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438B1 -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438B1
KR101924438B1 KR1020120117774A KR20120117774A KR101924438B1 KR 101924438 B1 KR101924438 B1 KR 101924438B1 KR 1020120117774 A KR1020120117774 A KR 1020120117774A KR 20120117774 A KR20120117774 A KR 20120117774A KR 101924438 B1 KR101924438 B1 KR 10192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ssembling
self
production line
electronic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214A (ko
Inventor
장재완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4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자부품을 자기 진단 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로 생산라인 상에서 조립하는 조립 단계; 상기 생산라인 상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를 계산하는 계산 단계; 및 계산된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클 때,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1 활성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조립에 따른 다수의 전자부품들의 자기 진단 기능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과정에서 자기 진단 기능이 활성화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오진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진단이 발생됨으로 인해 오진단 발생 결과가 비활성화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발생된 오진단을 해결하기 위해 소요되어야 하는 불필요한 시간, 비용 및 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ASSEMBLING METHOD FOR SEVERAL ELECTRONIC CONPONENTS ON VEHICLE PRODUCTION LINE}
본 발명은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고, 일괄적으로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전자부품의 조립체이다. 따라서 차량의 제조 시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이러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각각의 전자부품 역시 매우 복잡한 방식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차량의 제조에 있어서, 각각의 전자부품의 작동 및 이들이 함께 상호 작용하며 유기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가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차량의 조립 시에는 조립 공정에 따라 각각의 전자부품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하나하나 확인하는 한편, 조립이 완료된 이후 각각의 전자부품들이 상호 유기적인 작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진단하는 과정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이때 각각의 전자부품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조립이 완료된 이후 각각의 전자부품들이 상호 유기적인 작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진단하는 과정 중에는, 아직 조립이 완료되지 않은 다른 전자부품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되거나 혹은 정상작동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오작동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전자부품에 오작동이 발생되었거나, 오작동이 발생된 것으로 잘못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후속 조치들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 비용, 그리고 인력의 추가는 자원의 낭비뿐만 아니라 차량의 생산 단가를 증가시킬 수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괄적으로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어 자기 진단 기능의 활성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오진단의 방지가 가능한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자부품을 자기 진단 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로 생산라인 상에서 조립하는 조립 단계; 상기 생산라인 상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를 계산하는 계산 단계; 및 계산된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클 때,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1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계산된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가 상기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지 않을 때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외부 장비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강제로 활성화하는 제2 활성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에 표시되는 대표 주행거리로부터 상기 주행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전자부품 내에 각각 구비된 주행거리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자체 주행거리로부터 상기 주행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자부품을 자기 진단 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로 생산라인 상에서 조립하는 조립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와 무관하게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별도의 외부 장비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강제로 활성화하는 강제 활성화(forced activation) 단계; 및 상기 강제 활성화 단계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대표 주행거리가 제1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부품 내에 각각 구비된 주행거리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자체 주행거리가 제2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는 자연 활성화(natural activation)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조립에 따른 다수의 전자부품들의 자기 진단 기능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과정에서 자기 진단 기능이 활성화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오진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진단이 발생됨으로 인해 오진단 발생 결과가 비활성화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발생된 오진단을 해결하기 위해 소요되어야 하는 불필요한 시간, 비용 및 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은 조립 단계(S100), 계산 단계(S200) 및 제1 활성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조립 단계는 차량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자부품들의 자기 진단 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로 생산라인 상에서 조립하는 단계이다(S100).
차량의 생산라인 상에서 조립되는 다수의 전자부품들은 다양한 전자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작동이 원활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자기 진단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때 다수의 전자부품들 각각은 작동이 원활한지 여부를 자기 진단 기능을 통해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조립이 완성되고 나면 다른 전자부품들과의 상호 유기적인 작업이 원활히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을 다시 한 번 거치게 된다.
