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373B1 -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373B1
KR100438373B1 KR10-2002-0013178A KR20020013178A KR100438373B1 KR 100438373 B1 KR100438373 B1 KR 100438373B1 KR 20020013178 A KR20020013178 A KR 20020013178A KR 100438373 B1 KR100438373 B1 KR 10043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signal
unit
control unit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3551A (ko
Inventor
신현재
장유현
Original Assignee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인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인디시스템 filed Critical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3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6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e.g. acoustic microscopy
    • G01N29/0654Imaging
    • G01N29/069Defect imaging, localisation and sizing using, e.g. time of flight diffraction [TOFD], synthetic aperture focusing technique [SAFT], Amplituden-Laufzeit-Ortskurven [ALOK]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6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e.g. acoustic microscopy
    • G01N29/0609Display arrangements, e.g. colour displays
    • G01N29/0645Display representation or displayed parameters, e.g. A-, B- or C-Sca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5Supports, positioning or alignment in moving situation
    • G01N29/226Handheld or portabl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3Solids
    • G01N2291/0235Plastics; polymers; soft materials, e.g. rubb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3Surfaces
    • G01N2291/2634Surfaces cylindrical from out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에 대한 초음파검사장치에 있어서, 그 일측면에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일체로 내ㆍ외장되어 초음파를 송ㆍ수신함과 아울러 각종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검출제어수단(200)이 구비되되, 상기 검출제어수단(200)은, 초음파검사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채널 별로 시간 지연을 적용하여 초음파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초음파 펄스를 발생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초음파 펄스발생조절부(20); 상기 초음파 펄스발생조절부(20)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인가 받아 일정수의 펄스를 출력하기 위한 펄스구동부(30); 상기 펄스구동부(30)로부터 출력된 펄스를 인가 받아 초음파를 송신 및 검출할 수 있도록 초음파송신부(35) 및 초음파검출부(45)를 갖는 초음파용 배열탐촉자(40); 상기 초음파용 배열탐촉자(40)의 초음파검출부(45)로부터 입력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수신부(50); 상기 초음파수신부(50)에서 각 채널 별로 획득된 초음파 신호를 시간 지연을 적용하여 수신시 초음파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조절하는 초음파 펄스수신조절부(60); 상기 초음파 펄스수신조절부(60)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인가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증폭, 정류, 필터링하는 신호처리부(70); 상기 신호처리부(70)로부터 필터링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 받아 영상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영상화모듈부(80); 상기영상화모듈부(80)에서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90); 상기 제어부(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00); 상기 제어부(10)로 각종 정보 검출에 따른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10);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송ㆍ수신된 초음파 신호 및 가공된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연결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한 인터페이스부(120); 및 송ㆍ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저장함과 아울러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초음파의 감도와 신호대 잡음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APPARATUS FOR ULTRASONIC INSPECTION OF ELECTROFUSION JOINTS FOR POLYETHYLENE PIPES FOR A POR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열 초음파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를 실시간으로 영상화하고 이 영상을 이용하여 융착상태와 이물질 존재여부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배관은 내식성이 있어 염분이나수분의 영향으로 부식이 되지 아니하고,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산, 알칼리 등의 약품에 의해 침해를 받지 않는다. 그리고, 유연성, 내충격성, 내한성과 함께 시공시에는 경제성이 있어 현재 도시가스 공급을 위한 가스배관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PE) 배관도 폭발성이 있는 가스를 수송하기 때문에 강관과 마찬가지로 시공시와 시공후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안전점검을 하여 가스의 누출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폴리에틸렌(PE) 배관의 연결부위는 안전에 있어 취약부위로서 시공시에 검사를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폴리에틸렌(PE) 배관은 열을 이용하여 연결하는데, 크게 "맞대기융착(Butt Fusion)법" 과 "소켓융착(Socket Fusion)법"으로 나눌 수 있다. 맞대기융착법은 두 개의 폴리에틸렌(PE) 배관의 끝 단면에 열을 가하여 용융접합하는 방법이고, 소켓융착법은 연결하고자하는 배관을 소켓 내부에 삽입하여 용융접합을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연결부위는 융착 전후에 배관에 가해진 부적절한 힘과 열, 그리고, 결합부위의 먼지, 기름 등의 불순물 때문에 결함을 내포하거나 불완전한 융착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차후 위험한 가스누출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시공시에 반드시 검출되어야한다.
