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427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427B1
KR100439427B1 KR10-2001-0070738A KR20010070738A KR100439427B1 KR 100439427 B1 KR100439427 B1 KR 100439427B1 KR 20010070738 A KR20010070738 A KR 20010070738A KR 100439427 B1 KR100439427 B1 KR 100439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lexible wiring
wiring board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7705A (ko
Inventor
무라이데츠야
하나리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3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3Surface mounted components, e.g. affixing before soldering, aligning means, spacing means
    • H05K3/305Affixing by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과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불량이 억제되는 표시장치, 및 조립작업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저가로 박형 경량의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절연기판의 1주면 상에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전극과, 제1전극에 대향해서 배치된 제2전극, 이들 전극 사이에 보지되는 광변조층을 갖추어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및, 절연기판 상에 화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갖춘 표시패널과; 절연기판의 1주면 상에 접속단자가 고착되어 외부신호를 표시패널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구비하고, 구동회로는 적어도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에 공급되는 전압보다도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 발생회로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배선기판은 표시패널의 비표시면 측에 배치됨과 더불어 접속단자 이외의 적어도 그 일부가 표시패널에 고정된 표시장치이다.

Description

표시장치 {DISPLAYING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나 유기자기발광형 표시장치 등, 대향해서 배치된 전극간에 광변조층이 보지(保持)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표시장치의 일례로서 도 5는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액정표시장치는, 표시패널(1)과, 표시패널(1)을 조사하는 면광원부(5) 및, 드라이버 IC(4)가 실장된 플렉시블 배선기판(3)을 매개해서 표시패널(1)을 구동하는 구동회로 기판(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면광원부(5)는 일반적으로 냉음극 형광관(51), 도광판(52), 반사판(53) 및 확산판(54) 등을 프레임(8)으로 보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표시패널(1)은, 투명한 절연기판 상에 신호선, 주사선, TFT(Thin Film Transistor) 및 표시전극 등이 형성된 어레이기판과, 이 어레이기판과 대향해서 배치되어 투명한 절연기판의 대향면에 각 화소 공통으로 형성되는 대향전극 등이 형성된 대향기판 및, 이들 기판의 전극간에 보지되는 액정층에 의해 구성된 다수의 표시소자가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패널(1)의 1화소의 등가회로도를 도 6에 나타낸다. 여기서, 신호선(11) 및 주사선(12)이 종횡으로 교차해서 배치되고, 그 교차부에 능동소자로서 TFT(13)가 접속되어 있다. 이 TFT(13)는 광변조층(19)으로서의 액정층 및 축적용량(20)을 부하로 하는 것으로, 그 소스전극(14)이 신호선(11)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15)이 표시전극(17) 및 축적용량(20)의 일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게이트전극(16)이 주사선(12)에 접속되어 있다. 액정층은, 표시전극(17)과 대향전극(18)의 사이에 보지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주사선(12)을 매개해서 TFT(13)의 게이트전극(16)에 정(正)의 전압펄스(Vg)가 인가되면 TFT(13)는 온상태로 되고, 신호선(11)에 인가된 신호전압(Vs)이 소스전극(14)으로부터 드레인전극(15)을 거쳐 부하인 액정층 및 축적용량(20)으로 보내진다.
표시패널(1)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 기판(2)은 플렉시블 배선기판(3)의 가요성(可撓性)을 이용해서 면광원부(5)의 이면 측에 배치된다.
도 7은, 예컨대 화면 사이즈가 10∼15형(型)의 액정표시장치의 전개도이다. 여기서, 구동회로 기판(2)은 신호선을 구동하는 신호선 회로기판(2A) 및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측 회로기판(2B)으로 구성된다. 표시패널(1)과 신호선 회로기판(2A)은 드라이버 IC(4)가 실장된 8∼10매의 플렉시블 배선기판[3; 이하, TCP(tape carrier package)라 칭함]에 의해 접속되고, 표시패널(1)과 주사선측 회로기판(2B)은 3∼5매의 TCP에 의해 접속된다. 더욱이, 신호선측 회로기판(2A)에는 외부신호를 거두어들이기 위한 플렉시블 배선기판(6)이 접속되고, 주사선측 회로기판(2B)과는 신호선측 회로기판(2A)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61)을 매개해서 접속된다.