이러한 다수의 확인 작업은 차량의 생산라인에서 다수의 전자부품들이 조립되는 조립 단계(S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조립 단계(S100)에서 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아직 조립되지 않은 전자부품들로 인해 오진단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며, 잦은 확인으로 인한 시스템적인 충돌이 발생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단계(S100)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 진단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다수의 전자부품들이 조립되도록 한다.
다수의 전자부품의 조립 단계(S100)가 수행되고 나면, 계산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계산 단계는 차량의 생산라인 상에서 이후 자기 진단 기능의 수행에 필요한 차량의 주행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이다(S200).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계산 단계는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에 표시되는 대표 주행거리로부터 자기 진단 기능의 수행에 필요한 차량의 주행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대표 주행거리를 제공하는 전자장비, 즉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스터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거나, 클러스터의 조립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전자부품 내에 구비된 주행거리 측정유닛으로부터 자체적으로 측정되는 자체 주행거리로부터 자기 진단 기능의 수행에 필요한 차량의 주행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차량의 대표 주행거리 또는 자체 주행거리를 통해 차량의 주행거리가 계산되고 나면(S200), 제1 활성화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활성화 단계(S300)는 계산 단계(S200)를 통해 계산된 차량의 주행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클 때(S310), 조립 단계(S100)를 통해 조립된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S320)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활성화 단계(S300)를 거치기 전에 우선, 계산 단계(S200)를 통해 계산된 주행거리가 가용상태인지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계산 단계에서 차량의 대표 주행거리를 클러스터로부터 얻어오는 경우에는, 클러스터가 이미 조립되어 있고 정상 작동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활성화 단계를 통해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전자부품 역시 클러스터로부터 주행거리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클러스터와 전자부품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정상 작동 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클러스터 및 네트워크 시스템이 정상 작동 되는 경우에는, 계산된 주행거리가 기설정된 주행거리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S310) 다수의 전자부품들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시킨다(S320).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은 제2 활성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활성화 단계(S400)는 계산된 차량의 주행거리가 제1 활성화 단계에서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S410), 별도의 외부 장비를 통해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강제로 활성화시키는 단계(S420)이다.
차량의 주행거리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지 못한 경우라 할지라도 차량 내부에 조립된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제1 활성화 단계(S300)에서 차량의 주행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할지라도(S310),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는지를 확인하여(S410) 필요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하는(S420) 제2 활성화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은 조립 단계(S100), 강제 활성화 단계(S500) 및 자연 활성화 단계(S700)를 포함한다.
조립 단계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 설명한 것과 같이, 차량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자부품을 자기 진단 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로 생산라인 상에서 조립하는 단계이다(S100).
구체적인 내용 역시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강제 활성화 단계는 차량의 주행거리와 무관하게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차량에 마련된 장비 외의 별도의 외부 장비를 통해 조립된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강제로 활성화하는 단계이다(S500).
본 실시예에서의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서와는 달리, 차량의 주행거리와는 무관하게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자기 진단 기능을 강제로 활성화하는 강제 활성화 단계(S500)가 자연 활성화 단계(S70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자연 활성화 단계(S700)는 전술한 강제 활성화 단계(S500)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에 수행되는 것으로, 차량의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대표 주행거리가 제1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면(S610)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거나(S700), 또는 전자부품 내에 각각 구비된 주행거리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자체 주행거리가 제2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면(S620)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이다(S700).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자연 활성화 단계(S700)는 이전에 수행되는 강제 활성화 단계(S500)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를 조건으로 하여 수행되는 단계로, 대표 주행거리가 제1 기설정된 거리보다 큰지(S610), 또는 자체 주행거리 가 제2 기설정된 거리보다 큰지(S620)를 판단하고(S600), 대표 주행거리가 제1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거나, 또는 자체 주행거리가 제2 기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차량에 조립된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700)이다.