최근 미국에서는 맞대기 융착부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자동 초음파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면 맞대기 융착부의 결함검출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활발한 현장적용은 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소켓융착 중의 하나인 이음관을 이용하는 전기융착부(Electrofusion Joints)에 대해서는 현재 육안검사를 하고 경우에 따라 기밀시험을 통한 간접적인 검사만 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적합한 비파괴검사 기법 및 장치가 개발되지 않아 직접적인 검사를 적용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열 초음파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를 실시간으로 영상화하고 이 영상을 이용하여 융착상태와 이물질 존재여부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열탐촉자(4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를 통해 검사결과를 영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열탐촉자(40)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엘시디(LCD) 모니터(92)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본체 2 : 손잡이
3 : 안착홈 4 : 폴리에틸렌 배관
5 : 이음관 10 : 제어부
20 : 초음파 펄스발생조절부 30 : 펄스구동부
35 : 초음파송신부 40 : 초음파용 배열탐촉자
45 : 초음파검출부 50 : 초음파수신부
60 : 초음파 펄스수신조절부 70 : 신호처리부
80 : 영상화모듈부 90 : 표시부
100 : 전원공급부 110 : 입력부
120 : 인터페이스부 130 : 메모리부
200 : 검출제어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에 대한 초음파검사장치에 있어서, 그 일측면에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체로 내ㆍ외장되어 초음파를 송ㆍ수신함과 아울러 각종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검출제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검출제어수단은, 초음파검사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채널 별로 시간 지연을 적용하여 초음파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초음파 펄스를 발생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초음파 펄스발생조절부; 상기 초음파 펄스발생조절부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인가 받아 일정수의 펄스를 출력하기 위한 펄스구동부; 상기 펄스구동부로부터 출력된 펄스를 인가 받아 초음파를 송신 및 검출할 수 있도록 초음파송신부 및 초음파검출부를 갖는 초음파용 배열탐촉자; 상기 초음파용 배열탐촉자의 초음파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수신부; 상기 초음파수신부에서 각 채널 별로 획득된 초음파 신호를 시간 지연을 적용하여 수신시 초음파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조절하는 초음파 펄스수신조절부; 상기 초음파 펄스수신조절부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인가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증폭, 정류, 필터링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필터링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 받아 영상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영상화모듈부; 상기 영상화모듈부에서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제어부로 각종 정보 검출에 따른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ㆍ수신된 초음파 신호 및 가공된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연결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송ㆍ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저장함과 아울러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폴리에틸렌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열탐촉자(4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는, 크게 그 일측면에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본체(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에 초음파를 송ㆍ수신함과 아울러 각종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검출제어수단(200)을 일체로 내ㆍ외장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손잡이(2) 양측에는 안착홈(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검출제어수단(200)은, 초음파검사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채널 별로 시간 지연을 적용하여 초음파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초음파 펄스를 발생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초음파 펄스발생조절부(20)와, 상기 초음파 펄스발생조절부(20)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인가 받아 일정수의 펄스를 출력하기 위한 펄스구동부(30)와, 상기 펄스구동부(30)로부터 출력된 펄스를 인가 받아 초음파를 송신 및 검출할 수 있도록 초음파송신부(35) 및 초음파검출부(sensor)(45)로 구성된 초음파용 배열탐촉자(40)와, 상기 초음파용 배열탐촉자(40)의 초음파검출부(45)로부터 