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844B1 -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844B1
KR100439844B1 KR10-2002-0043476A KR20020043476A KR100439844B1 KR 100439844 B1 KR100439844 B1 KR 100439844B1 KR 20020043476 A KR20020043476 A KR 20020043476A KR 100439844 B1 KR100439844 B1 KR 100439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cm
atmosphere
ashing
film
tor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9506A (ko
Inventor
김재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844B1/ko
Priority to US10/456,687 priority patent/US20040018743A1/en
Publication of KR2004000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8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conductive layers, e.g. polysilicon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01L21/02071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conductive layers, e.g. polysilicon or amorphous silicon layers the processing being a delineation, e.g. RIE, of condu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27Etching organic layers
    • H01L21/31133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38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6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폴리머의 생성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플라즈마 설비에서, 형성된 텅스텐 배선층 상부의 감광막에 대하여 500 내지 900 SCCM의 질소(N2)분위기에서 약 9 Torr의 압력, 및 245℃ 내지 255℃의 온도 범위로 안정화를 진행하는 안정화 단계와; 500 내지 750 SCCM 의 질소(N2) 및 약 4500 SCCM 의 산소(O2)분위기에서 약 1000(W)의 고주파 파워, 약 2.0 Torr의 압력, 및 245℃ 내지 255℃의 온도범위로 애싱 단계를 애싱공정의 조건으로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method for removing photoresist after metal layer etching in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에서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원리로 하는 사진식각공정이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오고 있다. 사진(photo)공정은, 감광막을패터닝하고자 하는 막질(layer)의 상부에 코팅하는 감광막 도포공정, 노광을 위한 마스크 또는 레티클에 감광막이 도포된 웨이퍼 또는 기판을 정렬한 후 비교적 단파장의 빛을 주사하는 노광공정, 노광된 감광막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패턴을 만드는 현상공정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상기 식각(etching)공정은 상기한 사진공정을 통해 패터닝된 감광막을 식각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노출된 하부 막질만을 식각하는 막질 식각공정과, 상기 식각공정의 완료후에 식각 마스크로서 사용된 상기 감광막을 제거하는 애싱(ashing)공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애싱공정은 건식과 습식으로 크게 나뉘어질 수 있고, 건식 애싱공정은 산소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방법과 오존을 이용하는 방법 및 엑시머 램프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한편, 습식애싱공정에서 강력한 산화작용을 가진 용액 예컨대 황산과 과산화수소의 혼합액이 감광막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애싱 공정들 중 건식 애싱공정은,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 배선을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형성하고 나서, 식각 마스크로서 사용된 감광막을 제거하는 용도로서 흔히 이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소자가 형성된 실리콘 기판(10)의 상부에 층간절연막(12), 배리어 막들(14,16), 및 텅스텐 배선층(18)이 차례로 형성된 것이 보여진다. 상기 텅스텐 배선층(18)은 그 상부의 감광막(20)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이방성 식각됨에 의해 원하는 형태로 패터닝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리어 막들(14,16)은 각기 티타늄 막과 질화티타늄 막으로 각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각공정의 완료후에, 상기 감광막(20)을 제거하는 건식 애싱공정은 주로 산소(O2)분위기의 챔버내에서 행해진다.
식각공정에서 생성된 폴리머는 애싱공정의 수행 후에도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잔존하게 된다. 상기한 폴리머는 상기 배선층의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하거나 또 다른 금속 배선층의 형성시에 불순물로서 작용하여 막질을 오염시키고 비정상적인 막질을 형성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알루미늄 배선에 비해 충진(fill)능력이 우수한 텅스텐 배선의 경우에 식각설비내에서 발생되는 폴리머는 보다 하드(hard)하므로 폴리머의 제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컨벤셔날 기술(conventional art)에서는 약 1013cm3이하의 중간 밀도(midium density) 플라즈마 설비에서 3850 SCCM 의 산소(O2)분위기에서 2.5 Torr의 압력, 275℃의 온도로 12초간 안정화 공정을 실시한 후, 3850 SCCM 의 산소(O2)분위기에서 1300(W)의 고주파 파워, 2.5 Torr의 압력, 275℃의 온도로 180초간 안정화 공정을 애싱 공정으로서 실시하였다.
