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751B1 - 방적사 장력 장치 및, 방적사 장력 장치를 가진 방적사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방적사 장력 장치 및, 방적사 장력 장치를 가진 방적사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751B1
KR100436751B1 KR10-2001-7004424A KR20017004424A KR100436751B1 KR 100436751 B1 KR100436751 B1 KR 100436751B1 KR 20017004424 A KR20017004424 A KR 20017004424A KR 100436751 B1 KR100436751 B1 KR 100436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yarn
ring
outer r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0044A (ko
Inventor
기아르도피오렌조
Original Assignee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8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B65H51/22Reels or cages, e.g. cylindrical, with storing and forwarding surfaces provided by rollers or ba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03D47/366Co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ring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적사 공급 장치(F)용의 방적사 장력 장치(B9)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고리형의 얇은 벽의 장력 동체(D)는 주위를 따라서 연속적인 원추형 장력 표면(C)을 형성하며 장력 동체는 제 1 스프링 장치(S1)에 의해서 고리형 지지부 구조(T)의 외측 부위에 장착되어 방적사 장력 장치가 정지 지지부(A)상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장력 동체(D)는 폐쇄된 원형 링이며 여기에서 원추형 장력 표면은 외측으로 내측 직경상에 경계를 정하고 그리고 단일체로서 돌출되는데, 상기 단일체는 제 1 스프링 장치(S1)를 형성하는 원호형 만곡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변형된 외측 배향의 선의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판을 가진다. 나선형 스프링 판(L)의 외측 단부는 링 요소(R)에 의해서 연결되는데, 링 요소는 장력 표면(C)으로부터 반경 방향 거리에서 장력 동체 안에 지지 구조(T)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적사 장력 장치가 설치된 방적사 공급 장치에 있어서, 유지 구조(T)는 그것이 실질적으로 설치된 상호 연결 링 부분으로 구성된 유니버설 조인트내에서 모든 측으로부터 경사질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부내에 유지된다.

Description

방적사 장력 장치 및, 방적사 장력 장치를 가진 방적사 공급 장치{Yarn tension device and yarn feeding apparatus with a yarn tension device}
방적사 공급 장치에 장착되는 DE-U-94 06 102 에 공지된 방적사 브레이크에서, 브레이크 동체는 절두 원추형 재킷의 형상을 가지는, 얇은 벽의 금속성 링 밴드이며, 그것의 내측은 저장 드럼의 철회 테두리와 협동하는 브레이크 표면을 형성한다. 브레이크 동체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절두 원추형 플라스틱 포말 링에 의해서 유지 구조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지지된다. 상기 플라스틱 포말 링은 브레이크 동체의 후방측과 고리형 유지 구조의 안으로 접착된다. 유지 구조는 방적사 브레이크의 중심축에 동축선상으로 위치된 축방향 코일 스프링의 그룹에 의해서 방적사 공급 장치의 정지 지지부에 지지된다. 포말 재료는 제 1 의 스프링 조립체를 형성하며 브레이크 표면이 방적사 통과 영역내에서 국부적으로 항복할 수 있게 한다. 포말 재료는 또한 축방향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브레이크 표면으로 축방향 부하를 전달하여야만 한다. 유지 구조는 경직되어 있다. 제 1 스프링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브레이크 표면의 직경에서 작용한다. 필요한 접합 또는 접착은 제조하기가 곤란하며 방적사 브레이크의 작동 중에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그 어떤 접착 부위도 비균질적인 것을 야기하는데, 이것은 브레이크 표면과 회수 테두리 사이에서 회수되는 방적사의 궤도 운동중에 방적사 장력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회수 테두리에서 브레이크 본체의 정확한 중심 맞추기도 작동 상태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방적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며, 청구 범위 제 17 항의 전제부에 따른 방적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방적사 브레이크를 가진 방적사 공급 장치의 부분적인 사시도.
도 2 는 방적사 브레이크 자체의 사시도.
도 3 은 방적사 브레이크의 분해도.
도 4 는 상기 방적사 공급 장치에서 방적사 브레이크의 지지 부위에 대한 축방향 단면도.
