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970B1 -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970B1
KR102363970B1 KR1020210092948A KR20210092948A KR102363970B1 KR 102363970 B1 KR102363970 B1 KR 102363970B1 KR 1020210092948 A KR1020210092948 A KR 1020210092948A KR 20210092948 A KR20210092948 A KR 20210092948A KR 102363970 B1 KR102363970 B1 KR 10236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olypropylene
10min
coating layer
melt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르텍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르텍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르텍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10092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및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서 수직으로 직조된 공간사 및 상기 원단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은 각각 경사 200 내지 2000 데니아의 PET사와, 위사 10 내지 2000 데니아 폴리프로필렌(PP)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제직된다. 공간사는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 사이에서 수직으로 직조되어 원단을 서로 연결하는 폴리프로필렌(PP)모노필라멘트사이다. 코팅층은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 결합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방법{double wall Tarpaul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공간 타포린에 폴리프로필렌계 코팅층이 형성되어 친환경적이면서 접착력 및 표면 강도가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트, 텐트의 소재로 사용되는 이중공간지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이중공간 직물에 폴리염화비닐 수지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수지를 코팅하여 제조되고 있으나 폴리에스테르 이중공간 직물에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코팅하여 제조되는 이중공간지는 사용 후 폐기시킬 때 코팅 물질인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이중공간 직물의 분리가 힘들어 재활용 비용이 높아서 소각폐기 시키고 있는데 폐기 소각시에 다이옥신 및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며 코팅 수지 가공 배합에 포함되는 환경호르몬 규제 물질인 프탈레이트 가소제에 대한 규제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이중공간 직물에 TPU 수지를 코팅하여 제조되고 있는 이중공간지는 가공성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에 사용되는 카렌다 공법이나 졸 코팅 공법의 적용이 불가능하고, 압출 T-Dies 공법에 의해서만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 설비에 대한 제한성이 있고 코팅 물질인 TPU 수지가 고가라 경제성이 떨어지며, 내가수분해성 및 내오존성이 약하여 특히 해양 스포츠용에는 부적합하며, 자외선에 대한 황변이 심하여 아웃도어에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 또한 사용 후 폐기시킬 때 코팅물질인 TPU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이중공간 직물의 분리가 힘들어 재활용 비용이 높아서 소각폐기 시키고 있는데 폐기 소각 시에 시안화수소 및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이중공간 직물에 폴리염화비닐 수지나 TPU 수지를 코팅하여 제조되는 이중공간지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라미네이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활용이 용이하면서 친환경적인 동시에 유연성과 코팅층의 접착력 및 표면 경도가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활용이 용이하면서 친환경적인 동시에 유연성과 코팅층의 접착력 및 표면 경도가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서 수직으로 직조된 공간사 및 상기 원단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은 각각 경사 200 내지 2000 데니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사와, 위사 10 내지 2000 데니아의 폴리프로필렌(PP)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제직된다. 상기 공간사는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 사이에서 수직으로 직조되어 원단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 공간의 이격거리를 한정하는 폴리프로필렌(PP)모노필라멘트 공간사이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 결합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LDPE 30 중량% 내지 50 중량%, PP 3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 모노머 15 중량% 내지 20 중량% 및 프로필렌 모노머 80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의 공중합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LDPE의 용융지수는 5g/10min 내지 20g/10min 이고, 상기 PP의 용융지수는 15g/10min 내지 35g/10min 이고,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7g/10min 내지 12g/10min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의 제조 방법은, 경사 200 내지 2000 데니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사와, 위사 10 내지 2000 데니아의 폴리프로필렌(PP)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 공간의 이격거리를 한정하는 동시에 서로 연결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PP)모노 필라멘트 공간사를 수직 직조하여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의 적어도 일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실린더 내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원료 혼합물을 혼련하여 용융하는 단계와, 상기 용융된 수지 원료 혼합물을 일정한 양으로 T-다이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용융된 수지 원료 혼합물을 상기 T-다이를 통과시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은 원단층과 상기 코팅층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지 원료 혼합물을 혼련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수지 원료 혼합물을 상기 T-다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290℃ 