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032B1 - 다용도 라이터 - Google Patents

다용도 라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032B1
KR100438032B1 KR10-2001-7011014A KR20017011014A KR100438032B1 KR 100438032 B1 KR100438032 B1 KR 100438032B1 KR 20017011014 A KR20017011014 A KR 20017011014A KR 100438032 B1 KR100438032 B1 KR 10043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er
assembly
electric path
path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431A (ko
Inventor
폴 아담스
플로이드비. 페어뱅크
리차드엠. 오라지티
브라이언 터비
토마스쥐. 베이리오니스
제임스엠. 맥도노
Original Assignee
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102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28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28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 F23Q2/285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with spark ignition
    • F23Q2/287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with spark ignition piezoelectr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14)를 가진 하우징(12), 유출구(64)를 가진 노즐(18) 및 연료공급부(22)를 가진 다용도라이터(10)에 관련된다. 전기점화기조립체(34)가 제 1 전기경로(P1) 및 제 2 전기경로(R2)와 연결된다. 유출구와 근접한 위치에서 제 1 전기경로는 제 1 간격(62)을 포함한다. 제 2 전기경로는 비작동형상 및 작동형상을 가진다. 비작동형상에서, 전기점화기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제 2 경로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제 2 전기경로의 저항은 제 1 전기경로의 저항보다 작다. 작동형상에서 상기 전류가 제 1 전기경로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를 점화하는 불꽃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간격을 가로질러 건너도록, 제 2 전기경로의 저항이 제 1 전기경로의 저항보다 크다.

Description

다용도 라이터{UTILITY LIGHTER}
여러해에 걸쳐서 시가(cigar), 담배 및 파이프와 같은 흡연제품을 점화하기 위한 라이터들이 개발되었다. 전형적으로 연료용기로부터 연료를 분출시키는 노즐근처에서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라이터들은 회전식 마찰요소 또는 피에조전기(piezoelectric)요소를 이용한다. 피에조전기기구는 여러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상기 피에조전기기구가 미국특허 제 5,262,697호(이하 '697특허'라 한다)에 공개된다. 상기 '697특허'의 공개내용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한다.
또한 라이터들은 소형의 휴대용 라이터들로부터 여러 가지 형태의 연장된 라이터들로 개발되었다. 또한 상기 라이터들이 휴대용일지라도 촛불, 바비큐 그릴, 벽난로 및 캠프파이어를 점화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용도로 더욱 유용하다. 상기 설계들에 관한 종래의 시도들은 단순히 전형적인 라이터를 단부에서 수용하고 연장된 형태를 가진 작동손잡이들에 의존했다. 미국특허 제 4,259,059호 및 제 4,462,791호에 상기 개념의 예들이 공개된다.
또한 성인들에 의한 라이터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작동기구의 일부형태가 다수의 다용도라이터들에 구성되었다. 종종 라이터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온/오프(on/off)스위치형태가 상기 기구에서 이용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들을 "온" 위치 및 "오프"위치사이에서 완전히 이동시켜야만 하고 결과적으로 문제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사용후 스위치를 "오프"위치로 되돌려 이동하는 것을 잊게 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특징은 효과적이지 못했다.
PCT 공개 제 WO 92 108931호에 의하면 피에조전기기구를 가진 가스라이터용 안전장치가 공개된다. 제 1 위치로 이동될 때, 피에조전기기구에 의해 발생된 불꽃이 방출가스와 떨어진 위치에서 방출될 수 있는 스위치가 상기 안전장치에 포함된다. 따라서 가스점화가 방지된다. 스위치가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방출가스의 점화를 허용하여 그결과 라이터의 정상작동을 허용하도록 가스유동과 충분히 가까운 위치에 불꽃이 방출된다. 문헌 WO 92 108931에 공개된 안전기구는 다른 온/오프 스위치와 동일한 문제점들을 가진다.
공개된 PCT 제 WO 98 131774(이하 '774 공개'라 한다) 및 1997년 1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 출원 제 08/787,399호(이하 "399출원"이라 한다) 및 1997년 8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 출원 제 08/917,134호(이하 '134출원'이라 한다)에 다용도 라이터가 공개된다. 본 발명에서 '399출원' 및 '134출원'의 공개내용은 참고로 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노즐과 근접한 위치에서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피에조전기기구 및 연료를 방출하기 위한 밸브작동기가 다용도라이터에 구성된다. 작동조립체에 의해 밸브작동기의 가압작용 및 피에조전기기구의 작동이 용이해진다. 일반적으로 래치(latch)부재가 작동조립체를 비작동위치에 구속한다. 작동조립체가 연료가스를 방출시키는 것을 기계적으로 방해하고, 불꽃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피에조전기기구를 가압하여 래치부재가 작동한다. '774공개'에 공개된 기계식 방해수단이 불필요한 작동을 만족스럽게 방해할지라도, 전기적 방해기구가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기적 방해기구만으로 또는 기계적 방해수단과 함께 불필요한 작동에 저항하는 다용도 라이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촛불, 바비큐 그릴, 벽난로 및 캠프파이어(campfire)를 점화시키기 위한 라이터와 같은 다용도 라이터(lighter)들에 관련된다.
도 1 은 여러 가지 내부요소들을 부분단면으로 도시하고 본 발명을 따르는 다용도라이터의 측면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라이터를 확대부분도시한 투시도.
도 3 은 작동조립체, 래치부재 및 점화방지조립체를 더욱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누락된 특정부분들을 가지고 도 1 과 유사하며 확대 부분도시한 측면도.
도 4A 는 제 2 전기경로가 단락일 때, 제 1 및 제 2 전기경로들을 도시하는 점화방지조립체의 개략도.
도 4B 는 제 2 전기경로가 간격을 가질 때, 제 1 및 제 2 전기경로들을 도시하는 점화방지조립체의 개략도.
도 5 는 래치부재의 측면도.
도 6 은 연결로드의 투시도.
도 7 은 점화방지조립체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 과 유사하며 확대부분도시된 측면도.
도 8 은 점화방지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 과 유사하며 확대부분도시된 측면도.
도 9 는 트리거(trigger) 및 래치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발명을 따르는 다용도라이터의 일부분에 대한 측면도.
도 9A 는 트리거가 작동된 후에 도 9 의 원영역을 확대도시한 측면도.
도 9B 는 트리거가 구속해제된 후에 도 9 의 원영역을 확대도시한 측면도.
도 10A 는 점화방지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따르는 다용도라이터의 일부분에 대한 측면도.
도 10B 는 도 10A 의 점화방지조립체의 투시도.
도 11A 는 점화방지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따르는 다용도라이터의 일부분에 대한 측면도.
도 11B 는 도 11A 에 도시된 점화방지조립체의 투시도.
도 12A 는 점화방지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따르는 다용도라이터의 일부분에 대한 측면도.
도 12B 는 도 12A 에 도시된 점화방지조립체의 투시도.
도 13A 는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방지조립체, 작동조립체, 래치부재로 구성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부분도시된 측면도.
도 13B 는 도 13A 에 도시된 점화방지조립체, 작동조립체 및 래치부재에 관한 투시도.
도 14A 는 래치부재 및 편향된 피봇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가지며 본 발명을 따르는 다용도라이터의 일부분에 대한 측면도.
도 14B 는 도 14A 에 도시된 래치부재 및 편향된 피봇부재의 투시도.
* 부호 설명 *
10.... 다용도라이터 12.... 하우징
14.... 손잡이 18.... 노즐
22.... 연료공급부 34.... 전기점화기조립체
62.... 제 1 간격
유출구를 가진 노즐이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노즐과 선택적인 유체유동을 위해 연결되는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라이터에 의해 상기 목적들 및 장점들과 다른 목적들 및 장점들이 달성된다. 제 1 및 제 2 전기접점들을 가진 전기점화기가 작동되게 제 1 전기경로에 연결된다. 노즐유출과와 근접하게 위치한 제 1 간격이 제 1 전기경로에 포함된다. 제 2 전기경로가 또한 전기점화기 조립체와 작동되게 연결된다. 제 2 전기경로는 작동형상 및 비작동형상을 가진다.
