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811B1 - 활성화면역글로불린 - Google Patents

활성화면역글로불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811B1
KR100436811B1 KR1019960033064A KR19960033064A KR100436811B1 KR 100436811 B1 KR100436811 B1 KR 100436811B1 KR 1019960033064 A KR1019960033064 A KR 1019960033064A KR 19960033064 A KR19960033064 A KR 19960033064A KR 100436811 B1 KR100436811 B1 KR 100436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unoglobulin
activated
present
histamine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812A (ko
Inventor
하루오 요시이
미쯔루 나이키
유리꼬 후카타
Original Assignee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immunotolerance, or a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0Chemistry: natural resins or derivatives; peptides or proteins; ligni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Y10S530/868Chemistry: natural resins or derivatives; peptides or proteins; ligni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or immunotoler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호산구증다억제제, 면역조정제, 자기면역질환치료제, 항염증제, 항알레르기제로서 유용한 활성화 면역글로불린을 제공한다.
본발명은 천연형의 면역글로불린이 본래 나타내지 않은 새로운 약리활성을 면역글로불린에 부여하는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활성화 면역글로불린 및 그 활성화 면역글로불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활성화 면역글로불린은 종래의 면역억제제와는 확실히 다른 면역조정작용을 보유하여 만성관절류마티스, 전신성에리스마트데스, 다발성경화증 등의 자기면역질환이든지 각종 면역부전증후군 등의 면역계가 매우 빠진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발명의 활성화 면역글로불린은, 감염증, 기생충질환, 호흡기질환, 자기면역질환, 악성종양 등에 따른 호산구과다증에 대한 약제로서, 또한 우수한 항염증제나 항알레르기제로서도 이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성이 높다.

Description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ACTIVATED IMMUNOGLOBULIN}
본 발명은, 천연형 면역 글로불린이 본래 나타내지 않는 호산구 증가 억제작용, 면역 조정작용, 자가면역질환 개선작용, 항염증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등의 새로운 약리활성을 면역 글로불린에 부여하는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 및 그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물질이 생체내에 침입하면, 생체내에서는 그 이물질을 배제하기 위해서 여러 반응을 일으킨다. 그 반응의 하나로 면역반응이 있으며, 그 이물질(항원)에 대응하여 특이적인 단백질(항체)이 생성된다. 면역반응은 병원체나 기타 여러 단백질ㆍ다당류 등의 자기 이외의 이물질의 침입시에, 자기 방어를 하기 위한 생체반응으로서, 그것의 본래 성질은 항체가 특이적으로 항원과 결합하는 항원항체 반응에 근거한다.
항원의 주된 활성은 이물질인 항원과의 특이적인 결합활성으로, 항원이 세균 등의 입자상인 경우에는, 항체가 입자간에 가교를 형성함으로써 응집반응, 또는 항원이 독성ㆍ효소활성 등을 갖는 경우는, 항체의 결합에 의한 중화반응, 또는 항원 항체 복합체가 혈액중의 보체성분과 결합하여 활성됨으로써 용혈반응, 용균반응, 면역점착반응, 면역 식(食)반응 등이 유도되어, 이물질의 침입에 대한 생체내의 면역응답반응이 실시된다.
면역 글로불린은 항체단백질 및 이것과 구조ㆍ기능상 유사한 단백질의 총칭으로 그 성상으로부터 5개 등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어, IgG는 면역 글로불린의 주성분으로 생성량ㆍ혈중농도가 가장 높고, 또한 항원자극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며 혈액중의 반감기도 길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면역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항체성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IgM은 미량의 항원자극으로도 조속하게 생성되지만, 그 양이 적고 또한 일과성으로 조기방어의 중심이 되는 항체로 생각되고 있으며, 또한 IgA는 그 대부분이 타액, 소화관이나 기도의 분비액, 유즙 등으로 분비되어, 외부로부터의 경기도ㆍ경구감염에 대한 제1선 방어의 주체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면역 글로불린 본래의 항체활성에 따라서, 인간혈장에서 조제한 면역 글로불린 제제가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혈장에서 정제농축된만큼의 천연형 면역 글로불린으로 구성되는 제제는, 각종 감염증의 병원체나 그것의 생성물질에 대한 항체를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적응증이 없거나 적은 γ-글로불린 혈증 뿐만 아니라, 홍역, A형 간염, 폴리오 등의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및 증상의 경감 및 중증 감염증에서의 항생물질과 병용하고 있다. 또한, 특수한 혈장을 원료로 한, 항파상풍, B형 간염 등 특수질환에 대한 천연형의 면역 글로불린 제제도 있다.
