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179B1 - 복권 자동절단 유출장치 - Google Patents

복권 자동절단 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179B1
KR100436179B1 KR10-2002-0013443A KR20020013443A KR100436179B1 KR 100436179 B1 KR100436179 B1 KR 100436179B1 KR 20020013443 A KR20020013443 A KR 20020013443A KR 100436179 B1 KR100436179 B1 KR 10043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tery
lottery ticket
paper
cut
feed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3736A (ko
Inventor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희망과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희망과재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희망과재미
Priority to KR10-2002-001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1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torn or severed from strips or she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Regular and instant lottery, e.g. electronic scratch 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권의 자동절단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체(1)와 덮개판(2)에 설치된 이송롤러(3)(4)에 의하여 복권을 이송하게 된 것에 있어서, 뒤쪽 이송롤러(3)의 전동기어(3g)에 비하여 앞쪽 이송롤러(4)의 전동기어(4g)의 외경을 작게 하여 앞쪽 이송롤러(4)의 회전속도가 보다 빠른, 두 롤러의 회전비의 차이로 복권지를 당기도록하고 앞뒤의 이송롤러(3)(4)의 중간부에 복권 절취용 삼각형의 절곡편(5)을 위로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이송롤러(3)(4)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이하여 생기는 복권지의 당기는 힘이 절곡편(5)에 집중되어 복권지(p)의 절결선(ℓ)의 한쪽에서부터 절단되어 절단된 복권이 기체의 유출구(1u) 외부로 유출되어 불법하게 복권지를 기체 외부에서 빼어 낼 수 없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복권 자동절단 유출장치{LOTTERY TICKET ISSUING MACHINE}
본 발명은 복권의 자동판매를 위한 복권의 자동절단 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권 판매기는 복권 구입금액을 투입하면 모터가 구동되면서 복권이유출구로 유출되면서 기체의 유출구 외부에 설치된 컷터에 의하여 유출된 복권을 절단하여 빼어 갈수 있게 되어 있으나 절단하고 남은 복권의 일부가 유출구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불법하게도 대기상태의 복권지를 핀세트 등으로 집어 당기어 계속 빼어 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권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복권이 기체 내부에서 절취되어 절취된 복권만이 외부로 유출되고 나머지는 기체 내부에 대기상태로 남아 있게 하여 불법하게 복권을 인출하는 것을 방지하게된 복권의 자동절단 유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체의 상면과 덮개판에 설치된 복권지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앞뒤의 이송롤러 사이에는 모터의 구동스위치 및 정지스위치가 설치되어 복권지가 앞뒤의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으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복권지가 기체 내부의 앞쪽 이송롤러 위치에 대기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앞뒤의 이송롤러의 중간부에 복권지의 절취용 삼각형의 절곡편을 위로 돌출되게 가로로 절곡형성하여 복권지를 당기는 힘이 절곡편 분위로 집중되어 복권지가 절단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뒤쪽 이송롤러의 전동기어에 비하여 앞쪽 이송롤러의 전동기어의 와경을 작게 형성하여 앞쪽의 이송롤러의 회전속도가 보다 빠른 두 이송롤러의 회전비의 차이로 복권지가 앞쪽에서 당겨지게 하고 당겨지는 힘이 절곡편에 집중되어 복권지의 절결선이 한쪽에서 차례로 절곡편을 따라 절단되면서 절단된 복권은 기체외부로 유출되고 절결된 나머지의 복권지는 한 장의 폭으로 이동한 후에 정지스위치에 접촉되는 순간 정지하여 기체내에서 대기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권 구입액을 금전 투입기에 투입하면 상기와 같은 동작의 반복으로 1장씩의 복권이 자동절단 유출된다.
