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077B1 - 앵커볼트와확개쐐기를구비한고정요소 - Google Patents

앵커볼트와확개쐐기를구비한고정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077B1
KR100438077B1 KR1019960014629A KR19960014629A KR100438077B1 KR 100438077 B1 KR100438077 B1 KR 100438077B1 KR 1019960014629 A KR1019960014629 A KR 1019960014629A KR 19960014629 A KR19960014629 A KR 19960014629A KR 100438077 B1 KR100438077 B1 KR 10043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anchor bolt
widening
hol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779A (ko
Inventor
헤르브 아르민
포르스터 후베르트
Original Assignee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6004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1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 wedging drive-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 볼트(1)와 확개 쐐기(2)를 구비한 고정 요소에 관한 것이다. 앵커 볼트(1)는 그 때려 박기 방향(S)의 전방 영역(7)에 쐐기형으로 확장된 외측 윤곽 및 쐐기면(4)을 가지며, 이 쐐기면(4)을 따라 확개 쐐기(12)는 확개를 위해 때려 박기 방향(S)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앵커 볼트(1)는 그 후방 단부 영역(6)에 확개 쐐기(2)용 관통 구멍(3)을 가진 하중 수용을 위한 플랜지형 작용 부재(5)를 구비하며, 확개 쐐기(2)는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게 앵커 볼트(1)에 유지된다. 확개 쐐기(2)의 플랜지형 작용 부재(5)를 넘어 돌출되는 후방 영역(14)의 외측 윤곽은 확개 쐐기(2)가 확개된 상태에서 클램핑식 장착에 의해 관통 구멍(3) 내에 지탱된다.

Description

앵커 볼트와 확개 쐐기를 구비한 고정 요소
본 발명은 앵커 볼트와 확개 쐐기를 구비한 고정 요소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앵커 볼트는 그 때려 박기 방향의 전방 영역에 쐐기 모양으로 확장된 외측 윤곽 및 쐐기면을 가지며, 이 쐐기면을 따라 확개 쐐기가 확개를 위해 때려 박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앵커 볼트의 후방 단부 영역에 확개 쐐기용 관통 구멍을 가진 하중 지지를 위한 플랜지형 작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확개 쐐기는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앵커 볼트에 유지된다.
앵커 볼트와 확개 쐐기를 구비한 고정 요소는 무엇보다도 중간 천장, 벽판, 비계, 관, 배선 등의 고정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 요소는 대량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단지 약간의 시간만을 소비하면서 특수한 공구 없이 때려 박을 수 있다는 것이 요구된다. 이 고정 요소는 고정 하중, 예컨대 현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앵커 볼트로서 구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공지의 고정 요소에서는 확개 쐐기가 앵커 볼트에 마련된 쐐기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고정 요소는 확개를 일으킨 후 미리 준비된 수납 구멍에, 예컨대 천장에 있는 수납 구멍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예컨대 현수 하중에 의해 앵커 볼트에 힘이 작용하게 되면, 고정 요소의 추가적인 이차 확개가 일어나게 된다.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0,283,720호에는 앵커 볼트와 확개 쐐기로 구성된 고정 요소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앵커 볼트는 관통 구멍을 가진 작용 플랜지 및 쐐기면을 구비하며, 이 쐐기면을 따라 확개 쐐기가 고정 요소의 확개를 위해 때려 박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확개 쐐기는 관통 구멍으로 안내된다. 확개 쐐기는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돌출부는 고정 요소를 예비 조립할 때, 즉 앵커 볼트와 확개 쐐기를 함께 조합할 때, 확개 쐐기를 앵커 볼트의 관통 구멍에 클램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돌출부는 작용 플랜지에 있는 관통 구멍의 표면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하며, 고정 요소의 때려 박기 방향으로 돌출부가 작용 플랜지의 관통 구멍의 표면과 접촉할 때, 앵커 볼트에 대한 확개 쐐기의 예비 조립 중에 약간의 변형을 일으킨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확개 쐐기는 기울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그 때려 박기 방향의 단부는 자리에서 이탈하고, 앵커 볼트의 외측 윤곽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하는 중에 앵커 볼트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예비 조립된 고정 요소는 확개 쐐기의 이격에 기인하여 앵커 볼트의 