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911A - 멀티 모드 라이터 - Google Patents

멀티 모드 라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911A
KR20070030911A KR1020077001505A KR20077001505A KR20070030911A KR 20070030911 A KR20070030911 A KR 20070030911A KR 1020077001505 A KR1020077001505 A KR 1020077001505A KR 20077001505 A KR20077001505 A KR 20077001505A KR 20070030911 A KR20070030911 A KR 20070030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er
actuation
fuel
hous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토니 스그로이
제프 우클레자
폴 아담스
Original Assignee
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빅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700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0911A/ko
Publication of KR2007003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적어도 한 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동가능한 작동 부재, 및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억제 부재를 포함하는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가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적어도 한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저지, 방해 및/또는 방지한다. 예를 들면,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의 이동을 저지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고, 연료의 방출을 방해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연료를 점화시키는 스파크의 생성을 저지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다. 라이터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구성이 별개로 또는 조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작동 부재, 스파크 갭, 억제 부재, 전기 회로, 스파크

Description

멀티 모드 라이터 {MULTI-MODE LIGHTER}
관련 출원에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0년 11월 3일 출원되어 현재 미국 특허 제6,491,515호인 미국 특허 출원 제09//704/689호의 부분 연속 출원인, 2001년 3월 27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817,278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09/819,021호, 현재 미국 특허 제6,488,492호 둘 다의 부분 연속 출원인, 2002년 3월 1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085,045호, 현재 미국 특허 제6,726,469호의 부분 연속 출원인, 2003년 3월 18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389,975호의 부분 연속 출원인, 2003년 8월 26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647,505호의 부분 연속 출원이다. 이들 6개의 출원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명시적으로 합체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시가, 시가렛 및 파이프와 같은 담배 제품에 불을 붙이는 데에 사용되는 포켓 라이터와 같은 라이터 또는 양초, 바베큐 그릴, 벽난로 및 캠프파이어에 불을 붙이는 데에 사용되는 다목적 라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부주의한 작동 또는 바람직하지 못한 작동을 저지하는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시가, 시가렛 및 파이프와 같은 담배 제품에 불을 붙이는 데 사용되는 라이터는 많은 세월에 걸쳐서 개발되어왔다. 통상적으로, 이들 라이터는 연료 용기로부터 연료를 방출하는 노즐 근처에서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회전식 마찰 소자 또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다. 압전 기구는 간단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편적인 호평을 얻고 있다. 뮤리(Meur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262,697호("697 특허")는 하나의 이러한 압전 기구를 개시하고, 이의 개시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었다.
라이터는 또한 작은 시가렛 또는 포켓 라이터로부터 몇몇 형태의 연장된 또는 다목적 라이터로 발전하였다. 이들 다용도 라이터는 양초, 바베큐 그릴, 벽난로 및 캠프파이어에 불을 붙이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목적용으로 보다 유용하다. 이러한 설계의 초기 시도는 단순히 단부에서 전형적인 포켓 라이터를 수용하는 연장된 작동 핸들에 의존한다. 미국 특허 제4,259,059호 및 제4,462,791호는 이 개념의 예를 담고 있다.
많은 포켓 및 다용도 라이터는 어린 아이에 의한 라이터의 바람직하지 못한 작동을 저지하기 위한 어떤 기구를 갖는다. 예를 들면, 포켓 및 다용도 라이트는 작동기 또는 푸쉬 버턴의 이동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방지하는 스프링 편향식 블록킹 래치를 포함한다. 샤이크(Shik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145,358호는 이러한 라이터의 예를 개시한다.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바람직하지 못한 작동 또는 우발적인 작동을 저지하지만, 라이터가 다양한 의도된 사용자에게 마음에 들도록 각각의 의도된 사 용자에게 라이터를 작동시키는 소비자 친화형 방법을 제공하는 라이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연료의 공급원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작동 부재와, 연료를 점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작동가능한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억제 부재를 포함하는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가 연료를 점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저지, 방해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가 연료를 점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충분히 이동하는 것을 저지, 방해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또는 부가적으로,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가 연료를 방출시키는 것을 저지, 방해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르게는 또는 부가적으로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가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스파크를 생성하는 것을 저지, 방해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다.
작동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억제 부재는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축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비록 다른 위치가 고려될 수도 있지만, 하우징은 기단부와 말단부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는 기단부로부터 연장할 수도 있다. 비록 다른 형상이 고려될 수 있지만, 기단부는 실질적으로 무디거나(blunt) 평면이다.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기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확대된 접촉 표면이 억제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대략 절반 이상을 덮거나 또는 다르게는, 하우징의 기단부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덮을 수도 있다. 접촉 표면 및 억제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일체형이거나 또는 다르게는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 상에 작용하는 비임이다. 비임은 피봇 부재에 의해서 하우징에 피봇식으로 또는 힌지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비임은 억제 부재와 결합된 외팔보 비임일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라이터는 하우징의 말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막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막대 부재는 선택적으로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도 있다.
라이터는 부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높은 힘 모드에서 낮은 힘 모드로 작동 부재를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래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작동 부재가 높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에 제1 작동력이 필요하고, 작동 부재가 낮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에 제2 작동력이 필요하고, 제1 작동력은 제2 작동력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터는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과, 연료를 방출하도록 작동가능한 밸브와, 연료를 점화시키는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작동가능한 점화 기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억제 부재를 포함하고, 작동 부재를 제1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은 밸브 및 점화 기구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고,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는 제1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고,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는 제1 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이 저지 및/또는 방지되고, 억제 부재는 제1 위치를 향해 편향되어 있다. 신축성 또는 탄성 부재가 억제 부재를 제1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는 제1 거리보다 적은 제2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다르게는, 작동 부재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이동에 대항하여 실질적으로 차단될 수도 있다. 라이터는 억제 부재와 결합된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차단 부재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와 결합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 및 차단 부재는 일체형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르게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터는 노즐과 연통하는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과, 노즐 근처에서 연료를 점화시키는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작동가능한 점화 기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연료의 공급부로부터 연료를 방출하도록 이동가능한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위치로 편향된 억제 부재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는 노즐로부터 연료의 방출을 저지, 방해 및/또는 방지하도록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라이터는 억제 부재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또는 대체식으로, 라이터는 연료의 공급부로부터 노즐로 연장하는 도관을 더 포함하고,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연료가 도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유동하는 것이 방해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관과 관련된 피스톤을 더 포함하고,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은 연료가 도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이 고려될 수도 있지만, 피스톤은 도관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라이터는 도관의 제1 부분을 도관의 제2 부분에 연결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피스톤은 접합부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피스톤은 연료가 접합부를 통해서 유동하는 제1 위치를 향해서 통상 편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탄성 요소가 피스톤을 제1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억제 부재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연료가 접합부를 통해서 유동하는 것이 방해 및/또는 방지되는 제2 위치로 피스톤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터는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과, 연료를 방출하기 위한 노즐과, 노즐 근처에서 스파크 갭을 갖는 전기 회로와, 스파크 갭을 가로지르는 스파크를 생성하기 위한 점화 기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점화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이동가능한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전기 회로의 부분(예를 들면, 스위치)이 닫힌 제1 위치로부터 전기 회로의 부분이 열린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한 억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억제 부재는 예를 들면 탄성 요소에 의해서 제1 위치로 통상 편향될 수도 있다. 라이터는 점화 기구로부터 스파크 갭의 제1 단자로 연장하는 제1 전기 경로와, 점화 기구로부터 스파크 갭의 제2 단자로 연장하는 제2 전기 경로를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전기 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된 때 열린 상태일 수도 있다. 라이터는 또한 제1 및 제2 전기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스위치는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닫히고, 스위치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열릴 수도 있다. 다른 구성도 고려될 수도 있지만, 작동 부재는 노즐로부터 연료를 방출하도록 작동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터는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과, 연료를 방출하기 위한 노즐과, 제1 전기 저항 및 노즐 근처에서 제1 스파크 갭을 갖는 제1 전기 회로 및 제2 전기 회로에 연결가능한 점화 기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점화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이동가능한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점화 기구에 의해서 발생된 에너지가 제1 전기 회로를 통해 이동하는 제1 위치와 점화 기구에 의해서 발생된 에너지가 제2 전기 회로를 통해 이동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억제 부재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는 제1 위치를 향해서 편향된다. 점화 기구의 작동은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스파크 갭을 가로지르는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전기 회로는 제1 저항을 가지고 제2 전기 회로는 제2 저항을 가질 수 있고,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저항이 제1 저항보다 크고,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저항이 제1 저항보다 적다. 제2 전기 회로는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스파크 갭을 가질 수 있고, 제2 스파크 갭은 제1 스파크 갭보다 클 수 있다. 억제 부재의 부분은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스파크 갭을 폐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전성 스트립이 억제 부재와 관련될 수도 있고, 도전성 스트립은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스파크 갭을 폐쇄할 수 있다. 제1 전기 회로는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닫히거나 그리고/또는 제2 전기 회로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닫힐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제1 전기 회로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열릴 수도 있다. 제1 전기 회로는 제2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다른 구성이 고려될 수도 있지만, 작동 기구의 이동은 노즐로부터 연료를 방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이 유사한 참조부호가 몇몇 도면에 통해서 유사한 요소를 지시하는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다.
도1은 라이터가 초기 상태에 있고, 막대 조립체가 폐쇄 위치에 있고, 작동 부재 및 래치 부재가 초기 상태에 있고, 플런저 부재가 높은 작동력 위치에 있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어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다용도 라이터의 절결 측면도이다.
도1A는 도1의 라이터에 이용하기 위한 연료 공급 유닛의 몇몇 구성부품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1B는 도1의 다용도 라이터의 후방부의 확대 절결 측면도이다.
도2는 작동 부재 및 래치 부재는 초기 상태에 있고 플런저 부재는 높은 작동력 위치에 있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어 도시된, 도1의 라이터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3은 하우징 없이 도시된 도1의 라이터의 다양한 구성부품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3A는 도1의 라이터에 이용하기 위한 플런저 부재 및 피스톤 부재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4는 도3의 구성부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5는 플런저 부재가 높은 작동력 위치 및 작동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는, 도1의 라이터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6은 플런저 부재가 높은 작동력 위치에 있고 작동 부재가 가압된 위치에 있는, 도1의 라이터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7은 래치 부재가 가압되고 플런저 부재가 낮은 작동력 위치에 있고 작동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는, 도1의 라이터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8은 래치 부재가 가압되고, 플런저 부재가 낮은 작동력 위치에 있고 작동 부재가 가압된 위치에 있는, 도1의 라이터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9는 분리된 하우징과 막대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의 라이터의 분해 부분 사시도이다.
도9A는 도1의 라이터에 사용하기 위한 막대 조립체의 다양한 구성부품의 분해 부분 사시도이다.
도10은 폐쇄된 위치의 막대 부재를 도시하는 도1의 라이터의 전방부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10A는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대략 20 °로 피봇된 막대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0의 라이터의 전방부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11은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대략 45 °로 피봇된 막대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0의 라이터의 전방부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12는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대략 90 °로 피봇된 막대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0의 라이터의 전방부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13은 완전히 연장된 막대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0의 라이터의 전방부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14는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대략 135 °로 피봇된 막대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0의 라이터의 전방부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15는 도1의 라이터의 캠 종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16은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고 작동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고 억제 부재가 제1 또는 레스트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라이터의 절결 측면도이다.
도17은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고 작동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고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도16의 라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17A는 도17에 도시된 작동 부재 및 다른 구성부품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18은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고 작동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고 억제 부재가 제2 또는 가압된 위치에 있는, 도16의 라이터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18A는 도18에 도시된 작동 부재 및 다른 구성부품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19는 도16의 라이터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20은 도16의 라이터의 다른 대체적인 실시예의 단부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21은 도16의 라이터의 또 다른 대체적인 실시예의 단부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도22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고 억제 부재가 제1 또는 레스트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라이터의 부분 측면 개략도이다.
도22A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고 억제 부재가 제2 또는 가압된 위치에 있는, 도22의 라이터의 부분 측면 개략도이다.
도23은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고 억제 부재가 제1 또는 레스트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라이터의 부분 측면 개략도이다.
도23A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고 억제 부재가 제2 또는 가압된 위치에 있는, 도23의 다용도 라이터의 부분 측면 개략도이다.
도24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고 억제 부재가 제1 또는 레스트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5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라이터의 부분 측면 개략도이다.
도24A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고 억제 부재가 제2 또는 가압된 위치에 있는, 도24의 다목적 라이터의 부분 측면 개략도이다.
도25는 작동 부재, 연료 공급부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 거되고 억제 부재가 제1 또는 레스트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라이터의 부분 측면 개략도이다.
