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091B1 -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091B1
KR100814091B1 KR1020050050338A KR20050050338A KR100814091B1 KR 100814091 B1 KR100814091 B1 KR 100814091B1 KR 1020050050338 A KR1020050050338 A KR 1020050050338A KR 20050050338 A KR20050050338 A KR 20050050338A KR 100814091 B1 KR100814091 B1 KR 10081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transducer
oscillator
oscillators
ultrasonic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715A (ko
Inventor
신현재
장유현
정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디시스템
Priority to KR102005005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09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8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providing acoustic coupling, e.g.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6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e.g. acoustic microscopy
    • G01N29/0654Imaging
    • G01N29/069Defect imaging, localisation and sizing using, e.g. time of flight diffraction [TOFD], synthetic aperture focusing technique [SAFT], Amplituden-Laufzeit-Ortskurven [ALOK]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01N29/2437Piezoelectric probes
    • G01N29/245Ceramic probes, e.g. lead zirconate titanate [PZT]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1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comprising two or more sensors, e.g. a sensor arr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관 상에 배치되고, 2m개의 초음파 발진자 및 h개의 스캔 채널을 갖는 위상 배열 방식으로서, 미리 설정된 경사각으로 관 내부로 초음파 신호를 스캔하는 탐촉자를 포함하되,
상기 탐촉자는 n번째 초음파 발진자와 2m + n - 1(n은 m + 1 이하의 자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를 병렬로 배선 연결하여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50050338
초음파, 비파괴, 검사, 탐상, PE관, 융착부, 병렬

Description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An Apparatus For Detecting Butt Joint of Pipe Using Parallel Connected Elemen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위상 배열 방식의 초음파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위상 배열 방식의 초음파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관 이음 융착부를 검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에 의한 초음파 발진자의 배열 구조 및 배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에 의한 초음파 발진자의 배열 구조 및 배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중앙의 2h개의 초음파 발진자의 배열 구조 및 배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위상 배열 방식의 초음파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관 이음 융착부를 검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 탐촉자
20 : 초음파 발진자
30 : 쐐기부
40 : PE관
50 : 관 이음 융착부
60 : 초음파
70 : 배선
80 : 스위치 박스
본 발명은 관 이음 융착부 초음파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상 배열 초음파 검사장치의 탐촉자 내부에 구비된 초음파 발진자를 병렬 연결하여 동시에 활성화시킴으로써 별도의 시스템 없이 관 이음 융착부의 정확한 검사를 가능하도록 하는 초음파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이나 제품을 분해하거나 파괴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 결함, 안전도, 수명 등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하자를 보수하거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을 비파괴 검사 방법이라 한다.
비파괴 검사 중 초음파탐상(Ultrasonic Test) 방법은 고주파수의 초음파를 피검사체 내로 보내어 표면 및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금속의 조직검사에 유용하고, 작업자의 안전관리상의 문제가 없으며, 결함유무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탐상 방법은 우선 피검사체 내부로 초음파 펄스를 발사시켜 만일 초음파 펄스의 진행방향에 결함이 있으면 에너지의 손실과 더불어 계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초음파 탐촉자를 통하여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결함의 존재 및 위치를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초음파를 이용한 탐상 방법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근래에는 위상 배열(Phased Array)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상 배열 방식은 호이겐스의 원리를 적용한 것인데 이는 작은 미소 파면들을 독립적으로 발생시키고 각각의 미소 파면을 중첩 또는 간섭시키면 전체의 파면(wave surface)을 구성할 수 있다는 원리이다.