이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 고가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사용을 감소시키는 대신에, LDPE 및 PP를 코팅층의 주재료로 이용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 기존의 폴리올레핀계 타포린에 비하여 타포린의 유연성, 표면 강도 및 내크랙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 소각시 다이옥신 및 시안화수소등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접착방식이 유기용제형의 액상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이 제조공정상에서 발생하지 않아 대기오염에 무관하며, 심체로 사용하는 이중공간 직물과 코팅물질이 동일계 물질이라 재활용이 100% 가능하고,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 규제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무독성 친환경적인 효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 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소제로 인해 발생되는 인체접촉이 일어나는 이중공간지 구조물 제작시 생기는 안료 마이그레이션에 의한 오염 발생 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 폴리에스테르섬유에 폴리염화비닐을 코팅한 종래의 이중공간지를 대체할 만큼의 물성을 갖는 동시에 매우 가벼우며 공기구조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탁월한 기밀(Air tightness)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100)은 상부 원단(fabric, 10), 하부원단(fabric, 50), 코팅층(20), 공간사(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원단(10) 및 하부원단(50)은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20)은 상기 상부원단(10) 및 하부원단(50)의 양면 또는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원단 및 하부원단은 각각 경사로 200 내지 2000 데니아의 굵기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사와, 위사로 10 내지 2000 데니아의 굵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PP)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사는 종래의 PP사 대비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의 생산시 절사를 크게 감소시켜 생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모노필라멘트 공간사(30)는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 사이에서 수직으로 직조되어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서로 공간사의 길이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 및 지지하고,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 공간의 이격거리를 한정 및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체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20)은 LDPE, PP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층(20)은 LDPE 30 중량% 내지 50 중량%, PP 3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20)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혼합물(혼련물)이,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용융물의 균일도가 증가하고, 용융물이 T-다이를 통과할 때 수지 필름 폭이 감소하는 넥-인(neck-in)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코팅층의 수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생산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 모노머 15 중량% 내지 20 중량% 및 프로필렌 모노머 80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20)의 LDPE의 용융지수는 5g/10min 내지 20g/10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DPE의 용융지수가 5g/10min보다 낮으면, 다른 원료와 용융 혼련이 방해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이 T-다이에서 갈라지거나, 불규칙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DPE의 용융지수가 20g/10min을 초과하면, T-다이에서 넥-인 현상이 크게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20)의 PP의 용융지수는 15g/10min 내지 35g/10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P의 용융지수가 15g/10min보다 낮으면, 다른 원료와 용융 혼련이 방해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이 T-다이에서 갈라지거나, 불규칙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P의 용융지수가 35g/10min을 초과하면, T-다이에서 넥-인 현상이 크게 증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PP의 용융지수는 20g/10min 내지 30g/10min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20)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혼합물의 용융지수는 5g/10min 내지 15g/10min일 수 있다. 상기 수지 혼합물의 용융지수가 5g/10min보다 낮으면 압출 코팅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실린더와 T- 다이에 과다한 압력이 가해져 공정 진행이 어렵다. 또한, 상기 수지 혼합물의 용융지수가 15g/10min보다 크면 넥-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지 혼합물의 용융지수는 8g/10min 내지 12g/10min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용융지수를 얻기 위하여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7g/10min 내지 12g/10min 이고, 상기 LDPE 및 PP 혼합물의 용융지수는 6g/10min 내지 15g/10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혼합물은, 기재된 원료 성문 외에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UV흡수제, 필러, 착색제, 자외선 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 등이 제품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의 제조 방법은, 크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사와 폴리프로필렌(PP) 멀티 필라멘트사를 직조하여 상부원단과 각각 하부원단 마련하는 단계와, 폴리프로필렌(PP)모노 필라멘트 공간사를 수직 직조하여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제조하는 단계는 경사 200 내지 2000 데니아의 굵기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사와 위사 10 내지 2000 데니아의 굵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PP) 멀티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직물로 제직하는 방법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모노필라멘트 공간사(30)는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 사이에서 수직으로 직조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사는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결합하기 위해 수직으로 직조되며, 공간사의 길이만큼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 및 지지한다. 