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259B1 - 경량벽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량벽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259B1
KR100438259B1 KR10-2000-0082898A KR20000082898A KR100438259B1 KR 100438259 B1 KR100438259 B1 KR 100438259B1 KR 20000082898 A KR20000082898 A KR 20000082898A KR 100438259 B1 KR100438259 B1 KR 100438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wall
wall
lightweight
unit
wal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4140A (ko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대한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주택공사 filed Critical 대한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00-008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2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주자들이 요구하는 공간 활용의 극대화 및 개조, 보수의 용이성과 시공시 요구되는 공기단축 및 시공성 향상등을 위하여 안출된 주택의 경량벽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량벽체 시스템은 경량벽체(1)와, 경량벽체(1)의 상면을 천정슬래브(2)에 고정 시켜줌과 동시 전선과 각종 통신선을 수용하는 상부 유닛(4), 그리고 경량벽체(1)의 하단부를 바닥슬래브 또는 온돌바닥(3)에 고정 시켜줌과 동시 각종 설비배선을 수용 할수있는 하부유닛(5)과 경량벽체(1)를 인접 벽체와의 고정성을 확보하여 주는 수직유닛(25)으로 구성 되어지며, 필요에따라 창호 및 수납벽체가 더 포함된다.
이와같은 경량벽체 시스템은 건물 벽체의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철거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거주자들이 취향에따라 손쉽게 내부구조를 변경할수 있어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이룰수있고,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작업에 적합하다.