직경에 맞춰져 미리 준비된 수납 구멍에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공지의 고정 요소에 대한 단점은 특히 천장에 있는 수납 구멍에 조립할 때, 고정 요소가 자발적으로 수납 구멍에 지탱되는 것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때려 박기 작업이 완료할 때까지 고정 요소가 수납 구멍에 제대로 지탱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시정하기 위해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0 620 347호에는 앵커 볼트와 확개 쐐기를 구비한 고정 요소가 제안되었으며, 이 고정 요소의 확개 쐐기는 활 모양으로 형성되어, 확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앵커 볼트의 전방 및 후방 단부 영역에만 앵커 볼트의 표면에 접촉한다. 이 고정 요소의 확개 쐐기는 예비 조립시 앵커 볼트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확개 쐐기의 때려 박기 방향의 전방 영역은 앵커 볼트의 쐐기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끄러진다. 이러한 확개가 이루어지지 않은 위치에서는, 확개 쐐기가 플랜지에 의해 앵커 볼트에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확개 쐐기의 때려 박기 방향의 전방 영역은 앵커 볼트의 쐐기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 요소를 앵커 볼트의 직경에 맞춰진 수납 구멍에 삽입하게 되면, 외측으로 휘어진 아치형 확개 쐐기는 역방향 변형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예비 응력이 발생하며, 이 응력에 의해 고정 요소가 수납 구멍에 유지되며, 이것은 특히 오버 헤드형 장착을 용이하게 해준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지금까지 공지된 고정 요소의 단점은 해결되지만, 이러한 고정 요소도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개량된 고정 요소의 확개 쐐기는 벽두께가 더욱 얇아진 영역을 지니기 때문에, 때려 박기 작업 중에 확개 쐐기의 후방 영역이 때려 박기 방향으로 연달아 들어갈 수 있어, 확개 쐐기의 후방 단부는 플랜지형 작용 부재와 동일한 평면으로 때려 박혀질 수 있다. 경질의 콘크리트의 경우, 수납 구멍 내에서의 확개력은 매우 커져, 때려 박기할 때 전단(剪斷) 영역으로서 형성된 얇은 벽두께의 영역에서 확개 쐐기가 전단된다. 이러한 경우, 전단 영역을 특수하게 형성함으로써 확개 쐐기가 계속적으로 때려 박혀질 수 있다. 한편, 수납 구멍 내에서 전단한 확개 쐐기의 후방 영역은 더 이상 적절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관통 구멍을 통해 떨어져 나오는 우려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고정 요소의 유지 능력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는 자신이 볼 수 있는 확개 쐐기의 부분이 종종 수납 구멍에제대로 지탱되지 못하거나 심지어 떨어져 나오는 것을 확인하면서 당혹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이 일어나지 않도록 공지된 고정 요소를 개선하는 것이다. 때려 박는 작업 중에 확개 쐐기가 전단될 경우에도, 전체 확개 쐐기를 확실한 유지가 자동적으로 보장되는 고정 요소가 제공되어야 한다. 때려 박혀진 고정 요소는 사용자에게 당혹감을 일으킬 구실을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사용자는 고정 요소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고정 요소는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언급된 특징을 가진 고정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앵커 볼트와 확개 쐐기를 구비하는 고정 요소가 제공된다. 앵커 볼트는 그 때려 박기 방향의 전방 영역에 쐐기형으로 확장된 외측 윤곽 및 쐐기면을 가지며, 이 쐐기면을 따라 확개 쐐기는 확개하도록 때려 박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앵커 볼트는 그 후방 단부 영역에 확개 쐐기용 관통 구멍을 가진 하중 지지를 위한 플랜지형 작용 부재를 구비한다. 확개 쐐기는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앵커 볼트에 유지된다. 플랜지형 작용 부재의 외측 윤곽보다 더 돌출하는 확개 쐐기의 후방 영역의 외측 윤곽은, 확개 쐐기가 확개된 상태에서 클램핑식 장착에 의해 관통 구멍 내에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구성에 의해, 확개 쐐기가 항상 제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때려 박기 방향으로의 때려 박기 작업 동안 확개 쐐기의 전단 영역이 전단될 경우조차도, 확개 쐐기의 후방 단부는 플랜지형 작용 부재와 동일한 평면 상태로 종결되어 관통 구멍 내에 확실하게 유지되어 떨어져 나올 수 없게 된다. 사용자는 고정 요소가 정확하게 때려 박혀진 것을 직접 알아 볼수 있으며, 이로써 때려 박혀진 고정점의 하중 유지 능력을 의심할 여지가 없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는 조립이 간단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확개 쐐기의 후방 영역의 축방향 투영 윤곽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 구멍의 투영 윤곽의 외측에 존재하도록 하면, 확개 쐐기가 작용 부재의 관통 구멍에 매우 쉽게 억지 끼워맞추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의 축방향 투영 윤곽의 외측에 존재하는 확개 쐐기의 영역이 약 10㎛ 내지 50㎛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크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한편으로 확개 쐐기의 때려 박기 작업 중에 자체적으로 잠기는 결과가 초래되지 않으며, 다른 한편으로 확개된 상태에서 충분한 억지 끼워맞춤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확개 쐐기의 외측 윤곽은 그 후방 단부를 향해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넓어진다. 