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330U -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330U
KR19980020330U KR2019960033548U KR19960033548U KR19980020330U KR 19980020330 U KR19980020330 U KR 19980020330U KR 2019960033548 U KR2019960033548 U KR 2019960033548U KR 19960033548 U KR19960033548 U KR 19960033548U KR 19980020330 U KR19980020330 U KR 199800203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rtition
wire
cov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열
Original Assignee
권동열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동열,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권동열
Priority to KR2019960033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330U/ko
Publication of KR19980020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330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2Details of panel top ca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체결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면에 결합되는 마감판(30)을 구비한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는 배선을 용이하게 하도록 전선(W)을 수용하는 플라스틱재의 안내부재(40)가 배설되고, 상기 안내부재(40)의 상측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전선(W)을 감추도록 커버(50)가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의 피복손상이나 누전 등의 전기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본 고안은 사무실 등의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배선되는 전선을 안내하는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에서는 부서별로 각기 다른 업무를 행함에 따라 칸막이를 설치하여 각 부서의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종래 칸막이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체결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1)의 전후면에는 다수의 마감판(3)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의 상측면에는 커버(5)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의 하측에는 설치높이를 조절하도록 높이조절수단(7)이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프레임(1)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결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고 있고, 그 재질은 금속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11)는 대체로 중공의 사각관형상으로서, 그 측면에는 전선(9)이 통과하도록 다수의 관통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11)의 전후면에는 상기 마감판(3)의 도시하지 않은 갈고리부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다수의 걸림구멍(1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칸막이에서는 프레임(1)의 수직부재(11)에 형성된 관통구멍(11a)을 통하여 전선(9)을 삽입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배선작업시에는 상기 마감판(3)을 프레임(1)에서 분리해야 하는 등 배선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임(1)이 금속재로 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피복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누전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칸막이를 통하는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의 피복손상이나 누전 등의 전기사고를 방지하는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칸막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안내장치가 적용된 칸막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의 안내부재 및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12 : 수평부재
40 : 안내부재41, 41' : 상측플랜지
43, 43' : 하측플랜지50 : 커버
51 : 측커버W : 전선
S : 공간부
본 고안에 의한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는 체결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면에 결합되는 마감판을 구비한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는 배선을 용이하게 하도록 전선을 수용하는 플라스틱재의 안내부재가 배설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상측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전선을 감추도록 커버가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안내장치가 적용된 칸막이는 사각틀을 이루고 있는 프레임(10)이 다수의 체결수단(20)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면에는 다수의 마감판(30)이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상측면에는 전선(W) 등을 안내하도록 안내부재(40)가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재(40)의 상측에는 상기 안내부재(40)의 내부에 배설된 전선을 덮도록 커버(50)가 씌워지며,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는 설치높이를 조절하도록 높이조절수단(60)이 나사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그 양측에 수직부재(11, 11)가 세워지고, 상기 수직부재(11, 11)를 수평부재(12, 13)가 연결하여 사각틀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부재(12, 13) 사이에는 보강부재(14)가 배설되어 상기 수직부재(11, 11)를 보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11)는 상기 마감판(30)의 측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1a)가 상기 수직부재(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직부재(11)의 단면형상은 저면(11b)과 측면(11c)에 의해 ㄷ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11c)과 상기 플랜지(11a)에 의해 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면(11b)에는 상기 체결수단(20)의 볼트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관통구멍(11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11c)에는 상기 마감판(30)에 결합된 후술하는 후크수단이 걸리도록 다수의 걸림구멍(11e)(11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 결합된 수평부재(13)에는 상기 높이조절수단(60)이 나사결합되도록 다수의 나사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수단(20)은 볼트(21) 및 너트(22)로 되어 있다.
상기 마감판(30)은 상기 걸림구멍(11e)에 걸리는 상측마감판(31) 및 중간마감판(32)과, 상기 걸림구멍(11f)에 걸리는 하측마감판(33)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측마감판(31) 및 중간마감판(32)에는 배면에는 상기 걸림구멍(11e)에 삽입되도록 후크수단(34)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측마감판(33)의 배면에는 상기 걸림구멍(11f)에 삽입되도록 갈고리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재(4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W)을 수용하는 공간부(S)를 형성하도록 상측플랜지(41, 41')가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외삽되어 고정되도록 하측플랜지(43, 43')가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재질은 전선의 피복손상방지 및 누전의 위험을 방지하며 조립이 용이하도록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측플랜지(41, 41')의 외측면에는 상기 커버(5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요입홈(41a, 41'a)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플랜지(43, 43')의 단부에는 상기 수평부재(12)의 외주면에 긴밀히 밀착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3a, 43'a)가 형성되어 있따.