도25A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되고 억제 부재가 제2 또는 가압된 위치에 있는, 도25의 다용도 라이터의 부분 측면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다용도 라이터(2)의 일 실시예가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요소에 이뤄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라는 이해에서 도시된다. 비록 본 발명이 다용도 라이터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교시를 통상적인 포켓 라이터 등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라이터(2)는 일반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3량체 등과 같은 성형 강성 중합체(molded-rigid-polymer)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주로 형성될 수도 있는 하우징(4)을 포함한다. 하우징(4)은 또한 초음파 용접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에 의해서 함께 결합되는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4)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지지 부재(4a)와 같은 다양한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지지 부재가 구성부품을 지지하거나 또는 구성부품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과 같은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라이터(2)에 제공된다. 하우징(4)은 추가로 하우징의 제1 단부(8) 및 제2 단부(9)를 형성하는 핸들(6)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막대 조립체(10)는 하우징의 제2 단부(9)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도1,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핸들(6)은 바람직하게는 연료 공급 용기 또는 본체(12)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 유닛(11), 밸브 액츄에이터(14), 제트 및 밸브 조립체(15), 스프링(16), 가이드(18), 및 리테이너(20)를 포함한다. 용기(12)는 연료 공급 유닛(11)의 다른 구성부품을 지지하고 연료 격실(12a) 및 챔버(12b)를 한정하고 상부 에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이격된 지지 부재(12c)를 더 포함한다. 지지 부재(12c)는 개구(12d)를 한정한다. 연료 격실(12a)은 부탄 또는 프로판 및 부탄 혼합물 등과 같은 압축된 탄화수소 기체일 수도 있는 연료(F)를 담는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밸브 액츄에이터(14)는 지지 부재(12c) 아래에서 격실(12)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밸브 액츄에이터(14)는 제트 또는 밸브 스템(15) 및 전극(15b)을 포함하는 제트 및 밸브 조립체(15)에 연결된다. 전극(15b)은 선택적이다. 제트 및 밸브 조립체(15)는 통상 개방 밸브 설계이고, 밸브 액츄에이터(14) 상의 스프링 부재(16)의 압력에 의해서 폐쇄된다. 다르게는, 통상 폐쇄 밸브 설계를 갖는 제트 및 밸브 조립체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적절한 연료 공급 유닛(11)이 미국 특허 제5,934,895호("'895 특허")에 개시되고 이의 개시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전체적으로 포함된다. 사용될 수 있는 연료 공급 유닛(11)에 대한 다른 대체적인 배열이 미국 특허 제5,520,197호("'197 특허") 또는 미국 특허 제5,435,719호("'719 특허")에 개시되고, 이의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전체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특허들에 개시된 연료 공급 유닛은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인 윈드 쉴드, 래치 스프링, 래치 등과 같은 다양한 구 성부품이 제거된 상태로 또는 개시된 구성부품의 전부인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연료 공급 유닛의 대체적인 구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1A를 참조하면, 가이드(18)는 슬롯(18a) 및 돌기(18b)를 한정한다. 라이터가 조립된 때, 가이드(18)는, 가이드(18)를 수용하기 위하여 외향으로 굽어진 지지 부재(12c)들 사이에 배치된다. 일단 돌기(18b)가 개구(12d)와 정렬되면, 지지 부재(12c)는 이의 수직,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도 있다. 돌기(18b)와 개구(12d) 사이의 상호작용은 가이드(18)가 본체(12)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리테이너(20)는 보어(20b) 및 L형 후향부(20c)를 한정하는 전방부(20a)를 포함한다. 연료 커넥터(22)는 제트(15a)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연료 도관(23)을 수용한다. 그러나, 커넥터(22)는 선택적이고 만일 사용되지 않는다면 도관(23)은 제트(15a)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리테이너(20)는 도관(23)이 커넥터(22) 내부에 있도록 보어(20b)를 통해 도관(23)을 수용함에 의해서 제트 및 밸브 조립체(15)에 대하여 연료 도관(23)을 적절하게 위치설정한다. 도관(23)의 세부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리테이너(20)의 후향부(20c)는 가이드(18)의 슬롯(18a) 내부에 배치된다. 리테이너(20) 및 가이드(18)는 도관(23)이 제트 및 밸브 조립체(15)에 대하여 적절하게 위치설정되도록 이들 구성부품이 서로 억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리테이너(20) 및 가이드(18)는 선택적이고 라이터의 하우징(4) 또는 다른 구성부품이 커넥터(22) 및 도관(23)을 지지 및 위치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트(15a)에 커넥터(22) 및 도관(23)을 위치시키는 기능을 하는 한 가이드 및 리테이너(20)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용기(12), 가이드(18), 리테이너(20) 및 커넥터(22)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밸브 액츄에이터(14), 밸브 스템(15a) 및 전극(15b)은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연료 공급 유닛(11)은 연료 공급 용기(12), 제트 및 밸브 조립체(15) 및 편향된 밸브 액츄에이터(14)를 포함할 수도 있는 미리 조립된 유닛일 수 있다. 연료 공급 유닛(11)이 라이터 내부에 배치될 때, 하우징 지지 부재(4a)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닛(11)의 위치를 위치시키고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하우징 지지 부재(4b)는 리테이너(20)를 위치설정하는 것을 돕는다.
도1을 다시 참조하면, 라이터(2)는 또한 연료(F)를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밸브 조립체(14)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작동 부재(25)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는 또한 연료에 불을 붙이기 위하여 점화 조립체(2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다르게는, 작동 부재는 연료 방출 또는 점화 기능 중 하나를 수행할 수도 있고, 다른 기구 또는 조립체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작동 부재가 작동 조립체의 일부인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든 태양에 대하여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압전 기구와 같은 전기 점화 조립체가 바람직한 점화 조립체(26)이다. 점화 조립체는 다르게는 미국 특허 제3,758,820호 및 미국 특허 제5,496,169호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전자적인 점화 구성부품, 스파크 휠 및 부싯돌 조립체 또는 스파크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기술 분야에 다른 공지된 기구를 포함 할 수도 있다. 점화 조립체는 다르게는 예를 들면 이의 단자를 가로질러 연결된 코일을 갖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압전 기구는 '697 특허에 개시된 형태일 수도 있다. 압전 기구(26)는 도1B에 개략적으로 예시되고 '697 특허에 특히 설명된다.
압전 유닛(26)은 공통 축을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활주하는 상부 부분(26a) 및 하부 부분(26b)을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 또는 리턴 스프링(30)이 압전 유닛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26a, 26b) 사이에 위치설정된다. 리턴 스프링(30)은 압전 유닛의 압축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작동 부재(25) 내에 위치설정된 때 작동 부재(25)의 가압을 저지한다. 압전 유닛의 하부 부분(26b)이 연료 공급 유닛(11) 내의 협동 챔버(12b)에 수용된다.
압전 유닛(26)은 상부 부분(26a)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전기 접점 또는 캠 부재(32)를 더 포함한다. 초기 위치에서, 부분(26a, 26b)은 갭(X)에 의해서 분리된다. 캠 부재(32)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상부 부분(26a)은 작동 부재(25)와 결합된다. 스파크 도전체 또는 와이어(28)는 부분적으로 절연되고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압전 유닛의 전기 접점(29)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래치 부재(34)는 핸들(6)의 상부측에 있고 작동 부재(25)는 핸들(6)의 바닥측 근처에서 래치 부재(34)에 대향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래치 부재(34)는 일반적으로 하우징(4)의 힌지(40)에 피봇식으로 고정된 후방 단부(38) 및 하향 연장하는 보스(36a)를 포함하는 지지되지 않고 이동가능한 전방 단부(36)를 포함한다.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래치 부 재(34)가 또한 외팔보 방식, 활주식으로 또는 회전식으로와 같은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과 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다. 래치 부재(34)가 활주가능할 때 캠은 그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판 스프링(42)은 전방 단부(42a) 및 후방 단부(42b)를 포함한다. 판 스프링(42)은 전방 단부(42a)가 후방 단부(42b) 위로 이격되도록 도4에 가장 잘 도시된 것과 같이 굽어진다. 판 스프링의 형상은 라이트의 구성부품의 배열 및 필요한 공간 고려에 따라서 평면형이 되는 것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다르게는, 판 스프링은 래치 부재(34)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판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외팔보 스프링 또는 래치 부재(34)를 바이어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바이어싱 부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5를 참조하면, 판 스프링(42)의 후방 단부(42b)는 스프링(42)이 실질적으로 외팔보 부재와 같이 작동하도록 단부(42b)가 하우징(4)과 결합되도록 지지 부재(4c) 사이에서 하우징(4) 내부에 배치된다. 하우징(42)의 형상, 치수 및 재료 때문에, 전방 단부(42a)는 자유롭게 이동하고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래치 부재 전방 단부(36)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래치 부재(34)의 지지되지 않은 전방 단부(36)가 스프링(42)의 전방 단부(42a)를 따라 하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래치 부재(34)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지만, 리프 스프링(42)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강,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탄력성을 갖는 금속으로부터 또는 다른 형태의 재료로부터 제조될 있다. 판 스프링(42)은 하우징(4)에 장착되어 도시 되지만 다르게는 라이터의 다른 구성부품과 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1을 참조하면, 작동 부재(25)의 추가적인 세부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재(25)는 하우징(4)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작동 부재(25) 및 하우징(4)은 작동 부재의 전항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 및 크기일 수도 있다.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작동 부재가 다르게는 피봇식으로, 회전가능하게 또는 외팔보 식과 같은 다른 형식으로 하우징과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작동 부재는 연통 시스템이거나, 한 조각이 하우징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조각이 피봇되는 2개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3으로 다시 돌아가면, 작동 부재(25)는 하부 부분(44) 및 상부 부분(46)을 포함한다. 도3 내지 도4를 참조하면, 하부 부분(44)은 전방 핑거 작동 표면(48), 제1 챔버(50)(가상선으로 도시됨), 및 제2 챔버(52)(가상선으로 도시됨)를 포함한다. 작동 부재(25)가 하우징(4) 내부에 배치될 때 핑거 작동 표면(48)은 사용자의 손가락(도시 생략)에 의해서 접근가능하도록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25)의 하부 및 상붕 부분은 단일 조각으로 형성된다. 다르게는, 상부 및 하부 부분은 함께 결합된 2개의 별개 조각일 수 있거나 작동 부재는 다중 조각 유닛의 부분일 수도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작동 부재(25)의 제1 및 제2 챔버(50, 52)는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1 챔버(50)는 제2 챔버(52) 아래에 있고, 제1 챔버(50)는 작동 부재 복귀 스프링(53)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53)은 작동 부재(25)와 하우 징(4)의 제1 스프링 정지부 또는 지지 부재(4d) 사이에 배치된다. 도4를 참조하면, 작동 부재(25)는 하부 부분(4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54)를 더 포함한다. 제2 챔버(52)는 연장부(54) 내부로 연장된다. 제2 챔버(52)는 점화 조립체(2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음).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작동 부재(25)의 상부 부분(46)은 2개의 L형 가이드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측벽(57)에는 절결부(56)에 의해 표시되는 측면 절결부이다. 절결부(56)는 제1 부분(56a) 및 제1 부분(56a)과 연통하는 제2 부분(56b)을 포함한다. 제2 부분(56b)은 수직 축(V)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56c)을 포함한다. 수직 축(V)은 종방향 축(L) 및 횡방향 축(T)에 직각이다(도1에 도시됨).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절결부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작동 부재는 중실형 측벽으로 가질 수 있고 가이드는 측벽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작동 부재의 상부 부분(46)은 또한 작동 부재의 상부 벽(61) 내에 후방 절결부(58) 및 슬롯(60)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46)은 결합 표면(61)을 갖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결합부(62)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62)의 기능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25)의 상부 부분(46) 및 가이드(56)는 이중 모드 조립체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이중 모드 조립체는 또한 플런저 부재(63)와 피스톤 부재(74)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의 하부 및 상부 부분(44, 46)은 단일편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및 상부 부재(44, 46)는 분리된 조각으로 형성되어 서로 작동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라이터 내에 설치된 때 플런저 부재(63)는 래치 부재(34) 아래에 배치된다. 플런저 부재(63)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부(64)와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헤드부(66)를 갖는 실질적으로 T 형이다. 도4에 가장 잘 도시된 것과 같이, 헤드부(66)는 평면의 전방 표면(66a)을 갖는다. 플런저 부재(63)가 작동 부재(25) 내부에 설치된 때 표면(66a)은 대체로 수직축(V)에 평행하다.
도3을 다시 참조하면, 몸체부(64)는 후단부에 2개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핀(68), 상부면에 리세스(70), 및 몸체부(64)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부(72)를 포함한다. 리세스(70)는 선택적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25)의 벽(56c) 및 플런저 부재(63)의 벽(66a)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들은 수직축(V)에 대하여 다르게 경사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벽(66a, 56c)은 수직 축(V)으로부터 각도(β)만큼 각도로 오프셋된 라인(A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벽(66a, 56c)은 다르게는 수직 축(V)에 각도(θ)만큼 각도로 오프셋인 라인(A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된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르게는, 벽(56c)은 V형 노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벽(66a)은 벽(56c)의 노치 내에 수용되도록 V형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 반대일 수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피스톤 부재(74)는 후방부(76) 및 전방부(78)를 포함한다. 후방부(76)는 고하중 스프링 또는 바이어싱 부재(80)와 접촉하기 위한 수직 후방벽(76a)을 포함한다. 스프링(80)은 벽(76a)과 하우징(4)의 제2 스프링 정지부 또는 지지 부재(4e) 사이에 배치된다. 도4를 다시 참조하면, 후방부(76)는 정지 부재(76c)를 한정하는 수평 절결부(76b)를 더 포함한다. 절결부(76b) 및 정지 부재(76c)는 피스톤 부재(74)가 하우징 내의 레일(도시 생략)에 활주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고 플런저 부재(63)가 아래와 같이 기능할 수 있도록 피스톤 부재(74)가 미리 정해진 거리로 종방향으로 활주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피스톤 부재(74)의 전방부(78)는 2개의 이격된 아암(82)을 포함한다. 아암(82) 및 전방부(78)는 플런저 부재(63)의 핀(68)을 수용하는 절결부(84)를 한정한다. 플런저 부재(63)의 절결부(84) 및 핀(68)은 플런저 부재(63)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피스톤 부재(74)에 대하여 피봇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된 구성 및 치수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플런저 부재(63)는 피스톤 부재(74)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지만,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플런저 부재(63)는 피스톤 부재(74)에 고정식으로 연결되지만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할 수 있다.
피스톤 부재(74)의 전방부(78)는 상향으로 연장하는 핀(90)을 갖는 수평 플래폼(88)을 포함하는 하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86)를 더 포함한다.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피스톤 부재(74)가 라이터 내부에 조립된 때 플래폼(88)은 작동 부재(25)의 후방 절결부(58)를 통해 배치되고 핀(72, 90)이 그 사이에 플런저 복귀 스프링(92)을 보유하도록 핀(90)은 플런저 부재(63)의 핀(72)과 정렬될 수도 있다. 플런저 부재(63)는 플런저 부재를 초기 위치를 향해 상향으로 편향시키는 복귀 스프링(92) 때문에 상부벽(61)의 바닥면과 접촉한다(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음).