비작동형상에서, 전기점화기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제 2 전기경로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제 2 전기경로의 저항이 제 1 전기경로의 저항보다 작다. 작동형상에서, 방출된 연료를 점화하는 불꽃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간격을 가로질러 건너도록 제 2 전기경로의 저항이 제 1 전기경로의 저항보다 크다.
비작동형상에서, 전기점화기조립체를 단락시키기 위해 제 2 전기경로는 연속경로이다. 제 2 경로의 저항이 제 1 경로의 저항보다 작도록, 비작동형상에서 제 1 간격보다 작은 제 2 간격이 제 2 전기경로에 포함된다. 제 2 전기경로 및 제 2 간격은 제 1 간격보다 크다. 작동형상에서 제 2 간격이 제 1 간격보다 적어도 두배 더 크다.
실시예에 있어서, 비작동형상으로부터 작동형상으로 제 2 전기경로를 변환하기 위한 푸시버튼이 라이터에 구성된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와 상기 푸시버튼이 작동되게 연결된다. 푸시버튼이 가압될 때, 불꽃간격보다 큰 제 2 간격이 형성된다. 전기전도성재료에 의해 탄성부재가 제조되면, 탄성부재는 제 2 전기경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를 방출하고 전기점화기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하우징과 작동되게 연결된 작동조립체가 상기 라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터는 래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재는 손잡이와 작동되게 연결되며 작동조립체에 대한 편향된 운동을 위해 연결된 방해부분을 포함한다. 작동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해부분은 작동조립체와 연결되게 수직방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손잡이로부터 연장구성된 트리거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작동조립체의 작동을 허용하도록 사용자는 방해요소를 작동조립체와 연결상태로부터 벗어나게 선택적으로 편향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위치들사이에서 스위칭부재가 위치할때만, 방해요소는 작동조립체의 일부분과 결합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에 공개되고, 여러 도면들에 대하여 동일부품들은 동일부호들로 도시된다.
도 1을 참고할 때,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다용도라이터(10)의 선호되는 실시예가 도시되고, 당업자들에 의해 여러 가지 요소들에 대한 다수의 수정예들 및 대체예들이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terpolymer(ABS)등과 같은 플라스틱재료 또는 성형된 경화 폴리머에 의해 주로 제조될 수 있는 하우징(12)이 상기 라이터(10)에 포함된다. 제 1 단부(16)와 근접한 위치에서 하우징(12)이 손잡이(14)를 포함한다. 하기 설명과 같이 화염을 공급하기 위한 연료를 방출하기 위해 노즐(18)이 제 2 단부(20)에 배열된다. 단지 편의상 제 1 단부(16) 및 제 2 단부(20)가 이용되고, 본 발명을 구성하지 못한다. 손잡이(14)는 연료공급용기(22)를 포함하는 것이 선호되고, 종래기술의 부탄연료셀을 구성할 수 있다. 플라스틱튜브와 같은 도관(24)이 유체커넥터(fluid connector)(26)에 고정되고, 다음에 연료공급용기(22)위에서 밸브(28)와 근접하게 위치하거나 밸브에 연결된다. 튜브(24)의 반대쪽 단부가 노즐(18)에 연결된다. 또한 자체의 연료공급용기를 갖지 못한 라이터 즉 외부연료공급원을 점화하기 위한 불꽃 또는 일련의 불꽃들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밸브(28)가 밸브작동기(30)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밸브작동기는 연료공급용기(22)와 피봇운동하게 부착된다. 밸브작동기(30)가 가압될 때, 예를 들어 단부(16)를 향해 이동되면, 연료는 밸브(28)에 의해 방출되고, 커넥터(26) 및 튜브(24)를 통해 최종적으로 노즐(18)로 유동한다. 미국특허 제 5,520,197호("197특허"라 한다)에 적합한 연료공급용기(22)가 공개된다.
밸브작동기의 가압작용을 용이하게 하고, 노즐(18)과 근접한 위치에서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점화기조립체(34)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조립체가 제공된다. 트리거(trigger)부재(38), 편향된 피봇부재(80) 및 점화기조립체(34)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로드(46)에 의해 작동조립체가 구성된다. 상기 부품들이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다. 점화기조립체(3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특정방향으로 압력이 손잡이(14)에 가해질 때, 한쪽 손잡이 부분이 다른 한쪽 손잡이부분에 대해 피봇운동하도록, 트리거부재(38)가 가압기구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battery) 또는 태양광 구동 전기회로와 같은 서로다른 다수의 전기점화기조립체가 고려된다. 본 발명의 모든 특징들에 대해 필요하지 않더라도, 피에조전기기구는 선호되는 전기점화기조립체(34)가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선호되는 피에조기구는 '697특허'에 공개된 형태이고, 상기 특허의 공개내용은 본 발명에서 참고한다.
피에조전기기구(34)가 도 1 내지 도 3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697특허'에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상세부분들이 도면들에 도시된다. 요약하면 피에조전기기구(34)는 다단접힘식 조립체로서 제 1 및 제 2 전기접점(48,50)들 사이에서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에조전기기구(34)는 전기접점(48,50)들 사이에 위치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피에조전기수정을 포함한다. 전기접점(48)은 일반적으로 앤빌(anvil)이라 하고, 전기접점(50)은 피에조전기수정의 반대 측면에 위치한 충격패드와 접촉한다. 제 1 전기접점 또는 앤빌(48)이 전기전도봉(51)과 직접 연결되고, 도 3을 참고할 때, 접점위치(52)에서 하우징(12)의 일부분 외측에 상기 전도봉이 위치한다.
전도봉(51)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노출된 두 개의 단부(56,58)들을 가진 절연 선(54)에 제 2 전기접점(50)이 연결된다. 노출된 단부(56)이 접점(50)에 연결되고 노출된 단부(58)가 노즐(18)에 연결된다. 또한 노즐(18)은 디퓨져스프링(diffuser spring)을 포함하고, 필수적으로 상기 디퓨져스프링은 전기전도성 코일스프링이며, 연소작용에 적합한 공기/연료 혼합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공기가 방출연료와 혼합될 수 있도록 근접한 스프링코일들 사이의 공간이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위해 노즐(18)이 제 1 전극으로서 작동하고, 황동 또는 아연과 같은 전기전도성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여기서 전극은 전기경로의 단자점을 포함한다.
연결부(52)에서 접점(48)이 전도봉(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대쪽 단부에서 제 2 전극으로서 작용하고 노즐(18)의 유출구(64)와 불꽃간격(62)을 형성하도록, 단부(20)와 근접한 위치에서 탭(tab) 또는 안테나(antenna)(60)가 봉(51)으로 스탬핑가공된다. 제 1 전극(노즐(18) 또는 디퓨져스프링), 선(54), 피에조전기기구(34), 봉(51) 및 제 2 전극(탭 또는 안테나(60))가 제 1 전기경로를 형성한다. 전도성 봉(51)의 단부에서 개구부(66)에 의해 라이터로부터 연료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측면구멍(68)들이 공기유입을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측면구멍들 중 한 개가 도 1 에 도시된다.
