2 래치 기어(38, 41)에 맞물리게 한 후, 장력 부여 지그(24)를 당겨서 위치결정 끈(22)을 신축성 범포(10)와 심체 코드(8) 사이에서 빼낸다.
이 때, 위치결정 끈(22)은 장력이 해제되어 유연성을 보유하고 있고, 심체 코드(8)의 감김력이 작용하고 있어도 위치결정 끈(22)은 직경방향으로 변형하여 상기 감김력을 흡수하여 구속력이 약해지므로 빼내는 저항이 그만큼 걸리지 않고 단단한 걸림봉을 빼내는 경우와 같은 커다란 힘은 필요 없으며, 위치결정 끈(22)을 작은 힘으로 빼낼 수 있고, 또 특수한 빼내기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구나 위치결정 끈(22)이 장력의 해제에 따라 휘므로 성형용 금형(1)의 타측면측에서의 위치결정 끈(22)의 길이만큼의 빼내는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위치결정 끈(22)을 절감된 공간에서 빼낼 수 있다. 특히 위치결정 끈(22)이 둥근 끈목인 경우에는 내부에 갖는 중공부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크게 변형 가능하며, 위치결정 끈(22)에 작용하는 심체 코드 감김력을 충분히 흡수하여 둥근 끈목에 대한 구속력을 더욱 약하게 할 수 있고, 위치결정 끈(22)의 빼내기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단단한 걸림봉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필요로 하던 연결부로의 특수한 봉입 기술, 복수의 연결부로의 봉입 기술의 번거로움, 중량 증가에 따르는 신축성 범포의 운반이나 보관의 불편함, 긴 걸림봉의 보관의 번거로움 및 성형용 금형에 플랜지부를 부설함에 따른 형 구조의 복잡화 등의 결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⑨ 그 후, 심체 코드(8) 위에서 미가황 고무 시트를 감고, 통상 이용되는 가압 가황 성형법에 의해 내주면에 소정 피치의 내주 기어(기어부착 벨트(2)의 기어부(9)를 갖는 원통형상의 슬래브(11)를 성형한다(도 11 참조). 이 슬래브(11)를 성형용 금형(1)에서 분리하여 소정 폭으로 둥글게 자름으로써 심체 코드(8)가 벨트본체(7)로 벨트 길이방향에 따라 매설되어 있는 동시에 다수의 기어부(9)가 상기 벨트 본체(7)에 벨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일체 성형되고, 또 신축성 범포(10)가 기어부(9) 표면에 피착된 기어부착 벨트(2)를 얻는다. 이 얻어진 기어부착 벨트(2)에서는 신축성 범포(10)의 연결부(12)가 기어부(9)의 이 끝면(9a)에 정확히 위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연성을 갖는 위치결정 끈에 장력을 부여하여 이 긴장상태의 위치결정 끈으로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를 눌러 위치 결정하므로 연결부를 위치결정 끈으로 확실하게 눌러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정확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더구나 이 위치결정 끈은 이완하므로 단단한 걸림봉을 이용하는 경우의 결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고, 또 위치결정 끈의 제거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행하며, 기어부착 벨트의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 끈에 장력을 부여할 뿐이며, 형 구조의 개량 등과 같은 경비가 그만큼 들지 않고 장치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심체 코드가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어 있는 동시에, 다수의 기어부가 상기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일체 성형되고, 또 신축성 범포가 기어부 표면에 피착된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통형상으로 봉합하여 연결한 신축성 범포와, 다수의 기어부 성형용 홈부가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또 둘레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원통형상의 성형용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신축성 범포를 성형용 금형에 외측에서 끼워 그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위치 결정하는 단계와,
    유연성을 갖는 위치결정 끈을 상기 신축성 범포의 연결부에 대응시켜서 그 일단을 상기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 고정한 후, 타단을 상기 성형용 금형의 타단측에서 당겨서 그 장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측에 눌러 연결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위치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심체 코드를 신축성 범포의 위에서부터 나선형으로 감아 붙인 후, 상기 위치결정 끈의 장력을 해제하여 위치결정 끈을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서 제거하는 단계와,
    미가황 고무 시트를 심체 코드의 위에서부터 감아 붙인 후, 가압 가황성형에 의해 상기 미가황 고무 시트의 일부를 상기 각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충전하여 내주면에 둘레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내주 기어를 갖는 원통형상의 슬래브를 성형하고, 이 슬래브를 소정 폭으로 둥글게 자름으로써, 심체 코드가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어 있는 동시에 다수의 기어부가 상기 벨트 본체에 벨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일체 성형되고, 또 신축성 범포가 기어부 표면에 피착된 기어부착 벨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끈은 합성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는 나일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끈은 복수개의 필라멘트 선으로 짜인 끈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끈목은 둥근 끈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끈은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측에 눌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심체 코드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끈은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측에 눌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심체 코드를 융기시키지 않을 정도로 심체 코드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끈의 직경은 기어부 성형용 홈부의 깊이의 30∼80%에 상당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범포 위치결정 장치에 있어서,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결정 끈의 일단을 상기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성형용 금형의 타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일단이 상기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에 고정된 위치결정 끈의 타단을 상기 성형용 금형의 타단측으로부터 당겨서 그 장력에 의해 범포의 연결부를 기어부 성형용 홈부측에 눌러 연결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기어부 성형용 홈부에 위치 결정하는 장력 부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포 위치결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 금형의 일단측의 단면에는 제 1 축이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성형용 금형의 타단측의 단면에는 제 2 축이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측이 U자형으로 만곡하여 상기 제 1 축에 걸어 맞추어지는 후크를 구성하고 있는 동시에, 타단측이 접어져서 위치결정 끈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성하는 고정 지그이며,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은 전체가 U자형으로 만곡하여 상기 제 2 축에 걸어 맞추는 후크 부재와, 이 후크 부재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끈의 타단측을 감는 감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포 위치결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장치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틀체에 지지되고, 위치결정 끈이 감아 붙여진 감김 드럼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조작 레버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조작 레버의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의 회전력만을 회전축에 전달하고, 반대 방향인 인출방향으로의 회전력은 회전축에 전달하지 않는 제 1 래치 기구와,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감김 드럼의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인 인출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 2 래치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포 위치결정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제 1 래치 기구는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된 제 1 래치 기어와, 제 1 조작 레버에 고정되고, 이 제 1 조작 레버의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래치 기어에 맞물리는 한편, 반대방향인 인출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래치 기어에서 분리되는 제 1 클램프로 구성되고,
    제 2 래치 기구는 회전축의 타단에 고정된 제 2 래치 기어와,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클램프와, 이 제 2 클램프를 인장하여 상기 제 2 래치 기어에 맞물리게 하고, 감김 드럼의 위치결정 끈 감김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 2 클램프에 설치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클램프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 2 래치 기어에서 분리하는 제 2 조작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포 위치결정 장치.