도3A를 참조하면, 플런저 부재(63') 및 피스톤 부재(74')의 바람직한 실시예 가 도1의 라이터(2)에 사용되기 위해 도시된다. 플런저 부재(63')는 몸체부(64')가 단일의 어떤 핀부(68') 및 슬롯(68")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플런저 부재(63)에 유사하다. 피스톤 부재(74')는 피스톤 부재(74')의 전방부(78')가 플런저 부재(63')의 핀(68')을 피봇식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절결부(84')를 한정하는 단일 아암(82')을 포함한다. 플런저 부재(63')가 하향으로 피봇한 때 슬롯(68")은 아암(82')을 수용한다.
작동 부재(25)의 작동이 도6 내지 도8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9를 참조하여, 라이터(2)의 추가적인 태양에 따라서 이는 막대 조립체(10)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의 세부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막대 조립체(10)는 하우징(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하우징(4)으로부터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막대 조립체(10)는 도1 및 도10에 도시된 제1 위치 또는 폐쇄 위치와 도13에 도시된 제2 또는 개방 또는 완전 연장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도 있다. 폐쇄 위치에서, 막대 조립체(10)는 편리한 운반 및 보관을 위하여 하우징(4)에 밀접하게 절첩된다. 완전 연장 위치에서, 막대 조립체(10)는 하우징(4)으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멀리 연장된다.
도9 및 도9A를 참조하면, 막대 조립체(10)는 기부 부재(102)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막대(101)는 도관(23)(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음) 및 와이어(28)를 수용하는 원통형 금속 튜브이다. 막대(101)는 또한 막대의 자유 단부 근처에서 그와 일체로 형성된 탭(101a)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별개의 탭이 막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9 및 도9A를 다시 참조하면, 기부 부재(102)는 하우징(4)의 제2 단부(9)에 형성된 리세스(104)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리세스(104)는 하우징(4)의 측면 사이에 위치되고, 따라서 막대 조립체(10)를 측면들 사이에 위치시킨다.
기부 부재(102)는 2개의 몸체부(106a, 106b)를 포함하고 대체로 원통형이고 보어(108)를 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06a, 106b)는 몸체부(106a, 106b)가 결합된 때 채널(106c)은 그 내부에 챔버(107)를 한정하도록 채널(106c)을 한정한다. 기부 부재 조각을 결합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기술은 초음파 용접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부 부재(102)의 이 구성 또는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몸체부(106b)는 그 내부에 개구(109)를 한정한다. 도10에 가장 잘 도시된 것과 같이, 개구(109)는 몸체부(106b)를 통해 연장하는 아치형 슬롯이고 그 내부에 형성된 채널(106c) 및 챔버(107)(도9에 도시된 것과 같음)와 연통한다. 아치형 슬롯(109)의 기능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하우징(4)은 그 내측 표면(112)에 형성된 한 쌍의 축(110a, 110b)을 포함한다. 축(110a)은 수형 부재이고 축(110b)은 암형 부재이다. 이들 축(110a, 110b)은 이들이 결합된 때 서로 스냅 피트되도록 된 구성 및 치수일 수도 있다. 다르게는, 축(110a, 110b)은 초음파 용접 또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른 결합 방법에 의해서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대체예에서, 축(110a, 110b)은 이격될 수도 있다. 일단 조립되면, 축(110a, 110b)은 하우징(4)에 막대 조립체(10)를 피봇식으로 결합시키도록 보어(108) 내로 연장된다. 축(110)은 따라서 막대 조립체(10)가 이를 중심으로 피봇하는 피봇 축(P)을 한정한다. 피봇 축(P)은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으로 연장하고(즉, 하우징(4)의 일 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연장하고, 이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지 않고), 종방향 축(L)에 직각이지만, 그러나 피봇 축(P)의 다른 배향도 본 발명 내에 포함된다. 하우징(4)은 또한 하우징(4)의 내측 표면(112)에 형성된 스페이서(113)를 포함하여, 리세스(104) 내에 기부 부재(102)를 지지할 수도 있다. 기부 부재(102)는 또한 대향 측면에 한 쌍의 광학적인 마찰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고무 O-링이 기부 부재의 대향 측면에 안착되어 스페이서(113)에 대항하여 위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인 마찰 부재가 피봇 축(P) 중심으로의 막대 조립체(10)의 피봇에 대하여 저항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라이터 하우징(4)은 전방 단부(9)에서 수직벽(4f)을 더 포함한다. 기부 부재(102)는 그로부터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부(106d)를 더 포함한다. 벽(4f)과 돌기부(106d) 사이의 협동은 도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완전 연장 위치를 지나서 방향(W1)으로의 막대(101)의 이동을 방지한다. 더욱이, 막대 조립체(10)가 완전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약간의 클리어런스가 수직 벽(4f)과 기부 부재(102)의 돌기부(106d)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10 내지 도14를 참조하면, 라이터(2)에는 폐쇄 위치(도10에 도시됨)로부터 완전 연장 위치(도13에 도시됨)까지, 그리고 그 사이의 다양한 중간 위치(도11 및 도12에 도시됨)에서 막대 조립체(10)를 위치설정하거나 또는 보유하는 캠 부재(116)가 제공될 수도 있다. 캠 종동부(116)는 또한 막대 조립체(10)가 도10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라이터(2)를 점화시킬 정도로 작동 부재(25)를 충분히 이동시키는 것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활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막대 조립체(10)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폐쇄 위치로부터 대략 40 ° 위치와 같은 소정 위치로 피봇될 때까지 작동 부재(25)의 이러한 충분한 이동을 계속 방지한다. 이러한 작동 부재(25)의 고정화는 연료 방출 또는 불꽃 점화를 방지함에 의해서 라이터의 점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불꽃 점화는 예를 들면 스파크의 생성을 방지함에 의해서 방지될 수도 있다.
도15를 참조하면, 캠 종동부(116)는 하우징(4) 상에 형성된 보스(117)(도9에 가장 잘 도시됨)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캠 종동부(116)는 허브(118)와 허브(118)의 대략 대향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결합부(119, 120)를 포함한다. 허브(118)는 보스(117)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118a)를 포함한다. 제1 부분(119)은 기부 부재(102)(도9 참조) 상에 형성된 캠밍 표면(124)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종동부 단부(122)를 포함한다. 제2 부분(120)은 작동 부재(25) 상에 형성될 수도 있는 제1 결합 표면(62a)(도10에 가장 잘 도시됨)과 접촉하기 위한 제2 결합 표면(126a)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표면(62a, 126a)이 후크(62, 126)의 부분들로서 도시되지만,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형상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부에 있다. 후크(126)는 다르게는 불꽃의 생성을 방지하도록 링크 부재와 같은 라이터의 다른 요소와 결합할 수도 있다.
도10을 다시 참조하면, 캠 종동부(116)는 종동부 단부(122)가 캠밍 표면(124)과 접촉하여 종동하도록 압축 스프링으로 도시된 편향 부재(128)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편향된다. 시트(130)는 하우징(4) 상에 형성되고 러그(132)(도15에 도시)는 제1 부분(119) 상에 형성되어, 바이어싱 부재(128)를 제 위치에 위치설정한다. 시트(130) 및 러그(132)는 대체적인 실시예에서 대향 부재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바이어싱 부재(128)는 비록 코일 스프링으로 도시되지만 다르게는 토션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또는 당업자에 의해서 적절하다고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바이어싱 부재일 수도 있다. 종동부 단부(124)는 다르게는 탄성 특성을 갖는 캠 종동부(116)를 제공함에 의해서 캠밍 표면(124)에 대항하여 편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캠 종동부(116)는 종동부 단부(122)가 캠밍 표면(124)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되도록 하우징(2) 내에서 압축되는 탄성 부재일 수도 있다.
캠밍 표면(124)은 파상 표면이고 멈춤쇠(134a-d)로서 도시된 일련의 제1 결합부(134a-d)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34a-d)는 제1 결합부(119)의 종동부 단부(122)와 결합할 수도 있다. 멈춤쇠(134a-d)는 종동부 단부(122)가 반경방향 내향으로 변위되어 캠 종동부(116)가 보스(117)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종동부 단부(122) 상에 외향 돌출부를 수용할 수도 있는 기부 부재(102)에 형성된 만입부로서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멈춤쇠(134a)는 오목한 절결부인 나머지 멈춤쇠(134b-d)보다 큰 경사진 절결부이다. 멈춤쇠(134a)는 종동부 단부(122)가 제1 멈춤쇠(134a) 내부에서 캠밍 표면(124)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낮은 압력 각을 제공하도록 경사진 표면부(135)를 포함한다. 이 낮은 압력 각의 결과로서, 편향 부재(128)는 기부 부재(10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종동부 단부(122)가 제1 멈춤쇠(134a)로부터 제2 멈춤쇠(134b)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압 축되어, 막대 조립체(10)가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피봇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매끄럽고 점진적인 느낌을 제공한다. 이 낮은 압력 각은 또한 캠 종동부(116) 및 기부 부재(102) 상에 마모 및 응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도시된 멈춤쇠(134a-d)의 형상 및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멈춤쇠(134a-d)는 다르게는 예를 들면 종동부 단부(12)와 결합하고 이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시키는 기부 부재(102) 상에 형성된 범프, 리지 또는 돌기부이어서, 캠 종동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도시된 멈춤쇠의 수와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또한 캠 종동부(116) 및 단부(122, 126)의 형상 및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캠 종동부의 형상(116), 단부(122, 126) 및 멈춤쇠(134a-d)의 구성은 예를 들면 막대 조립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캠 종동부(116), 단부(122, 126) 및 멈춤쇠(134a-d)의 형상은 또한 예를 들면 막대 조립체를 중간 위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폐쇄 또는 연장된 위치에 유지하는 데 필요한 힘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변화될 수도 있다.
도10을 계속 참조하면, 라이터(2)는 막대 조립체(10)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종동부 단부(122)는 제1 멈춤쇠(134a) 내부로 편향되고 피봇 축(P)으로부터 제1 반경방향 거리(R1)에 위치된다. 제1 멈춤쇠(134a)가 경사진 표면부(135)를 갖기 때문에, 막대 조립체(10)는 후크(126)가 후크(62)로부터 결합해제되기 전에 미리정해진 거리로, 바람직하게는 대략 40°로 피봇되어야 한다. 막대 조립체(10)가 폐쇄 위치, 또는 미리 정해진 거리보다 적게 피봇되어 있다면, 후크(126)는 후크 벽(62a, 126a)이 작동 부재(25)의 가압시에 결합하도록 작동 부재(25)의 후크(62)와 정렬된다. 후크(62, 126)가 분리되어 이격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작동 부재(25)가 부분적으로 가압되지만 라이터(2)를 점화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가압되지 않도록 또는 다르게는 작동 부재(25)가 전혀 가압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크 벽(62a, 126a)은 후크(62, 126)가 서로 결합한 때 접촉한다. 후크 벽(62a, 126a)은 종방향 축(L) 및 피봇 축(P)에 직각인, 수직방향 축(V)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도시된다. 후크(62, 126)의 이 구성은 라이터를 점화시킬 정도로 충분하게 작동 부재(25)를 가압하는 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킨다.
후크 벽(62a, 126a)은 다르게는 기울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후크벽(62a, 126a)은 후크(62, 126)가 상호고정되도록 수직 축(V)으로부터 각도(γ)만큼 각도로 오프셋된 선(B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기울어질 수도 있다. 후크의 이러한 구성은 라이터를 점화시키기에 충분한 작동 부재(25)를 가압하는 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킬 것이다. 상호고정된 구성에 필용한 힘은 수직 벽 구성에서 필요한 힘보다 더 클 수도 있다.
후크 벽(62a, 126a)은 다르게는 수직축(V)으로부터 각도(δ) 만큼 각도로 오프셋된 선(B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기울어질 수도 있다. 미리정해진 힘의 인가 시에, 이러한 후크는 변형되어 결합해제될 것이다. 후크의 이러한 구성은 라이터를 점화시키기에 충분하게 작동 부재(25)를 가압하는 데 드는 힘을 증가시키지만 만일 벽(62a, 126a)이 수직이거나 또는 각도(γ)에 있는 경우보다 더 적은 정도일 것이다.
후크(62, 126)의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막대 조립체(1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25)는 라이터(2)를 점화시키기에 충분하게 가압될 수도 있지만, 그러나, 후크(62, 126) 사이의 상호작용 때문에 그 사이의 중간 위치 중 하나 또는 연장 위치로 피봇된 때보다 그렇게 하는 데 더 큰 힘이 요구된다. 막대 조립체(1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라이터(2)를 점화시킬 정도로 충분하게 작동 부재(2)를 가압하는 데 요구되는 부가적인 힘의 양은 예를 들면 후크 벽(62a, 126a)의 각을 변경함에 의해서 및/또는 후크(62, 126)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를 변경함에 의해서 변경될 수도 있다.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막대 조립체(10)의 연장 위치 또는 제1 방향(W1)을 향한 피봇은 종동부 단부(11)가 기울어진 표면(135)을 따라 이동하고 바이어싱 부재(128)를 가압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막대 조립체(10)는 의도되지 않은 피봇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막대 조립체(10)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 막대 조립체(10)를 피봇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종동부 단부(122)가 기울어진 표면(135)을 타고 이동하여 바이어싱 부재(128)를 가압하게 하도록 막대 조립체(10)에 충분한 힘을 인가하여야 한다.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요구되는 힘의 양이 또한 특정 스프링 상수를 갖는 바이어싱 부재(128)를 선택하거나 및/또는 캠밍 표면(124)의 형상을 변경함에 의해서 변경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거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구성의 결과로서, 막대 조립체(10)는 폐쇄 위치에 해제가능하게 보유된다. 도1을 참조하면, 라이터(2)는 막대(101)를 폐쇄 위치에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하여 하우징(4)의 리세스(4f) 내부에 추가적인 돌기부(도시 생략)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10A,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라이터(2)는 막대 조립체(10)가 부분 연장 또는 중간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시된다. 초기 위치에서, 도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막대 조립체는 중심 축(CW1)을 갖는다. 제1 중간 위치에서, 도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막대 조립체(10)는 대략 20°의 피봇 각(α)을 통해 피봇된다. 피봇 각(α)은 막대(101) 초기 중심 축(CW1)과 종동부 단부(122)가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것과 같이) 제1 멈춤쇠(134a) 내에 있는 상태로 도시된 위치의 중심축(CW20) 사이에서 한정된다.