상기한 애싱 방법의 경우에 상기 텅스텐 배선층(18)의 식각공정에서 발생한 폴리머가 여전히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애싱공정의 진행 후에도 폴리머 잔존부분들(a,b,c,d)이 있게 되어, 1회의 애싱공정을 추가로 더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도 6에서는 산화티타늄 재질의 폴리머가 애싱공정의 수행 후에도 텅스텐 배선층(18)에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을 보인 전자현미경 단면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감광막 잔류물(residue)의 형상을 전자사진 현미경으로 찍은 것을 실제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배선층의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하거나 후속 공정에서의 균열(crack)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에서는 텅스텐 배선층(18)의 모서리 부분에 폴리머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전자사진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현상도 역시 후속 공정에서의 층간절연막 균열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애싱공정에서 반드시 제거해야할 필요가 있다.
도 5의 경우에는 텅스텐 배선층(18)의 주변에 메탈 뜯김(notching)이 발생한 경우를 전자사진으로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도 역시 상기 컨벤셔날 애싱공정에서 발생되는 경우인데, 이는 금속층간의 사이에 단락(short)현상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텅스텐 배선층(18)의 식각 후에 진행하는 애싱공정에서 폴리머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므로 층간절연막 균열, 파티클 발생, 수율 저하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그러한 문제점들은 결국, 반도체 제조공정 설비의 가동율을 저하시키고 각종 로스(loss)를 발생시켜 제조된 반도체 소자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텅스텐 금속배선 형성 후에 폴리머의 생성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감광막 애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텅스텐 금속 배선 형성 시 애싱공정에서 하드성 폴리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애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 가운데 일부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aspect)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은, 약 1013cm3이하의 중간 밀도 플라즈마 설비에서, 텅스텐 배선층 상부의 감광막에 대하여 900 SCCM 의 질소(N2)분위기에서 9 Torr의 압력, 250℃의 온도로 10초간 안정화를 진행하는 안정화 단계와; 750 SCCM 의 질소(N2) 및 4500 SCCM 의 산소(O2)분위기에서 1000(W)의 고주파 파워, 2.0 Torr의 압력, 250℃의 온도로 130초간 행하는 애싱 단계를 애싱공정의 조건으로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안정화 단계의 진행 후 애싱 단계의 전에는 450 SCCM 의 수증기(H2O)분위기에서 2.0 Torr의 압력, 1000(W)의 고주파 파워, 250℃의 온도로 40초간 증기공급을 행하는 증기공급 단계를 더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금속배선 형성을 보인 공정단면도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구조에 따라 생성된 다양한 형태의 전자사진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배선 형성을 보인 공정단면도들
도 9는 도 8의 공정진행 결과를 전자사진으로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단계의 수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들은 동일 내지 유사한 참조부호로서 나타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배선 형성을 보인 공정단면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과 동일한 식각 패턴을 가진 결과물에 대하여 질소(N2)분위기에서 애싱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보여진다. 그 결과로서, 도 8과 같이 텅스텐 배선층(18)의 일부 상부(e,f)에만 존재하는 폴리머가 있게 되고 이는 후속의 세정공정에서 깨끗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7에서 보여지는 애싱 공정은 단위당 이온수가 약 1013cm3이하로 되는 중간 밀도 플라즈마 설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텅스텐 배선층(18)상부의 감광막(20)에 대하여 900 SCCM 의 질소(N2)분위기에서 9 Torr의 압력, 250℃의 온도로 10초간 안정화를 진행하는 안정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안정화 단계는 폴리머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텅스텐 배선막(18)하부의 티타늄 막(14)의 산화가 억제되어 산화티타늄 막의 생성이 최소화된다.