도 5a, 도 5b 및, 도 5c 는 방적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동체의 판에 대한 개략적인 세가지 곡선 형상.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류의 방적사 브레이크 및, 제작이 용이하고 매우 신뢰성이 있는 방적사 브레이크를 가진 방적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그것에서 브레이크 표면은 신뢰성있게 중심을 맞춘 상태로 잔류하며 여기에서 브레이크 표면은 원주 방향에서 극히 균일한 변형 성능을 나타낸다. 방적사 공급 장치에서 방적사 브레이크는 가능한한 적게 진동하는 브레이크 효과에 이르러야만 한다. 더욱이, 브레이크 효과는 자동적인 보상 효과에 의해서 수반되어야 한다. 이것은 방적사의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방적사의 가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에 회수되는 방적사에서의 장력이 가능한한 적게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방적사의 장력은 정확하게 조절 가능한 기초 장력에 대하여 단지 작게 변화한다. 마지막으로, 브레이크 효과가 점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큰 조절 범위가 달성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 범위 제 1 항의 특징 및, 독립 청구 범위 제 17 항의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방적사 브레이크는 적정한 비용과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는 일체화되고 미리 굽혀진 판을 가진 브레이크 동체 및, 판의 외측 단부와 고리형 브레이크 표면을 상호 연결하는 링 요소가 안정되게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브레이크 동체를 제작하기 위해서 또는 브레이크 동체를 유지 구조안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도 접합 또는 접착 부위가 필요하지 않다. 판은 내측과 외측 링 부분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그리고 매우 효과적인 레버 아암으로써 그것들의 스프링 효과를 발생시킨다. 축방향의 예비 부하는 유지 구조에 의해서 브레이크 동체 안으로 전달되며 유지 구조는 다시 정지 지지부에서 지지된다. 긴 행정의 탄성 범위는 원주 방향에서 브레이크 표면의 매우 균일한 변형 성능을 초래한다. 회수 테두리에서 브레이크 표면의 정확한 중심 맞추기도 초래된다. 스프링 조립체의 긴 행정 덕분에 브레이크 표면은 회수 테두리의 만곡으로부터의 가능한 이탈을 보상한다. 포말 재료 또는 탄성 재료와 접합 부위가 없기 때문에, 스프링 특성 및, 브레이크 특성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것은 장시간의 작동 기간동안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리고 노후화 도는 품질 저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더욱이, 회수 테두리의 정확한 원형 형상으로부터의 이탈은 그러한 이탈이 보상되므로, 방적사 회수 지점의 전체적인 회전에 걸쳐서 브레이크 효과의 균일성 또는 방적사 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브레이크 동체 구조의 특정한 장점은 상대적으로 균일한 스프링의 비율인데, 이것은 극히 약한 것과 극히 강한 것 사이에서 브레이크 효과를 정확하게 그리고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소정의 배향에서 미리 굽혀진 판에 의해 위치된 브레이크 표면과 유지 구조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긴 축방향의 행정에 기인하는 것이다. 상기의 실제적인 효과는 미리 굽혀진 판이 방적사 브레이크의 조절 범위에서 긴 조절 행정에 걸쳐 분포한다는 사실로부터 초래된다.
유지 구조는 그것이 모든 측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공급 장치에서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서 지지된다. 링 부분의 성형 끼움(form fit)에 기인하여 유니버설 조인트는 신뢰성 있는 중심 맞추기에 이를 수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는 방적사 공급 장치의 저장 드럼과 지지부 사이의 오정렬을 보상하도록 유지 구조의 최적화된 경사위치를 제외하고는 그 어떤 조절되지 아니한 상대적인 측방향 운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한 오정렬은 구성부들의 조립 도는 제작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브레이크 동체 자체는 용이하게 대체 가능한 마모성 부품이다.
(청구 범위 제 2 항에 따라서) 외측 링 요소가 브레이크 동체의 단일 부품일때 제조가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청구 범위 제 4 항에 따라서) 브레이크 동체는 금속성 포일 블랭크(blank)로부터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면 이것은 만곡된 형상으로 소성 변형을 겪기 이전에 판들 사이의 공간을 에칭하거나 또는 레이저 절단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치에 의해서 긴 행정을 가진 제 1 의 스프링 조립체는 브레이크 본체 안으로 일체화된다. 상기 제 1 스프링 조립체는 최적의 브레이크 성능을 위해서 필요한 회수 테두리의 방향으로 브레이크 표면을 부가적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조치에 기인하여 브레이크 표면은 축방향의 예비 부하에 의해서 반경 방향 밖으로 변형될 필요가 없으며, 이것은 예를 들면 매우 얇은 방적사와 같이 매우 약한 브레이크 효과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와는 달리, 판의 외측 단부는 바람직스럽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플라스틱 링 안에 묻히며, 따라서 플라스틱 링은 브레이크 동체의 부분이 된다. (청구 범위 제 3 항)
브레이크 동체는 유지 구조의 소켓 안에 성형 끼움으로 안착된다 (청구 범위 제 5 항). 바람직스럽게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작된 고정용 링은 브레이크 동체가 이탈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이송 과정 또는 조립 과정에만 필요하다. 방적사 브레이크의 작동상 위치에서 브레이크 동체는 축방향의 예비 부하에 의해서 그 어떤 방식으로든 고정된다.
브레이크 표면의 매우 균일한 변형 성능과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브레이크 동체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판의 신장된 길이는 브레이크 표면의 폭의 몇배에 해당하여야 한다. 설명된 치수상의 관계도 장점이다 (청구 범위 제 6 항). 그러한 작은 공간은 방적사가 포획될 수 없는 것을 방지한다.
판은 (청구 범위 제 7 항에 따라서) 대부분 미리 굽혀지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정확하게 미리 굽혀지거나 또는 심지어는 더욱 미리 굽혀진다. 그것의 내측 루프(roof)들은 원추형 브레이크 표면의 모선을 연속시킨다. 편리하게도 브레이크 동체의 링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위치하며 이것은 브레이크 동체를 유지 구조 안에 고정시키는 것을 단순화시킨다. 방적사 브레이크의 조립 이전에 판의 소성적인 예비 굽힘에 의해서 부드러운 일체화 스프링 조립체의 긴 행정이 필요시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판의 긴 유효 길이와 연관된 긴 조절 행정 및, 부드러운 특성들은 판 내부의 몇개의 굽힘(뱀의 형상인 선)에 의해서 달성된다 (청구 범위 제 8 항).
제 1 스프링 조립체의 부드러운 정도 또는 판의 유효 길이를 각각 변화시키기 위하여, 방적사 브레이크용으로 주어진 반경 방향 장착 공간의 경우에, 판들이 심지어는 반경 방향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판들이 형성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 9 항).