그리고, 접속단자간 피치가 65㎛∼110㎛로 좁은 TCP의 플렉시블 배선기판(3)과 표시패널(1)의 접속에는 이방성 도전막이 이용되고, 접속단자간 피치가 0.4㎜∼1㎜로 비교적 넓은 구동회로 기판(2)과 플렉시블 배선기판(3)의 접속에는 이방성 도전막 외에 땜납접속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 외부와 구동회로 기판의 접속에는, 분해가 가능한 컨넥터 접속이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다수의 플렉시블 배선기판(3)을 이용해서 표시패널(1)과 구동회로 기판(2)을 접속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립 시에 표시패널(1)과 플렉시블 배선기판(3)을 압착하는 공정과, 구동회로 기판(2)과 플렉시블 배선기판(3)을 압착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들 공정은 각각 1조작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근래의 화면의 대형화에 따라 각각의 공정에 복수회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이것이 조립시간의 증대로 이어지고 있었다.
더욱이, 표시패널(1)에 대한 플렉시블 배선기판 1매당 접속단자 수는 300∼400을 넘기 때문에, 접속부의 불량이나 신뢰성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구동회로를 탑재한 플렉시블 배선기판(3)은 고가이고, 재료비도 높아지고 있었다.
또, 구동회로 기판(2)은 면광원부(5)를 보지하는 프레임(8)의 이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판두께 및 기판 상에 실장된 회로부품의 부품높이가 전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므로 표시패널(1)의 박형화에는 불리한 구성이었다.
또, 플렉시블 배선기판(3)에 인장 등의 외력이 걸리면, 접속부분이 벗겨져 단선 등의 불량이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도시를 생략한 유기자기발광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투명한 절연기판의 1주면 상에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양극과, 이 양극에 대향해서 배치된 음극 및, 이들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광변조층으로서 발광층을 포함하는 적층막이 퇴적된 표시패널을 갖추고, 면광원부(5)를 불필요하게 하는 구성이지만, 구동회로 기판(2), 플렉시블 배선기판(3)과의 관계는 액정표시장치와 거의 마찬가지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와 마찬가지의 해결해야 할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패널과 외부신호의 접속부분의 접속불량이 적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작업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저가로 박형 경량의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실시형태로서 액정표시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패널을 부분적으로 파단해서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2실시형태로서 액정표시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3실시형태로서 액정표시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표시장치로서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액정패널의 1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전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b는 신호원과 표시패널간의 신호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로서 유기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4실시형태로서 유기 EL패널의 1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4실시형태로서 유기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1변형례로서 유기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 표시패널, 4X --- 신호선 구동회로,
4Y --- 주사선 구동회로, 5 --- 면광원부,
6 --- 플렉시블 배선기판, 6a --- 신호 출력단부,
6b --- 신호 입력단부, 7 --- 양면 테이프,
101 --- 대향기판, 102 --- 어레이기판.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절연기판의 1주면 상에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전극과, 제1전극에 대향해서 배치된 제2전극, 이들 전극 사이에 보지되는 광변조층을 갖추어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및, 절연기판 상에 화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갖춘 표시패널과,
절연기판의 1주면 상에 접속단자가 고착되어 외부신호를 표시패널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구비하고,
구동회로는 적어도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에 공급되는 전압보다도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 발생회로를 포함하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은 표시패널의 비표시면 측에 배치됨과 더불어 접속단자 이외의 적어도 그 일부가 표시패널에 고정된 표시장치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광변조층이 액정층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광변조층이 유기발광층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접속단자 이외의 적어도 일부와 표시패널의 고정은, 양면에 접착제가 도착(塗着)된 양면 테이프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제1투명기판 상에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전극과, 제1투명기판에 대향해서 배치하는 제2투명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전극,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보지되는 액정층을 갖추어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및, 적어도 한쪽의 투명기판 상에 화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화소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갖춘 광투과형 표시패널과,