위상 배열 방식은 하나의 채널을 이루는 여러 개의 미소 발진자가 일정의 형태와 방향으로 배열되어 매질 내부로 초음파를 투과시킬 때, 각 미소 초음파 발진자의 발진 시간을 조절하여 전체 초음파의 파면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특정 부위에 초음파를 집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위상 배열 방식은 별도의 구동장치가 없이도 초음파의 방향 조절이 되며, 초음파를 송신 수신할 때마다 집속을 수행하므로, 신호대 잡음비가 크게 향상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의료용이나 비파괴 검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배관은 내식성이 있어 염분이나 수분의 영향으로 부식이 되지 아니하고,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유연성, 내충격성, 내한성과 함께 시공시에는 경제성이 있어 현재 도시가스 공급을 위한 가스배관 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PE) 배관은 폭발성이 있는 가스를 수송하기 때문에 강관과 마찬가지로 시공시와 시공후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안전점검을 하여 가스의 누출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특히, 폴리에틸렌(PE) 배관의 관 이음 융착부는 안전에 있어 취약 부위로서 시공시에 검사를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초음파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관 이음 융착부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관 이음 융착부와 같이 경사각을 갖는 경우에 상술한 위상 배열 방식의 초음파 검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정확한 결함 유무를 검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위상 배열 방식의 초음파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위상 배열 방식의 초음파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PE관(400)의 관 이음 융착부(500)를 검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배열 방식은 탐촉자(100) 내부의 다수개의 초음파 발진자(200) 중에서 h개의 초음파 발진자(h채널)(200-1)를 일정 위상차(시간차)를 두고 구동하여 초음파를 한 지점에 집속시켜 집속된 지점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며, 집속점의 깊이를 조절하여 스캔라인을 형성한 후, 구동하는 초음파 발진자(200)를 하나씩 이동시켜 가면서 스캔 라인을 형성하는 작업을 반복해 검사체 내부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위상 배열 방식은 도 1과 같이 관의 수평방향의 결함을 검사하기에는 굉장히 적합한 방식이나 도 2와 같이, PE관(400)의 관 이음 융착부(500)와 같이 관의 수직방향의 결함을 검사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검사가 곤란하다.
초음파는 관 이음 융착부(500)의 경계면에 정반사가 되지 않는 한 초음파가 초음파를 발생한 초음파 발진자(200-1)로 정반사되지 않고 대부분 다른 쪽으로 반사된다.
즉, h개의 초음파 발진자(h채널)(200-1)에서 투과된 초음파는 관 이음 융착부(500)의 경계면과 표면에 반사되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의 h개의 초음파 발진자(200-3)로 진행한다.
따라서 비활성화 상태의 초음파 발진자(200-3)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초음파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실제 관 이음 융착부(500)에 결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검출하지 못할 확률이 높다.
종래 위상 배열 방식 외에 경사상태의 초음파 탐상에는 발신 탐촉자에서 발신된 초음파를 1/2 스킵거리를 두고 배치된 수신 탐촉자에서 수신하여 검사체 내부를 탐상하는 탠덤(TANDEM)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단일 탐촉자를 사용하므로 정확한 신호 해석이 힘들고 위상 배열 방식과 같이 집속점을 이동하면서 스캔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이미지 구현을 위해서는 별도의 위치 추적기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위상 배열 방식의 초음파 검사장치를 이용하면서도 관 이음 융착부의 결함 유무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상 배열 초음파 검사장치의 탐촉자 내부에 구비된 초음파 발진자를 병렬 연결하여 동시에 활성화시킴으로써 위상 배열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관 이음 융착부의 정확한 검사 및 탐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초음파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관 상에 배치되고, 2m개의 초음파 발진자로 구성되고 m개의 초음파 발진자 중 연속된 h개의 초음파 발진자가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h개의 스캔 채널을 갖는 위상 배열 방식으로서, 관 내부로 초음파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탐촉자와, 상기 탐촉자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탐촉자에서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는 탐촉자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탐촉자는 n번째 초음파 발진자와 2m - n + 1(n은 m + 1 이하의 자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를 병렬로 배선 연결하여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2m개의 초음파 발진자 중에서 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는 송신부로 동작하고, 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는 수신부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관 상에 배치되고, 2m + h개의 초음파 발진자로 구성되고 2m + h개의 초음파 발진자 중 연속된 h개의 초음파 발진자가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h개의 스캔 채널을 갖는 위상 배열 방식으로서, 관 내부로 초음파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탐촉자와, 상기 탐촉자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탐촉자에서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는 탐촉자 본체를 포함하고,상기 탐촉자는 n번째 초음파 발진자와 2m + h - n + 1(n은 m + 1 이하의 자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를 병렬로 배선 연결하여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되, 중앙의 2h개의 초음파 발진자는 2개씩 그룹화되어 좌우 양측의 2개의 스캔채널이 중복되는 경우 1개의 초음파 발진자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스캔채널로서 동작하고 나머지 1개의 초음파 발진자는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스캔채널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의 2h개의 초음파 발진자 중에서 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는 송신부로 동작하고, 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는 수신부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에 의한 초음파 발진자(20)의 배열 구조 및 배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스캔 채널이라 함은 탐촉자(10)를 구성하는 초음파 발진자(20) 중에서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초음파 발진자(20)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탐촉자(10)는 총 2m(도면에서는 96개)의 초음파 발진자(20)를 포함하고, h개(도면에서는 16개)의 스캔 채널로 구성된다. 