확개 쐐기를 때려 박을 때 관통 구멍은 약간 확대한다. 그러나, 확개 쐐기의 후방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넓어진 반경 방향의 외측 윤곽은 작용 부재의 관통 구멍에서 억지 끼워맞춤 작용을 연속적으로 갱신시키고, 이 억지 끼워맞춤 작용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이 경우, 확개 쐐기는 예비 조립된 확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앵커 볼트의 후방 단부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넓어진 영역은 고정 요소의 예비 조립 상태에서 관통 구멍으로부터 확개 쐐기가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확개 쐐기의 후방 영역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후방 돌출부가 마련된다. 확개 쐐기의 후방 영역의 최대 직경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2개의 걸림편 모양으로 형성된 후방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후방 돌출부는 확개 쐐기를 찌부러뜨림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확개 쐐기의 후방 영역이 확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통 구멍의 내벽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적합하게는, 확개 쐐기의 축방향 투영 윤곽에서 후방 돌출부에 의해 덮이는 2개의 추가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때 후방 돌출부는 상기 추가의 돌출부보다 약 10㎛ 내지 25㎛ 정도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한다. 걸림편 모양의 추가의 돌출부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가 확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예비 조립된 확개 쐐기가 떨어져 나오는 것을 추가적으로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확개 쐐기를 만곡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확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앵커 볼트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영역에만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 확개 쐐기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플랜지형 작용 부재의 관통 구멍에 유지되며, 보관 및 취급시 앵커 볼트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것이 보장된다. 확개 쐐기를 만곡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의 또 다른 장점은, 앵커 볼트와 확개 쐐기가 수납 구멍에 비해 약간의 큰 치수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오버 헤드식 장착에도 불구하고 고정 요소가 수납 구멍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고정 요소는 앵커 볼트(1)와 확개 쐐기(2)로 이루어져 있다. 앵커 볼트(1)는 그 때려 박기 방향(S)과는 반대측의 후방 단부 영역(6)에 관통 구멍(3)을 갖는 플랜지형의 작용 부재(5)를 구비하며, 관통 구멍(3)은 앵커 볼트(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확개 쐐기(2)를 수납 및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앵커 볼트(1)의 때려 박기 방향(S)의 전방 영역(7)에는, 전방 단부를 향해 쐐기형으로 확장되는 외측 윤곽을 지닌 쐐기면(4)이 형성되어 있으며, 확개 쐐기(2)는 확개를 위해 때려 박기 방향(S)으로 상기 쐐기면(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확개 쐐기(2)는 부분적으로 반원형으로 형성된 횡단면을 가지고, 그 때려 박기 방향의 전방 단부까지 경사져서 앵커 볼트(1)의 쐐기면(4)에 대응하는 접촉면(4a)을 가진다. 확개 쐐기(2)는 예비 조립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앵커 볼트(1)에 유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확개 쐐기(2)는 확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만곡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앵커 볼트(1)의 후방 단부 영역(6) 및 전방 단부 영역(7)에만 접촉한다. 앵커 볼트(1)와 확개 쐐기(2) 사이의 최대 여유를 약 0.2㎜ 내지 1.5㎜로 하면 적합하다. 