제2 중간 위치에서, 도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막대 조립체(10)는 대략 45°의 피봇 각도(α)를 통해서 피봇된다. 피봇 각도(α)는 막대(101) 초기 중심축(CW1)과 종동부 단부(122)가 제2 멈춤쇠(134b) 내에 있는 상태로 도시된 위치의 중심축(CW40) 사이에서 한정된다.
제3 중간 위치에서, 도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막대 조립체(10)는 대략 90°의 피봇 각도(α)를 통해서 피봇된다. 피봇 각도(α)는 막대(101) 초기 중심축(CW1)과 종동부 단부(122)가 제3 멈춤쇠(134c) 내에 있는 상태로 도시된 위치의 중심축(CW90) 사이에서 한정된다.
제4 중간 위치에서, 도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막대 조립체(10)는 대략 135°의 피봇 각도(α)를 통해서 피봇된다. 피봇 각도(α)는 막대(101) 초기 중심축(CW1)과 종동부 단부(122)가 제3 멈춤쇠(134c)와 제4 멈춤쇠(134d) 사이에서 있 는 상태로 도시된 위치의 중심축(CW135) 사이에서 한정된다.
완전 연장 위치에서, 도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막대 조립체(10)는 대략 160°의 피봇 각도(α)를 통해서 피봇된다. 피봇 각도(
Figure 112007006111022-PCT00001
)는 막대(101) 초기 중심축(CW1)과 종동부 단부(122)가 제4 멈춤쇠(134d) 내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된 위치의 중심축(CW160) 사이에서 한정된다.
도10A를 참조하면, 캠 종동부(116)는 이의 초기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되고 이의 반경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막대(101)가 이의 초기 위치로부터 20°의 각도에 있는 상태에서, 종동부 단부(122)(가상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는 멈춤쇠(134a) 내부의 경사진 표면(135)과 접속 상태에 있고 캠 종동부(116)는 보스(117)에 대하여 약간 회전되지암, 그러나 후크(126)(가상선으로 도시됨) 및 후크(62)는 작동 부재(25)의 가압 시에 결합하도록 충분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는 작동 부재(25)는 남아있는 중간 위치(도11, 도12 및 도14에 도시됨) 및 폐쇄 위치(도13에 도시됨)에서 라이터를 점화시키기에 충분한 힘보다 큰 힘을 가하지 않으면 라이터(2)를 점화시킬 정도로 충분히 이동될 수 없다.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이들 위치에서 종동부 단부(122)는 피봇축(P)으로부터 제2 반경방향 거리(R2)에 모두 위치에 있는 제2, 제3 및 제4 멈춤쇠(134b, 134c, 134d) 내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2 반경방향 거리(R2)는 제1 반경방향 거리(R1)(도10에 도시됨)보다 크고, 결과적으로 막대 조립체(10)가 전술된 폐쇄 위치로부터 중간 및 완전 연장 위치로 피봇된 때, 종동부 단부(122)는 하우징(4)의 제1 단부(8)(도1에 도시됨)를 향해서 변위되어, 캠 종동부(116)가 보스(117)를 중심으 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후크(126)를 후크(62)와의 정렬 밖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이들 3 위치에서 후크벽(62a, 126a)은 작동 부재(25)의 완전 가압 시에 결합하지 않을 것이다. 도11에서, 캠 종동부(116)는 이의 초기 위치가 가상선으로 도시되고 이의 반경방향으로 변위된 위치가 실선으로 도시된다. 도12 내지 도14에서, 캠 종동부(116)는 이의 외측방향으로 변위된 위치가 도시된다.
막대 조립체(10)는 피봇에 대한 다양한 저항을 나타낸다. 막대 조립체(10)가, 예를 들면 폐쇄 위치(도10에 도시됨), 연장 위치(도13에 도시됨), 및 폐쇄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도11, 도12에 도시됨)와 같은, 하나 이상의 높은 막대 힘 위치에 있을 때, 종동부 단부(122)는 멈춤쇠(134a 내지 도134d) 중 하나와 접촉한다. 이들 높은 막대 힘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있을 때, 막대 조립체(10)의 피봇은 제1 부분(119)이, 종동부 단부(122)가 캠밍 표면(124)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제3 및 제4 멈춤쇠(134b, 134c, 134d)에 의해서 각각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됨에 따라 바이어싱 부재(128)를 가압하게 한다. 폐쇄 위치로부터 막대 이동을 위해 필요한 힘은 멈춤쇠(134a)가 경사진 표면부(135)를 갖기 때문에 도11 내지 도1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의 막대 이동을 위해 필요한 힘보다 적다. 전술된 것과 같이, 막대 조립체(10)를 피봇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따라서 바이어싱 부재(128)를 가압하고 종동부(122)를 멈춤쇠 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막대 조립체(10) 상에 충분한 힘을 가해야만 한다. 따라서 라이터(2)는 중간 또는 연장 위치 중 가장 적당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그리고 해제가능하게 위치설정되거나 보유되어 안정된다. 예를 들면, 중간 위치는 병 내의 초를 점화시키기에 적합할 수도 있고, 완전 연장 위치는 바비큐 그릴을 점화시키기에 적합할 수도 있다.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캠 표면(124)에는 다양한 간격으로 떨어져서 이격된 임의의 수의 멈춤쇠(134a-d)가 제공되어 임의의 수의 그리고 임의의 조합의 상이한 폐쇄, 중간 및 완전 연장 위치를 막대 조립체(10)에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거나 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또한 임의의 수의 높은 힘 및 낮은 막대 힘 이치가 폐쇄 및 완전 연장 위치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거나 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폐쇄 위치는 높은 막대 힘 위치 또는 낮은 막대 힘 위치일 수도 있고, 완전 연장 위치는 높은 힘 위치 또는 낮은 막대 힘 위치일 수도 있다.
도14를 참조하면, 라이터(2)는 막대 조립체(10)가 낮은 막대 힘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된다. 도시된 낮은 막대 힘 위치에서, 막대 조립체(10)는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폐쇄 위치로부터 대략 135°의 각도에 위치된다. 종동부 단부(122)는 지점(A)에서 제3 멈춤쇠(134c)와 제4 멈춤쇠(134d(사이에서 캠밍 표면(124)에 대항하여 편향되고, 피봇축으로부터 제3 반경방향 거리(R3)에 위치된다. 제3 반경방향 거리(R3)는 캠밍 표면(124)의 공칭 반경(nominal radius)이고, 따라서 종동부 단부(122)는 종동부 단부(122)가 멈춤쇠(134a-d)의 하나와 정렬하지 않을 때는 언제나 피봇 축(P)으로부터 제3 반경방향 거리(R3)에 위치된다. 제3 반경반향 거리(R3)는 제1 반경방향 거리(R1) 및 제2 반경방향 거리(R2)보다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후크(126)가 회전되어 후크(62)와 결합해제되도록 종동부 단부(122)를 위치설정한다. 따라서, 종동부 단부(122)가 멈춤쇠(134a-d) 사이에서 캠밍 표면(124) 과 접촉할 때, 작동 부재(25)는 라이터(2)를 점화시키도록 가압될 수도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따라서 작동 부재(25)는 막대 부재(10)가 폐쇄 위치의 대략 40°에 또는 그 내부에 있을 때 라이터(2)의 점화를 방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오직 고정된다. 대체적인 실시예에서, 이 각도는 변경될 수도 있다.
계속 도14를 참조하면, 막대 조립체(10)는 종동부 단부(122)가 멈춤쇠(134c, 134d) 사이에서 캠 표면(124)과 접촉해 있는 낮은 막대 힘 위치에서 도시된다. 종동부 단부(122)는 따라서 멈춤쇠(134c, 134d)와 접촉 해제된다. 이 위치에서 종동부 단부(122)가 멈춤쇠(134a-d) 내에 수용된 높은 막대 힘 위치에 있을 때보다 막대 조립체(10)를 피봇시키는 데 더 적은 힘이 요구된다. 낮은 막대 힘 위치에 있을 때, 막대 조립체(10)는, 바이어싱 부재(128)가 압축의 최대 상태에 있고 따라서 종동부 단부(122)를 캠밍 표면(124)에 대항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피봇에 대항하는 일부 저항력을 여전히 제공하고 막대 조립체(10)의 피봇 시에 종동부 단부(122)와 캠핌 표면(124) 사이에 마찰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막대 조립체(10)가 낮은 마찰력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막대 조립체(10)를 피봇시키기 위하여 이들 마찰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낮은 힘을 오직 인가하여야만 한다. 높은 막대 힘 위치는 사용자가 바이어싱 부재(128)를 더 가압하고 종동부(22)를 멈춤쇠(134a-d)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힘을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낮은 막대 힘 위치보다 막대 조립체(10)를 피봇시키는 데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마찬가지로, 막대 조립체(10)는 종동부(122)가 멈춤쇠(134a, 134b)와 멈춤쇠(134b, 134c) 사이에 위치된 때 낮은 막대 힘 위치에 있다.
멈춤쇠(134) 및 종동부 단부(122)의 지오메트리가 높은 막대 힘 위치에 있을 때 막대 조립체(10)를 피봇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멈춤쇠는 비교적 깊을수도 있고 종동부 단부(122)와 밀접하게 일치하는 크기 및 형상일 수도 있어서, 높은 막대 힘 위치에 있을 때 힘의 큰 증가를 요구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멈춤쇠는 비교적 얕고 종동부 단부(122)에 대하여 큰 크기를 가져서 높은 막대 힘 위치에 있을 때 힘의 작은 증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10 및 도13을 참조하면, 제1 방향(W1)에 대향하는 제2 방향(W2)으로의 막대(101)의 이동은 막대(101)가 폐쇄 위치를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막대(101)는 이동 동안에 중간 위치(도11 및 도12에 도시됨)에 해제가능하게 보유되는 폐쇄 위치를 향해서 이동될 때 전술된 것과 같이 작용한다.
도9A를 참조하면, 도1의 라이터(2)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도관(23)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관(23)은 노즐(143)에 연료 공급 유닛(11)을 유체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채널(142)을 한정하는 가요성 튜브(140)를 포함한다. 가요성 튜브(140)는 연료 공급 유닛(11)에서부터 노즐(143)로 연료(F)(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음)를 운송한다. 가요성 튜브(140)를 위한 적절한 재료는 플라스틱이다. 절연되지 않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와이어(144)가 채널(142) 내에 배치되어 튜브(140)의 제1 단부(146)로부터 튜브(140)의 제2 단부(148)로 연장한다. 전기 도전성 와이어(144)를 위한 적절한 재료는 구리 등이다. 이 실시예에서, 와이어(14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겨있을 수도 있다. 코일은 다른 섹션에서보다 일부 섹션에서 더 욱 밀접하게 감겨질 수도 있다. 대체적인 실시예에서, 와이어(144)는 감기지 않을 수도 있다. 연료 커넥터(22)는 튜브(140)의 제1 단부(146)에 연결된다. 노즐(143)은 노즐 커넥터(147)에 의해서 튜브(140)의 제2 단부(148)에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144)는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노즐(143)에 전하를 전달히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작용을 한다. 와이어(144)는 또한 꼬임(kinking)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요성 튜브(140)를 강화시킬 수도 있다.
도관(23), 커넥터(147) 및 노즐(143)은 한 쌍의 가이드 및 절연체 부재(145) 내부에서 지지되고, 하나가 도시된다. 일단 한 쌍의 부재(145)가 이들 구성부품 둘레에 위치설정되면 절연체(146)는 부재의 단부에 걸쳐서 배치된다. 그런 후 막대(101)는 그 상에 배치된다.
도1-1B 및 도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튜브(140)는 리테이너(20)의 튜브(20b) 내부에서 지지되고 전극(15b)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튜브(140)의 제2 단부는 막대(101)의 팁부(15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튜브(140)는 연료(F)를 연료 공급 유닛(11)에서부터 채널(142)을 거쳐서 막대 조립체(10)의 팁부(152)의 노즐(143)로 이송한다. 노즐(143)은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디퓨저(15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1 및 도11을 참조하면, 도관(23) 및 와이어(28)는 하우징(4)의 내부로부터 막대 조립체(10)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서 이어진다. 와이어(28)는 기부 부재(102)와 결합된 금속 막대(101)의 단부에 인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와이 어(28)는 튜브(140)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겨져 있을 수도 있다. 도관(23)은 노즐(143)로 연장된다. 하우징(4)에 대하여 막대 조립체(10)의 피봇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관(23) 및 와이어(28)는 기부 부재(102) 내의 개구(109)를 통해 그리고 기부 부재(102) 내부의 챔버(107)(도9에 도시된 것과 같음)를 통해서 연장된다. 개구(109)는 바람직하게는 피봇축(P)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막대 조립체(10)가 하우징(4)에 대하여 피봇함에 따라 도관(23) 및 와이어(28)는 호형 슬롯(109) 내부에서 단부(109a)로부터 단부(109b)로 활주한다. 도관(23) 및 와이어(28)의 길이는 또한 막대(101)가 피봇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단 막대 조립체(10)가 부분 연장 또는 완전 연장 위치로 이동되면, 라이터(2)는 2개의 상이한 모드로 작동될 수도 있다. 도5를 참조하면, 각각의 모드는 상이한 모드에서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원하지 않는 작동을 방지하도록 고안된다. 제1 작동 모드 또는 높은 작동력 모드(즉, 높은 힘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 또는 낮은 작동력 모드(즉, 낮은 힘 모드)는 하나의 모드 또는 다른 하나의 모드가 사용될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라이터(2)의 높은 힘 모드는 물리적인 차이, 보다 구체적으로 일부 의도된 사용자에 대한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의 힘 특성에 주로 기초하여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라이터의 원하지 않은 작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이 모드에서, 사용자는 라이터를 작동하기 위하여 작동 부재(25)에 높은 작동 또는 높은 조작 힘을 인가한다. 추가적으로, 이 모드에서 라이터(2)를 작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가 인가할 수 있는 힘보다 크지만 일부 의도된 사용자가 인가할 수 있는 범위 내이다.
