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582Y1 - 경량벽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경량벽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582Y1
KR200228582Y1 KR2020000036578U KR20000036578U KR200228582Y1 KR 200228582 Y1 KR200228582 Y1 KR 200228582Y1 KR 2020000036578 U KR2020000036578 U KR 2020000036578U KR 20000036578 U KR20000036578 U KR 20000036578U KR 200228582 Y1 KR200228582 Y1 KR 200228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ightweight wall
piece
fixtur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대한주택공사
주식회사한양목재
주식회사삼정아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주택공사, 주식회사한양목재, 주식회사삼정아코텍 filed Critical 대한주택공사
Priority to KR2020000036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582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의 내부벽체로서 사용하는 경량벽체를 천장슬래브 하부와 바닥슬래브 또는 온돌바닥에 고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경량벽체 고정장치는 경량벽체를 천장슬래브와 바닥슬래브 또는 온돌바닥 사이에,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설치하며 또한 고정부위를 통하여 전기배선이나 각종 통신선의 배선및 냉난방 배관이 설치될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설치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고안의 경량벽체 고정장치는 경량벽체 상단과 천장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고정구와, 경량벽체 하단부와 바닥슬래브 또는 온돌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고정구를 포함하며, 상부고정구 와 하부고정구 각각은 전기배선이나 각종 통신선및 냉난방 배관을 함유하기 위한 공간부분을 가지며, 각각 마감부재 로서 마감된다.
이와같은 경량벽체 고정장치는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철거 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거주자들이 취향에따라 손쉽게 내부구조를 변경할수 있어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이룰수있고,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작업에 적합할수 있고,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기여할수 있다.