제1도는 예비 조립 상태의 고정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확개 쐐기(2)는 플랜지형 작용 부재(5)에 있는 관통 구멍(3)을 통해 돌출되고, 이 관통 구멍(3)에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제2도에서는, 예비 조립된 상태로 확개되지 않은 고정 요소가 수납 재료(10)의 수납 구멍(13)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플랜지형 작용 부재(5)의 때려 박기 방향 측의 단부면과 수납 재료(10)의 표면(11) 사이에는 건축 부재(9)가 도시되어 있다. 수납 구멍(13)은 대략 앵커 볼트(1)의 외측 윤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진다. 만곡 형상으로 구성한 확개 쐐기는 예비 응력이 걸린 상태에서 수납 구멍(13)의 내벽에 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개 쐐기(2)는 앵커 볼트(1)에 대해 가압되어 이들 확개 쐐기와 앵커 볼트 사이에는 여유가 조금이거나 거의 없이 유지된다. 고정 요소는 예비 응력에 의해 수납 구멍 내에 유지되어 오버 헤드식 장착에도 불구하고 수납 구멍(13)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없게 된다. 이 점에서, 상기 고정 요소는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0 620 374호에 개시되어 있는 고정 요소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요소(1)의 확개 쐐기(2)에는 플랜지형 작용 부재(5)를 넘어 돌출하는 후방 영역(14)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15)가 갖추어져 있다. 이 후방의 돌출부(15)는, 예컨대 확개 쐐기(2)의 재료를 찌부러뜨림으로써 형성되고 확개 쐐기(2)의 측면 윤곽으로부터 더 돌출한 코의 형상을 가진다. 특히, 돌출부(15)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개된 상태에서 확개 쐐기(2)가 관통 구멍(3)에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수납 구멍(13) 내에서의 고정 요소의 확개는 예컨대, 해머 형상을 가진 도시 생략된 타격 공구의 보조하에 수행되며, 이 타격 공구는 확개 쐐기(2)의 후방 타격면(8)이 앵커 볼트(1)의 후방 단부 영역(6)에 있는 플랜지형 작용 부재(5)의 후방 단부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정렬될 때까지 상기 후방 타격면(8)에 타격을 가하게 된다. 동일한 평면 상태까지 확실하게 때려 박을 수 있도록, 확개 쐐기(2)에는 때려 박기 작업 동안 경질의 수납 재료(10)에서도 확개 쐐기(2)의 후방 영역(14)이 때려 박기 방향으로 연이어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전단 영역(12)이 마련되어 있다. 확개 쐐기(2)의 후방 타격면(8)이 앵커 볼트(1)의 타격면을 구성하는 후방 단부 영역(6)과 동일한 평면 상태로 정렬되는 것은, 고정 요소의 때려 박기 작업이 정확하게 실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확개 쐐기(2)의 전진 이동시, 돌출부(15)는 플랜지형 작용 부재(5)의 관통 구멍(3) 내에 때려 박혀서 이 관통 구멍(3)에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확개 쐐기(2)가 전단 영역(12)에서 전단된 경우에도, 확개 쐐기(2)의 후방 부분은 고정적으로 유지되어 관통 구멍(3)으로부터 떨어져 나올 수 없게 된다. 건축 부재(9)에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고정 요소의 추가적인 확개가 달성된다.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실시예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 것에 비해 약간의 수정을 가한 것이다. 제4도에 사용하는 도면 부호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구성 부분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적합한 실시예에서, 확개 쐐기(2)의 후방 영역(14)에는 후방 돌출부(15)에 추가하여 고정 요소의 예비 조립 상태에서 미리 관통 구멍(3) 내에서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되는 2개의 돌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추가의 돌출부(16)는, 후방의 돌출부(15)와 마찬가지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개 쐐기(2)의 최대 직경부의 양측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후방 돌출부(15)는 추가의 돌출부(16)보다 반경 방향으로 약 10㎛ 내지 25㎛ 정도 더 돌출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후방 돌출부(15)는 추가의 돌출부(16)에 의해 미리 넓혀진 관통 구멍(3)에 클램핑식 장착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확개 쐐기(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확개 쐐기(2)의 후방 영역(14)에는 확개 쐐기(2)의 후방 타격면(8)을 향해 연속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넓혀진 2개의 돌출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15)의 길이 방향의 범위는, 고정 요소의 예비 조립 상태에서 돌출부(15)가 미리 관통 구멍(3)에 고정되게 하는 치수로 결정된다. 때려 박기 작업동안, 확개 쐐기(2)는 관통 구멍(3) 내에서 때려 박기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에따라, 관통 구멍(3)이 넓어지는 동시에 후방 타격면(8)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는 돌출부(15)에 의해 억지 끼워맞춤 작용이 연속적으로 갱신되어 한층 더 커진다.
