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포린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직조하여 만든 직물층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를 용융, 혼련하여 상기 직물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한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지층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30 내지 100 중량%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50 내지 70 중량%와,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 0 내지 50중량%가 용융, 혼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50 내지 80중량%의 열가소성 탄성체(에틸렌-프로필렌 러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10 내지 28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지 조성물은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는 150 내지 280℃이고, 다이의 온도는 250 내지 300℃로 압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포린의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직조하여 만든 직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를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상기 직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압축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지 조성물 생성단계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30 내지 100 중량%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50 내지 70 중량%와,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 0 내지 50중량%를 용융,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용융지수 20 내지 60g/10분으로 용융,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용융지수 10 내지 20g/10분으로 용융,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는 용융지수 3 내지 10g/10분으로 용융,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포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수한 강인성 및 유연성을 지니면서 경량화가 가능하고, 소각시에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다이옥신 등의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으면서도 재생이 가능하며, PVC 타포린에 비하여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타포린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수지 조성물을 만든 다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직조하여 만든 직물의 양면 또는 일면에 코팅하여 완성하는 방안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수지 조성물은 올레핀계 공중합체로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가 랜덤하게 결합된 공중합체(이하, 성분A라고 함)와,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이하, 성분B라고 함)를 용용, 혼련하여 만들어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포린(3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직조하여 만든 직물층(32)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하나 이상과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를 용융, 혼련하여 상기 직물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한 수지층(34, 36)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성분A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서, 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중합체의 매트릭스(MATRIX)에, 에틸렌과 프로필렌이 랜덤하게 결합된 열가소성 탄성체(에틸렌- 프로필렌 러버)가 상술한 매트릭스에 도메인(DOMAIN)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50 내지 80중량%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20 내지 60g/10분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g/10분의 용융지수를 갖는 것이다.
만일, 열가소성 탄성체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유연성을 얻을 수 없으며, 80중량%을 초과하는 것은 상업적으로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구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용융장력(melt tension)이 너무 커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조설비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용융지수가 20g/10분 미만이면, 압출 코팅 가공시에 인발성(drawability)이 저하되어 가공하기가 어렵게 되며, 60g/10분을 초과하는 것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성분B와의 용융, 혼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다음에,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가 랜덤하게 결합된 공중합체의 경우에,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은 10 내지 28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1중량%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며, 이때 용융지수는 10 내지 20g/10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10중량%미만이면, 유연성이 저하되며, 20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용융장력이 커져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압출 코팅 방식으로 작업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용융지수가 10g/10분 미만이면, 압출 코팅 가공시에 인발성이 저하되어 가공이 어렵고, 20g/10분을 초과하는 것은 에틸렌-프로필렌 및 성분B와의 용융, 혼련이 저하되어 사용이 곤란하게 된다.
다음에, 성분B는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로서, 스티렌계 중합체 블록을 지니고 있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즉, 스티렌계 중합체 블록과 공중합판 부타디엔 중합체 블록에 수소를 첨가하고 일부에 에틸렌 블록을 생성시킨 삼원 공중합체로서, 용융지수는 3 내지 10g/10분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g/10분을 갖는 것이다.
만일, 용융지수가 3g/10분 미만이면, 압출 코팅 가공시에 인발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성분A와의 혼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10g/10분을 초과하는것은 중합체 내에 저분자량 물질이 과다하게 함유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T형 다이의 입구에 저분자량 물질이 쌓여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고, 가공 후에는 제품의 표면에 끈적거림(sticky)이 발생하여 제품의 풀림(unwinding)이 어렵게 되고, 그로 인해 상품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A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5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중량% 함유하고, 성분B인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를 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를 함유한다.
만일, 성분A의 함량이 50중량%미만이고 성분B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가공 중에 인발성이 저하되어 도 1에 도시한 제조설비로는 가공이 어렵게 된다. 또한, 제품의 용도에 따라서 유연성을 크게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에는 성분A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성분A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3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50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를 함유하고, 성분B인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를 0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를 함유한다.
이러한 조성비에 있어서, 만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30중량%미만이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70중량%를 초과함과 동시에, 성분B가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용융장력으로 인해서 압출 코팅가공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3가지 성분 중에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50중량%미만이면, 고주파를 이용한 접합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고주파를 이용한 접합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50중량% 이상 혼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A와 성분B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연성 및 강인성과 기계적인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첨가재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종 무기 필러 및 그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유기 또는 무기계 착색제 및 그 마스터 배치 등을 용도에 맞게 첨가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타포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예시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성분A 및/또는 성분B를 용융시킨 다음 혼합하여야 한다. 용융상태에서의 혼합을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각종 수단, 예를 들면, 니더(kneader)나,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및 스태틱 믹서(static mixer)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성분을 건조상태로 혼합(dry blend)하여 성형시에 조성물화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직물은 폴리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로 만든 플랫 얀(flat yarn)(테이프 얀이라고도 함)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섬유(fiber), 예를 들면, 스테이플 섬유와, 방적사로 직조한 직물, 및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재질의 스플릿 얀으로 제직한 직물도 사용할 수 있다. 직물에 사용되는섬유는 2.5 내지 7g/D 범위의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용도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산업 자재용으로 적합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타포린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인장강도가 6.5 내지 7g/D인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섬유를 제조할 때에는 인장강도를 크게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및 유기 또는 무기계 착색제가 농축된 마스터 배치를 용도에 맞게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수지 조성물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직조물을 이용하여 타포린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압출코팅 가공방식에 의해서, 압출기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용융 혼련한 수지 조성물을 상기 직조물의 양면 또는 일면에 임의 양만을 도포하여 압축 코팅한다. 이때,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는 150 내지 280℃의 범위에서 다이로부터 압출되는 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하면 되고, 다이의 온도는 2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50℃의 온도에서 압출 코팅작업이 이루어진다.