적어도 노즐(18)의 일부분 및 일반적으로 노즐(18) 및 전도봉(51)사이에 전기절연 캡(cap)(70)이 배열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전기절연캡(70)에 의해노즐(18) 및 탭(60)을 제외한 전도봉(51)의 모든 표면들 사이에서 불꽃발생이 방지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방지조립체(200)의 제 1 실시예가 피에조전기기구(34)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전기경로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전기경로는 제 3 전극(202) 및 제 4 전극(204)을 포함한다. 하우징(12)에 부착될 수 있는 제 3 전극(202)이 선(206)의 제 1 단부에 연결된다. 선(206)의 제 2 단부가 연결위치(208)에서 전기전도봉(51)에 부착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연결위치(52)에서 전기접점(48)이 전기전도봉(51)과 직접 접촉된다. 따라서 제 3 전극(202)이 전기접점(4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지지상태아닌 탄성전방단부(40)에서 제 4 전극(204)이 래치부재(36)에 부착되고, 선(210)의 제 1 단부에 연결된다. 선(210)의 제 2 단부가 전기접점(50)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 3 및 제 4 전극(202,204)들은 모두 전기적으로 피에조전기기구(34)에 연결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피에조전기기구(34)의 작동에 의해 방출되는 전기에너지를 위한 제 2 전기경로가 제 3 및 제 4 전극(202,204), 선(206,210) 및 봉(51)에 의해 구성된다. 래치부재(36)가 가압되지 않을대에서와 같이, 제 3 및 제 4 전극(202,204)들이 접촉 또는 접촉상태에 근접할 때, 제 2 전기경로가 피에조전기기구(34)를 단락시키거나 제 2 전기경로의 유효저항이 제 1 전기경로의 유효저항보다 상당히 작아서, 피에조전기기구(34)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가 선택적으로 제 1 전기경로로부터 멀어져 이동한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할 때, 하우징(12)에 대한 래치부재(36)의 구성 및 연결상태가 도시된다. 작동하는 동안 탄성 또는 굽힘성질을 나타내는 폴리머에 의해 래치부재(36)가 제조된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머는 폴리아세탈(polyacetal)이다. 다른 형태들의 탄성부재들 또는 스프링들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더라도, 한쪽 단부(108)에서 손잡이(14)에 캔틸레버(cantilever)연결부로 고정된 탄성부재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래치부재(36)의 단부(108)에 고정된 플랜지부분(110)이 손잡이(14)내부의 슬롯(slot)(112)내부에 포함된다. 래치부재(36)의 전방단부(40)가 하우징(12)와 연결되지 않고, 제 3 및 제 4 전극(202,204)들을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도록 하향으로 탄성가압된다. 전방단부(40)가 가압되면, 제 3 및 제 4 전극(202,204)들 사이의 제 2 간격(205)이 형성되거나 성장하기 시작한다. 제 2 간격이 충분히 크면, 피에조전기기구(34)에 의해 방출된 전기에너지가 선택적으로 제 1 전기경로를 통해 이동하고, 불꽃간격(62)에서 불꽃이 형성될 수 있다. 불꽃이 불꽃간격(62)에서 또는 근처에서 발생하도록 래치부재(36)가 충분히 가압되면, 제 2 간격(205)이 불꽃간격(62)보다 대략 두배 크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점화방지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P 는 피에조전기기구(34)를 나타내고, P1제 1 전기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설명과 같이, 제 1 전극으로서 작동하는 노즐(18) 및 사이에서 불꽃간격(62)을 형성하는 제 2 전극으로서 작동하는 탭(tab)(60)이 제 1 전기경로에 포함된다. 제 1 전기경로는 유효저항(R1)을 가진다. 상기 설명과 같이 제 2 전기경로가 P2로 도시되고,유효저항(R2)을 가진다. 제 3 및 제 4 전극(202,204)들이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위치할 때, R2는 R1에 비하여 매우 작고, 제 2 전기경로는 단락되거나 효과적으로 단락된다. 피에조전기기구(34)를 작동하여 발생되는 전류는 선택적으로 제 2 전기경로를 통해 이동한다. 상기 작용에 의해 전류는 제 1 전기경로(P1)로부터 멀어지고 불꽃간격(62)내에서 불꽃발생이 방지되어, 방출된 연료의 점화가 방지된다. 전극(202,204)들 사이에 제 2 간격(205)이 형성될 때, 간격(205)의 폭이 불꽃간격(62)의 폭보다 작으면, 제 2 간격(205)의 저항은 건너뛰는 불꽃을 위한 불꽃간격(62)의 저항보다 작다. 따라서 피에조전기기구(34)가 작동하며 발생되는 모든 전류는 제 2 간격(205)을 가로질러 불꽃을 발생시키고, 방출연료의 점화작용을 방지한다. 그러나 제 2 간격(205)이 불꽃간격(62)보다 클 때, 제 2 간격(205)의 저항은 불꽃간격(62)의 저항보다 크다. 따라서 피에조전기기구(34)가 작동하여 발생되는 모든 전류는 선택적으로 제 1 전기경로를 이동하고, 방출연료를 점화하도록 불꽃간격(62)을 가로질러 불꽃을 발생시킨다.
요약하면, 제 2 전기경로에서, 제 3 및 제 4 전극(202,204)들의 세가지 가능한 형태들이 존재한다. 제 1 형태에 있어서, 제 3 및 제 4 전극(202,204)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피에조전기기구(34)에 의해 방출되는 전기에너지에 대해 상기 제 2 전기경로는 단락을 형성한다. 전방단부(40)가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 3 및 제 4 전극(202,204)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상태에 근사하도록 정상 편향된다. 제 2 형태에 있어서, 제 3 및 제 4 전극(202,204)들이 제 2 간격(205)에 의해분리되도록 래치(36)가 부분적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상기 간격이 불꽃간격(62)보다 작을 때, 제 3 및 제 2 전극(202,204)들 사이에서 불꽃을 발생시키도록, 피에조전기기구(34)에 의해 방출되는 전류는 제 2 전기경로를 통해 이동한다. 상기 불꽃이 노즐(18), 방출연료의 유출구로부터 떨어져 발생되기 때문에, 불꽃은 발생되지 못한다. 제 3 형태에 있어서, 제 2 간격(205)이 불꽃간격(62)보다 충분히 크도록 래치(36)가 충분히 가압되어, 피에조전기기구(34)의 작동시 방출되는 전류는 선택적으로 제 1 전기경로를 통해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불꽃이 불꽃간격(62)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노즐(18)로부터 방출된 연료가 점화된다.
점화방지조립체(200)가 적합하게 스스로 불필요한 작동을 억제하더라도, 불필요한 작동을 억제하기 위한 기계적 방해수단을 점화방지조립체(200)와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할 때, 점화방지조립체(200)와 결합된 상기 기계적 방해수단의 예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트리거(38)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거나 당겨질수 없도록, 래치부재(36)는 수직방향으로 작동조립체를 비작동위치에 구속한다. 도 6을 참고할 때, 연결로드(46)위에서 수직방향으로 정지부재구조체(44)와 결합한 부착 및 걸려진 탭(tab)(42)이 래치부재(36)의 전방단부(40)에 구성된다. 상기 탭(42)이 정지부재구조체(44)에 대해 결합되고, 연결로드(46)내부에서 상기 구조체는 요홈을 가질 수 있을 때, 피에조전기기구(34)를 작동 및 구성하도록 연결로드(46)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피에조전기기구(34)에 의해 전기에너지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래치부재(36)는 밸브작동기(30)를 향해 트리거(38)의 충분한 운동을 방해한다.
도 2 및 도 3을 재확인할 때 라이터(10)의 작동이 이해될 수 있다. 트리거(38) 및 연결로드(46)이외에, 이들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편향된 피봇운동부재(80)가 작동조립체(32)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부재(80) 및 핀(82) 사이에 배열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비틀림스프링을 통해서처럼 편향되게 피봇운동부재(80)가 핀(82)에 장착되어, 도 1 및 도 3을 참고할 때 부재(80)는 반시계방향으로 편향된다.
선택적으로 다단접힘식 부재들사이에 분리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피에조전기기구(34)의 두 개의 다단접힘식 부재들내에 배열된 귀환스프링에 의해 피봇운동부재(80)가 편향될 수 있다. 상기 편향스프링이 로드(46)위에 편향하중을 가하고 상기 로드는 물리적으로 피봇운동부재(80)와 접촉한다. 상기 귀환스프링이 '697특허'에서 공개된다.