유리한 축방향의 예비 부하 이송 원칙은 방적사 브레이크의 바람직한 자동 중심 맞추기 및, 바람직스럽게는 브레이크 표면의 "나태한" 작동 성능에 비추어서 (청구 범위 제 10 항에 따라서) 선택된다. 지지부로부터 브레이크 표면으로 힘의 전달의 동력학적 연쇄에 있어서 힘은 방적사 브레이크의 탄성 범위의 축방향의 긴 행정내에서 상대적으로 먼 내측의 제 1 외측으로부터 브레이크 동체 요소의 링 안으로 그리고 다시 외측으로부터 판에 의해서 다시 내측으로 브레이크 표면 안으로 작용한다. 그러한 긴 힘의 전달 경로는 탄성을 위해서도 유리하며, 만약 방적사 브레이크에 대한 사용 가능한 장착 공간이 반경 방향 및, 축방향에서 제한되더라도, 방적사 브레이크의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외측 링을 유지 구조의 시이트 링과 연결하는 스포크(spoke)들도 특히 유리한 것이다 (청구 범위 제 11 항). 이것은 방적사 브레이크에서 부가적인 큰 행정과 부드러운 스프링 조립체를 한정하는 굽힘 스프링 아암을 형성한다. 방적사 브레이크 내에서 직렬로 작용하는 이러한 두개의 스프링 조립체는 예를 들면 작동에 있어서 매우 수동적으로 또는 "죽은듯이" 행동하는, 즉 바람직스럽지 않게 동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브레이크 표면의 극단적인 해제(de-coupling), 극단의 크기의 조절 범위, 양호한 자동적인 중심 맞추기 기능 및, 최적의 오정렬 보상에 이르게 한다. 이것은 특히 빠른 방적사의 속도에 대해서 중요하다. 편리하게도 제 1 및, 제 2 의스프링 조립체의 스프링 비율은 양쪽의 스프링 조립체가 작동중에 일을 하도록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조절 범위의 큰 행정은 브레이크 효과를 점진적으로 조절하도록 특히 편리하다. 그러나, 측방향 및, 비트는 방향에서 유지 구조는 상대적으로 경직되어 있다. 이것은 축방향 및, 그것의 경사 방향에서만 상대적으로 부드럽다.
유리하게는 판 스프링이 유지 구조의 스포크로서 제공되는데 (청구 범위 제 12 항), 예를 들면 8 개의 판 스프링이 균일한 방향에서 제공된다. 브레이크 동체에서 판의 갯수는 균일한 힘의 전달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 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판 스프링에 대한 특별한 치수 관계가 (청구 범위 제 13 항에 따라서) 유리하다. 방적사 브레이크는 다음에 긴 행정에 걸쳐서 부드럽게 작동한다. 브레이크 표면은 매우 균일한 변형 성능을 나타낸다. 상기의 장점들은 직렬로 작용하는 스프링 조립체들과 멀리 있는 내측으로부터 외측 영역으로 그리고 내측 영역으로 다시 이어지는 힘의 긴 전달 경로로부터 초래된다.
원주 방향에서의 균일한 브레이크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유지 구조의 시이트 링이 유니버설 조인트의 구성부일때가 유리한데, 이것은 정지 상태의 맞물림 요소와 함께 작용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한정한다 (청구 범위 제 15 항).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서 방적사 브레이크는 성형 끼워맞춤으로 적절하게 중심이 맞추어진다. 정지 지지부와 저장 드럼 사이에서 때때로 존재하는 제조상의 또는 장착상의 공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모든 측으로 경사 운동을 하기 위한 커다란 자유도가 있다.
방적사 브레이크의 주요 구성부들은 미리 제조된 구성부들이며, 이것은 이후에 접합 부위 없이 분해 가능하게 조립된다 (청구 범위 제 16 항).
방적사 공급 장치에 있어서 방적사 브레이크는 회수 방적사의 미리 조절된 기초의 방적사 장력과 관련하여 매우 작은 방적사 장력의 진동만을 만든다 (청구 범위 제 18 항). 방적사 브레이크는 효과적인 자동의 보상 효과와 함께 작동하며 이것은 빠른 방적사의 속도 또는 강한 방적사의 가속이 방적사 장력의 현저한 증가를 야기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작동에 있어서 거의 진동을 나타내지 않는 최적의 방적사 장력 프로파일이 달성될 수 있다. 매우 약한 브레이크 효과로부터 이탈하는 브레이크 효과의 가변성은 긴 조절 행정에 걸쳐 분포된다. 기초의 장력 브레이크 효과는 정확하게 달성될 수 있다.