만일, 다이의 온도가 250℃미만이면 인발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직물에 도포할 수 있는 코팅량의 제약을 받으며, 3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이 열분해되어 수지가 갖는 고유의 성질을 잃어버릴 수가 있다. 그러나, 사용하는 수지 또는 마스터 배치의 내열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할 경우라면, 300℃이상에서 작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타포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층(32)의 양면에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양면 수지층(34, 36)을 갖는 타포린(30)으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물층(32')의 일면에만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일면 수지층(34')을 갖는 타포린(30')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 두께가 두꺼운 타포린의 제조를 위해서는 이미 도포되어 있는 수지층에 한번 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면 되며, 이때의 두께는 용도에 맞게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엠보싱이 각인된 냉각롤을 사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도포와 동시에, 엠보싱 가공을 수행하여 다수의 엠보싱을 구비한 타포린의 제조도 가능하다.
이하, 몇 개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성분A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각각, 95, 85, 75중량%, 성분B인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를 각각, 5, 15, 25중량% 계량한 후에 건식 혼합기 내에서 골고루 혼합하여 각각의 수지 조성물을 만들었다. 다음에, T형 다이가 부착된 일축 압출기의 호퍼로 공급하였다. 공급된 수지 조성물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일축 압출기 내에서 용융, 혼련된 후에 T형 다이를 통해 인출되면서 제 1압출유닛을 통해 언와인더로부터 이송된 직물(이때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각각,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경과 크기의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를 이용함)의 일측면에 1차로 도포되고, 이어서 제 2압출유닛을 통해 직물의 타측면에 2차로 도포되어 본 발명의 타포린이 만들어졌다. 이때, 일축압출기의 실린더는 2부분을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온도 범위는 180 내지 260℃이고, T형 다이는 7부분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온도 범위는 280 내지 300℃에서 작업이 이루어졌다.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서 제조된 타포린의 물성치를 알아보기 위해, KS K0520, KS0363의 방법에 의거하여 인장장도와 인열강도를 측정하였고, 두께 및 무게와 함께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실시예 4와 5에서는 각각, 성분A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30, 45중량%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50중량%, 성분B인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를 10, 5중량% 계량하여 수지 조성물을 만들었으며, 직물로는 각각, 폴리프로필렌 멀티 필라멘트와 폴리에틸렌 슬릿 얀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으며, 그에 대한 물성치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2
비교실험을 위해서, 성분A와 성분B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대신에, 이미 상품화되어 시판중인 PVC 타포린을 구득하여 KS K0520, KS0363의 방법에 따라서, 인장장도와 인열강도를 측정하였고, 두께 및 무게와 함께 표 2에 나타내어 본 발명의 제품과 대비하였다.
|
성분A(중량%) |
성분B(중량%) |
직물 |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
실시예 1 |
95 |
0 |
5 |
직물1 |
실시예 2 |
85 |
0 |
15 |
직물2 |
실시예 3 |
75 |
0 |
25 |
직물3 |
실시예 4 |
30 |
60 |
10 |
직물4 |
실시예 5 |
45 |
50 |
5 |
직물5 |
비교예 1 |
PVC 타포린1 |
비교예 2 |
PVC 타포린2 |
직물1: PP 멀티필라멘트, 800D×800D, 18×18/in2직물2: PP 멀티필라멘트, 1000D×1000D, 16×16/in2직물3: PP 멀티필라멘트, 2000D×2000D, 13×13/in2직물4: PP 멀티필라멘트, 1500D×1500D, 20×20/in2직물5: PP 멀티필라멘트, 1000D×1000D, 20×20/in2PVC 타포린1: 수지 PVC, 직물 1300D×1300D, 9×9/in2PVC 타포린2: 수지 PVC, 직물 1000D×1000D, 9×9/in2 |
|
인장강도(kgf) |
인열강도(kgf) |
두께(㎜) |
무게(g/㎡) |
경사 |
위사 |
경사 |
위사 |
실시예 1 |
170 |
80 |
20 |
16 |
0.50 |
300 |
실시예 2 |
120 |
90 |
12 |
8 |
0.60 |
400 |
실시예 3 |
200 |
160 |
30 |
25 |
0.75 |
480 |
실시예 4 |
300 |
270 |
30 |
50 |
0.80 |
550 |
실시예 4 |
80 |
50 |
15 |
10 |
0.70 |
300 |
비교예 1 |
145 |
122 |
30 |
40 |
0.50 |
480 |
비교예 2 |
96 |
89 |
37 |
46 |
0.55 |
550 |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5의 타포린에 대한 인장강도는 비교예 1과 2의 PVC타포린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인열강도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타포린만 약간 낮았으며, 실시예 4와 5는 대략 동일한 수준이었다. 대신에, 실시예 1 내지 2의 경우에는 단위 면적당 무게가 종래의 PVC 타포린에 비해서 작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