추가로 피봇운동되는 피봇운동부재(80)는 한쌍의 아암(84,86)들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들은 핀(82)으로부터 연장구성된다. 사용자가 트리거(38)를 끌어당길 때, 밸브작동기(30)를 가압하기 위한 노브(knob)(30)와 직접 연결되도록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12)에 대한 미끄럼운동을 위해 채널(92)을 포함하는 연장부(90)가 상기 트리거(38)에 포함되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연장부(90)는 연장부내부의 슬롯(slot)(94)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하우징(12)과 강하게 연결 또는 주조된 핀(96)을 수용한다. 도 3 에 도시된 위치에서, 트리거(38)의 추가 전진운동을 방지하도록 슬롯(94)의 한쪽단부에 대해 핀(96)은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슬롯(94)의 반대쪽 단부는 다른 한쪽 방향으로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전진운동 또는 후진운동을 제한하는 다른 형태의 특징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할 때, 연결로드(46)의 한쪽 단부에 대해 피봇운동부재(80)의 아암(86)이 지지된다. 하우징(12)내부로 주조된 지지부재(98)들과 같은 적합한 지지부재들에 의해 전방 및 후방의 미끄럼운동을 위해 연결로드(46)가 지지된다. 또한 점화기 조립체 또는 피에조전기기구(34)를 위한 지지부재(100,102) 및 개별적으로 연료도관(24) 및 커넥터(26)를 고정하기 위한 (도 5 에 도시된) 지지부재(104,106)과 같이 여러 가지 목적들을 위해 지지부재들이 하우징(12)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라이터(10)은 판스프링과 같은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불꽃이 불꽃간격(62)을 가로질러 발생될 때, 노즐유출구(64)에서 연료제공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연결기구가 제공된다. 다른 요소들 중에서 연료압력, 도관(24)의 크기 및 밸브(28)의 유동률과 같은 요소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속도로 연료가 도관(24)을 통해 이동한다. 따라서 불꽃발생전에 연료가 노즐유출구(64)에, 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드는 연결기구를 설계할 때, 상기 요소들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조립체 및 밸브커넥터사이에 연결기구가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작동조립체가 내부를향해 이동되거나 가압될 때, 작동조립체가 연결기구위에서 작동한다. 연료를 방출시키기 위하여, 밸브작동기와 직접 연결되는 연결기구는 밸브를 가압한다. 상기 연결기구의 예가 '134 출원에 공개된다.
도1을 참고하여 라이터(10)의 작동이 설명된다. 한쪽 손으로, 사용자는 손잡이(14)를 잡고, 집게손가락은 트리거(38)위에 위치하여 래치부재(36)의 전방단부(40)위에 엄지손가락이 위치한다. 래치부재(36)의 전방단부(40)를 가압하고 고정하는 동작은 두 개의 연속과정이다. 우선 제 3 및 제 4 전극(202,204)사이에 제 2 간격(205)이 형성된다. 다음에 탭(42)이 연결로드(46)로부터 분리되고(도 3), 트리거(38)의 충분한 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트리거(38)를 끌어당길 수 있고, 그 결과 밸브작동기(30)의 가압작용이 이루어져서, 밸브(28), 커넥터(26) 및 도관(24)을 통해 연료공급용기로부터 연료를 방출한다. 따라서 부탄과 같은 가스연료가 유출구(64)에서 노즐(18)로부터 방출된다.
동시에 도 3 으로부터 가장 양호하게 이해되듯이, 트리거(38)가 작동하여 연결로드(46)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스프링편향된 피봇(80)의 아암(86)이 회전된다. 연결로드(46)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전기접점(48,50)들 사이에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피에조전기기구(34)를 가압한다. 전류가 접점(48)으로부터 전기전도봉(51)으로 이동하고, 접점(50)으로부터 선(54) 또는 선(210)으로 이동한다. 제 2 간격(205)이 영이거나 불꽃간격(62)보다 작으면, 전류는 선(210)을 통해 이동한다. 그 결과 제 3 및 제 4 전극(202,204)사이에서 불꽃이 발생되거나 발생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불꽃이 노즐유출구(64)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므로, 방출연료는 점화되지 못한다. 제 2 간격(205)이 불꽃간격(62)보다 크도록 래치부재(36)가 충분히 가압되면, 전기전도성노즐(18)에 연결된 선(54)을 통해 전류가 이동한다. 따라서 노즐유출구(64)와 근접한 위치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점화하기 위해, 불꽃이 불꽃간격(62)내에서 발생된다. 사용자가 래치부재(36)의 전방단부(40)를 충분히 가압하면, 트리거는 반복적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고, 제 1 작동으로 화염이 발생되지 못하면 방출연료를 점화하는 불꽃을 발생시키도록 피에조전기기구(34)가 반복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트리거(38)를 구속해제하면, 밸브작동기(30)를 분리하기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피봇(80)이 편향되고, 또한 밸브(28)를 폐쇄하고 노즐(18)에 연료공급을 차단하도록 외측을 향해 편향된다. 사용자가 래치부재(36)의 전방단부(40)를 구속해제 할 때, 불꽃간격(62)에서 불꽃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 3 및 제 4 전극(202,204)들이 다시 접촉하거나 접촉상태에 근사해진다. 또한, 탭(42)은 연결로드(46)위에서 요홈 또는 정지부재구조체(44)와 다시 연결되어, 점화조립체(34)에 대해 연결로드(46)의 운동을 억제하고, 트리거(38)의 내향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탭(42)이 연결부재(46)와 연결되도록, 래치부재(36)의 전방단부(40)가 수직방향으로 상기 상향위치내에 편향되기 때문에, 래치부재(36)를 다시 가압하지 못한채 트리거(38)가 단순히 라이터를 작동하도록 끌어당길 수 있는 위치에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라이터(10)를 남겨두게 된다. 또한 작동과 관련한 상대적 어려운 래치부재 및 트리거를 동시에 모두 작동시키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라이터를 작동시키는 기술이 증가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점화방지조립체(200)는 기계적 방해기구없이 다용도라이터(10)의 불필요한 작동을 억제하기에 충분하다.
도 7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방지조립체위에 있는 점화요소의 선택적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 3 전극(222)을 전기접점(48)에 연결시키는 선(226) 및 제 4 전극(224)을 전기접점(50)에 연결시키는 선(228)을 가진 제 2 전기경로가 점화방지조립체(220)에 포함된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점화방지조립체(200) 및 점화방지조립체 사이의 주요차이에 의하면, 전자의 경우 제 3 전극(202)이 전기전도성하우징(51)을 통해 앤빌(48)에 연결되고, 후자에 있어서, 제 3 전극(222)이 직접 앤빌(48)에 연결된다.
도 8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방지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점화방지조립체(240)는 제 3 전극(242),제 4 전극(244), 및 슬라이드(246)를 포함한다. 선(248)은 제 3 전극(242)을 직접 앤빌(48)에 연결시키고 제 2 전기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선(250)은 제 4 전극(244)을 전기접점(50)을 연결시킨다. 제 3 전극(242)은 슬라이드(246)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고, 제 4 전극(244)은 하우징(12)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할 때, 제 3 및 제 4 전극(242,244)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한 위치에 있다. 그 겨로가 제 2 전기경로는 필수적으로 피에조전기기구(34)를 단락시키거나 상당히 작은 저항을 가져서, 불꽃간격(62)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피에조전기기구(34)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제 2 전기경로를 통해 이동한다.