천연형 면역 글로불린의 정맥내 투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쇼크증상의 원인이 되는 글로불린 분자응집체를 제거할 목적으로 효소적ㆍ화학적인 처리나 수식(修飾)을 가한 정주용 처리형 면역 글루불린 제제가 있다. 예를 들어, 펩신, 플라스민,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온교환수지, pH 4 조건 등으로 처리한 제제나, 알킬화 또는 술폰화한 면역 글로불린 제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처리형 제제의 약리작용도 천연형 면역 글로불린 제제와 같이 면역 글로불린 본래가 갖는 항체활성에 근거하고 있음에는 변함이 없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면역 글로불린 제제는, 상기 항체 본래의 생리활성에 근거하는 치료효과를 기대한 것으로서, 천연형 면역 글로불린에 어떠한 처리를 가하여 새로운 약리활성을 부여하였다고 하는 보고는 아직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형의 면역 글로불린이 본래 나타내지 않는 호산구 증가 억제작용, 면역 조정작용, 자가면역질환 개선작용, 항염증 작용 또는 항알레르기 작용 등의 약리활성을 부여하기 위한 면역 글로불린의 활성화 방법 및 그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의 항 TNT 항체 생성에 대한 증강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2는 실험적 알레르기성 뇌척수 염발증에 대한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의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면역 글로불린을 히스타민 성분과 적당히 혼합처리한 후에, 히스타민 성분을 제거하는 활성화 조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사람에게 이용되는 의약품으로는, 당연히 인간 면역 글로불린을 원료로 이용하면 좋은데, 인간 면역 글로불린은 혈청 또는 태반혈장 등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의약품으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혈장 분획 제제에 대하여 통상 정해져 있는 것과 같은 규격을 만족해야 한다. 예를 들면, 원료 혈장으로 HBs항원, HCV항체 및 HIV항체 음성인 인간혈장을 사용하고, 또한 가열처리를 함으로써 간염바이러스나 AIDS 바이러스 등이 혼입되는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가열처리는 바이러스의 불활성화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60℃에서 10시간 액상 가열처리, 60℃에서 10시간 증기화 가열처리, 65℃에서 96시간 건조 가열 처리 등이 혈장 분획 제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람 이외에 적용하는 경우는, 대상으로 하는 동물의 종류에 따라서, 면역 글로불린을 인간 이외의 동물로부터 조제하여 사용하면 좋다. 히스타민 성분으로는, 유리된 히스타민이나 그것의 염산염, 인산염, 피클린산염 등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용할 수 있다.
면역 글로불린을 히스타민 성분과 혼합처리한 후에 히스타민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본래는 호산구 증가 억제작용, 면역 조정작용, 자가면역질환 개선작용, 항염증 작용 또는 항알레르기 작용 등의 약리활성을 갖지 않는 천연형 면역 글로불린을 활성화할 수 있다.