즉, 상기 공간사는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 공간의 이격거리를 한정 및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체 역할을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원료 혼합물 융융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스크류를 포함하는 실린더 내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원료 혼합물을 혼련 하여 용융하는 단계와, 상기 용융된 수지 원료 혼합물을 일정한 양으로 T-다이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용융된 수지 원료 혼합물을 상기 T-다이를 통과시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과 상기 코팅층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지 원료 혼합물을 혼련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수지 원료 혼합물을 상기 T-다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290℃ 이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혼합물(혼련물)이,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용융물의 균일도가 증가하고, 용융물이 T-다이를 통과할 때 코팅층 폭이 감소하는 넥-인(neck-in)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코팅층의 수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생산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 모노머 15 중량% 내지 20 중량% 및 프로필렌 모노머 80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데 적용되는 LDPE의 용융지수는 5g/10min 내지 20g/10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DPE의 용융지수가 5g/10min보다 낮으면, 다른 원료와 용융 혼련이 방해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이 T-다이에서 갈라지거나, 불규칙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DPE의 용융지수가 20g/10min을 초과하면, T-다이에서 넥-인 현상이 크게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데 적용되는 PP의 용융지수는 15g/10min 내지 35g/10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P의 용융지수가 15g/10min보다 낮으면, 다른 원료와 용융 혼련이 방해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이 T-다이에서 갈라지거나, 불규칙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P의 용융지수가 35g/10min을 초과하면, T-다이에서 넥-인 현상이 크게 증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PP의 용융지수는 20g/10min 내지 30g/10min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데 적용되는 수지 혼합물의 용융지수는 5g/10min 내지 15g/10min일 수 있다. 상기 수지 혼합물의 용융지수가 5g/10min보다 낮으면 압출 코팅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실린더와 T- 다이에 과다한 압력이 가해져 공정 진행이 어렵다. 또한, 상기 수지 혼합물의 용융지수가 15g/10min보다 크면 넥-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지 혼합물의 용융지수는 8g/10min 내지 12g/10min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용융지수를 얻기 위하여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7g/10min 내지 12g/10min 이고, 상기 LDPE 및 PP 혼합물의 용융지수는 6g/10min 내지 15g/10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혼합물은, 기재된 원료 성문 외에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UV흡수제, 필러, 착색제, 자외선 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 등이 제품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 고가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사용을 감소시키는 대신에, LDPE 및 PP를 코팅층의 주재료로 이용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 기존의 폴리올레핀계 타포린에 비하여 타포린의 유연성, 표면 강도 및 내크랙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 소각시 다이옥신 및 시안화수소등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접착방식이 유기용제형의 액상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이 제조공정상에서 발생하지 않아 대기오염에 무관하며, 심체로 사용하는 이중공간 직물과 코팅물질이 동일계 물질이라 재활용이 100% 가능하고,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 규제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무독성 친환경적인 효과 갖는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 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소제로 인해 발생되는 인체접촉이 일어나는 이중공간지 구조물 제작시 생기는 안료 마이그레이션에 의한 오염 발생 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은 폴리에스테르섬유에 폴리염화비닐을 코팅한 종래의 이중공간지를 대체할 만큼의 물성을 갖는 동시에 매우 가벼우며 공기구조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탁월한 기밀(Air tightness)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방수용 텐트, 매트, 텐트 구조물, 보트, 구명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경사 200 내지 2000 데니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사와, 위사 10 내지 2000 데니아의 폴리프로필렌(PP)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 사이에서 수직으로 직조되어 원단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 공간의 이격거리를 한정하는 폴리프로필렌(PP)모노필라멘트 공간사; 및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 결합되며, 용융지수가 5g/10min 내지 