입력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수신부(50)와, 상기 초음파수신부(50)에서 각 채널 별로 획득된 초음파 신호를 시간 지연을 적용하여 수신시 초음파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조절하는 초음파 펄스수신조절부(60)와, 상기 초음파 펄스수신조절부(60)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인가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증폭, 정류, 필터링하는 신호처리부(70)와, 상기 신호처리부(70)로부터 필터링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 받아 영상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영상화모듈부(80)와, 상기 영상화모듈부(80)에서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90)와, 상기 제어부(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00)와, 상기 제어부(10)로 각종 정보 검출에 따른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1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송ㆍ수신된 초음파 신호 및 가공된 데이터를 외부의 기기 등에 연결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한 인터페이스부(120)와, 송ㆍ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저장함과 아울러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초음파용 배열탐촉자(40)는, 상기 본체(1)의 일측면에 연결케이블(41)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바, 상기 초음파용 배열탐촉자(40)에는 초음파송신부(35) 및 초음파검출부(45)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초음파 송신부(35)는 펄스구동부(30)에서 발생하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초음파 송신부(35)는 PZT나 PVDF 등의 압전소자를 사용한 진동자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진단대상을 향하여 송신된 초음파는 진단대상에서 반사되어 초음파검출부(45)에 수신된다. 상기 초음파검출부(45) 즉, 수신 센서(Sensor)는 광섬유 어레이 및 초음파검출소자 등을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90)는, 상기 본체(1)의 일측면에 연결케이블(91)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바, 상기 표시부(90)는 소형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 : LCD) 모니터(92) 또는 야외등의 밝은 곳에서 안경과 같이 얼굴에 장착하여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에이치엠디(Head Mount Display : HMD)(93)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원활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형 엘시디(LCD) 모니터(92)는 상기 손잡이(2)의 안착홈(3)에 간편하게 걸림 안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후면에 손목에 착탈가능하도록 탈착부재(도 6 참조)(94)가 구비되어 손목에 휴대할 수도 있으며, 상기 탈착부재(94)는 후크와 루프를 사용한 형태, 소위 매직테이프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인 PC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형 엘시디(LCD) 모니터(92)를 연결케이블(91)로 연결하여 본체(1)의 외부에 설치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상기 본체(1)에 일체로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본체(1)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바, 초음파검사 화면에 간단한 글자 입력을 위한 키보드(111)와, 초음파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하여 해당 키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하는 기능키(112) 및 마우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패드(Touch Pad)(113)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능키(112)들은, 시간 변화에 따른 한 스캔라인 상의 이미지 관찰기능, 두 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 기본적인 검사모드로 하나의 검사영상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검사 장비의 메모리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기능, 셋업기능, 화면에 점을 찍어서 거리 및 면적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 화면에 나타난 포인터, 글자 및 게이지 표시를 지울 수 있는 기능, 현재 화면을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기능, 화면의 검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 현재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 현재 화면을 일시에 정지할 수 있는 기능,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 초음파의 전체 게인(gain)을 조절할 수 있는기능, 초음파의 근거리 및 원거리의 게인(gain)을 조정할 수 있는 등의 조작키들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열탐촉자(40)는 초음파 배열 기법에 이용하기 위하여 기하학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초음파송수신시에 빔의 집속(Focusing)과 조향을 위해 다음의 (식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빔포밍(Beam Forming) 법칙을 사용한다.