혼합처리는 물 또는 생리식염수 등의 수성용액에 면역 글로불린과 히스타민 성분을 용해하고, 용액이 동결되지 않고 또한 면역 글로불린이 열변성되지 않도록 적당한 온도, 예를 들면 실온에서 적당히 교반 또는 교반후 방치하여 두면 좋고, 특별한 조작은 불필요하다. 면역 글로불린을 히스타민 성분과 혼합처리하는 비율에 관해서는, 면역 글로불린이 활성화되도록 적당한 히스타민 성분량을 적당히 설정하면 좋은데, 예를 들어 1g의 면역 글로불린에 대하여 0.015~150㎍, 바람직하게는 0.075~75㎍의 히스타민 성분(히스타민 환산)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비율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혼합처리한 후, 히스타민 성분을 제거하면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을 얻을 수 있으며, 히스타민 성분의 제거방법으로는, 투석법, 겔여과법 등의 통상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간단하게 실시하기가 용이하지만, 그 밖의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어피니티 크로마토그래피 등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과 히스타민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떤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약리시험에 있어서는, 마우스나 랫트를 실험동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 면역 글로불린 대신에 실험대상인 동물의 면역 글로불린, 즉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이나 랫트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활성화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의 제조법을 일례로 든다.
(실시예1)
활성화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의 제조
50㎖의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 용액(20mg/㎖)에, 50㎕의 히스타민 이염산염 용액(0.25mg/㎖)을 첨가하고, 이 혼합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완만하게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이 용액을 분획 분자량 12,000~14,000의 투석막을 사용하여 4℃에서 3일간 투석하고, 히스타민 성분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활성화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 용액을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10~50㎖의 용액을 2ℓ의 생리식염수로 투석하고, 투석외액은 1일에 3회 교환하여 히스타민 성분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하였다. 투석종료후, 동결건조처리하여 보존하고, 사용시에 물이나 생리식염수 등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2)
잔존하는 히스타민 성분의 측정
상기한 대로 제조한 본 발명의 활성화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 중에 잔존하는 히스타민을 방사면역 측정법(상품명: 히스타민 키트 「영연(榮硏)」)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측정법은 표준 히스타민 및 검체를 아실화하여,1251표지 히스타민 및 히스타민 항체 튜브와 같이 항온배양한 후, 미반응의1251표지 히스타민을 제거하고, 히스타민 항체 튜브에 결합된 방사능을 웰형 신틸레이션 측정기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검체중의 히스타민 농도는, 동시에 작성된 표준곡선으로부터 구하였다. 이측정법의 감도는 0.2nM이지만, 상기 본 발명의 활성화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중에 잔존하는 히스타민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HPLC-형광법에 의한 별도의 히스타민 측정계를 이용한 측정법에서도, 잔존하는 히스타민은 검출되지 않았다. 더욱이, 삼중수소로 표지한 히스타민과 면역 글로불린을 실시예1과 같게 혼합한 후 투석하여 히스타민을 제거한 경우도, 최종 투석내액에서 측정된 방사능은 비표지 히스타민을 이용한 경우(대조)와 같고, 잔존하는 히스타민의 흔적은 없었다. 이와 같이, 어떤 측정법으로도 잔존하는 히스타민은 측정되지 않으며, 상기 투석처리에 의해 히스타민이 실질적으로 거의 완전히 제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의 약리시험 결과를 설명한다.
1. 호산구 증가 억제작용
카네코(Kaneko) 등의 방법(Int. Archs Allergy Appl. Immunol. 96권, 41-45 페이지, 1991년)에 따라서, 6~8주령의 암컷 BALB/c 마우스에, 생리식염수로 1000배 희석한 호그위드(hogweed) 화분 엑기스를, 개시일 및 제1일째에는 0.1㎖, 또 제6, 8, 14일째에는 0.2㎖를 피하주사하여 감작하였다. 제20일째에 1000배 희석한 0.2㎖의 호그위드 항원을 마우스 복강내에 주사하여 반응을 유발한 후, 복강침윤 세포를 회수하여 김자(Giemsa) 염색하여 호산구수 등을 계측한 결과, 호산구수는 유발후 24시간째에 피이크로 되었다.
상기한 호산구 증가 모델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활성화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150mg/kg/일)을 각각 유발일까지 주에 2회 3주간 피하투여하여 호산구 증가에대한 작용을 조사하였다. 또, 천연형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을 같이 투여하여 비교 시험을 하였다.
결과의 일례를 표1에 표시한다. 한편, 이하의 시험결과에서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대조와의 평균치의 유의차를 구하여 *인을 붙였다[*: p < 0.05, **: p < 0.01, ***: p < 0.001].