출력단부가 투명기판의 한쪽에 고정되어 외부신호를 표시패널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 및,
표시패널의 비표시면 측에 배치되어 표시패널을 조사하는 면광원장치를 구비하고,
구동회로는 적어도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에 공급되는 전압보다도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 발생회로를 포함하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은 면광원장치의 이면 측으로 절곡(折曲)됨과 더불어, 상기 출력단부 외에 이면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면광원장치에 고정된 표시장치이다.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고전압 발생회로가 DC/DC 컨버터이다.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고전압 발생회로가 차지펌프이다.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패널의 비표시면측이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화소가 형성된 1주면의 이면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실시형태로서 액정표시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표시패널을 부분적으로 파단해서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8a는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 8b는 신호원으로부터 표시패널의 컨넥터로 입력되는 신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각 도면 중에서, 종래 장치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어레이기판(102)과, 어레이기판(102)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대향기판(101), 이들 기판 사이에 광변조층(19)으로서 액정층을 갖춘 광투과형 표시패널(1), 그 비표시면 측에 배치된 면광원부(5) 및, 표시패널(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6)으로 구성된다. 어레이기판의 TFT에 고이동도를 달성하는 반도체막, 예컨대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므로, 어레이 상에는 신호선을 구동하는 신호선 구동회로(4X)와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회로(4Y)를 기판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어레이기판(102)과 대향 절연기판(101)을 접합시키는 밀봉제 도포위치 부근에 배치된다.
더욱이, 어레이기판(102)의 대향기판(101)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부분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 입력단부(102a)와, 그 신호를 처리해서 신호선 구동회로(4X), 주사선 구동회로(4Y)로 배분하는 인터페이스 제어회로가 실장된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인터페이스 제어회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개인용 컴퓨터) 등 외부의 신호원(70)으로부터 표시패널(1)로 입력되는 신호, 즉 표시패널(1)과 외부의 접속을 행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6) 상에 배선되는 신호는, 예컨대 3.3V의 전원전압(VDD), GND용 기준전압(GND)과 R, G, B 각 6비트의 디지털 형식의 표시데이터(DATA), 동기신호(제어신호; ENAB), 클록신호(CLK)이다. 즉, 여기서는 1쌍의 전원전압(VDD, GND)의 2입력, 표시데이터(DATA)의 18입력, 동기신호(ENAB), 클록신호(CLK) 각 1입력으로, 합계 22개의 신호가 플렉시블 배선기판(6)을 매개해서 표시패널로 입력된다.
인터페이스 제어회로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전압(VDD)으로부터, 표시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전원전압(예컨대, 15V, 10V, 5V, -2V, 더욱이 23V, -10V, 9V, -6V)을 생성하는 DC/DC컨버터(103)와, 신호원(70)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와 동기신호(ENAB)를 받아 표시패널(1)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이나, 표시데이터(DATA)의 병체(竝替: 바꾸어 나열하기) 등의 디지털 처리를 행하는 컨트롤러부(104) 등으로 형성된다.
어레이기판의 절연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선 구동회로(4X)는, 디지털 형식의 표시데이터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D/A변환기와, 이 D/A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표시데이터를 앰프 혹은 출력앰프, 버퍼를 매개해서 아날로그 영상신호로서 출력하는 출력회로 및, 이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대응하는 신호선(11)에 샘플링하는 샘플링회로로 구성된다.
또, 주사선 구동회로(4Y)는, 복수단의 플립플롭회로로 구성되는 시프트레지스터를 갖추고, 컨트롤러부(104)로부터 공급되는 개시펄스(start pulse)를 순차 다음 단으로 전송하며, 각 플립플롭회로로부터의 출력을 주사신호로서 주사선(12)에 출력하는 출력회로로 구성된다.
각 표시소자는, 주사신호로 선택되는 행마다 TFT(13)를 매개해서 영상신호가 공급되어 구동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신호원(70)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는 1쌍의 전원전압(VDD, GND)과 표시데이터(DATA), 클록신호(CLK), 동기신호(ENAB)뿐이고, 이들 신호로부터 표시패널(1)을 구동하는 각종 신호를 어레이기판(102) 내에서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어레이기판(102)과 외부의 신호원(70)의 접속점 수를 대폭으로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기신호는 복합 동기신호를 이용해서 하나의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동기신호의 입력이 행해지는 것이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원계의 입력이 2입력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몇 개의 전원계의 입력이 더 행해져도 좋다. 예컨대, 보정용 전원전압이 외부로부터 입력되어도 좋다.