라이터(2)의 낮은 힘 모드는 높은 힘 모드보다 의도된 사용자의 인식력에 더 기초하여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라이터의 원하지 않는 작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는 인식력과 물리적인 차이의 조합, 보다 구체적으로 의도된 사용자와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 사이의 크기 특성 및 손재주에 기인하여 저항을 제공한다.
낮은 힘 모드는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작동 부재에 인가될 필요가 있는 높은 작동력에서부터 낮은 작동력까지의 힘을 변화시키도록 라이터의 2개의 구성부품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에 의존할 수도 있다. 낮은 힘 모드는 높은 작동력 위치에서 낮은 작동력 위치까지 사용자가 플런저 부재(63)를 재위치설정하는 것에 의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래치 부재(34)를 가압함에 의해서 플런저 부재(63)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플런저 부재를 이동한 후, 사용자는 작동 부재에 더 적은 힘을 인가함에 의해서 라이터를 조작할 수도 있다. X낮은 힘 모드는 작동 부재에 관하여 래치 부재의 형상, 크기 또는 위치를 변형함에 의해서 또는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덧붙여서, 래치 부재와 작동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힘과 거리를 변형함에 의해서와 같이 의도된 사용자와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 사이의 물리적인 그리고 인식력의 차이의 조합에 의존할 수도 있다. 작동 부재 및 래치 부재가 특정 순서로 작동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 또한 의도되지 않은 작동에 대한 저항의 원하는 레벨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5를 참조하여, 높은 힘 모드 및 낮은 힘 모드를 갖는 라이터(2)의 일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3 및 도5의 라이터는 래치 부재(34)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가동 플런저 부재(63)를 갖는다.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높은 힘 모드에서 초기 또는 휴지 위치에서 플런저 부재(63)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분(66)은 작동 부재(25) 내에 한정된 절결부(56)의 부분(56b) 내부에 배치된다. 플런저 부재(63)의 벽(66a)은 슬롯(56)의 수직벽(56c)과 접촉하고 따라서 높은 작동력 위치에 있다. 사용자가 작동 부재(25)를 작동시키려고 시도할 때, 수직벽(66c)은, 벽(76a)을 통해서 스프링(80)을 압축하도록 이동하는 피스톤 부재(74)에 힘을 인가하는 수직벽(66a)에 힘을 인가한다. 스프링(80)은 작동 부재(25)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프링 힘(FS)을 인가한다. 초기 위치에서, 스프링(80)은 압축해제되고 길이(D1)를 갖는 길이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길이(D1)는 실질적으로 지지부(4d)와 피스톤 부재(74) 단부벽(76a) 사이의 공간과 실질적으로 같다. 다른 실시예에서, 길이(D1)는 설치된 때 스프링(80)이 압축되어 프리로드되도록 이 공간보다 클 수도 있고 또는 길이(D1)은 이 공간보다 적을 수 있다.
이 높은 힘 모드, 즉 부분(66)이 슬롯부(56b) 내에 배치된 때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적어도 스프링 힘(FS) 및 모든 부가적인 대향 힘(FOP)의 합보다 실질적으로 같거나 더 큰 제1 작동 부재 힘(FT1)을 작동 부재(25)에 인가한다. 스프링 힘(FS)은 스프링(80)을 압축하는 데 필요한 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향 힘(FOP)은 압전 유닛(26)의 복귀 스프링(30)(도1B 참조)으로부터의 스프링 힘, 스프링(56)을 압축하기 위한 힘, 및 작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유발되는 마찰력과 같은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이동되고 작동되는 다양한 다른 요소 및 조 립체에 의해 인가되는 힘과, 작동 부재 또는 작동 조립체, 연료 용기의 부분 또는 이에 부가된 스프링 및 바이어싱 부재에 기인하거나 또는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극복되어야 하는 임의의 다른 힘을 포함한다. 라이터의 작동을 저지하는 특정 힘(FOP)은 라이터의 구성 및 설계에 의존할 것이고 따라서 라이터 설계마다 변화할 것이다. 이 모드에서 만일 작동 부재에 인가되는 힘이 제1 작동 부재 힘(FT1)보다 작다면 라이터의 점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작동 부재(25)에 제1 작동 부재 힘(FT1)보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큰 힘을 인가할 때, 작동 부재(25)는 거리(d)를 이동하고, 플런저 부재(63) 및 피스톤 부재(74)는 스프링(80)을 압축한다. 도1B를 참조하면 작동 부재(25)의 이 이동은 압전 유닛(26)의 상부 및 하부 부분(26a, 26b)이 함께 압축되게 하여, 그에 의해서 상부 부재(26a) 상의 캠 부재(32)가 이동하여, 밸브 액츄에이터(14)를 이동시켜서 제트 및 밸브 조립체(15) 상에서 작동하게 하여 격실(12a)로부터 연료(F)를 방출하도록 밸브 스템(15a)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캠 부재(32)가 밸브 액츄에이터(14)에 접촉할 때 전기적인 연통이 압전 유닛(26)과 와이어(144) 사이에서 발생한다(도9A에 도시된 것과 같음). 작동 부재(25)의 추가적인 가압은 압전 유닛 내의 해머(도시 생략)가 또한 압전 유닛 내부의 압전 요소(도시 생략)를 타격하게 한다. 압전 요소 또는 결정을 타격하는 것은 와이어(28)(도1에 도시됨)를 따라 막대(101)로 노즐(143)과 스파크 갭을 만드는 탭으로 전도되는 전기적인 임펄스를 생성한다. 스파크는 또한 캠 부재(32)로부터 밸브 액츄에어터(14)로, 그런 후 밸브 스템(15a), 그리고 그런 후 제 트(15a) 그런 후 전극(15b) 및 와이어(144) 그리고 커넥터(150)로, 노즐(143)로 이동한다. 전기적인 아크가 노즐(143)과 막대(101)의 갭을 가로질러 발생되어, 새어 나오는 연료를 점화시킨다.
고온 작동력 모드에서 작동 부재(25)가 가압될 때 스프링(80)은 길이(D1)(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음)보다 작은 길이(D2)(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음)를 갖는다. 작동의 이 모드 동안에, 래치 부재(34)는 실질적으로 원 위치에서 유지되고 보스(36a)는 슬롯(60) 내에서 이의 위치 및 전방 이동 때문에 작동 부재(25)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작동 부재(25)가 해제될 때, 압전 기구(26) 내부의 복귀 스프링(30)(도1B에 도시됨) 및 스프링(53, 80)은 피스톤 부재(74), 플런저 부재(63) 및 작동 부재(25)를 이의 초기, 휴지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다. 스프링(16)(도1B에 도시됨)은 제트 및 밸브 조립체(15)를 폐쇄하고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밸브 액츄에이터(14)를 편향시킨다. 이는 라이터로부터 방출되는 화염을 끈다. 결과적으로, 작동 부재(25)의 해제 시에 라이터는 자동적으로 작동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높은 작동력을 요구하는 높은 작동력 위치에 플런저 부재(63)가 유지되는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사용자가 높은 작동력 모드에서 라이터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미리정해진 강도 레벨을 갖도록 라이터는 설계될 수도 있다. 라이터는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하나의 동작 또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높은 작동력 모드에서 라이터를 점화시킬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만일 의도된 사용자가 높은 제1 작동 부재 힘(FT1)(즉, 높은 작동력)을 작동 부재에 인가함에 의해서 라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의도된 사용자는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라이터(2)를 낮은 작동력 모드에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 모드의 작동은 다중 작동 이동을 포함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작동을 위해서 라이터의 2가지 구성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2가지 동작을 한다. 만일 피봇 막대 조립체(10)(도1에 도시됨) 및 캠 종동부(116)가 라이터 내에 합체된다면, 낮은 작동력 모드에서 라이터의 작동은 막대 조립체를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 3가지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7의 라이터에서, 낮은 힘 모드는 스프링(80)이 높은 힘 모드에서와 같은 정도로 작동 부재(25)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도록 플런저 부재(63)를 하향으로 재위치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낮은 힘 모드에서, 제2 작동 부재 힘(FT2)(즉, 낮은 작동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힘이 래치 부재를 가압하는 것에 결합하여 라이터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작동 부재(25)에 인가된다. 이 모드의 작동에서, 제2 작동 부재 힘(FT2)은 제1 작동력(FT1)보다 바람직하게는 작고, 선택적으로는 아주 작다.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실시α의 낮은 힘 모드에서 라이터(2)를 작동시키는 것은 초기 위치(가상으로 도시)로부터 작동 부재(25)를 향해 가압 위치로 래치 부재(34)의 자유 단부(36)를 누르는 것을 포함한다. 래치 부재(34)와 플런저 부재(63) 사이의 작동식 결합에 기인하여, 래치 부재(34)의 하향 이동은 플런저 부재(63)의 전방 단부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보스(36a)를 이동시킨다. 래치 부 재(34) 및 플런저 부재(63)가 이들의 가압 위치에 있는 동안, 리세스(70)(도3에 도시됨)는 래치 부재의 보스(36a)를 수용하고 리세스(70)는 이 위치에서 보스를 위한 수평 접촉 표면을 제공한다.
래치 부재는 상이한 결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압될 수도 있다. 라이터 구성부품의 구성에 따라, 만일 래치 부재가 부분적으로 가압된다면, 벽(66a)은 수직벽(56c)에 접촉하여 또는 인접하여 있을 수도 있다. 만일 래치 부재(34)가 벽(66a)이 작동 부재(25)의 수직 벽에 접촉 또는 인접하여 있을 정도로 가압된다면, 리이터(2)는 여전히 높은 힘 모드에 있다. 만일 래치 부재(34)가 벽(66a)이 벽(56c)와 동등하게 또는 이보다 아래에 있도록 가압된다면, 라이터는 낮은 힘 모드로 미끄러지거나 또는 낮은 힘 모드에 있다. 일부 구성에서, 라이터는 래치 부재(34)가 완전히 눌러진 때 플런저 부재(63)가 작동 부재(25)의 상부 부분(46)(도4에 도시됨)과 완전히 접촉 해제되어(즉 그 아래에)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낮은 힘 모드, 즉 제2 작동 부재 힘(FT2)에서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작동 부재에 인가되는 힘은 적어도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술된 대향 힘(FOP)을 극복하여야 한다. 부가적으로, 만일 플런저 부재(63)가 작동 부재(25)와 접촉하면, 제2 작동 부재 힘은 또한 작동 부재의 이동 동안 이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극복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사용자가 래치 부재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압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스프링(80)에 의해서 인가된 부가적인 스프링 힘(Fs)(도5에 도시됨)을 극복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만일 부분적으로 가압된다면, 라이터의 모드는 수직벽(66a)이 수직벽(56c) 또는 작동 부 재(25)에 접촉하는 지에 따를 것이다. 수직벽(66a)이 수직벽(56c)에 접촉하는 경우, 사용자는 여전히 연장부(66)가 슬롯 부분(56b) 내부에 있기 때문에 높은 스프링 힘을 극복하여야만 할 수도 있다.
도8을 참조하면, 부재(63)가 슬롯부(56a)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경우 접촉에 기인한 힘이 극복되어야만 할 것이다. 만일 완전히 가압된다면, 벽(66a)이 벽(56c)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어떠한 스프링 힘도 극복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낮은 힘 모드에 대해서 요구되는 제2 작동 부재 힘(FT2)은 높은 힘 모드에 대해서 요구되는 제1 작동 부재 힘(FT1)에 비해서 적다. 만일 라이터가 래치 부재(34)의 완전한 가압이 플런저(63)를 작동 부재(25)와 결합해제되도록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면, 스프링 힘(Fs)(도5에 도시됨)은 실질적으로 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스프링 힘(Fs) 이외의 다른 힘이 없는 소정의 작동력은 실질적으로 영일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라이터를 점화시키기 위해서 라이터 내의 다른 힘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인가하여야 할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라이터의 낮은 작동력 모드에서, 작동 부재(25)가 가압됨에 따라 갭(g)(도7에 도시됨)은 감소된다. 부가적으로,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프링(80)은 가압되지 않고 이의 원 길이(D1)를 갖고, 피스톤(74)은 이의 원 위치에 머무르고, 스프링(53)은 가압되고 작동 부재(25)는 연장부(66)에 대하여 이동한다. 이는 라이터가 낮은 힘 모드에서 점화되는 것을 허용한다. 작동 부재(25) 및 래치 부재(34)가 해제된 때, 압전 기구 내부의 스프링(30) 및 복귀 스프링(53)은 작동 부재(25)를 이의 원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다. 부가적으 로, 판 스프링(42) 및 스프링(92)은 래치 부재(34) 및 플런저 부재(63)를 이의 원 위치로 다시 이동시킨다. 따라서, 라이터는 플런저 부재(63)가 높은 작동력 위치에 있고 라이터가 작동하기 위해서 높은 힘이 요구되는 이의 초기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바람직하게는, 낮은 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래치 부재(34)의 가압 및 작동 부재(25)의 이동이 정확한 순서로 수행되도록 소정 수준의 손재주 및 인식력을 소유하여야만 한다. 낮은 힘 모드에서, 사용자는 래치 부재(34)를 가압하는 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고 작동 부재 힘을 인가하는 데 다른 손가락을 사용할 수도 있다. 라이터는 적절한 순서가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수행되도록 래치 부재(34)가 가압된 후에 작동 부재 힘이 바람직하게는 인가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다른 순서가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개시된 순서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고안될 수 있는 대안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순서는 작동 부재를 부분적으로 당기고, 래치 부재를 가압하고 그런 후 작동 부재를 나머지를 당길 수 있다. 낮은 힘 모드에서 라이터는 또한 예를 들면 작동 부재 및 래치 부재의 간격을 조정함에 의해서, 또는 래치 부재, 작동 부재 또는 라이터의 작동력, 형상 및 크기를 조정함에 의해서 의도된 사용자 및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 사이의 물리적인 차이에 의존할 수도 있다.