저장 드럼과 방적사 공급 장치의 브랙킷 사이에 있는 가용 장착 공간의 완전한 범위는 힘의 전달 및, 방적사 브레이크의 넓은 범위의 탄성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 19 항). 그 안에 장착된 방적사 브레이크에도 불구하고, 저장 드럼 및, 저장 드럼과 회수 구멍 사이의 부위에 대한 접근은 거의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은 방적사 공급 장치(F)를 정면 부분에서 도시한다. 상기 방적사 공급 장치(F)는 씨실 방적사를 직조기에 공급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방적사 공급 장치(F)는 정지 상태의 저장 드럼(T')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예를 들면 만곡된 회수 테두리를 통해서 상기 저장 드럼(T')의 전방 측(2)의 안으로 연장되는 저장 표면(1)을 한정한다. 회수 테두리(3)는 원주상으로 연속적이며 원형이다. 공급 장치(F)의 도시되지 아니한 하우징으로부터 정지 상태의 브랙킷(4)은 저장 드럼(T')의 측을 따라서 돌출한다. 상기 브랙킷(4)은 전방 측(2)의 영역을 지나서 연장한다. 브랙킷(4)은 아암(5)을 유지하는데, 그 아암의 축 부분은 브랙킷(4)을 따라서 조절 장치(6)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아암(5)은 직조기에 의해 회수된 방적사를 위해서 저장 드럼(T')에 동축선상으로 위치한 회수 구멍(7)을 유지한다. 더욱이, 상기 아암(5)은 방적사 브레이크(B)에 대해서 정지 상태의 지지부(A)를 형성한다. 상기 방적사 브레이크(B)의 목적은 브레이크 효과에 의해서 회수된 방적사를 제동하거나 또는 장력을 가하는 것인데, 브레이크 효과는 가능한 한 균일하여야 한다. 방적사는 저장 표면(1)상의 권취부에 근접하여 저장되며 회수 테두리(3)를 축방향으로 넘어서 더욱이 회수 구멍(7)을 통해서 회수된다. 회수 도중에는 장력을 받은씨실 방적사가 시계의 바늘과 같이 회수 테두리(3)의 둘레를 궤도 선회 운동한다.
방적사 브레이크(B)는 자동적인 보상 효과로써 작동한다. 이것은 방적사가 느리게 또는 급속하게 또는 강하거나 또는 약한 가속도로 회수되는 것과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일정한 장력 프로파일(tension profile)이 회수되는 방적사 안에 유지되도록, 소정의 기초 장력에 대하여 조절된 것으로서 방적사 브레이크의 제동 효과가 방적사 속도 또는 방적사 가속도에 적합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브레이크 표면(C)이 회수 테두리(3)에 대해서 조절 가능한 축방향의 접촉력으로써 가압되도록 방적사 브레이크(B)는 유지 구조(C)에 의해서 지지부(A)에 지지된 얇은 브레이크 동체(D)로 한정되어 있는 평탄한 원추형의 원주상으로 연속된 브레이크 표면(C)을 가진다. 상기 브레이크 표면은 원주 방향으로 신장될 수는 없지만 그것의 표면에 수직으로 부드럽게 변형될 수 있다. 이것은 방적사에 의해서 방적사의 회전하는 회수 지점과 함께 순환하는 웨이브 형태로 변형된다.
브레이크 동체(D)는 예를 들면 원형이며, 예를 들면 0.1 mm 내지 0.8 mm 의 작은 벽 두께를 가진 베릴리움-구리 합금의 금속 포일로부터 제작된 폐쇄 링이다. 링 형상의 브레이크 표면(C)은 판(L)에 의해서 별과 같이 연속되어 폐쇄 링 요소(R)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링 요소(R)에 의해서 브레이크 동체(D)는 상기 유지 구조(T)의 외측 링(8) 또는 외측 에지(edge) 영역 안에 유지된다. 스포크(9)는 상기 유지 구조의 외측 링(8)으로부터 시이트 링(10)으로 연장된다. 시이트 링(10)은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볼 조인트와 유사한 구조를 한정하도록 지지부(A)의 링 요소로서 형성된 대응 맞물림 요소(11)와 함께 작용하는데, 그것의 조인트 중심은 실질적으로 저장 드럼(T')의 축의 연장 내에 위치한다.
판(L)들은 그것이 원호형 곡선을 가지도록 소성적으로 변형되는데, 그것의 오목한 측은 유지 구조(T)를 면한다. 상기 판(L)들은 굽힙 스프링들을 한정하며 그들 모두는 제 1 의 브레이크 동체 스프링 조립체(S1)를 형성한다. 스포크(9)는 또한 만곡된 굽힘 스프링 아암이며 제 2 의 유지 구조 스프링 조립체(S2)를 한정한다. 이와는 달리 유지 구조(T)는 브랙킷(4)에서 도시되지 아니한 링 형상의 지지부내에 단지 직접적으로만 지지된 상기 외측 링에 의해서 한정될 수 있다.
도 2 에서 방적사 브레이크(B)는 예를 들면 도 1 의 방적사 공급 장치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구조적 장치(U)를 한정한다. 이것은 그 어느 때라도 대체될 수 있다. 지지부(A)는 축방향의 예비 하중을 브레이크 동체(D)의 원추형인, 원주상의 연속적인 브레이크 표면(C)으로 전달한다. 지지부(A)는 브레이크 표면(C)의 내측 직경(d1) 보다 현저하게 작은 직경(d3) 상에서 유효하다. 브레이크 표면(C)과 지지부(A) 사이에서 상당한 축방향의 거리가 제공된다. 힘의 전달 경로는 내측으로 시작하여, 처음에 제 2 스프링 조립체(S2)를 통해서 외측으로 밀어낸다. 상기 제 2 스프링 조립체(S2) 안의 스포크(9)는 오목한 측(15)이 브레이크 동체(D)에 면한 상태에서 원호형 만곡을 가지는 것이 편리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스포크(9)(반경 방향 스포크)가 판 스프링(14)에 의해서 한정되며 그것들의 단부는 시이트 링(10)과 외측 링(8)에서 단단하게 고정된다. 양 단부 사이에서 스포크는 조화된 원호형 만곡을 따른다. 상기 형상에 의해서 외측 링(8)은 시이트 링(1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항복할 수 있으며 또한 경사질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8개의 스포크(9)가 제공된다. 스포크의 갯수는 그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상기 반경 방향 스포크(9)에는 규칙적인 원주 방향의 거리가 제공된다. 판 스프링(14)의 두께는 0.1 mm 와 1.0 mm 사이에 있을 수 있다. 그들의 폭은 약 3 mm 내지 10 mm 일 수 있으며, 바람직스럽게는 약 4 mm 내지 5 mm 이다. 판 스프링들은 강철 (스프링 강철) 또는 플라스틱 또는 화합물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판 스프링의 폭의 두께는 특별한 소정의 스프링 행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것의 길이 방향 연장을 따라서 변환될 수 있다.