Description

경량벽체 고정장치{THE FIXATION DEVICE FOR LIGHT-WEIGHT WALL}
본 고안은 주택의 내부벽체로서 사용하는 경량벽체를 천장슬래브와 바닥슬래브 또는 온돌바닥( 이하 바닥슬래브 로 약칭함 )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현재의 모든 주택의 구조는 벽, 바닥, 기둥, 보 덕트 등과 같은 구조체부분(support)과, 간막이벽체, 수납벽체, 창호 등과 같은 비구조체부분 (Infill)으로 구성되어 지며, 비구조체의 경우에도 대부분 벽돌등 으로 쌓은다음 몰탈로 마무리 되기 때문에 일단 한번 시공된 후에는 벽체의 위치를 변경시킬수가 없다.
그러므로 거주자들의 취향에 따라 내부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비구조체 부분의 벽체를 해체할 경우 해체된 벽체를 재활용 할수 없을뿐만 아니라 많은 산업폐기물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노후 건물의 리모델링 작업에도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일단 건물이 시공 완료된 후에도 건물의 벽체를 쉽게 해체할수 있고, 또한 해체한 벽체를 다른 위치에 다시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게, 다시말하여 가변이 용이한 벽체를 구성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가벼우면서도 시공이 용이하며 내구성 및 방음성이 뛰어난 경량벽체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가일층 심화되고 있다.
본고안은 상술한바에 의하여 개발되고 있는 경량벽체를, 천장슬래브와 바닥슬래브 사이에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설치할수 있는 경량벽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경량벽체 고정장치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특히 전기선이나 전화선 또는 각종 통신선의 배선이나 냉난방 파이프의 배관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의 경량벽체 고정장치는, 경량벽체를 천장슬래브와 바닥슬래브 사이에,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설치하며 또한 고정부위를 통하여 전기배선이나 각종 통신선의 배선및 냉난방 배관이 용이하게 설치될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설치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고안의 경량벽체 고정장치는 경량벽체 상단과 천장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고정구와, 경량벽체 하단부와 바닥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고정구를 포함하며, 상부고정구 와 하부고정구 각각은 전기배선이나 각종 통신선및 냉난방 배관을 함유하기 위한 공간부분을 가지며, 각각 마감부재 로서 마감된다.
이와같은 경량벽체 고정장치는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철거 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거주자들이 취향에따라 손쉽게 내부구조를 변경할수 있어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이룰수있고,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작업에 적합할수 있고, 건축물 수명 연장하는데 기여할수 있다.
도1 은 본고안 고정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2 는 본고안 고정장치에서 사용되는 상부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3 은 상부고정구의 결합도.
도4 는 하부고정장치의 개략도.
도5 는 하부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6, 도7, 도8 은 본고안 장치에서 사용되는 또다른 하부고정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2 : 천장슬래브
3 : 바닥슬래브 또는 온돌바닥
4 : 상부고정구
5 : 천장부착편
6 : 삽입부
11 : 하부고정구
12 : 벽체고정편
13 : 삽입홈
본고안의 경량벽체 고정장치는 도1 에 도시된바와 같이 경량벽체(1) 상단과 천장슬래브(2)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고정구(4)와, 경량벽체(1) 하단부와 바닥슬래브(3)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고정구(11)를 가지고 있다.
상부고정구(4)는 도2 의 도시와 같이 천장슬래브(2)에 직접 고정설치되는 천장부착편(5)과 경량벽체(1)의 상부에 접하는 벽체고정편(12) 그리고 마감부재로 나누어진다. 천장부착편(5)은 U 자형의 삽입부(6)와 삽입부의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날개부(7)로 이루어지며, 날개부와 날개부 사이의 삽입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보강대(9)가 설치되며, 날개부(7)와 삽입부(6) 사이에는 보강대(8)가 부착되어 있으며, 날개부와 삽입부에는 각각 볼트공(10)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벽체고정편(12)은 천장부착편(5)의 삽이부(6)가 삽입되는 삽입홈(13), 이 삽입홈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부(14), 그리고 평면부와 직각을 이루는 날개부(15)가 구성되어 있으며, 삽입홈 (13)의 벽면(13a)과 평면부(14)사이에는 보강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 (13)의 벽면(13a)에는 상하로 길다란 볼트공(17)이 천공되고, 날개부 (15)에도 볼트공(15a)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도3 의 도시와 같이 천장부착편 (5)의 삽입부(6)가 벽체고정편(12)의 삽입홈(13)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도1 의 도시와 같이 마감부재(19)가 상부고정구(4)의 측면에 부착되면 상부고정구 내부에는 공간부(A)가 형성된다.
하부고정구(11)는, 도1 및 도4 의 도시와 같이 바닥슬래브(3)에 사이띠어 고정설치 되어 공간부(B)를 제공하는 두개의 받침부재(20)와 삽입편(22)이 받침부재 (20)의 상면과 경량벽체(1)하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마감부재(21)로서 구성된다.
한편 도6, 도7, 도8 은 본고안 장치에서 사용되는 하부고정구(11)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6 의 경우는 바닥슬래브(3)에 고정되는 제1받침부재(30)와 내부에 공간부 (B)가 형성되고, 제1받침부재 보다 높이가 높으며 제1받침부재(30)좌우로 고정설치되는 제2받침부재(31) 및 받침부재를 감싸주는 마감부재(32)로서 구성된다.
도7 의 경우는 바닥슬래브(3)에 고정설치되어 공간부(B)를 제공하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고정편(34)이 일체로 구성된 두개의 받침부재(33)와 삽입편(35)이 받침부재의 상면과 경량벽체(1)하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마감부재(36)로 구성되는 것이며,
도8 의 경우는 받침부재 없이 바닥슬래브(3)에 직접 삽입되는 삽입부분(37)과 바닥 고정부분(38)및 판넬 고정부분(39)으로 구성된 고정편(40)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상부고정구(4)와 하부고정구(11)를 사용하여 경량벽체(1)를 고정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량벽체(1)를 설치할 위치의 바닥슬래브(3)에 두개의 받침부재(20)를 경량벽체의 두께만큼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고, 그 직상방의 천장슬래브(2)에는 상부고정구(4)의 천장부착편(5)을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삽입부(6)에 벽체고정편 (12)의 삽입홈(13)을 끼운다음 삽입부(6)의 볼트공(10)과 삽입홈벽면(13a)의 볼트공(17)을 일치시켜 별도의 볼트(도시생략)로 빠지지 않게 한다.
이상태에서 바닥슬래브(3)에 설치된 두개의 받침부재(20)사이의 공간부(B)에에 필요하다면 배선이나 냉, 난방파이프와 같은 각종 배관파이프(25)를 배관하고, 경량벽체 (1)의 상단부를 상부고정구의 벽체고정편(12)에 끼운다음, 하측을 두개의 받침부재 (20)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받침부재(20)와 경량벽체하부 사이에 마감부재(21)의 삽입편(22)을 밀어끼운후 나사로 고정하여 경량벽체의 하부를 고정완료 한다.
경량벽체(1)의 하부가 고정 완료된다음 상부고정구(4)의 벽체고정편(12)을 경량벽체(1)의 상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공(10)과 (17)사이에 이미 끼워저 있는 볼트를 조여서 천장부착편(5)과 벽체고정편(12)을 고정시킴으로서 경량벽체는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태에서 천장부착편(5)과 벽체고정편(12)사이에 형성된 공간부(A)에 전기선이나 전화선 또는 각종 통신선(26)을 배선한다음, 상부고정구(4)의 양측면으로 마감부재(19)를 고정설치 하므로서 경량벽체의 고정작업이 모든 배관, 배선 작업과 함께 완료된다.
또한 경량벽체의 해체시에는 설치의 역순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본고안의 경량벽체 고정장치는 상부고정구 와 하부고정구 각각이 전기배선이나 각종 통신선을 함유하기 위한 공간부분과 냉,난방 파이프를 설치할수 있는 공간부분을 가지고 있어, 철거 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거주자들이 취향에따라 손쉽게 내부구조를 변경할수 있어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이룰수있고,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작업에 적합할수 있고,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기여할수 있다.