일부 의도된 사용자가 작동시키기에 과도하게 어렵지 않도록 라이터를 만들기 위하여, 높은 작동력(FT1)은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값보다 크지 않아야만 한다. 도5의 라이터에 대하여 FT1에 대한 바람직한 값은 대략 10 kg 보다 적고 대략 5 kg 보다는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8.5 kg 보다 적고 대략 6.5 kg 보다 큰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힘의 범위는 일부 의도된 사용자에 의한 사용에 실질적으로 악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작동에 대한 원하는 저항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값들은 예시적이며 높은 힘 모드에서 작동력은 상기 범위보다 높은 수도 낮을 수도 있다.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의도된 사용자가 작동 부재에 편안하게 인가할 수 있는 높은 작동력을 다양한 요인이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요인은 예를 들면 라이터 설계에 의해 제공된 작동 부재를 당기거나 또는 작동시키는 지레, 라이터 구성부품의 마찰 및 스프링 상수, 작동 부재 형상, 작동 부재 작동 동작의 복잡성, 구성부품의 위치, 크기 및 형상, 작동의 의도된 속도 및 의도된 사용자의 특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작동 부재와 래치 부재 사이의 위치 및/또는 관계 및 의도된 사용자의 손이 크거나 작은지와 같은 것이 있다.
내부 조립체의 설계, 예를 들면 작동 부재의 형상,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연결 기구의 형상, 스프링의 수 및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되는 힘 모두는 사용자가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작동 부재에 인가하는 힘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선형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작동 부재를 위한 힘 요구는 비선형 작동 경로를 따라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과 같지 않을 수도 있다. 작동은 사용자가 작동을 보다 어렵게 만들 수도 있는 다중 경로를 따라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요구할 수도 있다. 비록 개시된 실시예가 선형 작동 경로를 갖는 바람직한 작동 부재를 도시하지만,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에 의해서 비선형 작동 경로가 고려된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을 것이다.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낮은 힘 모드를 위한 제2 작동 부재 힘(FT2)은 제1 작동 부재 힘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략 2 kg 만큼 적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낮은 작동력(FT2)은 대략 5 kg 미만이고 대략 1 kg 초과이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3.0 kg 보다 크다. 이들 값은 상술된 것과 같이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특히 바람직한 값이 앞에서 설명된 수많은 라이터 설계 요인 및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작동에 대한 저항의 원하는 레벨에 따를 것이기 때문에 이들 값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라이터(2)의 일 특징은 높은 힘 모드 다중 작동 동작이 사용자가 필요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한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라이터(2)의 다른 특징은 낮은 힘 모드 다중 작동 동작이 사용자가 래치 부재를 가압하고 라이터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작동력 및 동작을 제공하는 한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만일 라이터가 첫 번째 시도에서 동작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만일 사용자가 래치 부재를 계속 가압한다면 낮은 힘 모드에서 다시 작동 부재를 작동시킴에 의해서 불꽃을 생성하기 위하여 재시도할 수도 있다.
도16 내지 도1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이터의 대체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라이터(202)는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관련 차이점만을 가지며 실질 적으로는 이전의 도면들에 도시된 라이터(2)와 유사하다. 간명성을 위하여, 라이터(202)는 이의 부품의 일부가 제거되어 도시된다. 라이터(202)는 하우징(204)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위치(도16 내지 도17A에 도시)와 제2 위치(도18 및 도18A에 도시)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억제 부재(20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205)를 소정 거리, 예를 들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225)가 불꽃을 생성하기 위하여 연료를 점화시키는 데 요구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저지, 방해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억제 부재(205)를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205)가 노즐(도시 생략)에서 연료가 방출되는 것 또는 노즐(도시 생략) 부근에서 스파크를 일으키기는 것 또는 둘 다를 저지, 방해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다.
도16 내지 도18A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억제 부재(205)를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은 불꽃을 점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거리로 작동 부재(225)를 이동시키는 어려움을 증가시킨다. 즉, 억제 부재(225)를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225)가 불꽃을 점화시키기에 충분한 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작동 부재(225)가 이동하는 것을 전부 차단 및/또는 방지하거나 또는 작동 부재(225)가 충분한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차단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205)는 작동 부재(225)와 결합할 수 있는 차단 부재(207)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와 결합될 수도 있어서, 작동 부재(225)를 이동시키는 어려움을 증가시킨다. 즉, 억제 부재(205)는 작동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차단 부재(207)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와 결합될 수 있어서, 작동 부재(225)의 충분한 이 동을 저지 및/또는 방지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억제 부재(205)는 하우징(204)을 통해 연장하고 작동 부재(225) 근처의 차단 부재(207)로 종결되는 로드형 샤프트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단 부재(207)는 작동 부재(225) 내의 공동(215) 내에 위치되어 그 내부에서 활주가능하지만, 다른 형상이 고려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차단 부재(207)는 도19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 부재(225)의 표면에 단순히 인접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205) 및 차단 부재(207)는 일체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르게는 서로 결합된 2개 이상의 분리된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억제 부재(205)는 억제 부재(205)를 소정 거리만큼(예를 들면, 도18 및 도18A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또는 다른 외측 힘이 억제 부재(205) 상에 작용할 때 억제 부재(205)가 작동 부재(225)의 동작을 오직 저지 및/또는 방지하도록 제1 위치(도16 내지 도17A에 도시됨)로 편향될 수도 있다. 탄성 요소(209)(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중합체 또는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탄성 요소와 같음)는 억제 부재(205)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킬 수도 있다. 도17 내지 도18A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209)은 억제 부재(205) 상에 위치된 견부(211)와 작동 부재(225) 상에 위치된 견부(213) 사이에서 연장한다. 다르게는, 탄성 요소(209)는 보스(215) 또는 하우징(204)과 결합된 다른 부재와 도1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억제 부재(205) 사이에서 연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의 구조는 다르게는 억제 부재(205)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고안될 수도 있다.
도17 내지 도18A를 특히 참조하면, 작동 부재(225)는 불꽃을 점화시키기 위하여 스파크를 생성하고 및/또는 연료를 방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제1 거리만큼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억제 부재(205)가 도17 및 도17A에 도시된 제1 또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1 거리와 같거나 도는 큰 제1 갭(D1)이 작동 부재(225)와 차단 부재(207)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205)가 도18 및 도18A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이동된 때, 제1 갭(D1)보다 작은 제2 갭(D2)이 작동 부재(225)와 차단 부재(207)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억제 부재(205)가 제2 위치로 이동된 때, 작동 부재(225)는 제1 거리보다 적고 작동 부재가 스파크를 일으키거나 및/또는 연료를 방출하기에 불충분한 제2 거리(예를 들면, 대략 제2 갭(D2)보다 적거나 또는 같은)만큼 이동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억제 부재(205)는 제1 위치에서 작동 부재가 제1 작동력에 의해서 스파크를 생성하고 및/또는 연료를 방출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 부재(225)에 대항하여 지지되도록 된 크기 및 구성인 스프링과 작동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억제 부재(205)가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스파크를 일으키고 및/또는 연료를 방출하기 위하여 제1 작동력보다 큰 제2 작동력이 요구되도록 스프링은 작동 부재(225)에 대항하여 압축하도록 된 크기 및 구성을 갖는다.
라이터(202)는 또한 작동 부재(225)를 높은 힘 모드(제1 작동력이 연료를 방출하고 및/또는 스파크를 생성하기에 충분하도록 작동 부재(225)를 이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모드)로부터 낮은 힘 모드(연료를 방출하고 및/또는 스파크를 생성하기에 충분하도록 작동 부재(225)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2의, 더 적은 작동력이 요구 되는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도16에 도시된 래치 부재(234)를 가질 수도 있다. 래치(234)와, 관련된 높은 힘 및 낮은 힘 모드의 세부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억제 부재(205)는 라이터(202)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작동 부재(225)에 부가적인 힘 또는 지레를 인가하기 위하여 대체로 안정한 표면(테이블, 벽, 침대 또는 이들의 몸체)에 대항하여 사용자가 가압할 수도 있는 하우징(202)의 부분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는 라이터(202)를 작동시킬 정도로 충분하게 멀리 작동 부재(225)를 이동시키기에 불충분한 물리적인 힘을 소유하였을 수도 있다. 이는 작동 부재가 낮은 힘 모드에 있을 때에서 또한 적용될 수도 있지만 작동 부재(225)가 높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이는 특별히 사실일 수도 있다.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는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작동 부재(225)에 추가적인 힘을 인가하기 위하여 작동 부재(225)에 이의 체중을 인가하기 위하여 또는 더 큰 힘을 인가하기 위하여 지레를 얻기 위하여 안정된 표면에 대항하여 하우징(202)의 일부를 가압하는 것을 시도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205)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표면에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인가하는 하우징(202)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에를 들면, 작동 부재(225)는 작동 축(217)(직선 또는 곡선)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고, 억제 부재(205)는 작동 축(217)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하우징(204)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억제 부재(205)는 작동 축(217)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는 억제 축(219)(직선 또는 곡선)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더욱이, 작동 부재(225) 및 억제 부재(205)는 서로에 대하여 실 질적으로 대향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잇따. 도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204)은 기단부(204a) 및 말단부(204b)를 포함할 수도 있고, 억제 부재(205)는 기단부(204a)로부터 연장할 수도 있다. 기단부(204a)는 다른 형상이 고려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무디거나 또는 평면일 수도 있다.
도20 및 도21을 참조하면, 확대된 버턴 또는 패드와 같은 접촉 면적(211)이 억제 부재(205)와 결합될 수도 있다. 확대 접촉 표면(221)은 억제 부재(205)의 전체 표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한다. 접촉 면적(221)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04)의 말단부(204a)의 대략 절반 이상을 덮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말단부(204a)를 덮고, 이 경우 접촉 표면(221)은 라이터(202)의 기부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개구가 접촉 표면(221)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접촉 표면(221)은 도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억재 부재(20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억재 부재(205)에 연결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결합되는 별개의 부품일 수도 있다. 도2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촉 표면(221)은 억제 부재(205) 상에서 작용하는 비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비임은 피봇 부재(223)에 의해서 하우징(204)의 말단부(204a)에 피봇식으로 또는 힌지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접촉 표면(221)은 외팔보 비임일 수도 있거나 견고하게 또는 다르게는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서 하우징(204)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22 및 도22A를 참조하고, 억제 부재를 포함하는 라이터의 대체적인 실시예가 라이터(302)로서 도시된다. 라이터(302)는 다양한 구성부품이 제거된 상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생략된 구성부품은 도1 내지 도15에 도시되고 그들과 연결 하여 설명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라이터(302)는 억재 부재(305)를 소정 거리(도22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22A에 도시된 제2 위치까지와 같이)로 이동시키는 것이 작동 부재(325)가 점화를 달성하거나 및/또는 노즐에서 프레임을 유지할 정도로 충분한 연료를 방출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된 구성 및 치수를 갖는다. 도22 및 도2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료 도관(323)은 연료 공급용기(312)를 노즐에 연결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305)가 제2 위치로 이동된 때, 연료는 점화 및/또는 유지된 불꽃이 노즐에서 달성되지 않도록 도관(323)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해서 연료가 유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해될 수도 있다(즉, 실질적으로 차단 및/또는 저지된다). 예를 들면, 도관(323)은 제1 부분(323a) 및 제2 부분(323b)을 포함할 수도 있고, 피스톤(327)은 점화 및/또는 유지된 불꽃이 노즐에서 달성되지 않도록 충분한 연료가 제1 부분(323a)으로부터 제2 부분(323b)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해 및/또는 차단할 수도 있다. 피스톤(327)은 제1 부분(323a) 및/또는 제2 부분(323b) 내부에 직접적으로 위치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도22 및 도2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부분(323a)을 제2 부분(323b)에 연결하는 접합 박스(331)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접합 박스(331)는 제1 부분(323a)에 연결된 입구(331a) 및 제2 부분(323b)에 연결된 출구(331b)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피스톤(327)은 접합 박스(331) 내의 오리피스를 통해서 연장하고 억제 부재(305)와 접촉하는 스템부(327a)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개스킷 또는 다른 형태의 시일이 오리피스를 통해 연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리피스와 스템부(327a)의 경계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피스톤(327)은 피스톤(327)이 입구(331a) 및 출구(331b) 둘다로부터 이격되어 연료가 제1 부분(323a)으로부터 제2 부분(323b)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도22에 도시된 제1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도 있다. 도22 및 도2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일 스프링 또는 기술분야에서 공진된 다른 탄성 부재와 같은 탄성 요소(333)가 피스톤(327)을 제1 위치로 편향시킬 수도 있다. 억제 부재(305)가 도22a에 도시된 제2 위치로와 같이 소정 거리로 이동될 때, 피스톤(327)은 입구(331a) 및/또는 출구(331b)를 차단할 수도 있고 결과적으로 제2 부분(323b)을 통해서 연료가 노즐로 유동하는 것을 방해 및/또는 차단한다. 결과적으로, 작동 부재(325)를 당기는 동시에 억제 부재(305)를 소정 거리만큼 가압하는 것은 노즐로부터 실질적으로 연료 유동이 없게 하고, 결과적으로 노즐에서 불꽃의 생성을 억제할 것이다.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임의의 수의 공지된 밸브가 억제 부재(305)와 협동식으로 제공되어 억제 부재(305)가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 때 노즐로의 연료 유동을 실질적으로 방해 및/또는 차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거나 이해할 것이다. 라포레스트(LaForest)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527,546호 및 아담스(Adam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332,771호는 라이터(302)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연료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조 및 방법을 도시한다. 이들 2개의 특허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도23 내지 도25A는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이 작동 부재가 노즐에서 방출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스파크를 생성하는 것을 저지 및/또는 방지할 수도 있는(예를 들면, 스파크를 노즐로부터 먼 위치로 재안내하거나 또는 스파크의 생성을 완전히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23 및 도23A의 실시예를 특히 참조하면, 라이터(402)는 압전 유닛(426)으로부터 시작되고 도전성 막대 부재(401)(오직 이의 일부만 도시됨) 상에 형성된 노즐(443)과 탭(401a) 사이, 또는 도시된 것과 같은 추가적인 도전성 디퓨저(454)와 탭(401a) 사이의 스파크 갭(X)으로 연장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 회로는 압전 유닛(426), 와이어(444) 및 노즐(443)(및 추가적으로 디퓨저(454)) 상에 위치된 제1 전기 접점(도전성 캠 부재(432)로 도시됨)을 포함하는 제1 전기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 회로는 또한 압전 유닛(426) 상에 위치된 제2 전기 접점(429), 제2 전기 접점(429)로부터 스위치(459)로 연장하는 제1 와이어 또는 접점 스트립(455) 및 스위치(459)로부터 도전성 막대 부재(401)로 연장하는 제2 와이어(465)를 포함하는 제2 전기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405)가 도23에 도시된 제1 위치에 위치된 때, 스위치(459)는 폐쇄되어, 압전 유닛(426)으로부터 생성된 에너지는 스위치(459)를 통해서 제1 와이어(455)로부터 제2 와이어(456)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도전성 막대 부재(401)로 흐를 수도 있다. 