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304Y1 -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 - Google Patents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304Y1
KR200229304Y1 KR2020010001225U KR20010001225U KR200229304Y1 KR 200229304 Y1 KR200229304 Y1 KR 200229304Y1 KR 2020010001225 U KR2020010001225 U KR 2020010001225U KR 20010001225 U KR20010001225 U KR 20010001225U KR 200229304 Y1 KR200229304 Y1 KR 200229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unit
wall
lightweight
lightweight wal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대한주택공사
주식회사 한양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주택공사, 주식회사 한양목재 filed Critical 대한주택공사
Priority to KR2020010001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304Y1/ko

Links

Landscapes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의 내부벽체로서 사용하는 경량벽체와 경량벽체를 연결 고정시킴은 물론 전선이나 각종 통신선을 배선 할수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은 경량벽체를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설치하며, 또한 수직유닛을 통하여 전기배선이나 각종 통신선 및 냉,난방 배관이 설치될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고안의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은,경량벽체 측면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된 두개의 길다란 프레임과, 두개의 프레임을 연결 지지하여 주고 각종 배선을 통과 시키기위한 전선공(또는 배관공)이 천공된 보강목재 및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되는 두개의 전면판 및 후면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은 철거 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거주자들이 취향에따라 손쉽게 내부구조를 변경 하는데 기여할수 있다.

Description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The Vertical unit for assembly the light weight wall}
본 고안은 주택의 내부벽체로서 사용하는 경량벽체와 경량벽체를 연결 고정시킴은 물론 전선이나 각종 통신선을 배선 할수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현재의 모든 주택의 구조는 벽, 바닥, 기둥, 보 덕트 등과 같은 구조체부분(support)과, 간막이벽체, 수납벽체, 창호 등과 같은 비구조체부분 (Infill)으로 구성되어 지며, 비구조체의 경우에도 대부분 벽돌등 으로 쌓은다음 몰탈로 마무리 되기 때문에 일단 한번 시공된 후에는 벽체의 위치를 변경시킬수가 없다.
그러므로 거주자들의 취향에 따라 내부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비구조체 부분의 벽체를 해체할 경우 해체된 벽체를 재활용 할수 없을뿐만 아니라 많은 산업폐기물이 발생됨은 물론, 해체작업 자체가 매우 어렵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노후 건물의 리모델링 작업에도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일단 건물이 시공 완료된 후에도 건물의 벽체를 쉽게 해체할수 있고, 또한 해체한 벽체를 다른 위치에 다시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게, 가변이 용이한 벽체를 구성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본고안 에서는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벽체와 벽체를 연결고정 시킴이 용이한 수직유닛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경량벽체와 경량벽체를 상호 연결시킴은 물론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또한 전선이나 각종 통신선등의 배선이 용이한 수직유닛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은,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특히 전기선이나 각종 통신선 및 냉난방 배관 등을설치하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은, 경량판넬의 결합돌기를 받아들이는 결합홈이 형성된 두개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높낮이 조절용핀에 의해 설치된 간격유지구, 두개의 프레임을 서로 고정시켜주는 보강목재 및 고정구, 그리고 프레임의 전후면을 감싸주는 전면판과 후면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은 경량벽체의 조립이 용이 하면서도 철거 및 재시공( 경량벽체 포함 )이 용이하여 거주자들이 취향에따라 손쉽게 내부구조를 변경할수 있어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이룰수있고,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작업에 적합하고,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 하는데 기여할수 있다.
도1 은 본고안 수직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2 는 본고안 수직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3 은 프레임과 보강목재 부분의 고정상태를 나타내기위한 확대도.
도4 는 수직유닛이 바닥면과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5 는 본고안 수직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 은 본고안 수직유닛을 바닥면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2 : 프레임
3 : 프레임
4 : 결합홈
5 : 보강목재
6 : 전선공(또는 배관공)
7 : 고정구
8 : 하부 고정구
9. 간격유지구
10 : 높낮이 조절용핀
11 : 공간부
본고안의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1)은 모두 목재로서 구성되는데, 도1 에 도시된바와 같이 경량벽체의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홈(4)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두개의 프레임(2)(3)을 보강목재(5)로서 고정 시켜주고 있는데, 도3 또는 도4의 도시와 같이 보강목재(5)와 프레임(2)(3)은 고정구(7)로서 고정되고, 보강목재(5)에는 각각 중앙에 전선공(또는 배관공)(6)이 천공되어 있으며, 보강목재(5)사이의 공간에는 차음재(암면 등)가 충진되어 있다.
또한 각 프레임(2)(3)의 상단에는 프레임의 상면과 높낮이 조절용핀(10)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간격유지구(9)가 높낯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프레임의 상면과 간격유지구 (9)사이에는 전선등이 통과할수 있는 공간부 (11)가 마련된다. 그리고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전면판(13)과 후면판(12)이 부착되어 수직유닛(1)을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1)을 사용하여 경량벽체(15)를 고정설치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1)을 설치할 위치의 바닥슬래브(또는 온돌바닥)(16)에 일측의 전면판 또는 후면판을 분리한 상태로 수직유닛(1)을 세우고 상측의 간격유지구(9)를 천정슬래브(17)에 밀착시킨 다음, 도4의 도시와 같이 프레임 하측과 바닥슬래브(또는 온돌바닥)(16) 사이에 하부 고정구(8)를 설치하고 나사못으로 고정한다.
이후 수직유닛(1)양쪽 프레임(2)(3)의 결합홈(4)에 경량벽체의 결합돌기를 결합시켜서 경량벽체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상태에서 경량벽체 상부를 통하여 배선되는 각종 전선이나 통신선 등은 수직유닛(1)의 프레임(2)(3)상단부와 간격유지구 (9)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1)를 통하여 인접의 경량벽체로 배선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보강목재(5)에 형성된 전선공(또는 배관공)(6)을 통하여 수직유닛(1)내부로 연장하여 배선할수도 있다.
경량벽체의 조립설치 및 전선이나 통신선의 배선 및 배관등이 완료된 다음 내측 공간에는 차음재(암면 등)를 충진한 다음 수직유닛에 분리하였던 전면판이나 후면판을 조립하므로서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해체시에는 설치의 역순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본고안의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을 이용하여 경량벽체를 조립할 경우 경량벽체와 경량벽체를 서로 견고하면서도 신속하게 조립할수 있음은 물론, 각종 배선 및 배관이 통과할수 있는 공간부분을 가지고 있어 배선 및 배관이 용이하며, 철거 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거주자들이 취향에따라 손쉽게 내부구조를 변경할수 있어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이룰수있고,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작업에 적합할수 있고,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 하는데 기여할수 있다.