외측 링(8)은 브레이크 표면(C)의 내측 직경(d1) 보다 현저하게 큰 직경(d2)을 가지며, 예를 들면 직경(d2)은 d1 의 약 180 % 일 수 있는 반면에, 직경(d3)은 d1 의 약 40 % 이다. 외측 링(8)은 안정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힘을 브레이크 동체(D) 또는 판(L)을 각각 통해서, 내측으로 브레이크 표면(C) 안으로 전달한다. 스프링 판(L)의 길이 방향 연장부는 원추형 브레이크 표면(C)의 폭의 배수이다.
브레이크 동체(D)의 간결한 구현예에서는 200 이상의 판(L)들이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 판(L) 사이에는 좁은 공간(13) (약 0.1 mm 내지 0.3 mm 의 폭)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13)들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기 때문에, 판(L)의 폭은 브레이크 표면(C)으로부터 외측으로 증가한다. 예를 들면 베릴리움-구리로부터의, 예를 들면 원형의 링 형상인 폐쇄 금속 포일 블랭크(blank)로부터 형성된 브레이크 동체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 mm 내지 0.8 mm 사이일 수 있다. 공간(13)은 에칭 또는 레이저 절단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판(L)의 원호형 만곡은, 브레이크표면(C)이 방적사 브레이크의 축방향 예비 부하 없이도 원주상으로 균일한 원추 각도를 유지하도록, 압력과 온도의 영향하의 몰드 안에서 소성 변형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브레이크 표면(C)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L)은 처음에 그들의 내측 뿌리 부분에서 브레이크 표면(C)의 원추 표면의 모선 방향을 따르고, 이후에 점진적으로 외측으로 이탈됨으로써, 그들의 단부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의 배향을 가진다 (도 5a, 5b, 5c 에 따라서 거의 반경 방향이거나, 반경 방향 또는 심지어는 과도하게 굽혀지거나 또는 뱀처럼 굽혀지거나 또는 뱀처럼 구불구불하다.)
도 2 는 유지 구조(T) 안에서 브레이크 동체(D)를 유지하는 고정 링(12)을 도시한다. 상기 고정 링(12)은 외측 링(8) 안으로 제거 가능하게 맞물리며 브레이크 동체(D)의 외측 가장 자리 영역을 정위치에 클램프시킨다. 이것은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시이트 링(10)에는 시이트 표면(1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지지부(A)에서의 선택적인 소기의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볼 조인트 기능을 위하여 도 2 에 도시되지 아니한 대응 맞물림 요소와 협동하는 것이다.
도 3 은 분해도로서 세개의 구성부(T, D, 12)를 도시한다. 반경 방향의 스포크(9)는 외측 링(8), 스포크(9) 및, 시이트 링(10)으로 구성되는 유지 구조(T)내에서 제 2 의 스프링 조립체(S2)를 형성한다. 외측 링(8)은 제 2 의 스프링 조립체(S2)에 의해서 항복되게 지지됨으로써 그것이 축방향으로 항복될 수 있고 그리고 시이트 스프링(10)에 대해서 경사질 수 있다. 링 소켓(18)은 외측 링(8) 안에서 형성될 수 있어서 브레이크 동체를 교체 가능하게 분할하도록 브레이크 동체(D)및, 선택적으로는 고정 링(12)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 조립체(S1,S2)의 스프링 특성은 유사하거나 또는 거의 같다.
도 3 의 판(L)은 브레이크 표면(C)을 별과 같이 형상화된 방식으로 외측으로 연속된다. 그들의 오목한 측(17)은 유지 구조(T)를 향하여 배향된다. 상기 판(L)들의 외측 단부는 브레이크 표면(C)과 동심원상에 있는 링 요소(R)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링 요소(R)는 고정 링(12)에 의해서 외측 링(8)의 소켓(18) 안에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 링(12)은 스냅-인(snap-in) 체결 기능을 달성하도록 돌출부나 또는 원주상의 스냅 플렌지(19)를 가질 수 있다. 고정 링(12)의 반경 방향 폭은 링 요소(R)의 반경 방향 폭에 넓게 대응한다. 링 요소(R)는 실질적으로 브레이크 동체(D)의 반경 방향 평면에 위치한다. 이와는 달리 링 요소(R)는 원추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브레이크 동체(D)는 자유롭게 종료되는 판(L)과 함께 금속 또는 플라스틱 포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판의 외측 단부들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링(고정 링(12)과 유사함)에 의해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링은 이후에 유지 구조(T)내에서 동체(D)를 유지하는 도 3 의 고정 링(12)과 도 3 의 링 요소(R) 모두를 형성할 수 있다.