따라서, 억제 부재(405)가 제1 위치에 있고 사용자가 작동 부재(425)를 충분한 거리만큼 이동시킬 때, 압전 유닛(426)은 전기 경로를 통해 노즐(443)로 그리고 제2 전기 통로를 통해 탭(401a)으로 이동하여 스파크 갭(X)을 가로질러 전기적인 아크 또는 스파크를 생성하는 전기적인 임펄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작동 부재(425)의 이동은 또한 노즐(443)로부터 연료의 방출을 유발하여 노즐(443)에서 화염의 생성을 일으킬 수도 있다. 연료의 방출을 제어하는 도시된 구조가 도1 내지 도15, 도22 및 도22A와 연 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억제 부재(405)가 소정 거리만큼(예를 들면, 도2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스위치(459)가 실질적으로 개방된 때, 제2 전기 경로는 깨어져서 스파크 갭(X)을 가로지르는 스파크의 생성을 저지 및/또는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억제 부재(405)의 이동은, 예를 들면 제2 스파크 갭(Y)이 생성되게 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405)의 이동은 스파크 갭(Y)의 크기를 스파크 갭(Y)이 충분히 클 때(예를 들면, 스파크 갭(Y)이 대략 스파크 갭(X)의 2배가 될 때)까지 증가하게 한다. 이 지점에서, 전류는 스파크 갭(Y)을 가로질러 점프하지 않을 것이고 방출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아무런 스파크도 노즐(443) 근처에서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파크 갭(Y)은 압전 결정을 가로질러 생성되는 스파크에 대해서 압전 결정을 가로지르는 갭의 대략 2배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도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치(459)는 도전성 스프링(469) 또는 다른 탄성 요소에 의해서 제2 와이어(465)와 전기 접촉되게 편향될 수도 있는 도전성 디스크(467)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전성 스프링(469)은 또한 제1 와이어(455)와 전기적인 접촉 상태에 있을 수도 있고, 그에 의해서 도23에 도시된 억제 부재(405)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와이어(455)를 제2 와이어(465)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도전성 디스크(467)는 억제 부재(405)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스템부(467a)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억제 부재(405)가 도23A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이동된 때, 억제 부재(405)는 스템부(467a)에 대항하여 작용하고 도전성 디스크(467)를 제2 와이어(465)로부터 이격되어 제2 스파크 갭(Y)을 생성할 수도 있는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스파크 갭(X, Y) 및 압전 유닛(426)은 스파크 갭(Y)을 가로지르는 저항이 스파크 갭(X)을 가로지르는 저항보다 커서 스파크 갭(X) 대신에 압전 결정에서 단락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방출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아무런 스파크도 노즐(443)에 생성되지 않을 것이다. 기술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르게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수의 스위치가 스위치(459)를 대체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거나 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스위치(459)는 다르게는 또는 부가적으로 제1 전기 경로 또는 전기 회로의 다른 부분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24 및 도24A를 참조하면, 압전 유닛(526)이 제1 전기 회로 및 제2 전기 회로와 결합될 수도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전기 회로는 압전 유닛(526)으로 시작될 수도 있고 도전성 막대 부재(501)의 노즐(543)과 탭(501a) 사이에 도는 추가적으로 디퓨저(554)와 탭(501a) 사이에 형성된 스파크 갭(X)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기 회로는 압전 유닛(526) 상에 위치된 제1 전기 접점(도전성 캠 부재(532)로 도시됨), 제1 부분(544a)과 제2 부분(544b)을 포함하는 제1 와이어(544), 및 노즐(543)(및 추가적으로 디퓨저(554))를 포함하는 제1 전기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505)가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와이어(544)의 제1 부분(544a) 및 제2 부분(544b)은 제1 도전성 스트립(575) 또는 억제 부재(505) 상에 위치된 다른 도전성 부재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전기 회로는 또한 압전 유닛(526) 상에 위치된 제2 전기 접점(529), 제1 부분(577a) 및 제2 부분(577b)을 포 함하는 제2 와이어(577), 및 도전성 막대 부재(501)를 포함하는 제2 전기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505)가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제2 와이어(577)의 제1 부분(577a) 및 제2 부분(577b)은 제2 도전성 스트립(579) 또는 억제 부재(505) 상에 위치된 다른 도전성 부재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24A를 참조하면, 제2 전기 회로는 유전 유닛(526) 상에 제1 전기 접점(도전성 캠 부재(532)로 도시됨)으로 시작될 수도 있고, 제1 와이어(544)의 제1 부분(544a), 제2 와이어(577)의 제1 부분(577a) 및 압전 유닛(526) 상에 위치된 제2 전기 접점(529)을 포함한다. 억제 부재(505)가 소정 거리만큼 이동(예를 들면, 도24A에 도시된 제2 거리로 이동)된 때, 제1 부분(544a) 및 제1 부분(577a)은 억제 부재(505) 상에 위치된 제1 도전성 스트립(575)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전 유닛(526)의 제1 전기 접점과 제2 전기 접점 사이에 닫힌 회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24 및 도24A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전기 회로는 제2 전기 회로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와 구성부품을 공유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제1 및 제2 전기 회로는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다.
억제 부재(505)가 도24에 도시된 제1 위치에 위치된 때, 제1 및 제2 도전성 스트립(575, 579)은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544, 577)의 제1 부분(544a, 577a)을 제2 부분(544b, 577b)에 연결하여, 제1 전기 회로를 닫을 수도 있다(그리고 또한 제2 전기 회로를 열 수도 있다). 따라서, 압전 유닛(526)이 제1 위치에서 억제 부재(505)로 작동될 때(예를 들면, 작동 부재(525)를 충분한 거리만큼 이동시킴에 의해서), 제1 및 제2 전기 경로를 통해 이동하여 스파크 갭(X)을 가로지르는 아크 또 는 스파크를 생성하는 전기적인 임펄스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 스파크는 불꽃을 생성하도록 노즐(543)로부터 방출되는 연료를 점화시킬 수도 있다. 연료를 방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조가 도1 내지 도15, 도22, 도22A와 연결하여 상술되었다.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만큼(예를 들면 도24A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제1 전기 회로를 열고 제2 전기 회로를 닫도록 제1 및/또는 제2 도전성 스트립(575, 579)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압전 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은 압전 유닛(526) 상의 제1 전기 접점(532)으로부터 제2 전기 회로를 통해 제2 전기 접점(529)으로 이동하는 전기 임펄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노즐(543) 근처에는 어떠한 스파크도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도25 및 도2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대체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 유닛(626)이 제1 전기 회로 및 제2 전기 회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전기 회로는 압전 유닛(626)의 제1 전기 접점(632)에서 시작하는 제1 전기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전성 노즐(643)(및 선택적으로 디퓨저(654))로 연장하는 와이어(644)를 포함한다. 제1 전기 회로는 또한 압전 유닛(626) 상에 위치된 제2 전기 접점(629) 및 제2 전기 접점(629)으로부터 도전성 막대 부재(601)까지 연장하는 제2 와이어(665)를 포함하는 제2 전기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전기 경로로 구성된 제1 전기 회로는 압전 유닛(626) 및 제1 스파크 갭(X)을 포함하는 닫힌 회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전기 회로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제1 저항"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전기 회로는 제1 부분(681a) 및 제2 부분(681b)을 포함하는 제2 와이어(68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부분(681a)은 압 전 유닛(626)의 제1 전기 접점(6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제2 부분(681b)은 압전 유닛(626)의 제2 전기 접점(629)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중간 단자(683a, 683b)는 제1 및 제2 부분(681a, 681b) 상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스파크 갭(Y)을 형성할 수도 있다. 억제 부재(605)는 예를 들면 스파크 갭(Y)의 저항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스파크 갭(Y)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도전성 스트립(675)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저항"으로 참조되는 제2 전기 회로의 저항은 억제 부재(605)의 위치에 따라, 특히 스파크 갭(Y)에 대한 도전성 스트립(675)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중간 단자(683a, 683b) 사이의 거리는 통상 제1 스파크 갭(X)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억제 부재가 도25에 도시된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저항이 제2 저항보다 적도록 스파크 갭(X)의 대략 2배이다. 따라서, 억제 부재(605)가 제1 위치에 있고 압전 유닛(626)이 작동될 때(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작동 부재를 이동시킴에 의해서), 압전 유닛(626)에 의해서 발생된 전기적인 임펄스는 제1 전기 회로를 통해서 이동되고(예를 들면, 대응하는 제1 저항이 제2 저항보다 적기 때문에) 제1 스파크 갭(X)을 가로지르는 전기적인 아크 또는 스파크를 생성할 것이다. 스파크는 노즐(643)로부터 방출되는 연료를 점화시킬 수도 있다. 연료를 방출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구조는 도1 내지 도15, 도22 및 도22A와 연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제2 저항은 다르게는 제1 및 제2 중간 단자(683a, 683b)의 재료 및/또는 다른 특성을 변경함에 의해서 그리고/또는 제2 전기 회로의 다른 구성부품을 변형함에 의해서 제1 저항보다 크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억제 부재(605)가 도25A에 도시된 제2 위치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도전성 스트립(675)은 중간 단자(683a)와 접촉하게 되어 중간 단자(683b)에 접근할 수도 있어, 결과적으로 제2 스파크 갭(Y)을 감소시킨다. 스파크 갭(Y)의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제2 저항이 또한 감소한다. 제1 스파크 갭(X) 및 제2 스파크 갭(Y)은 일단 억제 부재(605)가 소정 거리로 이동되면 제2 저항이 제1 저항보다 적게 되어 압전 유닛(625)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인 임펄스가 제2 전기 회로를 통해 이동하여 제1 스파크 갭(X) 대신에 제2 스파크 갭(Y)을 가로지르는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된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더욱이, 일단 억제 부재(605)가 도25A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이동되면, 도전성 스트립(675)이 중간 단자(683a, 683)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제2 스파크 갭(Y)을 닫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압전 유닛(626)을 작동시키는 것은 압전 유닛(626) 상의 제1 전기 접점(632)으로부터 제2 전기 회로를 통해 제2 전기 접점(629)으로 이동하는 전기적인 임펄스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1 전기 회로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노즐(643) 근처에는 어떠한 스파크도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노즐(643) 근처에서 스파크의 생성을 억제하는 다른 구조 및 방법이 아담스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065,958호에 개시되고, 이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비록 본 발명의 다양한 설명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각각의 실시예의 다양한 구성은 단독으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특정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 사상 내부에 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개시로부터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 모든 유리한 변형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서 포함되어야만 한다.

Claims (153)

  1.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연료를 점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이동 가능한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억제 부재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가 연료를 점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저지하는 라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가 연료를 점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정도로 충분하게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라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차단 부재가 연료를 점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정도로 작동 부재가 충분히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게 하는 라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는 작동 부재가 연료를 점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정도로 충분하게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작동 부재와 결합하는 라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 및 차단 부재는 일체형인 라이터.
  6. 제2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는 작동 부재가 연료를 점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정도로 충분히 이동가능한 제1 위치와, 차단 부재가 연료를 점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정도로 충분히 작동 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억제 부재는 제1 위치를 향해서 편향되어 있는 라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위치를 향해서 억제 부재를 편향시키는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8. 제6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이동가능한 라이터.
  9. 제6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라이터.
  10. 제6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단부가 작동 부재와 접촉하는 동안 제1 단부는 하우징으로부 터 연장하는 라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가 연료를 방출하는 것을 방해하는 라이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연료가 방출되는 노즐을 더 포함하고,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노즐로부터의 연료의 방출을 방해하는 라이터.
  13. 제12항에 있어서, 노즐에 연료의 공급부를 연결하는 도관을 더 포함하고,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꽃을 생성하기 위하여 도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적절한 연료가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라이터.
  14. 제13항에 있어서, 도관에 연결된 피스톤을 더 포함하고,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피스톤이 도관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료가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하는 라이터.
  15. 제1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가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스파크를 생성하는 것을 저지하는 라이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연료가 방출되는 노즐을 더 포함하고,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작동 부재가 노즐 근처에서 스파크를 생성하는 것을 저지하는 라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스파크를 하우징 내부의 위치로 재안내하는 라이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것은 노즐에서 스파크의 생성을 저지하는 라이터.
  19.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를 높은 힘 모드에서 낮은 힘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래치 부재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가 높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연료를 점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에 제1 작동력이 필요하고, 작동 부재가 낮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연료를 점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에 제2 작동력이 필요하며, 제1 작동력은 제2 작동력보다 큰 라이터.
  21.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막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22. 제21항에 있어서, 막대 부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라이터.
  23.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라이터.
  24.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라이터.
  25.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기단부와 말단부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는 기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라이터.
  26. 제25항에 있어서, 기단부는 실질적으로 무디거나(blunt) 평면인 라이터.
  27. 제25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기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라이터.
  28. 제1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에 연결된 확대된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고,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대략 절반을 초과하게 덮는 라이터.