[표 1]
2. 면역조정 작용
면역조정 작용은 트리니트로페닐(TNP) 특이적 항체 생성 및 TNP 특이적 지연형 과민(DTH)반응을 지표로 측정하였다.
(1) 트리니트로페닐결합 양적혈구(TNP-SRBC)의 조제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TNBS)을 인산완충화 생리식염수에 용해하고(40mg/7.0 ㎖, pH 7.2), 이것에 1㎖의 양적혈구 펠릿을 교반하면서 적하하였다. 차광상태에서, 수회 교반하면서 20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뒤, 생리식염수로 3회 세정하였다. 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뒤, 생리식염수로 5 ×109/㎖로 조제하였다.
(2) TNP 특이적 항체 생성
6-8주령의 암컷 BALB/c 마우스에 109개의 TNP-SRBC를 복강내 투여하고, 혈청중 항 TNP 항체를 디니트로페닐-소혈청 알부민을 이용한 효소면역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항 TNP-IgM, 항TNP-IgG의 강한 항체 생성이, 각각 4~6일째, 6~8일째를 피크로 확인되었다.
(3) TNP 특이적 DTH 반응
상기 항체 생성을 측정한 마우스를 계속 이용하여, TNP-SRBC의 감작후 14일째에 TNBS(4.7mg/㎖, 0.025㎖)를 뒷다리 우측발바닥에 주사하고, TNP 특이적 DTH 반응을 유발시켰다. 유발후, 24시간 후에 양발바닥의 두께를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하여, 좌우 종창의 차를 DTH 반응의 강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유발 24시간 뒤에 명확한 DTH 반응이 관찰되었다.
(4) 피검약제의 작용측정
상기 시험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활성화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150mg/kg/일), 천연형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150mg/kg/일) 및 시클로스포린A(100mg/kg/일)를 TNP-SRBC 감작일로부터 4일간 피하투여하여, 항 TNP 항체 생성 및 TNP 특이적 DTH 반응에 대한 작용을 조사하였다.
항 TNP항체 생성계의 결과를 도1에, TNP 특이적 DTH 반응계의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표 2]
3. 자가면역질환 개선작용
실험적 알레르기성 뇌척수염(EAE)은 자가면역질환, 특히 다발성 경화증, 백신접종후 뇌염 등의 탈수성(demyelinating disease) 질환의 바람직한 실험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수동적 EAE는 일반적인 방법(M. Naiki등, Int. J. Immunopharmac., 13권, 2/3호, 235-243페이지, 1991년 등에 기재)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유도하였다. 모르모트의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의 염증 야기부위인 68번째로부터 84번째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응하는 합성펩티드(MBP68~84)의 인산 완충식염수용액(0.2mg/㎖)과, 가열 결핵사균 2.5mg/㎖을 포함하는 완전 보조제(H37Ra)를 등량혼합하고, 암컷 루이스계 랫트(160~170g)의 왼쪽 뒷다리 발바닥내에 0.1㎖ 투여하였다. 12일 후에, 면역된 랫트의 비장세포를 적출하고, 2㎍/㎖의 콘카나바린A를 함유하는 배양액을 사용하여 시험관내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세정후 2 ×107개의 배양세포를 별도의 무처리 랫트의 꼬리정맥에 투여하여 수동적 EAE를 발증시켰다.
배양 비장세포를 이입한 날부터 격일로 4회, 생리식염수를 용해한 피검약을 피하투여하고, 임상증상을 연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임상적 판정은, 0 = 정상, 1 = 꼬리가 처짐, 2 = 경미한 보행곤란 또는 마비, 3 = 중등의 운동실조 또는 아래다리의 마비, 4 = 중증의 양아래다리 마비, 5 = 중증의 사지마비 및 빈사상태의 6단계로 평가하였다. EAE에 대한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의 개선효과를 임상적으로 평가한 결과의 일례를 도2에 표시한다.