제6도에 도시된 확개 쐐기(2)의 추가의 돌출부(16) 및 제7도의 확대 쐐기(2)의 후방 돌출부(15)의 길이 방향의 연장부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예비 조립 상태에서 확개 쐐기(2)가 떨어져 나오지 못하게 방지하는 부가의 작용을 한다. 제4도, 제6도 및 제7도에는, 확개 쐐기(2)의 때려 박기 방향의 전방 단부에 쐐기형의 접촉면(4a)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접촉면(4a)의 후방에는 확개 쐐기의 전단 영역(12)이 설치되어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를 제4도의 화살표 P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의 고정 요소의 확개 쐐기(2)는 제1도 내지 제3도, 제6도 또는 제7도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확개 쐐기(2)의 후방 영역(14)에 있는 돌출부(15)가 관통 구멍(3)의 외측 투영윤곽의 범위 외측으로 연장된다는 것이다. 특히, 돌출부(15)는 관통 구멍(3)의 투영 단면보다 약 10㎛ 내지 50㎛ 정도 더 돌출한다. 제4도 및 제6도에 따른 확개 쐐기(2)의 경우, 확개 쐐기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반경 방향으로 보다 적게 돌출된 추가의 돌출부(16)가 후방 돌출부(15)에 의해 가려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돌출부(15, 16)를 가진 확개 쐐기(2)에 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확개 쐐기(2)는 단독으로 배치된 돌출부(15, 16)를 구비할 수도 있다. 확개 쐐기(2)가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고 그 윤곽이 후방 타격면(8)을 향해 전체적으로 넓어진 후방 영역(14)을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제1도 내지 제5도에는, 플랜지형 작용 부재(5)의 때려 박기 방향의 반대측의 측면에 모따기 한 환상 평면(6a)이 도시되어 있다. 이 환상 평면(6a)은 앵커 볼트(1)의 타격면으로서 구성한 후방 단부 영역(6)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모따기된 환상 평면(6a)은 확개 쐐기(2)의 때려 박기 동안 타격 공구, 예컨대 해머가 맞닿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환상 평면(6a)은 문자를 새기는 데에 사용되어, 때려 박기 작업 후에도 사용자가 판독할 수 있도록 남겨진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때려 박힌 고정 요소를 간단히 식별할 수 있고, 고정 지점의 고정 요소의 종류가 어떤 것인가를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구성에 의해, 확개 쐐기가 항상 제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때려 박기 방향으로 때려 박기 작업을 행하는 동안 확개 쐐기가 전단 영역에서 전단될 경우에도, 확개 쐐기의 후방 단부가 플랜지형작용 부재와 동일한 평면 상태로 되는 것에 따라 관통 구멍 내에 확실하게 유지되고, 떨어져 나올 수 없게 된다. 사용자는 고정 요소가 정확히 때려 박혀진 것을 직접 알아 볼 수 있으며, 이로써 때려 박힌 고정점에 대한 하중 지탱 능력을 의심할 여지가 없어진다. 간단한 방법에 의해 예비 조립 상태가 고정 요소를 조립하기 전에 떨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미리 준비된 수납 구멍 내에 고정 요소를 삽입함으로써 예비 응력이 계속 유지되어, 삽입되기는 했지만 아직 확개되지 않은 고정 요소가 오버 헤드식 장착시 천장에 있는 수납 구멍에 자동적으로 유지된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는 간단하게 조립되고 저렴하게 제조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확개되지 않은 상태로 수납 구멍에 있는 제1도의 고정 요소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확개된 상태의 제1도 및 제2도의 고정 요소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화살표 P 방향으로 바라본 고정 요소의 단부도.