따라서 기체의 유출구 외부로는 나머지의 복권이 노출됨이 없이 항상 기체 내부에 대기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종래 복권의 유출구에 복권지의 컷터가 설치된 것에서 불법하게 복권을 빼어 가던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복권을 자동판매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동 복권유출기의 덮개판을 개방하여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동 복권지의 절취용 절곡편을 보인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복권지의 절결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복권지의 일부를 절결하는 동작을 보인 평면예시도
도6은 동 복권지가 절결되면서 외부로 유출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기체 2 : 덮개판 3, 3', 4, 4' : 이송롤러
3m : 모터 3g, 4g : 전동기어 3b : 전동밸트
5 : 복권 절취용 절곡편 S1 : 구동스위치 S2 : 정지스위치
도1은 본 발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동 덮개판을 열어 내부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기체(1)의 상부측에 덮개판(2)이 힌지(1h)에 의하여 상하로 개폐 가능하게 유착되어 있고 덮개판(2)의 앞쪽부분에 탄동(彈動)되게 설치된 걸봉(2a)이 기체(1)의 걸홈(1a)에 걸어 덮이도록 되어 있고 기체(1)의 상판(1f)과 덮개판(2)의 하판(2f) 사이는 간극을 둔 유출구(1b)로 되어 있고 유출구(1b)를 연장한 유출판(1c)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기체(1)의 상판(1f)에는 복수개의 이송롤러(3)(4)가 모터(3m) 구동되는 전동기어(3g)(4g)와 동일축(3x)(4x)로 앞뒤로 복권의 1장 폭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전동벨트(3b)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고 앞쪽 전동기어(4g)가 뒤쪽 전동기어(3g)에 비하여 외경이 작게 되어 회전비가 보다 커서 앞쪽 이송롤러(4)가뒤쪽 이송롤러(3)에 비하여 회전속도가 빠른 회전비의 차이로 복권을 앞쪽에서 당기게 되어 있다. 덮개판(2)의 하판(2f) 에는 상기 기체의 이송롤러(3)(4)와 대접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3')(4')가 공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복권지를 협지하여 이송하게 되어 있다.
기체(1)에 설치된 뒷쪽 이송롤러(3) 사이에는 모터의 구동스위치(S1)가 설치되고 앞쪽 이송롤러(4) 사이에는 모터의 정지 스위치(S2)가 설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전원을 개폐하게 연결되어 구동스위치(S1)를 복권지가 누르면 모터가 구동되고 정지스위치(S2)를 누르면 모터가 정지하게 되어 있다. 두 스위치(S1)(S2_간격은 복권 1장의 폭과 같으므로 1장의 폭으로 이동하여 정지된다.
기체에 설된 앞뒤의 이송롤러(3)(4)의 중간부에 상판(1f)을 가로로 절단하여 절단부를 삼각형으로 절곡한 복권 절취용 절곡편(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곡편(5)에 복권지(p)의 인장력이 집중되면서 절결선(ℓ)이 절단되어 절단된 복권이 유출구(1u) 외부로 유출되고 나머지의 복권은 기체 내부에 대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덮개판(2)을 위로 개방하고 다수의 복권이 한줄로 길게 연결된 복권지(p)의 선단부를 뒤쪽 이송롤러(3)위에 대고 덮개판(2)을 덮고 걸봉(2a)을 걸홈(1a)에 걸어 잠그면 복권지(p)가 모터의 구동스위치(S1)를 누르게 되어 모터(3m)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며 전동밸트(3b)와 전동기어(3g)(4g)의 연동에 의하여 앞 뒤의 이송롤러(3)(4)가 동시에 회전되어 상하 이송롤러(3)(3')(4)(4')의 협지회전에 따라복권지(p)가 전진하게된다.
전진된 복권지(p)의 선단부가 앞쪽 이송롤러(4)(4')에 협지되는 순간 복권지(p)에 의하여 정지스위치(S2)가 눌리게 되어 모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모터(3m)는 정지되고 복권지의 절취선(ℓ)이 절곡편(5)에 교차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대기상태로 된다. 이 경우 아직 외부로는 복권이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복권의 인출은 불가하다.
도시되지 않은 금전투입구에 복권값을 투입하면 도시되지 않은 전자회로의 작동으로 두 스위치(S1)(S2)와는 별도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전원 공급선을 통하여 1장의 복권이 이송하기에 적합한 시간으로 모터(3m)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3m)가 구동되며 전동밸트(3b)와 구동기어(3g)(4g)의 연동에 의하여 앞뒤의 이송롤러(3)(4)가 회동되어 복권지(p)는 전진되며 이때 앞쪽 전동기어(4g)의 회전비가 뒤쪽 전동기어(3g)에 비하여 보다 크기 때문에 앞쪽 이송롤러(4)의 회전속도가 뒤쪽 이송롤러(3)에 비하여 빠르게 되어 복권지(p)는 앞쪽에서 당기게 된다. 이러한 복권지(p)의 당기는 힘은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절곡편(5)에 집중되므로 절곡편(5)에 의하여 약간 꺾여진 복권지의 절결선(ℓ)부분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절곡편(5)에 걸쳐진 절결선(ℓ)이 한쪽에서부터 경사진 절곡편(5)을 따라 절단되어 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1장의 복권이 유출구(1u)로 유출된다.
또한 앞뒤 이송롤러(3)(4) 사이에서 절단되고 남은 복권지(p)는 모터의 구동스위치(S1)를 누른 상태에 있으므로 모터(3m)가 구동되어 이송롤러(3)에 의하여 전진되고 전진된 복권지의 선단부가 정지스위치(S2)에 도달하면 정지스위치(S2)가 눌리면서 모터(3m)의 전원이 차단되어 정지되며 복권지는 기체 내부에서 처음과 같은 대기상태를 이룬다.