상기 안정화 단계의 실시 후에는 750 SCCM 의 질소(N2) 및 4500 SCCM 의 산소(O2)분위기에서 1000(W)의 고주파 파워, 2.0 Torr의 압력, 250℃의 온도로 130초간 행하는 애싱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안정화 단계의 진행 후 애싱 단계의 전에는 폴리머를 보다 완전히 제거하고 폴리머 완화를 위해, 450 SCCM 의 수증기(H2O)분위기에서 2.0 Torr의 압력, 1000(W)의 고주파 파워, 250℃의 온도로 40초간 증기공급을 행하는 증기공급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들의 수행에 의해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폴리머의 생성이 억제 또는 최소화된 형상을 얻는다. 도 9는 도 8의 공정진행 결과를 전자사진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단계의 수순도로서, 상기한 애싱공정은 공정단계(S140)에 나타나 있다. 공정단계(S100)에서 행해지는 배리어 메탈 데포지션은 약 5500Å의 층간 절연막(12)의 상부에 약 900Å의 티타늄 막(14) 및 약 600Å의 질화티타늄막(16)을 증착하는 공정을 가리킨다. 공정단계(S110)에서 행해지는 텅스텐 데포지션은 약 4400Å의 두께의 텅스텐 배선층(18)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공정단계(S120)의 사진공정과 공정단계(S130)의 식각공정으로 도 7의 결과물이 얻어지며, 도 7의 결과물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애싱공정을 공정단계(S140)에서 행함에 의해 도 8의 결과물이 얻어지는 것이다. 공정단계(S150)는 상기 애싱공정이 완료된 후 후속의 공정인 세정 및 검사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한 애싱공정을 약 1013cm3이상의 고 밀도 플라즈마 설비에서 행하는 경우에, 상기 안정화 단계는 500 내지 900 SCCM의 질소(N2)분위기에서 약 9 Torr의 압력, 및 250℃ 내지 280℃의 온도 범위로 안정화를 진행되고, 상기 애싱 단계는 약 500 내지 750 SCCM 의 질소(N2) 및 약 4500 SCCM 의 산소(O2)분위기에서 약 1000(W)의 고주파 파워, 약 2.0 Torr의 압력, 및 250℃ 내지 280℃의 온도범위로 수행된다.
상기한 공정설비에서 주어진 온도는 매우 중요한 팩터로서 티타늄 어택(attack)을 방지하기 위해 최적으로 설정된 것임을 참고하여야 한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세부 공정의 조건을 달리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에 따르면, 텅스텐 금속배선 형성후에 폴리머의 생성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층간절연막 균열, 파티클 발생, 수율 저하 등의 문제점들이 제거되어, 반도체 소자의 제조원가를 다운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8)

  1.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에 있어서:
    플라즈마 설비에서, 형성된 텅스텐 배선층 상부의 감광막에 대하여 500 내지 900 SCCM의 질소(N2)분위기에서 약 9 Torr의 압력, 및 245℃ 내지 255℃의 온도 범위로 안정화를 진행하는 안정화 단계와;
    500 내지 750 SCCM 의 질소(N2) 및 약 4500 SCCM 의 산소(O2)분위기에서 약 1000(W)의 고주파 파워, 약 2.0 Torr의 압력, 및 245℃ 내지 255℃의 온도범위로 애싱 단계를 애싱공정의 조건으로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설비는 약 1013cm3이하의 중간 밀도 플라즈마 설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 배선층은, 층간절연막-티타늄 막-질화티타늄막의 순서로 이루어진 막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단계의 진행 후 애싱 단계의 전에는 약 450 SCCM 의 수증기(H2O)분위기에서 약 2.0 Torr의 압력, 약 1000(W)의 고주파 파워, 약 250℃의 온도로 약 40초간 증기공급을 행하는 증기공급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단계는 약 10초간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싱 단계는 130초간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에 있어서:
    약 1013cm3이상의 고 밀도 플라즈마 설비에서, 형성된 텅스텐 배선층 상부의 감광막에 대하여 500 내지 900 SCCM의 질소(N2)분위기에서 약 9 Torr의 압력, 및 250℃ 내지 280℃의 온도 범위로 안정화를 진행하는 안정화 단계와;
    500 내지 750 SCCM 의 질소(N2) 및 약 4500 SCCM 의 산소(O2)분위기에서 약 1000(W)의 고주파 파워, 약 2.0 Torr의 압력, 및 250℃ 내지 280℃의 온도범위로애싱 단계를 애싱공정의 조건으로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 배선층은, 약 5500Å의 절연막, 약 900Å의 티타늄 막, 약 600Å의 질화티타늄막의 순서로 이루어진 막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0043476A 2002-07-24 2002-07-24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 KR100439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476A KR100439844B1 (ko) 2002-07-24 2002-07-24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