표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호그위드 화분 항원유도의 호산구 증가 모델에서, 복강내에 호산구가 침윤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도1의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IgM 및 IgG 항체 생성에 대하여 현저한 증강작용을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하여, 면역억제제인 시클로스포린A는 양항체 생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그러나, 표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연형 과민(DTH) 반응에 대해서는, 시클로스포린A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우수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면역억제제인 시클로스포린A는 IgM 및 IgG 항체 생성 및 DTH반응의 양면역반응을 함께 현저히 억제하였지만,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항체 생성에 대해서는 증강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DTH 반응에 대해서는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종래의 면역억제제와는 확실히 다른 면역조정 작용을 갖는 것이 분명하다.
더욱이, 도2의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자가면역질환 모델인 실험적 알레르기성 뇌척수염(EAE)에서, EAE 발증에 따른 임상 증상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천연형 마우스 면역 글로불린을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와 같이 EAE 억제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을 제조할 때의 면역 글로불린과 히스타민 성분의 혼합비에 관해서 검토한 결과, 실시예1에서의 면역 글로불린에 대한 히스타민 성분의 비를 10분의 1의 양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의 경우는 실시예1과 같이, 현저한 호산구 증가 억제작용 및 EAE 억제작용이 확인되었지만, 100분의 1의 양 또는 10배량으로 제조한 경우는 억제경향은 보이지만 작용은 그렇게 강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피하투여 대신 경구투여한 경우도, 거의 동등한 호산구 증가 억제작용이나 항체 생성 증강작용 등의 약리활성이 관찰되었다.
상기 어떠한 약리시험에서도, 본 발명의 활성화 처리를 하지 않은 통상의 면역 글로불린에서의 작용은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이것들의 약리작용은 본 발명의 활성화처리에 의해서 면역 글로불린에 특이적으로 부여된 작용인 것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상의 약리시험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면역 글로불린을 히스타민 성분과 혼합처리한 후에, 히스타민 성분을 제거하는 활성화 조작에 의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면역 글로불린 단독성분이면서 천연형인 면역 글로불린이 나타내지 않는 유용한 약리작용을 갖는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 우수한 약리 작용은 시클로스포린A 등의 종래 면역억제제와는 확실히 다른 특이한 면역조정 작용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호산구 증가 억제작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자가면역 질환 모델인 EAE에 대해서도 현저한 개선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만성관절 류머티즘 등의 교원(膠原)증, 다발성 경화증, 백신접종후 뇌염 등의 탈수성 질환,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만성 갑상선염, 교본(橋本)병 등의 자가면역질환이나 각종 면역부전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로 유용하다. 호산구 증가에 대한 억제작용을 토대로, 감염증, 기생충 질환, 호흡기 질환, 자가면역 질환, 악성종양에 등에 따른 호산구 증가증의 치료제로도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을 이용할 수 있다.
호산구는 염증의 원인이 되는 자극을 받은 부위로 모여서, 염증증상을 일으키는 이펙터(effector) 세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호산구의 증가를 억제하는 약제는 염증을 억제하는 약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상기 호산구 증가 억제작용에 추가하여, DTH 반응에서의 종창을 억제하는 작용이나 염증성 자가면역질환(수동적 EAE)에 대한 개선효과도 확인되어 있으며, 우수한 항염증제로서도 대단히 유용성이 높다. 또한, 호산구는 알레르기 증상의 발현에도 깊게 관여하고 있어,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은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연동성 비염이나 담마진, 만성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각종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ㆍ예방제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화 글로불린은 적당한 의약용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시켜 의약화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하기 위한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기체의 제형으로, 그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처방할 수 있다. 처방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활성화 글로불린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의약활성 성분과의 배합제로 해도 좋다.
주사제로는, 주사용 증류수 또는 생리식염수 등을 이용한 등장용액으로 제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제화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 성분외에, 용해보조제, 등장화제, 안정제, 완충제, 보존제 등의 첨가제를 적당히 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구연산, 안식향산나트륨, 글리신,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염산시스테인, 인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사용시 용해하여 사용하기 위한 주사제로 제제화해도 좋고, 건조 분말을 바이알병에 충전하거나 약제용액을 바이알병 등에 주입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첨가제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포도당, 만니톨, 소르비톨 등의 부형제를 가해도 좋다.