또, 어레이기판(102)의 절연기판 상에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DC/DC컨버터(103)로서, 예컨대 차지펌프 등의 회로를 이용한 고전압 발생회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플렉시블 배선기판(6)에 의해 저전압전원을 공급하면 좋다.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배선저항은 유리(glass) 상의 배선에 비해 충분히 낮은 것이기 때문에, 유리 상의 가장 적절한 위치에 전원회로와 유리기판의 접속부분을 배치하여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배선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호원 측과 표시패널 측의 각각에 있어서, 접속부의 위치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고, 회로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어레이기판(102)의 신호 입력단부(102a)에는, 이방성 도전막에 의해 고착·배치되어 플렉시블 배선기판(6)이 접속되고, 이 플렉시블 배선기판(6)을 매개해서 외부신호를 신호선 구동회로(4X) 및 주사선 구동회로(4Y)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플렉시블 배선기판(6)은 그 가요성(可撓性)에 의해 절연기판(102)의 테두리 끝을 따라 이면 측으로 180도로 절곡됨과 더불어, 양면에 접착재가 도착(塗着)된 양면 테이프(7)에 의해 절연기판(102)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기판(6)은 그 신호 출력단부(6a)가 표시패널(1)에 고착되고, 또 그 신호 입력단부(6b)가 외부기기와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신호 출력단부(6a)와 신호 입력단부(6b) 사이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패널(1)의 비표시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신호 입력단부(6b)를 외부 컨넥터에 삽입하거나, 그 접속을 빼내거나 하는 경우에, 표시패널(1)과 플렉시블 배선기판(6)을 접속하는 신호 출력단부(6a)에 직접 응력이 걸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신호 출력단부(6a)의 단선이나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신호선 구동회로(4X)와 주사선 구동회로(4Y)가 표시패널(1)에 내장되고, 더욱이 인터페이스 제어회로도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표시패널(1)로의 입력신호 수가 감소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표시패널(1)에 대한 접속단자 수가 극단적으로 적어져서 플렉시블 배선기판 수도 1로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화면 사이즈가 15형(型)으로 XGA모드(화소수가 1024×768)의 경우, 표시패널(1)과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신호 출력단부(6a)의 접속단자 수는, 종래 장치에서 약 4000개나 필요했던 것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20∼30개 정도로 된다. 이와 같이, 접속단자 수가 대폭적으로 적어지면, 접속부의 점유면적에 그다지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단자간의 피치를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고, 덧붙여서 조립시의 이물혼입(異物混入)에 의한 단자간의 단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이나 생산수율도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또, 종래와 비교하여,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배선 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절곡했을 때의 파단이나 단선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 곡률(曲率)이 큰 절곡에 대해서도 완강(頑强)하다.