이때, 동시에 활성화되는 h개의 초음파 발진자(20)의 발진 시간을 조절하면 전체 초음파의 파면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특정 부위에 초음파를 집속시킬 수 있어 초음파의 방향조절이 가능하고, 집속점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스캔라인이 형성된다. 위상배열방식의 초음파 탐촉자를 이용하여 스캔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은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10-543736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초음파 발진자(20)의 개수 및 채널의 수는 사양에 따라 선택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초음파 발진자(20)의 개수 및 채널의 개수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에서, n번째 초음파 발진자(20)와 2m - n + 1(n은 m + 1 이하의 자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0)는 병렬로 배선 연결되어 스위치 박스(80)에 전기적 으로 연결되며, 스위치 박스(80)에 의해 병렬로 연결된 한 쌍의 초음파 발진자들(20)이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2m = 192, h = 16이라고 가정하면, n이 1일 경우 첫번째 초음파 발진자와 192번째 초음파 발진자가 병렬로 배선 연결되고, n값을 증가시켜 나가보면 2번째 초음파 발진자와 191번째 초음파 발진자 ... 95번째 초음파 발진자와 96번째 초음파 발진자가 병렬로 배선 연결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1번째 ~ 16번째의 초음파 발진자(20)가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동작할 때 177 ~ 192번째의 초음파 발진자(20)가 동시에 동작한다.
초음파 발진자(20)의 배열에서 기수번째(홀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1)는 송신부로 동작하고, 우수번째(짝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3)는 수신부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예에서 1 ~ 16번째의 16개 초음파 발진자(20) 중에서 홀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1)는 송신부로 동작하여 초음파를 송신하고, 177 ~ 192번째의 16개 초음파 발진자(20) 중에서 짝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3)가 수신부로 동작하여 상기 홀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1)에서 송신한 초음파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후단의 177 ~ 192번째의 16개 초음파 발진자(20) 중에서 홀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1)가 초음파를 송신하고, 전단의 1 ~ 16번째의 16개 초음파 발진자(20) 중에서 짝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3)가 이를 수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스캔의 경우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는 스캔라인과 우측에서 좌측으로 가는 스캔라인이 공존하므로 스캔 이미지 생성 시 좌우대칭의 이미지가 생성된다. 즉, 관 이음 융착부(500)의 특정 부위에 결함이 있 는 경우 스캔 이미지 상에는 해당 결함이 중앙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으로 나타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에 의한 초음파 발진자(20)의 배열 구조 및 배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중앙의 2h개의 초음파 발진자의 배열 구조 및 배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실시예는 초음파 발진자(20)들이 송수신이 모두 가능한 구조인 경우를 가정한다.
삭제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 h개(16개)의 초음파 발진자(20)를 추가적으로 구성하고, 중앙의 2h개(32개)의 초음파 발진자(20)를 2개씩 그룹화하여 좌우 양측의 2개의 스캔채널이 중복되는 경우 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6)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스캔채널로서 동작하고 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7)는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스캔채널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초음파 발진자(20)들이 송수신이 모두 가능한 구조를 취하므로 활성화되는 초음파 발진자(20)를 1개씩 우측으로 옮기면서 진행하는 스캔 채널과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스캔 채널이 중앙부에서 겹쳐질 때 하나의 초음파 발진자(20)에서 2개의 작업이 요구되거나 작동을 준비하기 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아 초음파의 발진 및 수신이 어려워지게 된다.
즉, 집속 시 주어지는 시간 차는 ns 단위로 이루어지고 한번 작동한 발진자 가 다음 작동을 위해 안정화하는 데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므로 양쪽으로 진행하는 스캔 채널이 겹쳐질 경우에는 정확한 초음파 발신 및 수신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중앙의 채널 개수에 해당하는 초음파 발진자(20)를 2배로 배치하고 우측으로 가는 방향의 스캔 라인과 좌측으로 가는 방향의 스캔 라인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전원 공급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2배로 배치되어 2개씩 그룹지어진 초음파 발진자(20) 중 1개의 초음파 발진자(26)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스캔 라인에만 할당되고, 나머지 초음파 발진자(27)는 좌측을 향하는 스캔 라인에만 할당되도록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2개의 스캔 라인이 중앙에서 같은 초음파 발진자(20)를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를 방지한 것이다.