이는 초음파 송신시에 배열탐촉자(40)의 중심에 위치한 미소센서(도시 않됨)가 t_o 시간에 활성화되었다고 가정하고 있으며, 이때 시편내의 원하는 지점으로 초음파 빔을 조향하고 집속하기 위해 임의의 n 번째 미소센서가 활성화되어야 할 시간을 T[n]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초음파의 수신신호 처리과정에서 각 미소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T[n]의 지연시간을 적용하여 합성하면 수신집속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편내에서 초음파를 집속하고자 하는 위치가 변하면 T[n]도 새롭게 계산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theta _s 가 0이 되는 경우 즉, 초음파 빔을 조향은 하지 않고 집속만하여 주사함으로 영상을 구축하였다. 기본적으로 한 장의초음파 영상은 수십 또는 수백 번의 초음파 송수신을 통해 획득된 여러 개의 주사선들(Scan Focusing)법과 수신시에는 동적집속(Dynamic Focusing)법을 사용하였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를 통해 영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 폴리에틸렌 배관의 정상적인 융착상태를 나타낸 영상으로서, 융착경계면은 열선 바로 아래에 형성되고, 융착이 잘된 경우에는 초음파가 융착경계면에서 반사 없이 잘 투과되어 경계면이 보이지 아니하게 된다. 즉, 폴리에틸렌 배관(4)의 전기융착부 영상에서는 이음관(5)과 연결하고자하는 배관이 완전하게 융착되어 융착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 불완전한 융착상태를 나타낸 영상으로서, 불완전하게 융착된 이음관(5)과 연결하고자하는 폴리에틸렌 배관(4)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 과열 융착상태를 나타낸 영상으로서, 과열 융착으로 인해 열선의 배열이 일정하지 않고 열선의 위치가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 융착면에 이물질이 섞여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영상으로서, 융착경계면에 산재하여 존재하는 불순물인 흙에서 반사된 신호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 융착시간이 미달된 상태를 나타낸 영상으로서, 부분적으로 융착이 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검사장치는 먼저, 본체(1)에 구비된 전원키(도시 않됨)를 누르게 되면,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초기 상태의 셋팅(Sett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하고자 하는 폴리에틸렌 배관(4)의 전기융착된 이음관(5)의 외주면에 배열탐촉자(40)를 접촉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등에 부착할 수 있도록 탈착부재(94)가 구비된 소형 엘시디(LCD)모니터(92)에 폴리에틸렌 배관(4) 내부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야외등과 같은 밝은 곳에서 검사를 수행할 경우 소형 엘시디(LCD)모니터(92) 대신에 안경과 같이 얼굴에 장착하여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에이치엠디(HMD)(93)를 장착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음파 배열기법에 따른 배열탐촉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전자적으로 집속함으로써, 초음파의 감도와 신호대 잡음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표시수단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어디에서나 용이하게 배관의 융착상태를 실시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Claims (4)

  1.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에 대한 초음파검사장치에 있어서,
    그 일측면에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일체로 내ㆍ외장되어 초음파를 송ㆍ수신함과 아울러 각종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검출제어수단(200)이 구비되되,
    상기 검출제어수단(200)은, 초음파검사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채널 별로 시간 지연을 적용하여 초음파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초음파 펄스를 발생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초음파 펄스발생조절부(20);
    상기 초음파 펄스발생조절부(20)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인가 받아 일정수의 펄스를 출력하기 위한 펄스구동부(30);
    상기 펄스구동부(30)로부터 출력된 펄스를 인가 받아 초음파를 송신 및 검출할 수 있도록 초음파송신부(35) 및 초음파검출부(45)를 갖는 초음파용 배열탐촉자(40);
    상기 초음파용 배열탐촉자(40)의 초음파검출부(45)로부터 입력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수신부(50);
    상기 초음파수신부(50)에서 각 채널 별로 획득된 초음파 신호를 시간 지연을 적용하여 수신시 초음파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조절하는 초음파 펄스수신조절부(60);
    상기 초음파 펄스수신조절부(60)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인가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증폭, 정류, 필터링하는 신호처리부(70);
    상기 신호처리부(70)로부터 필터링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 받아 영상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영상화모듈부(80);
    상기 영상화모듈부(80)에서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90);
    상기 제어부(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00);
    상기 제어부(10)로 각종 정보 검출에 따른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10);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송ㆍ수신된 초음파 신호 및 가공된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연결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한 인터페이스부(120); 및
    상기 송ㆍ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저장함과 아울러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90)는,