Description

경량벽체 시스템{LIGHT-WEIGHT WALL SYSTEM}
본 발명은 거주자들이 요구하는 공간 활용의 극대화 및 개조, 보수의 용이성과 시공시 요구되는 공기단축 및 시공성 향상등을 위하여 안출된 주택의 경량벽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현재의 모든 주택의 구조는 벽, 바닥, 기둥, 보 덕트 등과 같은 구조체부분(support)과, 간막이벽체, 수납벽체, 창호 등과 같은 비구조체부분 (Infill)으로 구성되어 지며, 비구조체의 경우에도 대부분 벽돌등 으로 쌓은다음 몰탈로 마무리 되기 때문에 일단 한번 시공된 후에는 벽체의 위치를 변경시킬수가 없다.
그러므로 거주자들의 취향에 따라 내부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비구조체 부분의 벽체를 해체할 경우 해체된 벽체를 재활용 할수 없을뿐만 아니라 많은 산업폐기물이 발생됨은 물론, 해체작업 자체가 매우 어렵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노후 건물의 리모델링 작업에도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일단 건물이 시공 완료된 후에도 건물의 벽체를 쉽게 해체할수 있고, 또한 해체한 벽체를 다른 위치에 다시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게, 다시말하여 가변이 용이하게 벽체를 구성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 및 방음성이 뛰어난 경량벽체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경량벽체 시스템은, 주택의 내부 비구조체부분 (Infill)을 경량벽체 로서 구성하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설치하며 또한 경량벽체의 고정부위를 통하여 전기배선이나 각종 통신선 및 냉,난방 배관이 설치될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설치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고안의 경량벽체 시스템은, 내부에 전선관과 콘센트 또는 각종 통신잭 등이 매설되고 방음과 내구성이 우수하고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한 경량벽체와, 경량벽체 상단과 천정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수평유닛(Horizontal unit)과, 경량벽체 하단부와 바닥슬래브 또는 온돌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 수평유닛, 그리고 경량판넬과 경량판넬 사이의 고정성을 확보하고, 상하부수직유닛을 수직적으로 연계시켜 주기위한 수직유닛이 포함되어야 하며, 경우에따라서 보조 수평유닛, 창호, 수납벽체가 포함 될 수있다.
또한 상부의 수평유닛은 경량판넬의 상부를 천정슬래브에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 전기선이나 각종 통신선을 함유할수있는 공간부가 마련되어야 함은 물론, 하부 유닛은 경량판넬의 하부를 바닥슬래브 또는 온돌바닥에 고정시킴과 동시 냉,난방 배관을 수용할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경량벽체 시스템은 전기, 통신배선 및 냉,난방 배관을포함하는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철거 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거주자들이 취향에따라 손쉽게 내부구조를 변경할수 있어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이룰수있고,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작업에 적합할수 있고, 건축물의 수명 연장에 기여할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을 포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2 는 경량벽체를 수평유닛(Horizontal unit)으로 천정슬래브와 바닥 슬래브 또는 온돌바닥 에 고정설치하는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 은 경량벽체가 상부 수평유닛으로 천정슬래브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4 는 경량벽체가 하부 수평유닛으로 바닥슬래브 또는 온돌바닥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5 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량벽체의 평면도.
도6 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량벽체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7 은 본 발명에서 수직유닛(Vertical unit)으로 경량벽체와 경량벽체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8 은 수직유닛의 또다른 실시예.
도9 (A)(B)(C)(D)(E)(F)는 본발명 시스템에 의하여 바꿀수 있는 주택의 내부구조중 일부를 예시한 도면.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
1 : 경량벽체
4 : 상부 수평유닛
5 : 하부 수평유닛
25 : 수직유닛
30 : 전선 또는 통신선
40 : 각종 설비배선
본 발명의 경량벽체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량벽체(1)와, 경량벽체(1)의 상면을 천정슬래브(2)에 고정켜줌과 동시 전선과 각종 통신선을 수용하는 상부 유닛(4), 그리고 경량벽체(1)의 하단부를 바닥슬래브 또는 온돌바닥(3)에 고정 시켜줌과 동시 각종 설비배선을 수용 할수있는 하부유닛(5)과 경량벽체(1)를 인접 벽체와의 고정성을 확보하여 주는 수직유닛(25)으로 구성 되어진다.
경량벽체(1)는 가벼우면서도 방음 및 내구성이 있고, 전선이나 기타 통신선의 배선이 용이하도록 구성 되어지는데, 프레임의 제일 외측으로부터 석고보드 (1a), 합판(1b), 우레탄(1c) 순으로 구성되고, 우레탄의 내부에는 전선관(21)및 콘센트(22)가 매설되어 있어 경량벽체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어느 벽체의 위치에서도 전기나 통신선을 이용할수 있다.
상부 수평유닛(4)은 천정슬래브(2)와 접하는 상부지지면(50)과 경량벽체(1)의 상면과 접촉되는 하부지지면(60)이 있으며 상하부 지지면을 연결하는 상하부 연결부 (7)로서 구성되어, 상 하부 지지면 사이에는 전선이나 각종 통신선(30)을 수용하는 공간부 (A)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수평유닛(5)도 바닥슬래브(3)와 접하는 하부지지면(12)과 경량벽체의 하단부와 접하는 상부지지면(11)으로 구성되고 상하부 지지면을 연결하는 상하부 연결부(13)로 구성되어, 상 하부 지지면 사이에는 각종 설비배관(40)을 수용하는 공간부 (B)가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하부 수평유닛의 경우 여러가지 형태의 구조를 가진 유닛이 사용될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전기선이나 각종 통신선 및 각종 배관이 설치될수 있는 공간부가 확보되어 있으면 어떤 형태의 것도 무방하다.
수직유닛(25)은 내부가 수납공간부(C)로 이루어지고, 경량벽체(1)를 받아드리기 위한 벽체삽입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유닛(25)은 상 하부 수평유닛 (4) (5)을 수직적으로 연계시키는 기능이외에도, 도8 의 도시와 같이 수납공간부(C)를 통하여 배선,배관,수납 등의 기능성과 인접 벽체의 고정성 확보등의 역활을 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는 생략 하였지만, 경량벽체의 중간부에 수평적으로 설치될수있는 부품으로서, 상하부 수평유닛을 유기적으로 연계함과 동시에 디자인 기능성등을 보조하는 보조 수평유닛이 포함될수 있고, 기존이 문 및 창의 접합방식인 앵커접합등에 의한 호환성 미확보 방식을 탈피하여 바닥, 벽체 등에 인접하여 접합되는 구성요소와의 조합시 호환성을 확보할수 있는 창호를 포함할수도 있으며, 벽체기능과 수납기능을 동시에 갖출수있는 수납벽체가 포함될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발명의 경량벽체 시스템에서 경량벽체(1)를 고정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량벽체(1)를 설치할 위치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기준선(현장 먹줄치기)을 설정하고 바닥슬래브(3)에 하부 수평유닛(5)을 고정시키고, 그 직상방의 천정슬래브(2)에는 상부 수평유닛(4)을 고정설치 한다. 이 상태에서 경량벽제(1)를 상하부 수평유닛 사이에 끼워 설치한 다음, 상부 슈평유닛(4)의 공간부(A)에는 전기선이나 각종 통신선(30)을 배선하고, 경량벽체(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선이나 통신선 등과 연결시킨다. 그리고 하부 수평유닛(5)에는 각종 설비의 배선(40)을 설치한다. 이때 경량벽체와 벽체사이에는 필요한 위치에 수직유닛(25)을 설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하부 수평유닛(4)(5)의 양측면에 마감부재(8)(15)를 고정하므로서, 건물의 내부벽체 설치와 전기선 및 통신선 그리고 각종 설비 배관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경량벽체의 해체시에는 설치의 역순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본발명의 경량벽체 시스템에 의하면, 벽체의 설치와 해체가 자유롭기 때문에 제9도 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건물의 내부구조를 입주자의 취향에 따라 변경할수 있다.
이와같은 본발명의 경량벽체 시스템은 주택의 내부구조 즉, 벽체의 시공과 동시에 전기배선이나 각종 통신선 그리고 각종 설비배관 들이 경량벽체를 고정시켜주는 상하부 수평유닛 내부에 수용될수 있기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할수 있으며, 철거 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거주자들이 취향에따라 손쉽게 내부구조를 변경할수 있어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이룰수있고,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작업에 적합할수 있고, 건축물 수명 연장에 기여할수 있다.