KR1019970009271A 1996-03-19 1997-03-19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범포위치 결정장치 KR100440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0396 1996-03-19
JP96-063103 1996-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887A KR970064887A (ko) 1997-10-13
KR100440803B1 true KR100440803B1 (ko) 2005-01-15

Family

ID=1321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271A KR100440803B1 (ko) 1996-03-19 1997-03-19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범포위치 결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82473A (ko)
EP (1) EP0796725B1 (ko)
KR (1) KR100440803B1 (ko)
DE (1) DE697178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6809A (en) * 1997-07-24 2000-07-11 Mitsuboshi Belting Ltd. Method of forming a belt/belt sleeve and a belt/belt sleeve made using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71A (en) * 1892-03-29 Tension device
US756751A (en) * 1901-08-21 1904-04-05 Walter F Crans Well-brake.
US2385479A (en) * 1942-10-26 1945-09-25 Rca Corp Film reel spindle
US3108028A (en) * 1959-10-01 1963-10-22 Sprunck Gerhar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inforcement of glass fibre webs or mats
US4053547A (en) * 1971-10-14 1977-10-11 The Gates Rubber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positive drive belt
JPS53123750A (en) * 1977-04-05 1978-10-28 Toyota Motor Corp Durability improving method of timing belt
DE3202473C2 (de) * 1982-01-27 1985-08-01 Wilhelm Herm. Müller GmbH & Co KG, 3000 Hannov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Zahnriemen
US4952261A (en) * 1986-09-11 1990-08-28 Mitsuboshi Belting Ltd. Toothed belt manufacture including disposing stitched joint in mandrel groove
JPS6369627A (ja) * 1986-09-11 1988-03-29 Mitsuboshi Belting Ltd 歯付ベルトの製造方法
GB8810564D0 (en) * 1988-05-05 1988-06-08 H C H Mfg Ltd Method & apparatus for laying filament
US4993995A (en) * 1988-10-29 1991-02-19 Mita Industrial Co., Ltd. Toothed-belt fixing mechanism
FR2702992B1 (fr) * 1993-03-25 1995-05-12 Caoutchouc Manuf Plastique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ourroies à denture et ses applications.
EP0664256B1 (de) * 1994-01-24 1997-03-05 Orgapack Ag Spann- und Verschliessvorrichtung zum Umreifen eines Gegenstandes mit einem Kunststoff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82473A (en) 1999-03-16
EP0796725A2 (en) 1997-09-24
DE69717890D1 (de) 2003-01-30
KR970064887A (ko) 1997-10-13
DE69717890T2 (de) 2003-09-18
EP0796725A3 (en) 1999-06-30
EP0796725B1 (en)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289B1 (ko) 톱니가형성된벨트
CA1187009A (en) Hose with wire braid reinforc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hose
CN101501294B (zh) 聚合物基体的强化加强元件及其制造方法
KR100440803B1 (ko) 기어부착 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범포위치 결정장치
ITMI971452A1 (it) Cinghia dentata in particolare cinghia di sincronizzazione per impieghi automobilistici
WO1997048841A1 (en) Sling with braided sleeve covering
EP0152408B1 (en) Method of depositing a membrane within a conduit
US4813919A (en) Toothed belt manufacture
JP3131167B2 (ja) 歯付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使用する帆布位置決め装置
EP3075243A1 (en) Reel leg fixing apparatus
KR20200014850A (ko) 봉합사 앵커 구조물 및 배치 장치
JP4837962B2 (ja) 補強コード層の形成方法及び金具付きゴム製筒体
US4293157A (en) Split cable grip closu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3264708B2 (ja) 彎曲筒状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1987005576A1 (en) Cam action brake lever
US4952261A (en) Toothed belt manufacture including disposing stitched joint in mandrel groove
JP2632488B2 (ja) 高強力繊維撚合型frp緊張材の端末定着方法
US9611969B2 (en) Reinforced plug
KR102153730B1 (ko) 와이어락 및 이 와이어락에 사용되는 와이어 제조방법
JP4567154B2 (ja) 芯体付き袋体
JP3086205B2 (ja) 耐圧ホース
US20220333390A1 (en) Binding machine
JP2603506B2 (ja) 烏賊釣針用芯棒と烏賊釣針及び烏賊釣針の釣り糸への係止方法
JP3479327B2 (ja) 組紐の端末ループ形成用治具及び組紐の端末ループの製法
JP4341637B2 (ja) ロープ類の緊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