    상기 손잡이(2)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홈(3)에 걸림 안착되도록 구비된 소형 엘시디 모니터(92) 또는 얼굴에 장착하여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에이치엠디(93)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엘시디 모니터(92)의 후면에는 손목에 착탈가능하도록 탈착부재(9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본체(1)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바, 초음파검사 화면에 간단한 글자 입력을 위한 키보드(111);
    초음파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하여 해당 키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하는 기능키(112); 및
    마우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패드(1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KR10-2002-0013178A 2002-03-12 2002-03-12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KR10043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178A KR100438373B1 (ko) 2002-03-12 2002-03-12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178A KR100438373B1 (ko) 2002-03-12 2002-03-12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551A KR20030073551A (ko) 2003-09-19
KR100438373B1 true KR100438373B1 (ko) 2004-07-03

Family

ID=3222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178A KR100438373B1 (ko) 2002-03-12 2002-03-12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3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190B1 (ko) * 2008-06-04 2010-1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결함탐상장치
KR101000474B1 (ko) * 2008-06-04 2010-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결함탐상장치를 이용한 결함탐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966B1 (ko) * 2002-10-15 2005-04-07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유도초음파 탐지를 통한 배관 파이프의 스케일 진단방법 및 장치
KR101646498B1 (ko) * 2014-04-21 2016-08-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밀도 폴리에틸렌 배관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초음파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1550A (en) * 1981-02-25 1982-09-01 Sumitomo Metal Ind Ltd Ultrasonic flaw detector
JPS57144458A (en) * 1981-03-03 1982-09-07 Sumitomo Metal Ind Ltd Ultrasonic flaw detector
KR870002450A (ko) * 1985-08-12 1987-03-31 로버트 째이. 에드워즈 위상감지형 초음파 비파괴 검사방법 및 그 장치
WO1988000188A1 (en) * 1986-06-25 1988-01-14 Rorer International (Overseas) Inc. 6-(6-alkylpyridone)-carbostyril compounds and their cardiotonic u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1550A (en) * 1981-02-25 1982-09-01 Sumitomo Metal Ind Ltd Ultrasonic flaw detector
JPS57144458A (en) * 1981-03-03 1982-09-07 Sumitomo Metal Ind Ltd Ultrasonic flaw detector
KR870002450A (ko) * 1985-08-12 1987-03-31 로버트 째이. 에드워즈 위상감지형 초음파 비파괴 검사방법 및 그 장치
WO1988000188A1 (en) * 1986-06-25 1988-01-14 Rorer International (Overseas) Inc. 6-(6-alkylpyridone)-carbostyril compounds and their cardiotonic u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190B1 (ko) * 2008-06-04 2010-1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결함탐상장치
KR101000474B1 (ko) * 2008-06-04 2010-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결함탐상장치를 이용한 결함탐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551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9691B2 (en) Gating methods for use in weld inspection systems
KR101004123B1 (ko) 초음파의 송수신 어레이센서 및 초음파 탐상장치와 초음파탐상방법
US9063059B2 (en) Three-dimensional matrix phased array spot weld inspection system
US10761066B2 (en) Micro-resolution ultrasonic nondestructive imaging method
CN105699492A (zh) 一种用于焊缝检测的超声成像方法
CN101010583A (zh) 利用超声波的点焊部的评价方法及其装置
KR20160122165A (ko) 휴대형 매트릭스 위상 배열 어레이 스폿 용접부 감시 시스템
KR20190081614A (ko) 초음파를 이용한 용접부의 용접품질 검사 시스템
KR100438373B1 (ko) 휴대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전기융착부 초음파검사장치
CN101952715B (zh) 焊接检验方法及焊接检验装置
JPH11326287A (ja) 超音波探傷装置を用いた溶接部の溶融凝固部分の判定法
JPH06265529A (ja) スポット溶接部の評価方法及び装置
US20060016263A1 (en) Ultrasonic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ultrasonic signals
JP4357265B2 (ja) 超音波探傷装置並びに超音波探傷方法
US7694566B2 (en) Method of evaluating ultrasonic signals of a flaw in a workpiece
KR102157337B1 (ko) 비접촉식 초음파/화상 자동 검사 장치
JP3703129B2 (ja) 融着不良の検出方法及び装置と樹脂管
JP2001083123A (ja) 局部水浸式超音波プローブ及びこれを備えた超音波検査装置
WO2016172178A1 (en) Gating methods for use in weld inspection systems
JPH11142376A (ja) 融着継手の融着状態診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40852A (ja) 超音波探査装置
JPH10332653A (ja) 超音波探傷方法とその装置
JPH0249156A (ja) 超音波断層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H0367163A (ja) 超音波探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