처음에 복권1장 값을 투입하면 1장의 복권이 유출되고 5장의 복권 값을 투입하면 5장의 복권이 차례로 유출된다.
또 복권값을 투입할 때마다 상기의 동작이 반복되어 1장씩의 복권이 자동 유출되며 나머지 복권은 기체 내부에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불법하게 복권지를 외부에서 당기어 빼어갈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체의 내부에서 복권지의 이송과정 중에 앞뒤의 이송롤러의 회전비의 차이로 복권지의 앞쪽에서 당기는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시 앞뒤의 이송롤러 중간부에 삼각형의 절곡편을 위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절곡편에 의하여 받쳐지면서 복권지의 절결선이 당기는 힘에 의하여 한쪽에서부터 절단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기체 외부로는 절단된 복권만이 유출되어 종래 기체 외부에 절단기가 설치된 것에서 복권을 불법하게 당기어 빼어가던 문제점이 시정되고 불법 유출이 방지된다.
또 장치의 구조가 견고하고 간단하여 고장이 거의 없기 때문에 금전자동선별기 등의 부대기구와 결합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복권을 자동판매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기체(1)와 덮개판(2)에 서로 협지회전하여 복권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3)(4)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앞뒤의 이송롤러(3)(4)의 중간부에 삼각형의 복권 절취용 절곡편(5)을 형성하고 기체(1)에 설치된 모터(3m)와 전동밸트(3b)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뒤쪽 이송롤러(3)의 전동기어(3g) 보다 앞쪽 이송롤러(4)의 전동기어(4g)의 외경을 작게 형성하여 앞의 이송롤러(4)가 보다 빠른 회전속도의 차이로 생기는 복권지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절곡편(5) 부분에서 복권지(p)의 절결선(ℓ)이 절단되어 유출구(1u)로 유출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권의 자동절단 유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뒤쪽 이송롤러(3) 사이에 모터의 구동스위치(S1)를 설치하고 앞쪽 이송롤러(4) 사이에 모터의 정지스위치(S2)를 구동스위치(S1)에 대하여 복권의 1장 폭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복권지가 1장 폭으로 이송하여 정지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권의 자동절단 유출장치.
KR10-2002-0013443A 2002-03-13 2002-03-13 복권 자동절단 유출장치 KR10043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443A KR100436179B1 (ko) 2002-03-13 2002-03-13 복권 자동절단 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443A KR100436179B1 (ko) 2002-03-13 2002-03-13 복권 자동절단 유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382U Division KR200278035Y1 (ko) 2002-03-13 2002-03-13 복권 자동절단 유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736A KR20030073736A (ko) 2003-09-19
KR100436179B1 true KR100436179B1 (ko) 2004-06-23

Family

ID=3222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443A KR100436179B1 (ko) 2002-03-13 2002-03-13 복권 자동절단 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5322B (zh) * 2013-04-19 2015-07-22 杭州视界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售票机的出票装置
CN110599664A (zh) * 2019-09-18 2019-12-20 浙江飞松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彩票售卖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736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5558B2 (en) Detaching linerless labels
JP2694706B2 (ja) 枚葉状記録媒体を収納するための仕分け装置
KR100436179B1 (ko) 복권 자동절단 유출장치
KR200278035Y1 (ko) 복권 자동절단 유출장치
KR0146134B1 (ko) 명세표 이송방법 및 장치
EP0877291B1 (en) Photographic film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film supplying apparatus in a film developing system
KR100766684B1 (ko) 테이프 인출 장치
JP2771093B2 (ja) 紙幣出金装置
JP2745040B2 (ja) 紡機におけるスライバーの切断方法
AU627329B2 (en) Slip storing apparatus
KR100311363B1 (ko) 현금자동지급기의명세표이송장치
JP2001315730A (ja) ラベル剥離装置
US5540544A (en) Intermediate sheet storage means
KR960005293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송장치
KR100751442B1 (ko) 금융자동화기의 명세표회수장치
KR950004413Y1 (ko) 지폐 지급기의 지폐자동인도장치
JPH10289335A (ja) 発券機
KR200269059Y1 (ko) 복권자동판매기용 복권공급장치
JPH0486981A (ja) 硬貨搬送リフター
JP2866835B2 (ja) カード繰り出し装置
JP3615051B2 (ja) 通帳等の繰出し装置
JP2907649B2 (ja) 用紙反転装置
JPS6438353A (en) Feeding device
KR0173897B1 (ko) 발권기의 용지배출장치
JPS58176789A (ja) 媒体の送り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