그러나 제 3 및 제 4 전극(242,244)들이 접촉상태를 벗어나고 그 사이에 제 2 간격(205)을 형성하도록, 슬라이드(246)는 화살표(A)방향으로 하우징(12)을 따라 미끄럼운동한다. 제 2 간격(205)이 불꽃간격(62)보다 충분히 클 때, 불꽃간격(62)을 가로질러 불꽃을 발생시키도록 피에조전기기구(34)에 의해 발생된 모든 전류가 제 1 전기경로를 통해 이동한다. 불꽃간격(62)를 가로질러 발생되는 불꽃에 대해 제 2 간격(205)이 불꽃간격(62)의 대략 두배 또는 그 이상이 된다. 제 3 및 제 4 전극(242,244)들이 일반적으로 사실상 서로 접촉하도록 편향스프링(252)이 슬라이드(246)를 편향시킨다. 편향스프링(252)은 슬라이드(246)의 포스트(POST)부재(254)에 부착된 한쪽단부 및 스터드(stud)(256)에서 하우징(12)에 고정된 다른 한쪽 단부를 가진다. 슬라이드(246)가 래치(38)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슬라이드는 래치(38)와 함께 이용될 수 있고, 래치(38)는 기계적 방해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을 참고할 때, 제 3 및 제 4 전극(242,244)을 분리하기 위하여 화살표(A)방향을 제외한 방향으로 슬라이드(246)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점화방지조립체(240)가 수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할 때, 연속가압작용이 불필요한 래치부재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9를 참고할 때, 점화방지조립체가 생략된 단순 도면이 제공된다. 가압될 때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탄성의 전방단부(262)가 래치부재(260)에 구성된다. 선택적인 판(또는 코일)스프링(264)이 전방단부(262)를 지지하고 상향위치에서 전방단부(262)를 편향시킨다. 전방단부(262)가 가압되므로, 래치부재(260)를 가압위치에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12)상의 후크(268)를 연결하도록, 래치부재(260)로부터 매달린 탄성의 탭(266)이 구부러진다. 라이터(10)를 작동하기 위해 트리거(38)가 끌어당겨지면, 트리거(38)의 돌출측부(272)를 가진 상측변부(270)가 후크(268)로부터 탭(266)을 분리시킨다. 래치부재(260)가 상향위치로 귀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탭(266)은 트리거(38)의 돌출측부(272)와 결합한다(도 9A). 탭(266)이 가요성을 가지므로 트리거(38)의 전체 운동범위를 수용하도록 충분히 멀리 구부러질 수 있다. 탭(266)은 탄성금속스트립(strip)으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돌출측부(272)가 후브(268)보다 높게 위치하므로, 후크(268) 및 탭(266) 사이의 연결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돌출측부(272) 및 탭(266)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도 9B). 그 결과 트리거(38)가 구속해제될 때 후크(268)는 탭(266)과 재결합할 수 없다. 따라서 트리거(38)는 구속해제될 때 상향위치로 래치부재(260)가 귀환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할 때, 점화방지기구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전기전도성스프링(302)을 전기접점(50)에 연결하는 선(288) 및 전기접점(48)에 연결된 선(290)이 점화방지기구(280)에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전기경로는 선(290), 스프링(302) 및 선(288)으로 구성된다. 이동가능한 판(284) 및 정지된 판(282) 사이에 스프링(302)이 배열된다. 사용자의 조종작용을 위해 푸시버튼(push button)(286)이 제공되고, 이동가능한 판(284)에 연결된 연장부(298)가 구성된다. 정지된 판(282)위에서 중심 개구부(300)내에 수용되고 판(282)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연장부(298)의 치수가 결정된다. 사용자에 의해 푸시버튼(286)이 가압되면, 연장부(298) 및 판(284)이 판(284)을 통해 하향으로 가압되고 스프링(302)을 가압한다. 스프링(302)이 가압될 때 제 2 간격(205)이 제 2 전기경로내에 형성된다. 도 10을 참고할 때, 스프링(302)의 제 4 전극(296) 및 선(290)의 제 3 전극(294)에 의해 제 2 간격(205)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푸시버튼(286)을 구속해제할 때, 스프링(302)은 푸시버튼(286) 및 판(284)을 상향으로 편향시키고, 제 2 전기경로내에서 유효한 단락을 유지하도록 제 4 전극(296)을 제 3 전극(294)와 접촉시킨다.
점화방지조립체의 실시예를 가진 경우에서와 같이, 불필요한 작동을 억제하기 위한 기계적인 방해수단이 선택적으로 점화방지조립체(280)와 연결될 수 있다.버튼(286)의 연장부재(298)는 방해부재(304)를 가지고, 버튼(286)이 가압되지 않을 때, 트리거(38)의 운동을 방해하기 위하여 상기 방해부재가 트리거(38)내부의 절단부(306)와 결합한다. 버튼(286)이 가압될 때, 연장부재(298)는 하향으로 미끄럼운동하고, 트리거(38)가 끌어당겨질 수 있도록 방해부재(304)는 더 이상 절단부(306)와 결합하지 못한다. 불꽃간격(62)에서 불꽃을 형성하기 위해, 피에조전기기구(34)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가 제 1 전기경로를 통과하도록 제 3 전극(294) 및 제 4 전극(296)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클때까지, 방해부재(304)는 계속해서 절단부(306)와 연결된다(결과적으로 트리거(38)가 끌어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할 때, 사실상 점화방지조립체(280)와 유사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피에조전기기구(34)위에서 전기접점(50)에 연결되는 선(288) 및 전기접점(48)에 연결된 선(290)이 점화방지조립체(310)에 구성된다. 정상위치에서 제 2 전기경로내에서 효과적인 단락을 형성하기 위하여, 선(290)이 팁(tip)(294) 및 선(288)의 팁(296)이 서로 접촉하거나 접촉상태와 근사하도록, 선(290)과 근사한 위치에서 판(284) 또는 스프링(302)의 상부에 선(288)이 연결된다. 푸시버튼(286)을 가압하면 제 3 전극 또는 팁(294) 및 제 4 전극 또는 팁(296)사이에 제 2 간격(205)이 형성된다. 불꽃간격(62)에서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해 피에조전기기구(34)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가 제 1 전기경로를 통해 이동하도록, 버튼(286)이 충분히 가압될 때, 제 2 간격(205)은 불꽃간격(62)보다 크다. 편향스프링(302)이 제 2 전기경로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때문에, 비금속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고할 때, 점화방지조립체(280,310)와 사실상 유사한 점화방지조립체와 작동하기에 특히 적합하고 불필요한 작동을 억제하기 위한 기계적인 방해수단이 도시된다. 하기 상세한 설명과 같이 버튼(286)이 부분적으로 가압될때만, 트리거(38)의 작동을 방해하는 방해요소가 버튼(286)의 구성된다. 연장부재(32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구성되는 제 1 횡방향부분(326), 연장부재(322)와 평행하게 연장구성되는 중간부분(328) 및 제 1 횡방향부분(326)과 반대방향으로 중간부분(328)으로부터 연장구성되는 제 2 횡방향부분(330)이 방해요소(324)에 구성된다. 트리거(38)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구성되는 핀(fin)(332)이 트리거(38)에 구성된다. 중간부분(328)의 길이는 이동핀(332)을 이동시킬정도로 충분히 크다.