간단한 구현예에서, 브레이크 동체(D)는 약 180 mm 의 외측 직경을 가진다. 직경(d1)은 약 150 mm 이다. 브레이크 동체(D)를 위한 블랭크(blank)는 약 40 mm 의 반경 방향 폭을 가진다. 시이트 링(10)은 약 45 mm 의 내측 직경(d3)을 가진다. 외측 직경(8)으로부터의 축방향 거리는 약 40 mm 이다. 판(L)의 원호형 만곡 덕분에, 그것의 가장 큰 직경이 실질적으로 외측 링(8)의 후방 윤곽(측면상에서 본것)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그리고 방적사 브레이크(B)가 방적사 공급 장치 안으로 삽입되지 않는 한 브레이크 표면(C)은 유지 구조(T)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판에 의해 형성된 제 1 스프링 조립체(S1)의 스프링 비율(spring rate), 즉 스프링 특성은 실질적으로 제 2 스프링 조립체(S2)의 스프링 비율과 같다.
도 4 는 지지부(A)에서의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볼 조인트(K)를 도시한다. 상기 조인트(K)에서, 방적사 브레이크(B)는 회수 테두리(3)에서의 적절한 자동 중심 맞추기를 위하여 저장 드럼(T)의 중심축 또는 방적사 브레이크(B)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각각 경사질 수 있다. 유지 구조(T)의 시이트 링(10)은 그것의 베어링 표면(16)에 의해서 예를 들면 대응 맞물림 요소(11)의 구형인 베어링 표면(20)에 안착된다. 대응 맞물림 요소(11)는 아암(5)에 위치되며 동심상으로 회수 구멍(7)을 둘러싼다. 베어링 표면(20)은 플렌지(19)에 의해서 그것의 내측에 제한되며, 상기 플렌지는 유지 구조(T)에 대한 경사 제한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볼 조인트(K)는 저장 드럼(T)의 테두리(3)에서 방적사 브레이크(B)의 자동 중심 맞추기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직렬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프링 조립체(S1)(S2)에 의해서 방적사 브레이크안에 이루어진, 주어진 유연성 또는 부드러움에 각각 기인하여, 대안으로서 시이트 링(10)이 아암(8)에, 즉 유니버설 조인트 기능 없이, 확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브레이크 동체(B)가 직접적으로 유지 구조(T)내에, 예를 들면 굽힙 스프링 판(L)의 자유 단부에 걸쳐서 또는 링 요소(R)의 둘레에 외측 링(8)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화된다면, 방적사 브레이크(B)의제 3 구성부로서 고정 링(12)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마모된 브레이크 표면(C) 또는 브레이크 동체(D)가 교체되어야할 때 유지 구조(T)가 교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원주상의 연속적인 원추형 브레이크 표면(C)을 가지며 고리형의 얇은 벽의 브레이크 표면(C)의 브레이크 동체(D)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동체는 상기 브레이크 표면(C)으로부터 이탈되어 면하는 브레이크 동체의 일측에 배치된 고리형 유지 구조(T)내에 제 1 스프링 조립체(S1)를 통해서 장착되고, 상기 유지 구조는 정지 상태의 지지부(A)에 장착될 수 있는 방적사 공급기(F)용 방적사 브레이크(B)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동체(D)의 상기 원추형 브레이크 표면(C)은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탄성 있는 판(L)과 복수개의 탄성 있는 판(L) 사이에 형성된 공간(13)에 의해서 일체로 연속되고, 상기 판은 미리 성형된 원호형 만곡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동체(D)의 반경 방향 부분내에 형성되고 외측 링 요소(R)에 의해서 상기 브레이크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거리로 상호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판은 상기 브레이크 동체(D)내에 상기 제 1 스프링 조립체(S1)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급기(F)용 방적사 브레이크(B).
  2.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 링 요소(R)는 상기 판(L)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 요소(R)는 상기 판(L)을 수용하는 금속 재료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성형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동체(D)는 금속 포일의 고리형 블랭크(blank)이며, 그 안에서 상기 판(L)의 상기 원호형 만곡은 온도 및 압력의 적용에 의해서 소성 변형으로 그것들을 굽힘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구조(T)는 상기 브레이크 동체(D)의 상기 링 요소(R)에 대한 둥근 소켓(18)을 가진 단단한 외측 링(8)을 구비하고, 상기 링 요소(R)는 고정 링(12)에 의해서 상기 소켓(18) 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판(L)의 신장된 길이는 브레이크 표면(C)의 폭의 4 내지 8 배에 해당하며, 각 판(L)의 원주상 폭은 0.5 mm 과 1.5mm 사이이며, 상기 판들 사이에 제공된 공간(13)은 0.1 mm 와 0.5 mm 사이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판(L)은 처음에 브레이크 표면(C)의 원추 모선(cone generatrix)의 방향에서 상기 브레이크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음에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인 배향을 가지기 위하여 점진적으로 굽혀지고, 외측 링 요소(R)는 브레이크 동체(D)의 반경 방향 평면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판(L)은 상기 브레이크 표면(C)과 외측 링 요소(R) 사이에서 몇개의 지점에서 미리 굽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9. 