대표 주행거리 및 자체 주행거리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조립에 따른 다수의 전자부품들의 자기 진단 기능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과정에서 자기 진단 기능이 활성화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오진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진단이 발생됨으로 인해 오진단 발생 결과가 비활성화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발생된 오진단을 해결하기 위해 소요되어야 하는 불필요한 시간, 비용 및 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차량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자부품을 자기 진단 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로 생산라인 상에서 조립하는 조립 단계;
    상기 생산라인 상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를 계산하는 계산 단계;
    계산된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클 때,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1 활성화 단계; 및
    계산된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가 상기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지 않을 때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외부 장비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강제로 활성화하는 제2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에 표시되는 대표 주행거리로부터 상기 주행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전자부품 내에 각각 구비된 주행거리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자체 주행거리로부터 상기 주행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5. 차량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자부품을 자기 진단 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로 생산라인 상에서 조립하는 조립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와 무관하게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별도의 외부 장비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강제로 활성화하는 강제 활성화(forced activation) 단계;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의 조립 여부, 상기 클러스터의 정상 작동 여부, 및 상기 전자부품과 상기 클러스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주행거리에 관한 정보가 가용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강제 활성화 단계가 진행되지 않았고 상기 주행거리에 관한 정보가 가용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대표 주행거리가 제1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의 자기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는 자연 활성화(natural activation)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KR1020120117774A 2012-10-23 2012-10-23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KR10192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774A KR101924438B1 (ko) 2012-10-23 2012-10-23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774A KR101924438B1 (ko) 2012-10-23 2012-10-23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214A KR20140052214A (ko) 2014-05-07
KR101924438B1 true KR101924438B1 (ko) 2018-12-04

Family

ID=5088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774A KR101924438B1 (ko) 2012-10-23 2012-10-23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38B1 (ko) 2016-06-16 2018-08-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신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914B1 (ko) * 2002-12-03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 편의장치 장착 인식방법
JP2008032519A (ja) * 2006-07-28 2008-02-14 Nissan Motor Co Ltd 車載電子制御装置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1812B2 (ja) * 1997-10-15 2007-04-0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走行距離警報装置
JP2003002519A (ja) * 2001-06-20 2003-01-0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用紙後処理装置
JP4284962B2 (ja) * 2002-10-10 2009-06-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装部品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914B1 (ko) * 2002-12-03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 편의장치 장착 인식방법
JP2008032519A (ja) * 2006-07-28 2008-02-14 Nissan Motor Co Ltd 車載電子制御装置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214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68624A1 (en) Distribute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operation
EP2770391B1 (en) Diagnostic method and system for an aircraft
US10726645B2 (en) Vehicle diagnostic operation
US7295903B2 (en) Device and method for on-board diagnosis based on a model
CN102419725B (zh) 测试ima类型航空电子模块的输入/输出接口的方法和装置
US201000493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in the diagnostic and in the dispatch decision of an aircraft
BR112012006981A2 (pt) métodos para monitorar operação de um veículo e para detectar impactos em um veículo
JP6552674B1 (ja) 検査システム
JPH1114506A (ja) エラー診断装置およびエラー診断方法
WO2016157278A1 (ja) 故障予兆診断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2687086B (zh) 用于机动车辆的远程诊断装置
KR101924438B1 (ko) 차량 생산라인 상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US753956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entral on-board diagnosis for motor vehicles
JP5682388B2 (ja) 障害診断方法及び障害診断システム
US9779059B2 (en) Commercial vehicle, in particular fork-lift truck or industrial truck, with a data memory that is rigidly attached on the vehicle side and assigned to a parameterisable electronic control arrangement
WO2019202694A1 (ja) 保全記録作成装置及び保全記録作成方法
CN112153578B (zh) 车辆配置码自校验方法及车辆
KR102213198B1 (ko) 센서 데이터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차량 제어기 및 그것의 센서 데이터 자동 검출 방법
JP6766612B2 (ja) 車載式故障診断装置
KR100435661B1 (ko) 차량용 부품 로딩 시스템
JP2020093707A (ja) 電子制御装置
CN103942261A (zh) 一种用于车载系统故障字典的配置输入方法
KR20240052107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Holland et al. Health ready components-unlocking the potential of IVHM
CN1980818A (zh) 提供用于在机动车中用的传动系的表征预定事件的数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