20g/10min 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30 내지 50 중량%, 용융지수가 15g/10min 내지 35g/10min인 폴리프로필렌 30 내지 50 중량% 및 용융지수가 7g/10min 내지 12g/10min인 올레핀계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혼합물로 제조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 모노머 15 중량% 내지 20 중량% 및 프로필렌 모노머 80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경사 200 내지 2000 데니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사와, 위사 10 내지 2000 데니아의 폴리프로필렌(PP)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각각 마련하는 단계;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 공간의 이격거리를 한정하는 동시에 서로 연결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PP)모노 필라멘트 공간사를 수직 직조하여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이 서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의 적어도 일면에 용융지수가 5g/10min 내지 20g/10min 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30 내지 50 중량%, 용융지수가 15g/10min 내지 35g/10min인 폴리프로필렌 30 내지 50 중량% 및 용융지수가 7g/10min 내지 12g/10min인 올레핀계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혼합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에틸렌 모노머 15 중량% 내지 20 중량% 및 프로필렌 모노머 80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실린더 내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원료 혼합물을 혼련하여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수지 원료 혼합물을 일정한 양으로 T-다이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수지 원료 혼합물을 상기 T-다이를 통과시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에 상기 코팅층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원료 혼합물을 혼련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수지 원료 혼합물을 상기 T-다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290℃ 이하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92948A 2021-07-15 2021-07-15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3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48A KR102363970B1 (ko) 2021-07-15 2021-07-15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48A KR102363970B1 (ko) 2021-07-15 2021-07-15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970B1 true KR102363970B1 (ko) 2022-02-17

Family

ID=8049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948A KR102363970B1 (ko) 2021-07-15 2021-07-15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9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177B1 (ko) * 2018-03-08 2018-10-22 주식회사 원풍 상,하부층 직조문양이 상이한 이중공간지의 직조방법
KR20190095879A (ko) * 2018-02-07 2019-08-16 (주)폴리텍아이엔씨 유연성, 접착력 및 표면 강도가 향상된 타포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879A (ko) * 2018-02-07 2019-08-16 (주)폴리텍아이엔씨 유연성, 접착력 및 표면 강도가 향상된 타포린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0177B1 (ko) * 2018-03-08 2018-10-22 주식회사 원풍 상,하부층 직조문양이 상이한 이중공간지의 직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3373A (en) Reinforced laminate with elastomeric tie layer
KR101884227B1 (ko) 고강도 폴리에틸렌 플랫얀을 사용한 농업용 직조필름
EP0368516A2 (en) Fibrillated weatherproof webs having network structure, nonwoven fabrics made from the web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the webs and nonwoven fabrics
KR101699131B1 (ko)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KR101453367B1 (ko) 무가소제 폴리프로필렌 변성 컴파운드 조성물을 코팅한 산업용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KR101471997B1 (ko)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지의 제조방법
KR102363970B1 (ko)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684125B (zh) 具有改善的柔性、粘附力和表面强度的篷布及其制造方法
JPH10130991A (ja) 経緯交差部を熱接着した不織布又は織編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CA2484392C (en) Process for preparing high-strength pe tarpaulin
KR100439561B1 (ko) 타포린 및 그 제조방법
US9464737B2 (en) Eco-friendly high pressure hose fabric and eco-friendly high pressure hose using the same
KR20020091288A (ko) 압출코팅용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타포린 및 이의제조방법
KR101436201B1 (ko)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98210A (ko) 타포린 및 그 제조방법
JPH11101000A (ja) 建築工事用ポリプロピレンメッシュシート
KR20210095270A (ko) 폴리올레핀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용 마킹 필름
US20210040681A1 (en) Tarpaulin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dhesion, and surface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9156447A1 (ko) 유연성, 접착력 및 표면 강도가 향상된 타포린 및 그 제조 방법
US11203194B2 (en) Fire resistant composite
KR20240073810A (ko) 패브릭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JPH10128926A (ja) ラミネートシート
KR101435275B1 (ko) 합성수지 방수 원단지의 제조방법
JPH0631844A (ja) 防水透湿シート材
JP2001058366A (ja) 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リサイクル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