제 1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동체(D)의 축방향 도시에서, 상기 판(L)은 반경 방향으로부터 만곡되게 또는 경사지게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 구조(T)는 단단한 외측 링(8), 상기 단단한 외측 링(8)의 평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단단한 외측 링(8)보다 상당히 작은 직경(d3)을 가지는 시이트 링(10) 및, 반경 방향 스포크와 같이 상기 외측 링(8)과 상기 시이트 링(10)을 상호 연결하는 규칙적으로 분포된 스포크(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9)는 상기 외측 링(8)과 상기 시이트 링(10)을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고 경사질 수 있는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도록 굽힘 스프링 아암으로서 디자인되고, 상기 굽힘 스프링 아암들은 상기 방적사 브레이크(B)에서 유지 구조(T) 안으로 일체화된 제 2 의 스프링 조립체(S2)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의 스프링 조립체(S2)의 스프링 특성은 축방향에서 상기 제 1 의 스프링 조립체(S1)의 스프링 특성과 유사하게 만들어지고, 그리고 제 2 의 스프링 조립체(S2)는 측방향과 비틀림 방향에서의 변형이 억제되기 위하여 상기 측방향과 비틀림 방향에서 경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스프링 아암은 굽힘 상태에서 장착된 판 스프링(14)이며, 그것의 단부들은 외측 링(8)과 시이트 스프링(10)에 각각 확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14)은 0.1 mm 내지 1.0 mm 의 두께 및, 4.0 mm 내지 10.0 mm인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링(10)은 상기 브레이크 표면(C)의 내측 직경(d1)보다 작은, 상기 내측 직경(d1)의 40% 인 내측 직경(d3)을 가지며, 상기 외측 링(8)은 상기 브레이크 표면의 상기 내측 직경(d1)보다 큰, 상기 내측 직경(d1)의 160% 인 직경(d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링(10)은 그것의 베어링 표면(16)이 상기 정지 상태의 지지부(A)에 유지되는 대응 맞물림 요소(11)의 대응하는 베어링 표면(20)상에 안착됨으로써 유니버설 조인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동체(D) 및, 상기 유지 구조(T)는 접합 부위 없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17. 방적사 브레이크(B)를 가지는 방적사 공급기(F)로서, 상기 방적사 공급기(F)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정면의 회수 테두리(3)를 형성하는 정지 상태의 저장 드럼(T'), 상기 방적사 브레이크(B)를 위한 정지 상태 지지부(A)와 함께 하우징 브랙킷(4)을 구비하고, 상기 방적사 브레이크(B)는 원주상으로 연속적인 원추형의 브레이크 표면(C)과 함께 고리형의, 얇은 벽의 반경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브레이크 동체(D)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 테두리(3)에 대하여 상기 브레이크 표면(C)을 축방향으로 그리고 변형 가능하게 가압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동체(D)가 컵 형상의, 중공형 유지 구조(T)내에서 제 1 스프링 조립체(S1)를 통해서 장착되고,
    상기 유지 구조(T)는 상기 지지부(A)에서 유니버설 조인트(K)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게 지지되고, 유니버설 조인트의 중심은 상기 저장 드럼(3)의 중심축과 일치하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K)는 두개의 상호 맞물린 링 부분들로 구성되고, 그들중 하나는 상기 유지 구조(T)의 시이트 링(10)에 의해서 한정되고, 그들중 다른 것은 구형의(spherical) 베어링 표면(20)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인 대응 맞물림 요소(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급기(F).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동체(D)는 금속 포일로 만들어진 폐쇄된 원형의 링으로서, 그것의 브레이크 표면(C)이 내측 링 직경(d1)과 경계를 정하고 복수개의 탄성적인 판(L)은 상기 브레이크 표면을 외측으로 일체로서 연속시키고 복수개의 판(L) 사이에 형성된 공간(13)을 가지고, 상기 판들은 상기 방적사 브레이크의 상기 제 1 스프링 조립체(S1)를 구성하며, 상기 판들은 상기 유지 구조(T)에 장착된 링 요소(R)에 의해서 상기 브레이크 표면(C)으로부터 반경상으로 멀리 있는 상기 브레이크 동체(D)내에 상호 연결되며, 상기 판(L)들은 상기 브레이크 동체의 반경 방향 부분에서 보아서 미리 형상화된 원호형 만곡을 가지는 것으로 오목한 만곡의 측(17)은 상기 유지 구조(T)의 내측을 면하고, 상기 유지 구조(T)는 상기 외측 링(8)과 상기 시이트 링(10)을 연결하고 상기 방적사 브레이크(B)의 제 2 스프링 조립체(S2)를 구성하는 스포크(9)를 가지고, 브레이크 동체(D)는 상기 브레이크 표면(C)으로부터의 상당한 반경 방향의 거리를 가지고 상기 유지 구조(T)내에 유지되고, 그리고 상기 시이트 링(10)은 상기 지지부(A)에 상기 브레이크 표면(C)의 내측으로부터 상당한 반경 방향의 거리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표면(D)으로부터 축방향 거리를 가지고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급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링 형상인 대응 맞물림 요소(11)는 상기 방적사 공급기(F)의 회수 구멍(7)을 둘러싸고 그리고 상기 하우징 브랙킷(4) 안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아암(5)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공급기.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14)은 0.1 mm 내지 1.0 mm 의 두께 및, 4.0 mm 내지 5.0 mm인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브레이크.