본 발명의 활성화 글로불린을 경구투여용으로 제제화하는 경우는, 그대로 또는 적당한 첨가제, 예를 들어 유당, 만니트,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와 같이,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아라비아 고무, 옥수수 전분, 젤라틴 등의 결합제, 옥수수 전분, 감자전분,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칼륨 등의 붕괴제, 탤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활택제, 그 외 증량제, 습윤화제, 완충제, 보존제, 향료 등을 적당히 조합시켜 정제, 산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화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상태나 질환의 종류에 따라서, 그 치료에 알맞은 상기 이외의 제형, 예를 들어 흡입제, 에어졸제, 연고, 점안제, 좌제 등으로 적당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화 글로불린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질환의 종류, 중증도, 환자의 연령ㆍ성별, 제형, 투여방법, 투여기간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설정하는 것이 좋은데, 예를 들어 주사제로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일반성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1~300mg, 바람직하게는 5~150mg을 주1회 내지 수회 피하투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면역 글로불린을 히스타민 성분과 혼합처리한 후에 히스타민을 제거하는 조작에 의해 얻어지고, 호산구 증가 억제작용, 면역 조정작용, 자가면역질환 개선작용, 항염증 작용 또는 항알레르기 작용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
  2. 제1항에 있어서, 1g의 면역 글로불린에 대하여 히스타민으로 환산하여 0.015~150 ㎍의 히스타민 성분을 혼합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
  3. 제1항에 기재된 활성화 면역 글로불린을 함유하고, 알레르기, 염증, 자가면역 질환 또는 호산구 증가증의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4. 제3항에 있어서, 주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5. 제3항에 있어서, 경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KR1019960033064A 1995-08-11 1996-08-08 활성화면역글로불린 KR100436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27045 1995-08-11
JP7227045A JPH0959180A (ja) 1995-08-11 1995-08-11 活性化免疫グロブリ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812A KR970009812A (ko) 1997-03-27
KR100436811B1 true KR100436811B1 (ko) 2004-08-25

Family

ID=1685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064A KR100436811B1 (ko) 1995-08-11 1996-08-08 활성화면역글로불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27194B1 (ko)
EP (1) EP0758656B1 (ko)
JP (1) JPH0959180A (ko)
KR (1) KR100436811B1 (ko)
CN (1) CN1108818C (ko)
AT (1) ATE252603T1 (ko)
AU (1) AU713296B2 (ko)
CA (1) CA2183020A1 (ko)
DE (1) DE69630423T2 (ko)
TW (1) TW4424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246A (ja) * 1997-01-30 1998-08-11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経口投与用製剤
CA2232420A1 (en) * 1997-03-19 1998-09-19 The Green Cross Corporation Immunoglobulin prepa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JP2000143536A (ja) 1998-11-13 2000-05-23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抗浮腫剤
DE19944122A1 (de) * 1999-09-15 2001-03-29 Wolfgang Loh Histamin-Immunglobulin-Komplexe zur Behandlung von entzündlichen Erkrankungen bei Säugetieren
KR20070108320A (ko) * 2006-03-20 2007-11-09 전숙영 알레르기질환 및 자가면역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조성물, 그의 용도 및 알레르기질환 및 자가면역질환의치료방법
RU2502521C2 (ru) * 2010-08-06 2013-12-27 Олег Ильич Эпштейн Комплексное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бактериальных инфекций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актериальных инфекций
RU2505312C2 (ru) * 2010-08-06 2014-01-27 Олег Ильич Эпштейн Комплексное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гриппа различных типов
CN110801013B (zh) * 2019-11-19 2023-03-31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生物化学法制备非过敏生漆或漆酚的方法及其产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5526A (en) * 1978-12-23 1980-06-27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Remedy for allergic disease
JPS58225027A (ja) * 1982-06-23 1983-12-27 Fujirebio Inc ヒスタミン加グロブリン製剤