버튼(286)이 가압되지 않을 때, 방해요소(324)의 어떤 부분으로부터 간섭되지 않고 트리거(38)가 끌어당겨질 수 있도록, 방해요소(324) 및 트리거(38)가 배열된다. 그러나 버튼(286)이 가압되지 않을 때, 제 3 및 제 4 전극(282,284)들이 피에조전기기구(34)와 전기접촉 및 단락되기 때문에, 불꽃간격(62)에 불꽃이 발생되지 못한다. 버튼(286)이 단지 부분적으로 가압될 때, 방해요소(324)의 제 2 횡방향 부분(330)은 핀(332)과 정렬되어 핀(332)의 운동을 방해하고 트리거(38)가 끌어당겨지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버튼(286)이 부분적으로 가압될 때, 라이터(10)의 작동이 방지된다. 트리거(38)의 높이에 대한 중간부분(328)의 길이에 기인하여, 버튼(286)이 충분히 가압될 때 방해요소(324)의 간섭작용없이, 트리거(38)가 끌어당겨지고, 중간부분(328)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한다. 따라서, 라이터의 정상작동이 이루어진다. 제 3 및 제 4 전극사이의 간격이 불꽃간격(62)보다 클때까지, 트리거(38)가 끌어당겨질 수 없는 것이 선호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할 때, 래치(36)가 부분적으로 가압될때만, 트리거(38)의 운동을 방해하는 기구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래치(36)가 가압되지 않을 때, 연결로드(340)의 채널(338)내에서 연장부재(336)의 방해요소(334)가 이동한다. 방해요소(334)가 채널(338)내에서 운동할 때, 편향된 피봇운동부재(80)가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트리거(38)는 충분히 운동할 수 있다. 심지어 연결로드(340)가 피에조전기기구(34)를 가압하더라도, 제 3 및 제 4 전극(294,296)들에 의해 야기되는 단락작용은 불꽃간격(62)내에서 불꽃발생을 방지한다. 래치(36)가 부분적으로 가압될 때, 방해요소(334)가 하향이동하고 채널(338)로부터 이탈한다. 연결로드(340)의 벽(342) 및 방해요소(334)사이의 간섭작용은 운동 연결로드(340)을 방해한다. 래치(36)가 완전히 가압될 때, 방해요소(334)는 벽(342)과 연결상태로부터 벗어나 이동하고, 연결로드(340)는 방해요소(334)의 간섭작용없이 연결로드(340)가 이동할 수 있다. 제 2 전기경로의 유효저항이 제 1 전기경로의 유효저항보다 크도록, 제 3 및 제 4 전극들 사이의 제 2 간격(205)이 불꽃간격(62)보다 충분히 클 때, 방해요소(334)가 벽(342)의 연결상태로부터 벗어난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고할 때, 래치(36), 편향된 피봇운동부재(80) 및 트리거(38)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래치(36)가 가압되지 않을 때, 편향된 피봇운동부재(80)의 아암(86)위에서 횡방향 돌출부(352)와 연결되는 L자형 탭(350)이 래치(36)에 구성된다. 탭(350) 및 횡방향 돌출부(352) 사이의 연결부는 편향된 피봇운동부재(80)의 회전운동을 방해하고 그 결과 트리거(38)의 운동을 방해한다. 래치(36)가 가압될 때, 탭(350) 및 횡방향부재(352)사이의 정렬상태가 탭(350)의 하향운동에 의해 제거된다. 그 결과, 트리거(38)가 끌어당겨질 때, 편향된 피봇운동부재(80)가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 3 및 제 4 전극들 사이의 제 2 간격(205)이 불꽃간격(62)보다 클때까지 트리거(38)가 끌어당겨 질 수 없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설명이 제공되는 동안, 여러 가지 특징들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가장 선호되는 실시예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 있는 변형예들 및 수정예들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로서, 상기 공개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해지는 모든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 것으로 정의된다.

Claims (38)

  1. 노즐과 선택적인 유체작용을 위해 연결된 연료공급부 및 유출부를 가진 노즐로 구성된 하우징,
    제 1 전기경로에 작동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기접점들을 가진 전기 점화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기경로가 상기 유출구와 근접한 위치에서 제 1 간격을 가지며,
    전기 점화기조립체에 작동되게 연결된 제 2 전기경로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전기경로가 작동형상 및 비작동형상을 가지는 라이터에 있어서,
    비작동형상에서, 전기점화기조립체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가 선택적으로 제 2 전기경로내에서 이동하도록, 제 2 전기경로의 저항이 제 1 전기경로의 저항보다 작고,
    작동형상에서, 상기 전류가 선택적으로 제 1 전기경로내에서 이동하고,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점화하는 불꽃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간격을 가로질러 건너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작동형상에서, 제 2 전기경로가 전기점화기조립체를 단락시키는 연속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전기경로가 제 2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작동형상에서, 제 2 간격이 제 1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작동형상에서 제 2 간격이 제 1 간격보다 적어도 두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를 방출하고 점화기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하우징과 작동되게 연결된 작동조립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우징과 작동되게 연결되는 래치부재로 구성되고 작동조립체에 대한 편향운동을 위해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작동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조립체와 연결상태로 편향되는 방해부분을 포함하며, 작동조립체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방해부분을 작동조립체와 연결상태로부터 벗어나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래치부재가 푸시버튼 또는 슬라이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버튼이 구성되고, 제 2 전기경로의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 2 경로내에서 상기 버튼이 선택운동이 제 2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간격을 형성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피봇운동가능한 래치부재가 상기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간격을 형성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미끄럼운동가능한 슬라이더가 상기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2.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간격을 형성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푸시버튼이 상기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3. 노즐과 선택적인 유체작용을 위해 연결된 연료공급부 및 유출부를 가진 노즐로 구성된 하우징,
    작동시 전기에너지를 방출하고 제 1 및 제 2 전극들을 가진 제 1 전기경로가 구성된 전기점화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전기경로를 통한 전류유동이 노즐유출구와 근접한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전극들사이에서 불꽃을 형성하고,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를 방출하고 점화기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하우징과 작동되게 연결된 작동조립체로 구성되며,
    노즐유출구에서 불꽃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점화기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화방지조립체가 구성되고, 상기 점화방지조립체가
    방출된 전기에너지를 위한 제 2 전기경로를 가지고,
    전류가 제 1 전기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제 1 위치 및 전류가 제 2 전기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스위칭부재를 가지는 라이터에 있어서,
    스위칭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제 2 위치에 편향되고, 노즐출구에서 불꽃발생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스위칭부재를 제 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전기점화기조립체가 피에조전기기구를 포함하고, 피에조전기기구위에서 전기접점과 직접 접촉하는 전기전도성봉이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노즐이 전기전도성재료로 제조되고, 노즐 및 전기전도봉사이에 불꽃간격이 형성되도록 제 2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피에조전기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전기전도봉이 노즐을 향해 연장구성되는 탭을 포함하고,상기 탭 및 노즐사이에 불꽃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노즐 및 전기전도봉사이에 불필요한 불꽃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노즐의 일부분주위에 배열된 전기절연캡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전기경로가 제 3 및 제 4 전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 3 전극이 하우징에 부착되고 피에조전기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3 전극 및 피에조전기기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전기전도봉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제 4 전극이 스위치부재에 부착되고, 피에조전기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스위칭부재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제 3 및 제 4 전극들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3. 제 18 항에 있어서, 가변크기의 제 3 및 제 4 전극들 사이에서 제 2 전기경로가 제 2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스위칭부재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2 간격이 불꽃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스위칭부재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2 간격이 불꽃간격보다 적어도 두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6. 제 13 항에 있어서, 작동조립체에 대한 편향된 운동을 위해 연결되고 작동운동을 방해하기 위해 작동조립체와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편향된 방해부분이 추가로 스위칭부재에 구성되고, 작동조립체의 작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방해부분을 이동시켜, 방해부분이 작동조립체와 연결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손잡이로부터 연장구성되고, 제 1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 점화기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작동시키는 트리거가 작동조립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8. 제 27 항에 있어서,작동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해부분이 트리거의 절단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9. 제 27 항에 있어서, 트리거 및 연결로드사이에 연결되고 편향된 피봇운동부재가 작동조립체에 포함되고, 사용자가 트리거를 끌어당길 때, 전기점화기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연결로드가 전기점화기조립체와 작동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전기점화기조립체에 대한 작동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로드위에서 정지부재구조체를 연결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편향된 탭이 스위칭부재의 방해부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1. 