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661B1 -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661B1
KR100435661B1 KR10-2001-0041313A KR20010041313A KR100435661B1 KR 100435661 B1 KR100435661 B1 KR 100435661B1 KR 20010041313 A KR20010041313 A KR 20010041313A KR 100435661 B1 KR100435661 B1 KR 10043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llet
component
vehicle mod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5855A (ko
Inventor
김영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6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loading system)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은, 차량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을 로딩토록 하는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이 저장된 다수의 팔레트가 로딩되도록 상기 팔레트의 저부에 네스팅 플러그가 일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부품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일측에 감지센서가 설치된 팔레트 스토리지와; 상기 각 차량의 생산공정에 생산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차종서열 지시시스템과;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받도록 설치되어 다음에 로딩해야 할 부품을 표시하는 작업지시 모니터와; 상기 작업지시 모니터의 지시에 의해 해당 부품을 작업자가 로딩하고, 상기 작업자가 로딩한 부품의 차종, 사양, 및 로딩 완료 신호를 입력토록 상기 팔레트 스토리지의 일측에 설치된 작업자 입력장치와;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과 상기 작업자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되는 상기 팔레트 스토리지에 가서 부품을 취출하여 조립지그에 로딩하는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을 자동적으로 로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SYSTEM FOR LOADING PART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load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비 설치 공간과 생산인원을 줄일 수 있고,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의 차체 조립 라인에서 부품의 자동 로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의 수량만큼 팔레트 스토리지(pallet storage)(10)가 있고, 부품을 투입시키기 위해 팔레트(11)만큼의 공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차종에 따라 로봇(21)이 차종을 받아 정해진 위치에 있는 해당 차종의 부품(12)을 빼내서 자동으로 조립지그(13)에 로딩한다.
그런데, 정해진 차종만큼 부품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 스토리지(10)가 필요하므로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설비가 늘어남으로써 설비투자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각 부품(12)이 저장되는 팔레트(11)의 관리가 어렵게 되고, 항상 사용 후, 즉시 팔레트(11)를 교환해야 하므로 항상 작업인원이 대기해야 하고 장비의 비가동 요인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품(12)에 해당하는 팔레트 스토리지(10)가 정해져 있어 다른 부품의 팔레트(11) 투입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각 부품에 해당하는 팔레트 스토리지가 정해지지 않고, 아무 팔레트나 로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적은 면적으로도 설비 설치가 가능하고, 설비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팔레트 스토리지 40. 차종서열 지시시스템
50. 작업지시 모니터 60. 작업자 입력장치
70. 조립지그 80. 로봇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은,차량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을 로딩토록 하는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이 저장된 다수의 팔레트가 로딩되도록 상기 팔레트의 저부에 네스팅 플러그가 일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부품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일측에 감지센서가 설치된 팔레트 스토리지와; 상기 각 차량의 생산공정에 생산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차종서열 지시시스템과;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받도록 설치되어 다음에 로딩해야 할 부품을 표시하는 작업지시 모니터와; 상기 작업지시 모니터의 지시에 의해 해당 부품을 작업자가 로딩하고, 상기 작업자가 로딩한 부품의 차종, 사양, 및 로딩 완료 신호를 입력토록 상기 팔레트 스토리지의 일측에 설치된 작업자 입력장치와;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과 상기 작업자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되는 