상기 커버(50)는 그 단면이 대체로 ㄷ형으로 되어 있고, 그 플랜지단부는 상기 안내부재(40)의 요입홈(41a, 41'a)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5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측커버(51, 51')가 끼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안내장치가 적용된 칸막이는 수직부재(11)의 플랜지(11a)가 서로 맞대어져 체결수단(20)에 의해 밀착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11)의 걸림구멍(11e, 11f)에는 상기 마감판(30)의 후크수단(34) 및 갈고리부(33a)가 삽입되어 걸림에 의해 조립된다.
그리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의 측면에는 안내부재(40)의 하측플랜지(43, 43')를 끼운다. 이때, 상기 하측플랜지(43, 43')에 형성된 돌출부(43a, 43'a)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40)는 상기 수평부재(12)에 견고히 밀착 고정된다.
배선을 할 때에는 상기 상측플랜지(41, 41')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S)에 전선(W)을 수용시키고, 상기 커버(50)의 플랜지단부를 요입홈(41a, 41'a)에 끼운 다음, 도2에 도시한 축커버(51, 51')를 상기 커버(50)의 양측에 삽입하면, 배선작업이 완료한다. 그리고, 재배선작업시에는 상기 커버(50)를 떼어낸 후, 상기 공간부(S)를 통하여 전선을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에 의하면, 커버만 간단히 떼어내고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된 안내부재의 내부에 전선을 배열시킬 수 있으므로, 배선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안내부재가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피복손상이나, 누전 등의 전기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체결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면에 결합되는 마감판(30)을 구비한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는 배선을 용이하게 하도록 전선(W)을 수용하는 플라스틱재의 안내부재(40)가 배설되고, 상기 안내부재(40)의 상측에는 외관이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전선(W)을 감추도록 커버(50)가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40)는 전선(W)을 수용하는 공간부(S)를 형성하도록 상측플랜지(41, 41')가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외삽되어 고정되도록 하측플랜지(43, 43')가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플랜지(41, 41')의 외측면에는 상기 커버(5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요입홈(41a, 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플랜지(43, 43')의 단부에는 상기 수평부재(12)의 외주면에 긴밀히 밀착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3a, 4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KR2019960033548U 1996-10-11 1996-10-11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KR199800203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48U KR19980020330U (ko) 1996-10-11 1996-10-11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48U KR19980020330U (ko) 1996-10-11 1996-10-11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330U true KR19980020330U (ko) 1998-07-15

Family

ID=5397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548U KR19980020330U (ko) 1996-10-11 1996-10-11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33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59B1 (ko) * 2000-12-27 2004-07-02 대한주택공사 경량벽체 시스템
KR101446884B1 (ko) * 2013-12-31 2014-10-06 윤종희 배선공간이 형성된 칸막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59B1 (ko) * 2000-12-27 2004-07-02 대한주택공사 경량벽체 시스템
KR101446884B1 (ko) * 2013-12-31 2014-10-06 윤종희 배선공간이 형성된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9371B2 (en) Electrical block
KR102156232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JPH08242948A (ja) 電気機器キャビネット類の支持ベースおよびその支持ベース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KR19980020330U (ko) 칸막이의 전선안내장치
KR19980020326U (ko) 칸막이
KR200243103Y1 (ko) 사무실용 파티션
KR200160592Y1 (ko) 콘크리트 건물 벽체의 단자함 설치구조
US4800237A (en) Multi-service preset access unit for cellular raceway
US5034567A (en) Access unit and bracket for mounting multiple duplex receptacles over a power cell
CN214300870U (zh) 一种用于多桶洗衣机的框架结构和多桶洗衣机
JP3482906B2 (ja) 電気接続箱
JPS6017137Y2 (ja) 机の脚
US5732831A (en) Electrical appliance framework having a threaded bar for fixing of components to the framework
KR102667448B1 (ko) 자동차용 블럭
KR200153981Y1 (ko) 칸막이의 마감판
KR19980020328U (ko) 칸막이의 유리마감판
JPH0128794Y2 (ko)
KR0125975Y1 (ko) 연결식 칸막이
KR0119568Y1 (ko) 범퍼용 백빔의 장착구조
KR200357692Y1 (ko) 단자함
KR930002526Y1 (ko) 매설용 콘센트 수장함
KR19980056368U (ko) 전선 받이용 파티션덕트
KR200179968Y1 (ko) 전기설비용 다목적 박스
JPS6141363Y2 (ko)
KR940002345Y1 (ko) 파티션 부착형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