상기 중앙의 2h개 외의 초음파 발진자(20)는 n번째 초음파 발진자(20)와 2m - n + 1(n은 m + 1 이하의 자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20)가 병렬로 배선 연결되어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여기서, 초음파 발진자(20)는 송수신이 모두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는 점과 상기 중앙의 초음파 발진자(20)가 2h개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2m = 96, h = 16이라고 가정하면, 탐촉자(10)는 총 112개의 초음파 발진자(20)로 구성되어 있다.
병렬 연결 시의 각 초음파 진동자(20)의 기본적인 동작 및 스캔 라인의 진행 방향은 상기 중앙 2h개의 초음파 진동자(20) 외에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앙의 2h개의 초음파 발진자(20) 중에서 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는 송신부로 동작하고, 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는 수신부로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양쪽 스캔 라인이 중앙에서 겹쳐질 때 각 초음파 발진자(20)는 송신부 또는 수신부 중 어느 한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2개의 작업을 동시에 요구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위상 배열 방식의 초음파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관 이음 융착부(50)를 검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 관(40) 상에 미리 설정된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쐐기부(30)가 배치된 후, 쐐기부(30) 상에 탐촉자(10)가 장착된다.
쐐기부(30)는 초음파가 잘 진행될 수 있는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며, 탐촉자(10)의 발진자 배열 부분(20) 즉 탐상 시 쐐기부(30)에 접촉하는 부분은 긴 직사각형의 형태이며 쐐기부(30)와 함께 이동하며 탐상이 이루어진다. 쐐기부(30)는 탐촉자(10)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쐐기부(30)의 경사면은 45°로 설정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진자 A에서 발생된 초음파(60)는 쐐기부(30)를 통해 PE관(40) 내부로 투과된 후 관 이음 융착부(50)에서 반사된 후 PE관(40)의 바닥면에 반사되어 관 이음 융착부(50)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초음파 발진자 E에서 수신되고, 초음파 발진자 A와 병렬로 연결된 E에서 발생된 초음파(60)는 초음파 발진자 A에서 수신된다.
마찬가지로 초음파 발진자 B에서 발생된 초음파(60)는 초음파 발진자 D에서 수신되고, 초음파 발진자 B와 병렬로 연결된 D에서 발생된 초음파(60)는 초음파 발진자 B에서 수신된다.
중앙의 초음파 발진자 C에서 발생된 초음파는 관 이음 융착부(50)의 최하단부에서 전반사되어 다시 초음파 발진자 C에서 수신된다.
삭제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 PE 관(40)을 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각종 관의 이음부의 검사방법, 더 나아가 경사면 상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결함을 검사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가능하며, 이러한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상 배열 초음파 검사장치의 탐촉자 내부에 구비된 초음파 발진자를 병렬 연결하여 동시에 활성화시킴으로써 위상 배열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관 이음 융착부의 정확한 검사를 가능하도록 하는 초음파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1.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관 상에 배치되고, 2m개의 초음파 발진자로 구성되고 m개의 초음파 발진자 중 연속된 h개의 초음파 발진자가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h개의 스캔 채널을 갖는 위상 배열 방식으로서, 관 내부로 초음파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탐촉자와, 상기 탐촉자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탐촉자에서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는 탐촉자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탐촉자는 n번째 초음파 발진자와 2m - n + 1(n은 m + 1 이하의 자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를 병렬로 배선 연결하여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m개의 초음파 발진자 중에서 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는 송신부로 동작하고, 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는 수신부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
  3.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관 상에 배치되고, 2m + h개의 초음파 발진자로 구성되고 2m + h개의 초음파 발진자 중 연속된 h개의 초음파 발진자가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h개의 스캔 채널을 갖는 위상 배열 방식으로서, 관 내부로 초음파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탐촉자와, 상기 탐촉자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탐촉자에서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는 탐촉자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탐촉자는 n번째 초음파 발진자와 2m + h - n + 1(n은 m + 1 이하의 자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를 병렬로 배선 연결하여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되, 중앙의 2h개의 초음파 발진자는 2개씩 그룹화되어 좌우 양측의 2개의 스캔채널이 중복되는 경우 1개의 초음파 발진자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스캔채널로서 동작하고 나머지 1개의 초음파 발진자는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스캔채널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2h개의 초음파 발진자 중에서 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는 송신부로 동작하고, 우수번째 초음파 발진자는 수신부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