Claims (5)

  1. 경량벽체(1)와, 경량벽체를 천정슬래브에 고정시킴과 동시 내부에 전기선이나 통신선을 수용할수있는 공간부(A)를 가지는 상부 수평유닛(4), 경량벽체를 바닥슬래브또는 온돌바닥에 고정시킴과 동시 각종 설비배선을 수용하는 공간부(B)를 가지는 하부 수평유닛(5), 그리고 경량벽체와 경량벽체 사이를 연계시키고 내부에 배선, 수납 등의 기능을 가지는 공간부(C)가 구비된 수직유닛(25), 으로 건물의 내부벽체를 구성하여 건물의 내부벽체 위치를 용이하게 재구성할수 있게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경량벽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 하부 수평유닛의 공간부는 상부지지면과 하부지지면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경량벽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0-0082898A 2000-12-27 2000-12-27 경량벽체 시스템 KR100438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898A KR100438259B1 (ko) 2000-12-27 2000-12-27 경량벽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898A KR100438259B1 (ko) 2000-12-27 2000-12-27 경량벽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140A KR20020054140A (ko) 2002-07-06
KR100438259B1 true KR100438259B1 (ko) 2004-07-02

Family

ID=2768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898A KR100438259B1 (ko) 2000-12-27 2000-12-27 경량벽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695A (ko)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지지통상 목재차열방화도어와 철재차열방화도어의 내화벽체의 내화충진재료 제조방법
KR20230112957A (ko)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대명우드 목재차열방화도어와 철재차열방화도어의 내화벽체의 내화충진재료 제조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434U (ko) * 1987-12-14 1989-08-09 주식회사 한국오에이시스 판넬(panel)
KR910007319Y1 (ko) * 1989-07-15 1991-09-25 주식회사 우영엔지니어링 전자부품 자동입식기의 회로기판 공급 및 인출장치
JPH0827927A (ja) * 1994-07-12 1996-01-30 Ohbayashi Corp 間仕切りパネル
KR970005998U (ko) * 1995-07-22 1997-02-21 노재근 사무용 칸막이 하부구조
KR980008332U (ko) * 1998-02-13 1998-04-30 박국주 착탈이 용이한 칸막이용 하단지지대와 양측커버의 결합구조
KR19980020330U (ko) * 1996-10-11 1998-07-15 권동열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KR19980019538U (ko) * 1996-10-04 1998-07-15 이형춘 조립식 칸막이
KR19990019928U (ko) * 1997-11-21 1999-06-15 신용운 조립건물용 패널
KR200228583Y1 (ko) * 2000-12-27 2001-06-15 대한주택공사 경량벽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434U (ko) * 1987-12-14 1989-08-09 주식회사 한국오에이시스 판넬(panel)
KR910007319Y1 (ko) * 1989-07-15 1991-09-25 주식회사 우영엔지니어링 전자부품 자동입식기의 회로기판 공급 및 인출장치
JPH0827927A (ja) * 1994-07-12 1996-01-30 Ohbayashi Corp 間仕切りパネル
KR970005998U (ko) * 1995-07-22 1997-02-21 노재근 사무용 칸막이 하부구조
KR19980019538U (ko) * 1996-10-04 1998-07-15 이형춘 조립식 칸막이
KR19980020330U (ko) * 1996-10-11 1998-07-15 권동열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KR19990019928U (ko) * 1997-11-21 1999-06-15 신용운 조립건물용 패널
KR980008332U (ko) * 1998-02-13 1998-04-30 박국주 착탈이 용이한 칸막이용 하단지지대와 양측커버의 결합구조
KR200228583Y1 (ko) * 2000-12-27 2001-06-15 대한주택공사 경량벽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140A (ko) 200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8352C2 (ru) Сборный модуль для здания
RU2014134178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я
US20050241242A1 (en) Modular buildings
US20050262778A1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ES2333636B1 (es) Modulo semirresistente prefabricado para construccion y procedimientode montaje en obra del mismo.
CN101654930A (zh) 一种组合式房屋的梁架结构及其安装方法
KR100438259B1 (ko) 경량벽체 시스템
TWI817221B (zh) 用於具有承重牆的多層建築物之預鑄共用牆
WO2009108986A1 (en) A transportable building including a roof structure for stacking of multiple buildings
WO2022067416A1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модульного здания
JP639944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JP6770829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壁パネルの接合構造並びに接合方法
US20240011276A1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KR200229304Y1 (ko)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
KR200228583Y1 (ko) 경량벽체 고정장치
JP4849997B2 (ja) 壁下部の短配管の取付構造
JP2000328663A (ja) 太陽熱集熱配管構造及び施工方法
JPH1046842A (ja) 集合住宅
KR200223798Y1 (ko) 경량벽체
JP2022145994A (ja) 賃貸併用住宅および賃貸併用住宅の改築方法
KR200228582Y1 (ko) 경량벽체 고정장치
WO2007046761A1 (en) A wall module and a multi-storey building with a wall module
JPH1171918A (ja) 建築物およびその建築方法
JP3281095B2 (ja) アルミニウム製の骨組み構造
AU2008352420B2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roof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