상기 팔레트 스토리지에 가서 부품을 취출하여 조립지그에 로딩하는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은 여러 차종중 'A'차종 팔레트 교환일 경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작업 플로 형태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은, 차량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차량의 각 부품(32)을 로딩토록 하는 것으로서, 부품(32)이 저장된 다수의 팔레트(31)가 로딩되도록 팔레트(31)의 저부에 네스팅 플러그(nestingplug)(31a)가 일치되게 설치되고, 부품(32)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일측에 감지센서가 설치된 팔레트 스토리지(30)와, 예컨대 차량의 공장의 생산관리부에서 생산해야할 오더를 받아 각 차량의 생산공정에 생산 시퀀스(sequence)를 지시하기 위한 차종서열 지시시스템(40)과,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40)으로부터 정보를 받도록 설치되어 다음에 로딩해야 할 부품(32)을 표시하는 작업지시 모니터(50)와, 상기 작업지시 모니터(50)의 지시에 의해 해당 부품(32)을 작업자가 로딩하고, 작업자가 로딩한 부품(32)의 차종, 사양, 및 로딩 완료 신호를 입력토록 팔레트 스토리지(30)의 일측에 설치된 작업자 입력장치(60)와,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40)과 작업자 입력장치(6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되는 팔레트 스토리지(30)에 가서 부품(32)을 취출하여 조립지그(70)에 로딩하는 로봇(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40)은, 팔레트(31)에 부품(32)이 소진되기 전에 어느 부품(32)이 먼저 소진될 것인지를 향후 시퀀스를 검색하여 작업지시 모니터(50)에 지시한다. 이 작업지시 모니터(50)는 엘이디(LED)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인식이 용이토록 하고, 부품(32) 소진 시간 예컨대 3분전까지 작업자 입력장치(60)를 통한 로딩 완료 신호가 없으면 경보음을 발생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로봇(80)은 차종서열 지시시스템(40)으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작업자 입력장치(60)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해당하는 상기 팔레트 스토리지(30)에 가서 부품(32)을 취출하여 조립지그(70)에 로딩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 메시지(error message)와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팔레트(31)의 부품현황정보와 차종서열 지시시스템(40)을 연산하여 조립지그(70) 및 로봇(80)과 정보를 공유토록 하는 공정조작반(PLC)(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31)의 부품현황정보는 팔레트 스토리지(30)에 부품장치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차량 생산라인의 공정조작반과 연계하여 로봇(80)의 공정제어반과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팔레트의 부품현황정보와 차종서열 지시시스템(40)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작업지시 모니터(50)에 전달토록 이루어진 차종모니터 서버(server)(미도시)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의 흐름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40)과 팔레트(31)의 부품현황정보를 받은 차종모니터 서버는 작업지시 모니터(50)에 정보를 전달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101,103) 그러면 지게차(33)의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고, 지게차(33)를 이동시킨다.(단계 105,107)
그리고 해당 공정 작업지시가 확인하고, 이 확인이 되면, 팔레트(31)를 로딩하고, 상기 작업자 입력장치(60)에 차종, 사양, 로딩 완료 신호를 입력한다.(단계 109,111,113)
이어서, 점선 내의 공정조작반에서는 해당 공정을 이 공정조작반에 입력하고, 각 팔레트(31)당 카운터(counter)에 입력하고, 각 팔레트(31)당 카운터 투입하며, 팔레트(31) 세팅정보와 로봇(80)의 카운터 일치를 확인한다.(단계 115,117 ,119)
그런 후, 조립지그(70)내 조립 부품(32)을 로딩 준비를 위해 상기 조립지그 (70)를 이동하고, 부품(32)로딩 확인 여부를 판단한 후, 부품(32)을 로딩토록 한다.(단계 121,123,125)
한편, 상기 단계 115에서, 해당 공정을 공정조작반에 입력하고 동시에 로봇(80)의 공정 제어반에도 이를 입력하고, 부품을 취출하기 위한 로봇(80)에 작업을 지시한다.(단계 127,129) 그런 후, 상기 로봇(80)이 부품을 확인하고, 부품을 취출한다.(단계 131,133)
상기 단계 131에서 로봇(80)이 부품을 확인하지 못하면 로봇(80)의 공정제어반을 확인한다.(단계 135)
다른 한편으로 상기 단계 109에서 해당 공정의 작업 지시가 확인되지 못하면 상기 단계 103부터 플로를 다시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123에서 부품 로딩이 확인되지 못하면 상기 단계 119부터 플로를 다시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설비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설비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팔레트의 투입과 취출을 위해 별도 인원의 대기 없이 지게차 운전자가 직접 비워진곳(spare)에 다음 필요 팔레트를 투입하면 되므로 생산인원을 절감 할 수 있다.