US10/456,687 US20040018743A1 (en) 2002-07-24 2003-06-09 Method for removing photoresist after metal layer etching in a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476A KR100439844B1 (ko) 2002-07-24 2002-07-24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506A KR20040009506A (ko) 2004-01-31
KR100439844B1 true KR100439844B1 (ko) 2004-07-12

Family

ID=3076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476A KR100439844B1 (ko) 2002-07-24 2002-07-24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018743A1 (ko)
KR (1) KR100439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1254A (ja) * 2003-12-25 2005-07-14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685383B2 (en) * 2015-05-13 2017-06-20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CN111192855A (zh) * 2018-11-14 2020-05-22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的制造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513A (ko) * 1999-07-21 2001-02-15 윤종용 반도체장치의 텅스텐 배선 형성방법
JP2001203852A (ja) * 2000-01-19 2001-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2002203852A (ja) * 2001-01-05 2002-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絶縁膜の形成方法及び絶縁膜
KR20020085228A (ko) * 2001-05-07 2002-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513A (ko) * 1999-07-21 2001-02-15 윤종용 반도체장치의 텅스텐 배선 형성방법
JP2001203852A (ja) * 2000-01-19 2001-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2002203852A (ja) * 2001-01-05 2002-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絶縁膜の形成方法及び絶縁膜
KR20020085228A (ko) * 2001-05-07 2002-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18743A1 (en) 2004-01-29
KR20040009506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7583B1 (en) Photoresist ashing process for organic and inorganic polymer dielectric materials
KR100322545B1 (ko) 건식 세정 공정을 전 공정으로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의콘택홀 채움 방법
US7276447B1 (en) Plasma dielectric etch process including ex-situ backside polymer removal for low-dielectric constant material
US7432209B2 (en) Plasma dielectric etch process including in-situ backside polymer removal for low-dielectric constant material
KR100702290B1 (ko) 포토레지스트와 에칭 잔여물의 에싱방법 및 처리방법
KR101032831B1 (ko) 챔버 탈불화 및 웨이퍼 탈불화 단계들을 방해하는 플라즈마에칭 및 포토레지스트 스트립 프로세스
KR20010079765A (ko) 구리 이중 상감구조에 사용되는 인-시튜 집적 산화물 에칭방법
JP2014090192A (ja) 通常の低k誘電性材料および/または多孔質の低k誘電性材料の存在下でのレジスト剥離のための方法
JP4298975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20050106875A1 (en) Plasma ashing method
JP2002543586A (ja) 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US6647994B1 (en) Method of resist stripping over low-k dielectric material
US5425843A (en) Process for semiconductor device etch damage reduction using hydrogen-containing plasma
US6218084B1 (en) Method for removing photoresist layer
JPH0617708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10005635A1 (en) Ashing method and method of producing wired device
KR100439844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후의 감광막 제거방법
KR100562399B1 (ko) 유기 반사 방지막 식각 방법
JP4343379B2 (ja) 基板処理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ならびにデバイス製造方法
JP2005129946A (ja) ハードマスクのポストプラズマ洗浄プロセス
JP200629490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329804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079656B2 (ja)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KR20020007589A (ko) Cf4가스를 이용한 에싱 방법
JP200107708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エッチ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