제6도는 제4도에 따른 고정 요소의 확개 쐐기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확개 쐐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앵커 볼트 2 : 확개 쐐기
3 : 관통 구멍 4 : 쐐기면
5 : 플랜지형 작용 부재 6 : 후방 단부 영역
7 : 전방 단부 영역 8 : 후방 타격면
9 : 건축 부재 14 : 후방 영역
15,16 : 돌출부 S : 때려 박기 방향

Claims (8)

  1. 앵커 볼트(1)와 확개 쐐기(2)를 구비한 고정 요소로, 상기 앵커 볼트(1)는 때려 박기 방향(S)의 전방 영역(7)에 쐐기형으로 확장된 외측 윤곽 및 쐐기면(4)을 가지며, 상기 쐐기면(4)을 따라 상기 확개 쐐기(2)는 확개를 위해 때려 박기 방향(S)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앵커 볼트(1)는 그 후방 단부 영역(6)에 확개 쐐기(2)용 관통 구멍(3)을 가진 하중 지지를 위한 플랜지형 작용 부재(5)를 구비하며, 상기 확개 쐐기(2)가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고 상기 앵커 볼트(1)에 유지되도록 한 고정 요소에 있어서,
    상기 확개 쐐기(2)의 상기 후방 영역(14)의 축방향 투영 윤곽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관통 구멍(3)의 축방향 투영 윤곽의 외측에 존재하고, 이로써, 예비 조립 상태에서는 상기 플랜지형 작용 부재(5)의 외측 윤곽보다 더 돌출하는 확개 쐐기(2)의 후방 영역(14)의 외측 윤곽은, 확개 쐐기(2)가 확개된 상태에서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관통 구멍(3)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3)의 축방향 투영 윤곽의 외측에 존재하는 확개 쐐기(2)의 영역은 관통 구멍(3)의 투영 윤곽보다 약 10㎛ 내지 50㎛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 쐐기(2)의 외측 윤곽은 후방타격면(8)을 향해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요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 쐐기(2)의 후방 영역(14)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후방 돌출부(1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요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 쐐기(2)의 후방 영역(14)의 최대 직경부의 양측에는 2개의 걸림편 모양으로 형성된 후방 돌출부(1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요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 쐐기(2)의 후방 영역(14)에는, 예비 조립되어 확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통 구멍(3)의 내벽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돌출부(16)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요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 쐐기(2)의 축방향 투영 윤곽에서 상기 후방 돌출부(15)에 의해 가려지는 2개의 추가의 돌출부(16)가 마련되며, 상기 후방 돌출부(15)는 상기 추가의 돌출부(16)보다 약 10㎛ 내지 25㎛ 정도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요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확개 쐐기(2)는 확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앵커 볼트(1)의 전방 단부 영역(7) 및 후방 단부 영역(6)에만 접촉하도록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요소.