KR10-2001-7004424A 1998-10-07 1999-10-05 방적사 장력 장치 및, 방적사 장력 장치를 가진 방적사공급 장치 KR100436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6221A DE19846221A1 (de) 1998-10-07 1998-10-07 Fadenbremse und Fadenliefergerät mit einer Fadenbremse
DE19846221.2 1998-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044A KR20010080044A (ko) 2001-08-22
KR100436751B1 true KR100436751B1 (ko) 2004-06-22

Family

ID=788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424A KR100436751B1 (ko) 1998-10-07 1999-10-05 방적사 장력 장치 및, 방적사 장력 장치를 가진 방적사공급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72047B1 (ko)
EP (1) EP1121318B1 (ko)
KR (1) KR100436751B1 (ko)
CN (1) CN1210198C (ko)
AT (1) ATE235417T1 (ko)
AU (1) AU6333999A (ko)
DE (2) DE19846221A1 (ko)
WO (1) WO2000020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6485B4 (de) * 2000-11-15 2013-11-28 Iropa Ag Fadenbremsring
ITTO20040105U1 (it) * 2004-08-05 2004-11-05 Lgl Electronics Spa Alimentatore di trama per telai di tessitura provvisto di dispositivo di frenatura auto-regolante
DE102004045725A1 (de) * 2004-09-21 2006-03-23 Aktiebolaget Iro Fadenbremskörper
DE102004052327A1 (de) * 2004-10-27 2006-05-18 Diedrichs, Helmut W. Filamentverbund aus Metal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Formkörper aus Metall
ITTO20050028U1 (it) * 2005-02-25 2006-08-26 Lgl Electronics Spa Alimentatore di trama per macchine tessili con dispositivo di frenatura del filato
DE102006001125A1 (de) * 2006-01-09 2007-07-12 Iro Ab Fadenliefergerät und Bremskörp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33900B (it) 1980-10-15 1986-07-24 Roy Electrotex Spa Mezzi per effettuare la frenatura del filato in uscita in dispositivi alimentatori di filato a tensione costante e regolabile,particolarmente per macchine tessili
EP0330951B1 (en) 1988-03-02 1992-01-29 L.G.L. ELECTRONICS S.p.A. Weft feeding device, particularly for looms
EP0519970B1 (en) * 1990-03-12 1998-09-23 Iro Ab Output yarn brake
IT1258241B (it) * 1992-11-05 1996-02-22 Alimentatore di trama
IT1256329B (it) 1992-11-23 1995-11-30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filo
IT1263623B (it) * 1993-02-23 1996-08-27 Roj Electrotex Nuova Srl Alimentatore di filo
IT1264844B1 (it) * 1993-06-17 1996-10-17 Roj Electrotex Nuova Srl Alimentatore di filo
DE4407958A1 (de) 1994-03-09 1995-09-14 Iro Ab Fadenbremsvorrichtung
DE9406102U1 (de) 1994-04-13 1995-08-10 Sobrevin Fadenspeicher mit Fadenabzugsbremse
US5546994A (en) * 1994-10-14 1996-08-20 Sobrevin Societe De Brevets Industriels-Etablissement Thread storage drum with frustoconical brake strip
DE19634972A1 (de) * 1996-08-29 1998-03-05 Iro Ab Vorrichtung zum Bremsen eines Fadens und Fadenliefergerät
DE19649220A1 (de) * 1996-11-27 1998-05-28 Iro Ab Fadenliefergerät mit einer Fadenbremse
SE9700666D0 (sv) * 1997-02-24 1997-02-24 Iro Ab Fadenliefergerät und fadenbremse
IT1295624B1 (it) * 1997-10-15 1999-05-24 Roj Electrotex Nuova Srl Dispositivo di frenatura per filati in alimentatori di trama ed elemento frenante per detto dispositivo
ITMI981313A1 (it) 1998-06-10 1999-12-10 Roj Electrotex Nuova Srl Freno per filati specialmente per alimentatori di tra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33999A (en) 2000-04-26
US6572047B1 (en) 2003-06-03
WO2000020316A1 (de) 2000-04-13
KR20010080044A (ko) 2001-08-22
CN1210198C (zh) 2005-07-13
EP1121318B1 (de) 2003-03-26
CN1322182A (zh) 2001-11-14
ATE235417T1 (de) 2003-04-15
EP1121318A1 (de) 2001-08-08
DE19846221A1 (de) 2000-04-13
DE59904775D1 (de) 200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751B1 (ko) 방적사 장력 장치 및, 방적사 장력 장치를 가진 방적사공급 장치
FI71042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kontaktfjaederhylsor
KR100346365B1 (ko) 실 공급장치 및 실 브레이크
US9180525B2 (en) Tool holder using shape memory alloy and tool holding method
JP3659008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409202B1 (en) Dynamic damper
KR20000068246A (ko) 시트 서스펜션장치 및 그 조정기구
EP1174748A3 (en) Optical lens unit having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focal point of the optical lens
US20080279618A1 (en) Ball-And-Socket Joint
AU6602690A (en) Mounting optical components
US6239343B1 (en) Cymbal holder with vibration damping
KR19990088638A (ko) 워엄기어유니트
US5993340A (en) Tightener for a transmission belt
JP2001504924A (ja) ミスアラインメントの場合でも高いねじり剛性を維持するための凹形湾曲コラムを有する可撓性軸継手
US10443670B2 (en) Damping device
KR101518797B1 (ko) 전기 모터의 정류자 슬라이딩 콘택을 위한 지지 부재 및 전기 모터
US6291917B1 (en) Electrical drive unit
CN101037133B (zh) 带有压簧的变速换档机构
CA1045398A (en) Apparatus for holding knobs
US20020158393A1 (en) Spring carrier
US6364781B2 (en) Installation apparatus for a coupling device having a holder, which is provided on a flywheel mass, for a driver
JP2004183897A (ja) 支持ア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08230A (ja) 回転継手
US5738291A (en) Yarn braking device and yarn storage and feed device
KR20010072599A (ko) 직기의 얀 공급기용 얀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