Claims (1)

  1. 경량벽체의 측면을 수용하는 결합홈(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두개의 프레임(2)(3)이 중앙에 전선공(또는 배관공)(6)이 천공된 보강목재(5)로서 연결되어 지고, 보강목재(5)사이의 공간에는 차음재(암면 등)가 충진되며, 프레임(2)(3)의 상측단에는 높낮이 조절용핀(10)에 의하여 높낯이가 조절될수 있게 간격유지구(9)가 설치되어, 간격 유지구와 프레임 상면과의 사이에는 공간부(11)가 마련되어 있으며, 프레임(2)(3)의 전후면 으로는 전면판(13)과 후면판(12)이 각각 부착되어 이루어진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
KR2020010001225U 2001-01-17 2001-01-17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 KR200229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225U KR200229304Y1 (ko) 2001-01-17 2001-01-17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225U KR200229304Y1 (ko) 2001-01-17 2001-01-17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304Y1 true KR200229304Y1 (ko) 2001-07-19

Family

ID=7306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225U KR200229304Y1 (ko) 2001-01-17 2001-01-17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3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818B1 (ko) 2007-06-07 2009-06-12 삼신설계(주) 건축물의 배선이 용이한 가변 벽체 인터페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818B1 (ko) 2007-06-07 2009-06-12 삼신설계(주) 건축물의 배선이 용이한 가변 벽체 인터페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30422A1 (en) Modular buildings
CN115126079B (zh) 筒塔式建筑物及其施工方法
KR200432623Y1 (ko) 경량벽체 지지유닛
KR200229304Y1 (ko) 경량벽체 조립용 수직유닛
CN111936710A (zh) 预制建筑系统
KR200229303Y1 (ko) 경량벽체 조립용 코너형 수직유닛
KR100485585B1 (ko) 조립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형강
KR100694702B1 (ko) 모듈러 주택용 바닥 시스템
CN112523545A (zh) 用于建筑的基本模块和低、多层模块化建筑结构体系
JP5165984B2 (ja) バルコニー床の支持構造
KR200261644Y1 (ko) 조립식 욕실용 경량복합판넬
KR100829954B1 (ko) 모듈러 주택용 유틸리티 시스템
KR100240137B1 (ko) 조립식건축물 구축용 구조물.
WO2008069764A1 (en) Industrialized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KR100438259B1 (ko) 경량벽체 시스템
JP2020041311A (ja) 階段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KR200228583Y1 (ko) 경량벽체 고정장치
US20240200328A1 (en) Prefabricated structural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al system
CN217325952U (zh) 隔墙管线一体化结构
US20240011276A1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KR20020074693A (ko) 구형 조립식건축물 및 그 건축방법
KR200228582Y1 (ko) 경량벽체 고정장치
KR200223798Y1 (ko) 경량벽체
JP2000145012A (ja) 建物ユニットの壁材
KR200268308Y1 (ko) 간막이 벽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