KR1019960014629A 1995-05-11 1996-05-06 앵커볼트와확개쐐기를구비한고정요소 KR100438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7216A DE19517216A1 (de) 1995-05-11 1995-05-11 Befestigungselement mit Ankerbolzen und Spreizkeil
DE19517216.7 1995-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779A KR960041779A (ko) 1996-12-19
KR100438077B1 true KR100438077B1 (ko) 2004-08-02

Family

ID=776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629A KR100438077B1 (ko) 1995-05-11 1996-05-06 앵커볼트와확개쐐기를구비한고정요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51650A (ko)
EP (1) EP0742374B1 (ko)
JP (1) JP4030140B2 (ko)
KR (1) KR100438077B1 (ko)
DE (2) DE19517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07057U1 (de) * 1997-04-21 1997-06-05 Hettich-ONI GmbH & Co. KG, 32602 Vlotho Möbelscharnier
IT244455Y1 (it) * 1998-12-23 2002-03-11 Ferrari Franco Dispositivi di montaggio con tassello ad espansione in particolareper cerniere per mobili
EP1096160B1 (de) * 1999-10-26 2004-04-14 TOGE-Dübel A. Gerhard KG Befestigungselement
DE19958714A1 (de) * 1999-10-26 2001-05-03 Toge Duebel A Gerhard Kg Befestigungselement
US6729821B2 (en) * 2002-02-28 2004-05-04 Karl Guthrie Expansion bolt
US7011281B2 (en) * 2002-02-28 2006-03-14 Karl Guthrie Expansion bolt
US7357363B2 (en) * 2003-12-30 2008-04-15 Karl Guthrie Expansion bolt
IL178735A (en) 2006-10-19 2011-10-31 Aviv Carmel Coupling pin
US20090056267A1 (en) * 2007-07-12 2009-03-05 Reeves Eric William Expansible hole anchor
US20090116933A1 (en) * 2007-11-05 2009-05-07 Darrell Pester Extension apparatus for anchor bolts
DE102008025765A1 (de) 2008-05-29 2009-12-10 TOGE-Dübel A. Gerhard KG Befestigungselement, bestehend aus einem Ankerbolzen und einem Klemmkeil
US8246282B2 (en) * 2010-10-22 2012-08-21 Yeun Chang Hardware Tool Co., Ltd. Multi-shank nail
UA114768U (xx) * 2017-01-30 2017-03-10 Система з'єднання деталей тривимірної механічної модел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6207Y1 (ko) * 1967-02-24 1971-06-05
US4892450A (en) * 1987-03-21 1990-01-09 "Toge-Dubel" A. Gerhard Gmbh Fastening element consisting of a tie bolt and a clamping wed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8594A (en) * 1952-11-04 1956-06-05 Lukens Steel Co Roof bolt
DE2829158A1 (de) * 1978-07-03 1980-01-17 Hilti Ag Befestigungselement mit ankerbolzen und spreizkeil
DE2922567A1 (de) * 1979-06-01 1980-12-04 Hilti Ag Befestigungselement mit ankerbolzen und spreizkeil
DE9310924U1 (de) * 1993-07-21 1993-09-02 Häfele GmbH & Co, 72202 Nagold Stift zur Verbindung von zwei Platten, insbesondere Möbelplatten o.dgl.
US5529424A (en) * 1993-07-21 1996-06-25 Hafele Gmbh & Co. Dowel-type pin for connecting components, particularly furniture pla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6207Y1 (ko) * 1967-02-24 1971-06-05
US4892450A (en) * 1987-03-21 1990-01-09 "Toge-Dubel" A. Gerhard Gmbh Fastening element consisting of a tie bolt and a clamping we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779A (ko) 1996-12-19
EP0742374A1 (de) 1996-11-13
US5651650A (en) 1997-07-29
DE59603392D1 (de) 1999-11-25
JP4030140B2 (ja) 2008-01-09
EP0742374B1 (de) 1999-10-20
JPH08303422A (ja) 1996-11-19
DE19517216A1 (de) 199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077B1 (ko) 앵커볼트와확개쐐기를구비한고정요소
AU649939B2 (en) Self-plugging blind rivet
EP0461790B1 (en) Anchor bolt
EP0877172B1 (en) Expansion anchor
US20040067121A1 (en) Expansion screw
EP0124489B1 (en) Wall dowel
JPH05149313A (ja) 高強度盲ボルト
PT804688E (pt) Bucha cega e metodo para a sua fixacao
SK282936B6 (sk) Rozpínacia kotva
CZ2002364A3 (cs) Upevňovací prvek z kovu
US5716177A (en) Expansible plug for anchoring to a building component
WO2006121301A1 (en) Anchor bolt assembly
US4886406A (en) Anchor bolt and expansion wedge
JPH0564244B2 (ko)
JP4139534B2 (ja) アンダーカットアンカー
JP6197064B1 (ja) 構築用スリーブ
JP200411612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接合材
US4669935A (en) Expansion dowel assembly
JP2000145383A (ja) セグメントの連結工法及び継手構造
JPH08189085A (ja) Rc造コア壁架構における制震ダンパーを取り入れた境界梁の施工方法
JPS62167912A (ja) 円錐状に内向きに拡大された袋穴に固定するための打撃拡張栓
JP2001056080A (ja) 管継手構造
JP6825799B1 (ja)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92262Y1 (ko) 앵커볼트 조립체
KR200394408Y1 (ko) 앵커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