또, 표시패널(1)의 외부 접속점 수가 극단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조립공정 수도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예컨대, 상기 화면 사이즈가 15형으로 XGA모드의 경우, 종래 장치에서는 표시패널(1)과 복수 매의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접속, 및 플렉시블 배선기판(6)과 구동회로 기판(2)의 접속에 300초 정도 소비하고 있었는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패널(1)의 신호 입력단부와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신호 출력단부(6a)의 접속뿐이기 때문에 20초 정도로 끝나 작업시간을 280초나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버 IC(4)를 탑재한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료비도 절감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플렉시블 배선기판(6)이 절연기판 테두리 끝을 따라 이면 측으로 180도로 절곡된 부위를 양면 테이프(7)로 고정했지만, 그 고정에는 다른 접착재 등을 이용해도 좋고, 또 이면 측으로 절곡된 부위의 일부만을 접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2실시형태로서 액정표시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는,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1실시형태와 비교해서, 접속부로 걸리는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고정위치가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그래서, 이 구성을 달리 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면광원부(5)는 프레임(8)을 구성요소로 하여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배선기판(6)은 신호 출력단부(6a)가 표시패널(1)의 신호 입력단부에 이방성 도전막에 의해 고착되어 배치되고,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가요성에 의해 면광원부(5)의 이면 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더욱이, 절곡된 플렉시블 배선기판(6)이 면광원부(5)의 비광출사면 측의 프레임(8)과 양면에 접착재가 도착된 양면 테이프(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플렉시블 배선기판(6)이 면광원부(5)의 테두리 끝을 따라 이면 측으로 180도로 절곡된 부위를 양면 테이프로 고정했지만, 그 고정에는 다른 접착재 등을 이용해도 좋고, 또 이면 측으로 절곡된 부위의 일부만을 접착하는 구성이어도 좋으며, 혹은 또 프레임(8)에 형성한 돌기부에 걸리도록 하여 고정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3실시형태로서 광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것은, 표시패널(1)의 비표시면 또는 표시전극(17)에 반사성을 갖고, 면광원부(5)를 이용하지 않아도 외광(外光)을 이용해서 양호한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표시패널(1)에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6)은, 그 가요성에 의해 표시패널(1)의 비표시면 측으로 절곡되고, 일부를 양면 테이프에 의해 어레이기판(102)의 이면 측에 고정시키고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4실시형태로서 유기자기발광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일례로서 유기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개략도를, 도 10에 1화소분의 등가회로도를, 도 11에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유기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은, 적어도 한쪽이 투광성의 부재로 되는 대향·배치된 절연기판으로 구성하고, 한쪽의 절연기판 상에 복수의 제1전극(17)과, 제1전극(17)에 대향하는 제2전극(18), 이들 전극(17, 18) 사이에 광변조층(19)으로서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퇴적한 매트릭스모양의 표시소자 및, 전극이 형성된 절연기판의 액연부(額緣部: 액자틀부)에 신호선 구동회로(4X) 및 주사선 구동회로(4Y), 인터페이스 제어회로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 표시패널(1)의 신호 입력단부(102a)에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신호 출력단부(6a)를 고착하고, 표시패널(1)의 비표시면 측에 플렉시블 배선기판(6)을 배치한다. 또, 플렉시블 배선기판(6)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패널(1)의 절연기판의 비표시부에 예컨대 양면 접착 테이프(7)에 의해 고정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이 경우도 또한, 절연기판의 이면과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고정에는, 양면 테이프 이외의 다른 접착재 등을 이용해도 좋고, 예컨대 한쪽면 접착 테이프로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눌러도 좋다.
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패널(1)의 표시면을 노출하도록 표시패널(1)의 이면에 프레임(8)을 배치하고, 비표시면 측에서 프레임(8)과 플렉시블 배선기판(6)을 고정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접속부 이외의 개소에서도 고정하기 때문에, 접속부에 걸리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의 접속단자에서의 단선이나 벗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진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외부신호의 접속부분의 접속불량이 적은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작업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저가로 박형 경량의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절연기판의 1주면 상에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대향해서 배치된 제2전극, 이들 전극 사이에 보지되는 광변조층을 갖추어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및, 상기 절연기판 상에 상기 화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갖춘 표시패널과,
    상기 절연기판의 1주면 상에 접속단자가 고착되어 외부신호를 상기 표시패널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회로는 적어도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에 공급되는 전압보다도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 발생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은 상기 표시패널의 비표시면 측에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접속단자 외에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표시패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층이 액정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층이 유기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접속단자 이외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표시패널의 고정은, 양면에 접착제가 도착된 양면 테이프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투명기판 상에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투명기판에 대향해서 배치하는 제2투명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전극,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보지되는 액정층을 갖추어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및, 적어도 한쪽의 투명기판 상에 상기 화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화소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갖춘 광투과형 표시패널과,
    출력단부가 상기 투명기판의 한쪽에 고정되어 외부신호를 상기 표시패널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 및,