그리고 차종서열 지시시스템의 정보와 작업자가 입력한 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해서 작업을 하므로 사양착오에 의한 조립불량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차량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을 로딩토록 하는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이 저장된 다수의 팔레트가 로딩되도록 상기 팔레트의 저부에 네스팅 플러그가 일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부품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일측에 감지센서가 설치된 팔레트 스토리지와;
    상기 각 차량의 생산공정에 생산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차종서열 지시시스템과;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받도록 설치되어 다음에 로딩해야 할 부품을 표시하는 작업지시 모니터와;
    상기 작업지시 모니터의 지시에 의해 해당 부품을 작업자가 로딩하고, 상기 작업자가 로딩한 부품의 차종, 사양, 및 로딩 완료 신호를 입력토록 상기 팔레트 스토리지의 일측에 설치된 작업자 입력장치와;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과 상기 작업자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되는 상기 팔레트 스토리지에 가서 부품을 취출하여 조립지그에 로딩하는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은 상기 팔레트에 부품이 소진되기 전에, 어느 부품이 먼저 소진될 것인지를 향후 시퀀스를 검색하여 상기 작업지시 모니터에 지시토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지시 모니터는 엘이디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작업자 입력장치를 통한 로딩 완료 신호가 없으면, 경보음을 발생토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상기 작업자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해당하는 상기 팔레트 스토리지에 가서 부품을 취출하여 상기 지그에 로딩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 메시지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부품현황정보는 상기 팔레트 스토리지에 부품장치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차량 생산라인의 공정조작반과 연계되어 상기 로봇의 공정제어반과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알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부품현황정보와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을 연산하여 상기 조립지그와 상기 로봇과 정보를 공유토록 하는 공정조작반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부품현황정보와 상기 차종서열 지시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작업지시 모니터에 전달토록 이루어진 차종모니터 서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KR10-2001-0041313A 2001-07-10 2001-07-10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KR10043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313A KR100435661B1 (ko) 2001-07-10 2001-07-10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313A KR100435661B1 (ko) 2001-07-10 2001-07-10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855A KR20030005855A (ko) 2003-01-23
KR100435661B1 true KR100435661B1 (ko) 2004-06-12

Family

ID=2771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313A KR100435661B1 (ko) 2001-07-10 2001-07-10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674B1 (ko) * 2001-08-01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부품 취출시스템
KR100666249B1 (ko) * 2005-05-17 200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부품 물류 장치 및 방법
KR101666519B1 (ko) * 2013-11-21 2016-10-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산 장치와 agv 장치를 연동한 서열공급 물류시스템 및 방법
EP3769906B1 (de) 2019-07-25 2022-02-02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oduktion von kraftfahr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855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78701A1 (en) System for installing control program in electronic control unit mounted on automotive vehicle
CN102725700B (zh) 用于控制多个安全关键及非安全关键进程的控制系统
US20060089768A1 (en) Vehicle diagnostic system
JP2019509216A (ja) 自動車の安全性及び/又はセキュリティに関連する制御機器の修正方法とそれに関する装置
EP0113478B1 (en) Fail safe system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s
US69013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a system
JP7052080B2 (ja) 無人搬送車を制御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0435661B1 (ko)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JP2007168463A (ja) 車両用電子制御システム及びデータ変換装置
JP2009213092A (ja) 異常箇所特定装置、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異常箇所特定システム
JP6459851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4284962B2 (ja) 電装部品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HUT73858A (en)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safety-relevant function of an apparatus
CN111873940A (zh) 一种货车油箱防盗监测方法及系统
KR20100115965A (ko) 차량용 자기진단 제어 시스템
CN112153578B (zh) 车辆配置码自校验方法及车辆
KR102213198B1 (ko) 센서 데이터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차량 제어기 및 그것의 센서 데이터 자동 검출 방법
EP2299410B1 (en) Accumulated use time measuring method for cargo handling vehicle and cargo handling vehicle using the time measuring method
KR101924438B1 (ko)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JP3043455B2 (ja) 生産工程管理システム
KR100227890B1 (ko) 제품 생산라인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80105527A (ko) 자동차의 컨트롤러의 소프트웨어 및 켈리브레이션 데이터의업데이트 방법
CN1980818A (zh) 提供用于在机动车中用的传动系的表征预定事件的数据的方法
CN112805185B (zh) 故障诊断装置
JPH06332753A (ja) 実装パッケージの種別変化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