제 27 항에 있어서, 스위칭부재가 추가로 스위칭부재로부터 연장구성되는 탄성탭으로 구성되고, 스위칭부재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탭을 연결시키도록 형성 및 치수결정된 후크가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2. 제 31 항에 있어서, 트리거가 끌어당겨질 때, 후크로부터 탭을 분리시키고 탭을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 및 치수결정된 돌출측부가 상기 트리거에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3. 제 32 항에 있어서, 트리거가 구속해제될 때 탭 및 후크의 재결합을 방지하도록 후크가 탭과 연결되기 보다는 스위칭부재와 근접한 위치에서 돌출측부가 탭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4. 제 13 항에 있어서, 작동조립체에 대한 편향운동을 위해 연결되고 작동운동을 허용하도록 작동조립체와 연결상태로부터 벗어나 수직방향으로 편향된 방해부분이 상기 스위칭부재에 추가로 포함되고,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부재가 위치할때만 방해부분이 작동조립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5. 제 13 항에 있어서, 스위칭부재가 푸시버튼이고, 제 1 위치로 이동하여 탄성부재를 압축하도록 푸시버튼과 작동되게 연결된 탄성부재가 제 2 전기경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6. 제 35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전기전도성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7. 제 35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제 2 간격을 형성하고, 푸시버튼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간격이 불꽃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8. 유출구를 가지 노즐로 구성된 하우징,
    제 1 전기경로와 작동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기접점들을 가진 전기점화기로 구성되고, 상기 유출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제 1 간격이 상기 제 1 전기경로에 구성되며,
    전기점화기 조립체와 작동되게 연결된 제 2 전기경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전기경로가 작동형상 및 비작동형상을 가지는 라이터에 있어서,
    비작동형상에서, 전기점화기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제 2 경로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제 2 전기경로의 저항이 제 1 전기경로의 저항보다 작고,
    작동형상에서, 상기 전류가 제 1 전기경로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점화하는 불꽃은 형성하기 위해 제 1 간격을 가로질러 건너 제 2 전기경로의 저항이 제 1 경로의 저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KR10-2001-7011014A 1999-03-01 2000-02-29 다용도 라이터 KR100438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59,288 1999-03-01
US09/259,288 US6065958A (en) 1997-01-22 1999-03-01 Utility lighter
PCT/US2000/005110 WO2000052390A1 (en) 1999-03-01 2000-02-29 Utility ligh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431A KR20010102431A (ko) 2001-11-15
KR100438032B1 true KR100438032B1 (ko) 2004-07-01

Family

ID=2298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014A KR100438032B1 (ko) 1999-03-01 2000-02-29 다용도 라이터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065958A (ko)
EP (1) EP1157238B1 (ko)
JP (1) JP3660249B2 (ko)
KR (1) KR100438032B1 (ko)
CN (1) CN100404958C (ko)
AR (1) AR020858A1 (ko)
AT (1) ATE418046T1 (ko)
AU (1) AU757801C (ko)
BR (1) BR0008666A (ko)
CA (1) CA2363554C (ko)
CZ (1) CZ20013115A3 (ko)
DE (1) DE60041125D1 (ko)
ES (1) ES2322326T3 (ko)
HK (1) HK1046542A1 (ko)
MY (1) MY118317A (ko)
PL (1) PL193600B1 (ko)
RU (1) RU2230990C2 (ko)
TW (1) TW552376B (ko)
WO (1) WO2000052390A1 (ko)
ZA (1) ZA2001069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8992B1 (en) 2000-03-18 2001-11-20 Kil Yong Sung Slide-safety button child-resistant utility lighter
US6325617B1 (en) 1999-03-26 2001-12-04 Calico Brands, Inc. Child-resistant utility lighter incorporating a cam mechanism and a lever spring lock
US6186773B1 (en) * 1999-03-26 2001-02-13 Kil Yong Sung Child-resistant utility lighter
CA2332994C (en) 1999-03-26 2009-01-06 Calico Brands, Inc. Child-resistant utility lighter
CA2298176A1 (en) * 2000-02-11 2001-08-11 Polycity Enterprise Limited Barbecue lighter with gas safety system
US7311518B2 (en) * 2000-11-03 2007-12-25 Bic Corporation Multi-mode lighter
US7744368B2 (en) * 2000-11-03 2010-06-29 Bic Corporation Multi-mode lighter
US6908302B2 (en) * 2000-11-03 2005-06-21 Bic Corporation Multi-mode lighter
US6726469B2 (en) * 2000-11-03 2004-04-27 Bic Corporation Multi-mode lighter
CA2441278C (en) * 2001-03-19 2009-12-29 Integrated Power Components, Inc. Decorative light string having shunt repair device
US6734678B2 (en) 2001-03-20 2004-05-11 Integrated Power Components, Inc. Repair device for decorative light shunt
US7276911B2 (en) * 2001-03-20 2007-10-02 Integrated Power Components, Inc. Detection of malfunctioning bulbs in decorative light strings
CN101033852B (zh) * 2001-03-27 2011-08-03 碧克公司 多模式的打火机
CN2483622Y (zh) * 2001-04-16 2002-03-27 张巨登 一种带保险装置的点火枪
US6765338B2 (en) * 2001-05-29 2004-07-20 Bic Corporation Child-resistant piezoelectric lighter
US6722877B2 (en) 2001-08-21 2004-04-20 Boqi Wang Utility lighter with disabling mechanism
US6856074B2 (en) * 2002-03-01 2005-02-15 Bic Corporation Piezoelectric ignition mechanism
US20050110427A1 (en) * 2003-11-24 2005-05-26 Frederick W. R. Decorative light strings
US20050152140A1 (en) * 2004-01-06 2005-07-14 Frederick W. R. Decorative sheeting with illuminated sources
CA2584693A1 (en) * 2004-10-19 2006-04-27 Earthcraft, Llc Devices for high voltage ignition of combustible gas
US7967601B2 (en) * 2006-05-30 2011-06-28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Safety mechanism for a torch
US7771191B2 (en) * 2006-05-31 2010-08-10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Safety mechanism for a torch
CN100578089C (zh) * 2007-06-29 2010-01-06 宁波新海电气股份有限公司 带保险机构的点火枪
US20090061371A1 (en) * 2007-09-01 2009-03-05 Ming Fang Utility lighter with a saftey feature
CN101135461B (zh) * 2007-09-04 2011-10-26 邢立天 防儿童玩燃打火机
US8653942B2 (en) 2008-08-20 2014-02-18 John Gibson Enterprises, Inc. Portable biometric lighter
US8568135B2 (en) * 2010-05-17 2013-10-29 2268447 Ontario Inc Device for lighting and extinguishing candles
USD849316S1 (en) * 2017-05-11 2019-05-21 Jacob A. Wessel Pipe lighter
USD851453S1 (en) * 2017-07-21 2019-06-18 Zhuo Wen Luo Electronic refillable gas lighter with retractable hook
US10502419B2 (en) 2017-09-12 2019-12-10 John Gibson Enterprises, Inc. Portable biometric lighter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710782A (ko) * 1967-08-04 1969-02-06
JPS516305Y1 (ko) * 1968-09-11 1976-02-20
US3947731A (en) * 1974-01-01 1976-03-30 Manufactura de Articulos para el Hogar "Aurora" Sociedad Anonima Industrial Comercial, Inmobiliaria y Financiera Piezoelectric lighter
US3894273A (en) * 1974-05-17 1975-07-08 Jr Harry E Newport Spark ignition circuit for gas burners
US3904350A (en) * 1974-08-01 1975-09-09 Pleasey Inc Spark ignition systems
US4069006A (en) * 1976-06-30 1978-01-17 Jackson Crowell B Household and barbecue torch lighter
DE2754639C2 (de) * 1977-12-08 1979-09-13 Rowenta-Werke Gmbh, 6050 Offenbach Stabförmiges Gasfeuerzeug
GB2012401B (en) * 1977-12-14 1982-04-15 Nippon Gas Co Ltd Igniting device
US4288209A (en) * 1978-03-02 1981-09-08 Prince Industrial Development Co., Ltd. Gas cigarette lighter with solar cell
US4220443A (en) * 1978-05-09 1980-09-02 Bear Russell M Electro-mechanical chemical firearm device
JPS54159069A (en) * 1978-06-05 1979-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Touch system electronic lighter
US4253820A (en) * 1979-05-10 1981-03-03 Jarreau Donald J Fireplace lighter
US4259059A (en) * 1979-08-15 1981-03-31 Roosa Vernon D Extension lighter
JPS5672062U (ko) * 1979-11-02 1981-06-13
GB2086023B (en) * 1980-10-23 1984-09-19 Kagawa Seiji Igniter utilizing piezo-electric element
US4389187A (en) * 1981-03-16 1983-06-21 Sims Michael H Extended holder for a lighter
US4462791A (en) * 1982-08-30 1984-07-31 Richard Hayden Fire lighter
US4538983A (en) * 1983-10-11 1985-09-03 Noel E. Zeller Foldable safety lighter
IT8323530V0 (it) * 1983-11-11 1983-11-11 Buzzi Enrico Struttura di accendigas per uso domestico.