JPH0753406A (ja) * 1993-08-09 1995-02-28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免疫調整、抗炎症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697A (en) 1972-11-11 1975-03-25 Mack Chem Pharm Histamine antigen
RO72676A2 (ro) * 1977-07-15 1982-08-17 Institutul "Dr.Ioan Cantacuzino",Ro Procedeu de determinare a continutului in anticorpi speci†ici antiamine biologic active a gamaglobulinelor
US4705685A (en) * 1982-05-17 1987-11-10 Mcmichael John Methods and materials for treatment of disease states involving immunological factors
US4704273A (en) * 1982-05-17 1987-11-03 Mcmichael John Methods and materials for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US4705687A (en) 1985-06-17 1987-11-10 Ortho Pharmaceutical (Canada) Ltd.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with suppressor factor
US5112738A (en) 1985-07-03 1992-05-12 Miles Inc. Histamine derivatives, immunogen conjugates and antibodies raised thereto
US5244902A (en) 1989-08-21 1993-09-14 Beth Israel Hospital Association Topical application of spiperone or derivatives thereof for treatment of pathologic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immune responses
IT1237475B (it) 1989-10-06 1993-06-07 Allergeni modificati chimicamente 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US5192773A (en) 1990-07-02 1993-03-09 Vertex Pharmaceuticals, Inc. Immunosuppressive compou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5526A (en) * 1978-12-23 1980-06-27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Remedy for allergic disease
JPS58225027A (ja) * 1982-06-23 1983-12-27 Fujirebio Inc ヒスタミン加グロブリン製剤
JPH0753406A (ja) * 1993-08-09 1995-02-28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免疫調整、抗炎症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3296B2 (en) 1999-11-25
AU6203396A (en) 1997-02-13
DE69630423D1 (de) 2003-11-27
US6627194B1 (en) 2003-09-30
EP0758656A2 (en) 1997-02-19
CN1148505A (zh) 1997-04-30
KR970009812A (ko) 1997-03-27
ATE252603T1 (de) 2003-11-15
TW442495B (en) 2001-06-23
JPH0959180A (ja) 1997-03-04
EP0758656B1 (en) 2003-10-22
EP0758656A3 (en) 1997-08-06
CN1108818C (zh) 2003-05-21
CA2183020A1 (en) 1997-02-12
DE69630423T2 (de) 200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174B1 (ko) 면역조정, 항염증제
PROPP et al.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and neuropathy: Deposition of M‐component on myelin sheaths
CA1100872A (en) Method of producing intravenously injectable gamma globulin
PL198958B1 (pl) Zastosowanie neurotoksyny botulinowej z Clostridium botulinum
CN103154028A (zh) 复合药物组合物以及对神经退行性疾病相关的疾病或病症进行治疗的方法
Barandun et al. Clinical tolerance and catabolism of plasmin-treatedγ-globulin for intravenous application
Neftel et al. Effect of storage of penicillin-G solutions on sensitisation to penicillin-G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KR100436811B1 (ko) 활성화면역글로불린
EP1002545A1 (en) Suppressive agent against expression of cell adhesion molecules
KR100533399B1 (ko) 경구투여용제제
Amos et al. Hypersensitivity reactions to acetylsalicylic acid. I. Detection of antibodies in human sera using acetylsalicylic acid attached to proteins through the carboxyl group
Sensakovic et al. Glycolipoprotein from Pseudomonas aeruginosa as a protective antigen against P. aeruginosa infection in mice
AU756715B2 (en) Anti-edema agent
JPH1053537A (ja) 活性化免疫グロブリン
JP2001348342A (ja) 免疫調整・抗炎症剤
Baker et al. Bacteraemia due to recurrent reinfection with Staphylococcus epidermidis associated with defective opsonisation and procidin function in serum.
WO2006080867A1 (fr) Produit de stimulation de la secretion du facteur viii de coagulation sanguine
JPH0665296A (ja) 免疫賦活物質およびその分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