Claims (4)

  1. 전선과 통신선을 수용하는 공간부(A)가 마련된 상부고정구(4)와, 냉난방파이프를 수용하는 공간부(B)가 마련된 하부고정구(11)로서, 경량벽체(1)를 천장슬래브 (2)와 바닥슬래브(3) 사이에 고정설치하는 고정장치로서,
    상부고정구(4)는, 천장슬래브(2)에 고정설치되는 천장부착편(5)과 경량벽체 (1)의 상부에 접하는 벽체고정편(12)및 마감부재(19)로 구성되어, 천장부착편 (5) 은 U 자형의 삽입부(6)와 삽입부의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날개부 (7)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다수개의 보강대(9)가 형성된 삽입부(6)와 날개부(7)에는 각각 볼트공(10)(10a)이 천공되고, 벽체고정편(12)은 천장부착편(5)의 삽이부 (6)가 삽입되는 삽입홈(13), 이 삽입홈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부(14), 그리고 평면부와 직각을 이루는 날개부(15)가 구성되어 있으며, 삽입홈 (13)의 벽면(13a)과 평면부(14)사이에는 보강대(16)가 형성되고, 삽입홈 (13)의 벽면(13a)에는 상하로 길다란 볼트공(17)이 천공되었으며,
    하부고정구(11)는, 바닥슬래브(3)에 사이띠어 고정설치 되어 공간부(B)를 제공하는 두개의 받침부재(20)와 삽입편(22)이 받침부재 (20)의 상면과 경량벽체(1)하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마감부재(21)로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경량벽체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고정구(11)는, 바닥슬래브(3)에 고정되는 제1받침부재(30)와 내부에 공간부(B)가 형성되고 제1받침부재보다 높이가 높으며, 제1받침부재 좌우로 고정설치되는 제2받침부재(31) 및 받침부재를 감싸주는 마감부재(32)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벽체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고정구(11)는, 바닥슬래브(3)에 고정설치되어 공간부(B)를 제공하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고정편(34)이 일체로 구성된 두개의 받침부재(33)와 삽입편(35)이 받침부재의 상면과 경량벽체(1) 하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마감부재(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벽체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고정구(11)는, 받침부재 없이 바닥슬래브(3)에 직접 삽입되는 삽입부분 (37)과 바닥고정부분(38)및 판넬고정부분(39)으로 구성된 고정편(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벽체 고정장치.
KR2020000036578U 2000-12-27 2000-12-27 경량벽체 고정장치 KR200228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578U KR200228582Y1 (ko) 2000-12-27 2000-12-27 경량벽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578U KR200228582Y1 (ko) 2000-12-27 2000-12-27 경량벽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582Y1 true KR200228582Y1 (ko) 2001-06-15

Family

ID=7309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578U KR200228582Y1 (ko) 2000-12-27 2000-12-27 경량벽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5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422B2 (en) Modular buildings
AU2014100244A4 (en) A prefabricated steel structural build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3485414A (zh) 一种预制装配式钢结构房屋建造体系及其构建方法
KR200432623Y1 (ko) 경량벽체 지지유닛
KR200228582Y1 (ko) 경량벽체 고정장치
KR200228583Y1 (ko) 경량벽체 고정장치
IE20110183A1 (en) Structural panel and a building structure formed therefrom
EP3762555A1 (en) Prefabricated building system
KR101961733B1 (ko) 조립식 하우스
KR100240137B1 (ko) 조립식건축물 구축용 구조물.
KR100438259B1 (ko) 경량벽체 시스템
JP2579706B2 (ja) 設備配管ユニット式建物構造
KR200261644Y1 (ko) 조립식 욕실용 경량복합판넬
JP2000160675A (ja) 集合住宅
KR102619646B1 (ko) 전산 볼트 설치용 비구조 내진 장치
JP7331631B2 (ja) 基礎断熱構造
JP2967816B1 (ja) バルコニーの構造
CN219327201U (zh) 一种新型装配式围护墙体结构
CN215563529U (zh) 一种新型装配式建筑墙体结构
RU15900U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крупнопанельное здание
KR200223798Y1 (ko) 경량벽체
KR102209700B1 (ko)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프리캐스트형 중공슬래브 시공방법 및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시스템
US20240011276A1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RU2412308C1 (ru) Огражд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металлическим каркасом
KR200343272Y1 (ko) 건축물의 경량 벽체 내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