IT1169956B (it) * 1983-11-11 1987-06-03 Buzzi Enrico Accendigas per uso domestico a doppia utilizzazione
DE8436764U1 (de) * 1984-12-15 1985-03-14 Consuma AG, Balzers Handgasfeuerzeug
CA1215271A (en) * 1985-06-26 1986-12-16 Jean-Pierre Patenaude Gas powered soldering iron
US4699123A (en) * 1985-09-27 1987-10-13 The Schawbel Corporation Portable heating appliance
JPS61143620A (ja) * 1985-10-19 1986-07-01 Mansei Kogyo Kk 電池式ガスライタ−のスイツチ装置
US4635382A (en) * 1986-03-10 1987-01-13 Serge Bourdeau Cordless hand held hot air hair dryer
JPH0547951Y2 (ko) * 1986-09-11 1993-12-17
JPS6410027A (en) * 1987-07-02 1989-01-13 Mansei Kogyo Kk Controller for ignition circuit
US4854859A (en) * 1987-09-01 1989-08-08 Anderson Lin Adjustment and positioning structure of the elongated rod-like lighter
US4919111A (en) * 1988-06-16 1990-04-24 Win Lighter Corporation Igniting apparatus
US5427522A (en) * 1988-09-02 1995-06-27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ES2014189A6 (es) * 1989-08-02 1990-06-16 Laforest Sa Mecanismo piezoelectrico para encendedores de gas.
ES2020868A6 (es) * 1990-02-28 1991-10-01 Flamagas Encendedor de cocina de gas licuado.
US5092764A (en) * 1990-07-11 1992-03-03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with locking valve cap
JPH04186018A (ja) * 1990-11-20 1992-07-02 Tokyo Mc Kk ガスライターの安全装置
WO1992009852A1 (en) * 1990-11-30 1992-06-11 Tokai Corporation Ignition device
CH683455A5 (de) * 1991-03-13 1994-03-15 Laforest Bic Sa Piezoelektrischer Mechanismus für Gasanzünder.
RU2036387C1 (ru) * 1991-04-08 1995-05-27 Иван Николаевич Розанов Газовая зажигалка
US5135388A (en) * 1991-05-06 1992-08-04 Pettit Frederick M Extended-handle lighter
US5199865A (en) * 1991-08-05 1993-04-06 Liang Chung Ho Structurre of foldable safety lighter
US5154483B1 (en) * 1991-08-09 1997-08-26 Zelco Ind Flashlight with flexible extension
US5222889A (en) * 1992-08-05 1993-06-29 Chein Sheng Machine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igniter
US5348467A (en) * 1993-03-26 1994-09-20 Piffath Rodney S Child resistant cigarette lighter
US5412179A (en) * 1993-08-17 1995-05-02 Chen; Lin-Tien Push button ignition switch for controlling gas flow and igniter in an ignition gun
CN2182332Y (zh) * 1993-10-18 1994-11-09 黄英峰 点火器安全开关
US5704776A (en) * 1993-12-22 1998-01-06 Polycity Industrial Ltd. Safety lock lighter
US5531592A (en) * 1994-02-28 1996-07-02 Tasi; Chin-Lin Handy gas torch
US5478232A (en) * 1994-03-22 1995-12-26 Trimblehouse Corporation Ambient light controlled outdoor gas light
GB9407266D0 (en) * 1994-04-13 1994-06-08 Valor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control of gas fires
US5417571A (en) * 1994-05-09 1995-05-23 Kvalseth; Tarald O. Child resistant lighter
US5897308A (en) * 1994-08-18 1999-04-27 Tokai Corporation Safety device in lighting rods
US5697775A (en) * 1994-08-18 1997-12-16 Tokai Corporation Safety device in lighting rods
US5505614A (en) * 1994-08-22 1996-04-09 Lin; Arlo H. T. Handy gas torch
US5460521A (en) * 1994-12-06 1995-10-24 Tsai; Chin-Lin Injection igniter having a safety device
US5616022A (en) * 1995-01-03 1997-04-01 Moran, Iv; Thomas J. Barbecue ignitor and scraper
IT236741Y1 (it) * 1995-03-16 2000-08-17 Elb S R L Accendigas piezoelettrico perfezionato
KR0114876Y1 (ko) * 1995-03-23 1998-04-16 마고토 이찌가와 안전 잠금장치를 구비한 라이터
US5496169A (en) * 1995-05-10 1996-03-05 Chen; Tung-Yu Safety control switch for gas-fired ignition guns
US5545035A (en) * 1995-05-22 1996-08-13 Tsai; Chin-Lin Ignition device with an air fan
US5564918A (en) * 1995-06-06 1996-10-15 Lin; Arlo H. T. Gas torch
JP3516153B2 (ja) * 1995-11-09 2004-04-05 株式会社東海 ガス着火器
US5564919A (en) * 1995-12-07 1996-10-15 Tsai; Chin-Lin Portable burning device
FR2743867B1 (fr) * 1996-01-24 1998-03-27 Cricket Sa Briquet actionne par un poussoir deplacable longitudinalement, a l'epreuve des enfants
US5662466A (en) * 1996-04-12 1997-09-02 Cheng; Mei-Jung Safety structure for electronic lighters
US5865614A (en) * 1997-01-10 1999-02-02 Huang-His Hsu Electronic ignition gun
PL191270B1 (pl) * 1997-01-22 2006-04-28 Bic Corp Zapalniczka uniwersalna
US5934895A (en) * 1997-01-22 1999-08-10 Bic Corporation Utility lighter
US6012916A (en) * 1999-01-12 2000-01-11 Liang; Chung-Ho Safety electronic ligh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230990C2 (ru) 2004-06-20
AU757801C (en) 2003-09-11
CA2363554A1 (en) 2000-09-08
PL193600B1 (pl) 2007-02-28
US6065958A (en) 2000-05-23
ZA200106983B (en) 2002-08-23
ATE418046T1 (de) 2009-01-15
AU3505600A (en) 2000-09-21
CN1349601A (zh) 2002-05-15
JP3660249B2 (ja) 2005-06-15
HK1046542A1 (zh) 2003-01-17
TW552376B (en) 2003-09-11
EP1157238A1 (en) 2001-11-28
CN100404958C (zh) 2008-07-23
CZ20013115A3 (cs) 2002-03-13
AU757801B2 (en) 2003-03-06
BR0008666A (pt) 2001-12-18
WO2000052390A1 (en) 2000-09-08
EP1157238B1 (en) 2008-12-17
ES2322326T3 (es) 2009-06-19
EP1157238A4 (en) 2005-02-16
AR020858A1 (es) 2002-05-29
JP2002538407A (ja) 2002-11-12
DE60041125D1 (de) 2009-01-29
MY118317A (en) 2004-09-30
KR20010102431A (ko) 2001-11-15
CA2363554C (en) 200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032B1 (ko) 다용도 라이터
KR100388813B1 (ko) 라이터
KR100745243B1 (ko) 실용 라이터
US6527546B1 (en) Utility lighter
JP3833178B2 (ja) マルチモードライター
AU2002239670A1 (en) Multi-mode lighter
PL191270B1 (pl) Zapalniczka uniwersalna
MXPA01008754A (en) Utility lighter
KR20070030911A (ko) 멀티 모드 라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