    상기 표시패널의 비표시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조사하는 면광원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회로는 적어도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에 공급되는 전압보다도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 발생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은 상기 면광원장치의 이면 측으로 절곡됨과 더불어, 상기 출력단부 외에 이면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면광원장치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회로는 DC/DC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회로는 차지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비표시면측이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화소가 형성된 1주면의 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1-0070738A 2000-11-15 2001-11-14 표시장치 KR100439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47732 2000-11-15
JPJP-P-2000-00347732 2000-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705A KR20020037705A (ko) 2002-05-22
KR100439427B1 true KR100439427B1 (ko) 2004-07-09

Family

ID=1882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738A KR100439427B1 (ko) 2000-11-15 2001-11-1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057235A1 (ko)
KR (1) KR100439427B1 (ko)
TW (1) TW5383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78122B (en) * 2002-06-05 2004-03-01 Au Optronics Corp Driving circuit for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04109969A (ja) * 2002-07-22 2004-04-08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4146082A (ja) * 2002-10-21 2004-05-2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2004253559A (ja) * 2003-02-19 2004-09-09 Seiko Instruments Inc 電子機器、電子機器の組み立て方法
KR101010388B1 (ko) * 2004-04-30 2011-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고정구조 및 그 고정방법
KR20070095029A (ko) * 2006-03-20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4561729B2 (ja) 2006-11-06 2010-10-13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40056B1 (ko) * 2006-12-07 2013-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직류/직류 컨버터 및 액정표시장치
JP2008257001A (ja) * 2007-04-06 2008-10-2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
US8148236B2 (en) * 2007-11-30 2012-04-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345172B1 (ko) * 2008-07-18 2013-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소자
JP6540417B2 (ja) * 2015-09-18 2019-07-10 富士通オプティカル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光伝送装置及び光モジュール
JP6771432B2 (ja) * 2017-06-27 2020-10-21 株式会社Joled フレキシブル配線板対、及び、表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1224A (ja) * 1990-11-16 1992-06-2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JPH09138388A (ja) * 1995-11-16 1997-05-27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10123489A (ja) * 1996-08-30 1998-05-15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液晶表示素子の実装構造
JPH10222086A (ja) * 1997-02-12 1998-08-21 Canon Inc 表示装置の駆動回路接続構造
KR19990000860A (ko) * 1997-06-11 1999-01-15 윤종용 액정표시소자(lcd)모듈 구조
JPH1152409A (ja) * 1998-07-13 1999-02-26 Seiko Epson Corp パネルブロック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5205A (ja) * 1998-04-22 1999-11-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808224B2 (ja) * 1998-12-02 2006-08-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3395760B2 (ja) * 1999-06-01 2003-04-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圧生成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534376B1 (ko) * 1999-06-21 2005-12-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디지타이저를 가진 액정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1224A (ja) * 1990-11-16 1992-06-2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JPH09138388A (ja) * 1995-11-16 1997-05-27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10123489A (ja) * 1996-08-30 1998-05-15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液晶表示素子の実装構造
JPH10222086A (ja) * 1997-02-12 1998-08-21 Canon Inc 表示装置の駆動回路接続構造
KR19990000860A (ko) * 1997-06-11 1999-01-15 윤종용 액정표시소자(lcd)모듈 구조
JPH1152409A (ja) * 1998-07-13 1999-02-26 Seiko Epson Corp パネルブロッ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57235A1 (en) 2002-05-16
KR20020037705A (ko) 2002-05-22
TW538395B (en) 200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427B1 (ko) 표시장치
EP194750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power supply lin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30063080A1 (en) Display device having driving circuit
US20060289201A1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20030197670A1 (en)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of its driving circuit
US7453543B2 (en) Display device
US6771248B2 (en) Display module
KR101240650B1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740740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flexible printed circuit inserted into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2007007615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47568A (ko) 광원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KR20110028124A (ko) 액정 표시장치
EP1102236B1 (en)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of its driving circuit
JP2007004027A (ja) 画像表示装置
KR20110132723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과 제조방법
US741469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44146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2687195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02215060A (ja) 表示装置
JP3272296B2 (ja) 液晶表示装置
JPH11281996A (ja) 表示装置
JP4296877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70054353A (ko) 표시 장치
JP2001033762A (ja) 平面表示装置
JP2003100442A (ja) 自己発光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