  5. 삭제
KR1020050050338A 2005-06-13 2005-06-13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검사장치 KR100814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338A KR100814091B1 (ko) 2005-06-13 2005-06-13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338A KR100814091B1 (ko) 2005-06-13 2005-06-13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715A KR20060129715A (ko) 2006-12-18
KR100814091B1 true KR100814091B1 (ko) 2008-03-14

Family

ID=3781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338A KR100814091B1 (ko) 2005-06-13 2005-06-13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0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9955A (en) 1979-09-29 1981-05-06 Nippon Kokan Kk <Nkk> Flaw-detecting method by oblique supersonic wave for small-diameter welded pipe and the like
JPS61198056A (ja) 1985-02-28 1986-09-02 Nippon Steel Corp アレイ形探触子による鋼管の超音波探傷法
JPS62191757A (ja) 1986-02-18 1987-08-22 Nippon Steel Corp アレイ形探触子の分割駆動制御方法
JPS6391554A (ja) 1986-10-06 1988-04-22 Nippon Steel Corp 鋼管溶接部の超音波探傷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05031501A2 (en) 2003-09-22 2005-04-07 Kim Hyeung-Yun Sensors and system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9955A (en) 1979-09-29 1981-05-06 Nippon Kokan Kk <Nkk> Flaw-detecting method by oblique supersonic wave for small-diameter welded pipe and the like
JPS61198056A (ja) 1985-02-28 1986-09-02 Nippon Steel Corp アレイ形探触子による鋼管の超音波探傷法
JPS62191757A (ja) 1986-02-18 1987-08-22 Nippon Steel Corp アレイ形探触子の分割駆動制御方法
JPS6391554A (ja) 1986-10-06 1988-04-22 Nippon Steel Corp 鋼管溶接部の超音波探傷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05031501A2 (en) 2003-09-22 2005-04-07 Kim Hyeung-Yun Sensors and system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715A (ko) 200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07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amining the interior material of an object, such as a pipeline or a human body from a surface of the object using ultrasound
KR101641014B1 (ko) 결함 검출 장치, 결함 검출 방법 및 기억 매체
JP5003275B2 (ja) 管体の超音波探傷装置及び超音波探傷方法
JP2008122209A (ja) 超音波探傷装置及び方法
US79005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a pipeline with ultrasound
JP2007046913A (ja) 溶接構造体探傷試験方法、及び鋼溶接構造体探傷装置
JP5574731B2 (ja) 超音波探傷試験方法
JP2008232627A (ja) 超音波探傷装置および超音波探傷方法
JP2010025676A (ja) 超音波探傷方法及び装置
JP5292012B2 (ja) 超音波検査装置
JP6870980B2 (ja) 超音波検査装置および超音波検査方法および接合ブロック材の製造方法
CN115380223A (zh) 具有行列寻址阵列的超声探测器
EP2876437B1 (en) Ultrasonic wave measuring method and ultrasonic wave measuring device
JP5115024B2 (ja) 超音波斜角探傷装置のカップリングチェック方法
KR100814091B1 (ko) 초음파 발진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검사장치
KR100814089B1 (ko) 탐촉자 병렬 연결 방식을 이용한 관 이음 융착부 검사장치및 그 방법
JP2011122827A (ja) アレイ探触子の測定方法及びその測定装置
CA2725297A1 (en) Improved non-destructive ultrasonic testing with coupling check
Nagai et al. Determination of shape profile by SAFT for application of phased array technique to complex geometry surface
Mirchev et al. Automatic systems for ultrasonic inspection of pipelines (survey)
JP3754669B2 (ja) 超音波探傷装置及び超音波探傷方法
JPS62192655A (ja) 超音波探傷方法
CN114965700A (zh) 一种b型套袖焊缝检测方法及装置
Călţaru et al. Inspection of the Petroleum Pipelines Welded Joint by Using the Phased Array Ultrasonic Nondestructive Testing.
Maclauchlan et al. Application of large aperture EMATs to weld insp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