  29. 제28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덮는 라이터.
  30. 제28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 및 억제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일체형인 라이터.
  31. 제28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 상에 작용하는 비임인 라이터.
  32. 제31항에 있어서, 비임은 피봇 부재에 의해서 하우징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이터.
  33. 제28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에 연결된 외팔보 비임인 라이터.
  34.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과,
    연료를 방출하도록 작동가능한 밸브와,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작동가능한 점화 기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억제 부재를 포함하고,
    작동 부재를 제1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은 밸브 및 점화 기구 중 적어도 하 나를 작동시키고,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는 제1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고,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는 제1 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며, 억제 부재는 제1 위치를 향해 편향되어 있는 라이터.
  35. 제34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는 제1 거리 미만인 제2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는 라이터.
  36. 제34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는 이동에 대항하여 실질적으로 저지되는 라이터.
  37. 제34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제1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38. 제34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와 결합된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차단 부재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와 결합하는 라이터.
  39. 제38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 및 차단 부재는 일체형인 라이터.
  40. 제38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는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로 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차단 부재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재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2 거리는 제1 거리 미만인 라이터.
  41. 제38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는 작동 부재의 공동 내에 배치되는 라이터.
  42. 제34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를 높은 힘 모드에서 낮은 힘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래치 부재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43. 제42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가 높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작동 부재를 제1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데 제1 작동력이 필요하고, 작동 부재가 낮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작동 부재를 제1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데 제2 작동력이 필요하며, 제1 작동력은 제2 작동력보다 큰 라이터.
  44. 제34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라이터.
  45. 제34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라이터.
  46. 제34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기단부와 말단부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는 기단 부로부터 연장하는 라이터.
  47. 제46항에 있어서, 기단부는 실질적으로 무디거나 평면인 라이터.
  48. 제46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기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라이터.
  49. 제46항에 있어서, 말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막대 부재를 더 포함하고, 막대 부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라이터.
  50. 제34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에 연결된 확대된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고,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대략 절반을 초과하게 덮는 라이터.
  51. 제50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덮는 라이터.
  52. 제50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 및 억제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일체형인 라이터.
  53. 제50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 상에 작용하는 비임인 라이터.
  54. 제53항에 있어서, 비임은 피봇 부재에 의해서 하우징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이터.
  55. 제50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에 연결된 외팔보 비임인 라이터.
  56. 노즐과 연통하는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과,
    노즐 근처에서 연료를 점화시키는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작동가능한 점화 기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연료의 공급부로부터 연료를 방출하도록 이동가능한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위치로 편향된 억제 부재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는 노즐로부터 연료의 방출을 방해하도록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한 라이터.
  57. 제56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58. 제56항에 있어서, 연료의 공급부로부터 노즐로 연장하는 도관을 더 포함하고,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연료가 도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유동하 는 것이 방해되는 라이터.
  59. 제56항에 있어서, 도관에 연결된 피스톤을 더 포함하고,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은 연료가 도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라이터.
  60. 제57항에 있어서, 피스톤은 도관 내부에 배치되는 라이터.
  61. 제57항에 있어서, 도관의 제1 부분을 도관의 제2 부분에 연결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피스톤은 접합부 내부에 배치되는 라이터.
  62. 제61항에 있어서, 피스톤은 연료가 접합부를 통해서 유동하는 제1 위치를 향해서 통상 편향되어 있는 라이터.
  63. 제62항에 있어서, 피스톤을 제1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는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64. 제62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연료가 접합부를 통해서 유동하는 것이 방해되는 제2 위치로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라이터.
  65. 제56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를 높은 힘 모드에서 낮은 힘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래치 부재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66. 제65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가 높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연료를 방출하도록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 제1 작동력이 필요하고, 작동 부재가 낮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연료를 방출하도록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 제2 작동력이 필요하며, 제1 작동력은 제2 작동력보다 큰 라이터.
  67. 제56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라이터.
  68. 제56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라이터.
  69. 제56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기단부와 말단부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는 기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라이터.
  70. 제69항에 있어서, 기단부는 실질적으로 무디거나 평면인 라이터.
  71. 제69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기단부의 적어 도 일부분은 제1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라이터.
  72. 제69항에 있어서, 말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막대 부재를 더 포함하고, 막대 부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라이터.
  73. 제56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에 연결된 확대된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고,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대략 절반을 초과하게 덮는 라이터.
  74. 제73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덮는 라이터.
  75. 제73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 및 억제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일체형인 라이터.
  76. 제73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 상에 작용하는 비임인 라이터.
  77. 제76항에 있어서, 비임은 피봇 부재에 의해서 하우징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이터.
  78. 제73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에 연결된 외팔보 비임인 라이터.
  79.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과,
    연료를 방출하기 위한 노즐과,
    노즐 근처에서 스파크 갭을 갖는 전기 회로와,
    스파크 갭을 가로지르는 스파크를 생성하기 위한 점화 기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점화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이동가능한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전기 회로의 부분이 닫힌 제1 위치로부터 전기 회로의 부분이 열린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한 억제 부재
    를 포함하는 라이터.
  80. 제79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는 제1 위치로 통상 편향되어 있는 라이터.
  81. 제80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82. 제79항에 있어서, 점화 기구로부터 스파크 갭의 제1 단자로 연장하는 제1 전기 경로와, 점화 기구로부터 스파크 갭의 제2 단자로 연장하는 제2 전기 경로를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전기 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된 때 열린 상태인 라이터.
  83. 제8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기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스위치는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닫히고, 스위치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열리는 라이터.
  84. 제8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기 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도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라이터.
  85. 제8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기 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도전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라이터.
  86. 제79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노즐로부터 연료를 방출하도록 작동가능하는 라이터.
  87. 제79항에 있어서, 점화 기구는 압전 결정을 포함하는 라이터.
  88. 제79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를 높은 힘 모드에서 낮은 힘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이동가능한 래치 부재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89. 제88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가 높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작동 부재를 이동시 키는 데 제1 작동력이 필요하고, 작동 부재가 낮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 제2 작동력이 필요하며, 제1 작동력은 제2 작동력보다 큰 라이터.
  90. 제79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라이터.
  91. 제79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라이터.
  92. 제79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기단부와 말단부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는 기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라이터.
  93. 제92항에 있어서, 기단부는 실질적으로 무디거나 평면인 라이터.
  94. 제92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기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라이터.
  95. 제92항에 있어서, 말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막대 부재를 더 포함하고, 막대 부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라이터.
  96. 제79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에 연결된 확대된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고,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대략 절반을 초과하게 덮는 라이터.
  97. 제96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덮는 라이터.
  98. 제96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 및 억제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일체형인 라이터.
  99. 제96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 상에 작용하는 비임인 라이터.
  100. 제99항에 있어서, 비임은 피봇 부재에 의해서 하우징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이터.
  101. 제96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에 연결된 외팔보 비임인 라이터.
  102. 제79항에 있어서, 전기 회로의 부분은 스위치인 라이터.
  103.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과,
    연료를 방출하기 위한 노즐과,
    제1 전기 저항 및 노즐 근처에서 제1 스파크 갭을 갖는 제1 전기 회로와, 제2 전기 저항, 작동 구성 및 비작동 구성을 갖는 제2 전기 회로에 연결가능한 점화 기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점화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이동가능한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제2 전기 회로가 비작동 상태인 제1 위치와 제2 전기 회로가 작동 상태인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억제 부재를 포함하고,
    작동 구성에서, 제2 전기 회로의 저항은 점화 기구에 의해서 발생된 전류가 제2 전기 경로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제1 전기 경로의 저항보다 적고,
    비작동 구성에서, 제2 전기 경로의 저항은 점화 기구에 의해서 발생된 전류가 제1 전기 경로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연료를 점화시키는 스파크를 형성하도록 제1 스파크 갭을 가로질러 점프하도록 제1 전기 경로의 저항보다 큰 라이터.
  104. 제103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는 제1 위치로 통상 편향되어 있는 라이터.
  105. 제104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106. 제103항에 있어서, 제2 전기 회로는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스파크 갭을 갖고, 제2 스파크 갭은 제1 스파크 갭보다 큰 라이터.
  107. 제106항에 있어서, 제2 스파크 갭은 제1 스파크 갭의 적어도 2 배만큼 큰 라이터.
  108. 제106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의 부분은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스파크 갭을 폐쇄하는 라이터.
  109. 제108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에 연결된 도전성 스트립을 더 포함하고, 도전성 스트립은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스파크 갭을 폐쇄하는 라이터.
  110. 제103항에 있어서, 제1 저항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라이터.
  111. 제103항에 있어서, 제1 전기 회로는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닫히는 라이터.
  112. 제103항에 있어서, 제2 전기 회로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닫히는 라이터.
  113. 제112항에 있어서, 제1 전기 회로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열리는 라이터.
  114. 제103항에 있어서, 제1 전기 회로는 제2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라이터.
  115. 제103항에 있어서, 점화 기구는 압전 결정을 포함하는 라이터.
  116. 제103항에 있어서, 작동 기구의 이동은 노즐로부터 연료를 방출하는 라이터.
  117. 제103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를 높은 힘 모드에서 낮은 힘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래치 부재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118. 제117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가 높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 제1 작동력이 필요하고, 작동 부재가 낮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 제2 작동력이 필요하며, 제1 작동력은 제2 작동력보다 큰 라이터.
  119. 제103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라이터.
  120. 제103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라이터.
  121. 제103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기단부와 말단부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는 기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라이터.
  122. 제121항에 있어서, 기단부는 실질적으로 무디거나 평면인 라이터.
  123. 제12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기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라이터.
  124. 제121항에 있어서, 말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막대 부재를 더 포함하고, 막대 부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라이터.
  125. 제103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에 연결된 확대된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고,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대략 절반을 초과하게 덮는 라이터.
  126. 제125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덮는 라이터.
  127. 제125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 및 억제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일체형인 라이터.
  128. 제125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 상에 작용하는 비임인 라이터.
  129. 제128항에 있어서, 비임은 피봇 부재에 의해서 하우징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이터.
  130. 제125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에 연결된 외팔보 비임인 라이터.
  131. 연료의 공급부를 갖는 하우징과,
    연료를 방출하기 위한 노즐과,
    노즐 근처에서 스파크 갭을 갖는 전기 회로와,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점화 기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점화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이동가능한 작동 부재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한 억제 부재를 포함하고,
    전기 회로는 점화 기구로부터 스파크 갭의 제1 단자로 연장하는 제1 전기 경로와, 점화 기구로부터 스파크 갭의 제2 단자로 연장하는 제2 전기 경로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전기 경로는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닫히고, 제1 및 제2 전기 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열리는 라이터.
  132. 제13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기 경로는 각각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전기 경로를 닫는 도전성 스트립을 포함하는 라이터.
  133. 제132항에 있어서, 도전성 스트립은 억제 부재와 결합된 라이터.
  134. 제13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기 경로는 각각 억제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도전성 스트립에 의해서 결합되는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라이터.
  135. 제134항에 있어서, 제1 전기 경로의 와이어 중 하나는 억제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도전성 스트립 중 하나에 의해서 제2 전기 경로의 와이어 중 하나에 결합되는 라이터.
  136. 제131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는 제1 위치로 통상 편향되어 있는 라이터.
  137. 제136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138. 제13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노즐로부터 연료를 방출하도록 작동가능한 라이터.
  139. 제131항에 있어서, 점화 기구는 압전 결정을 포함하는 라이터.
  140. 제13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를 높은 힘 모드에서 낮은 힘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이동가능한 래치 부재를 더 포함하는 라이터.
  141. 제140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가 높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 제1 작동력이 필요하고, 작동 부재가 낮은 힘 모드에 있을 때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 제2 작동력이 필요하며, 제1 작동력은 제2 작동력보다 큰 라이터.
  142. 제13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라이터.
  143. 제13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억제 부재는 제1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라이터.
  144. 제13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기단부와 말단부를 포함하고, 억제 부재는 기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라이터.
  145. 제144항에 있어서, 기단부는 실질적으로 무디거나 평면인 라이터.
  146. 제144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제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기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라이터.
  147. 제144항에 있어서, 말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막대 부재를 더 포함하고, 막대 부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라이터.
  148. 제131항에 있어서, 억제 부재에 연결된 확대된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고,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대략 절반을 초과하게 덮는 라이터.
  149. 제148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하우징의 기단부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덮는 라이터.
  150. 제148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 및 억제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일체형인 라이터.
  151. 제148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 상에 작용하는 비임인 라이터.
  152. 제151항에 있어서, 비임은 피봇 부재에 의해서 하우징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이터.
  153. 제148항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억제 부재에 연결된 외팔보 비임인 라이터.
KR1020077001505A 2004-06-23 2005-06-22 멀티 모드 라이터 KR20070030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505A KR20070030911A (ko) 2004-06-23 2005-06-22 멀티 모드 라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76,112 2004-06-23
KR1020077001505A KR20070030911A (ko) 2004-06-23 2005-06-22 멀티 모드 라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911A true KR20070030911A (ko) 2007-03-16

Family

ID=4365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505A KR20070030911A (ko) 2004-06-23 2005-06-22 멀티 모드 라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09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5935A1 (en) * 2021-01-22 2022-07-28 Pro-Iroda Industries, Inc. Tool with improved ignition efficienc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5935A1 (en) * 2021-01-22 2022-07-28 Pro-Iroda Industries, Inc. Tool with improved ignition efficiency
US11852342B2 (en) * 2021-01-22 2023-12-26 Pro-Iroda Industries, Inc. Tool with improved ignition efficienc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4806B1 (en) Multi-mode lighter
US7070408B2 (en) Multi-mode lighter
US6488492B2 (en) Multi-mode lighter
US6726469B2 (en) Multi-mode lighter
AU2002336229A1 (en) Multi-mode lighter
US6916171B2 (en) Multi-mode lighter
CA2536158C (en) Multi-mode lighter
KR20070030911A (ko) 멀티 모드 라이터
AU2004221412A1 (en) Multi-mode lighter
ZA200307455B (en) Multi-mode ligh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