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035B1 -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 Google Patents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035B1
KR100435035B1 KR10-2001-0047060A KR20010047060A KR100435035B1 KR 100435035 B1 KR100435035 B1 KR 100435035B1 KR 20010047060 A KR20010047060 A KR 20010047060A KR 100435035 B1 KR100435035 B1 KR 10043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urface treatment
root vegetable
treatment liquid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686A (ko
Inventor
조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각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각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각기계
Priority to KR10-2001-004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0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근채류의 산화환원 및 호흡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근채류의 표면을 코팅하는 표면처리액에 있어서, 상기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100중량%는, 조해성물질로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근채류의 수분 방출을 억제하는 염화마그네슘 0.500~3.000중량%, 산화방지제로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하여 갈변물질인 퀴놀을 디페놀로 전환시키는 아스코르빈산 0.025~0.100중량%, 발색제로 무색 결정성 분말인 니코틴산 아미드 0.010~0.025중량%, 착색제로 생물용 염료 중 천연식물의 추출물인 천연염료 30.000~70.000중량% 및 그 나머지를 정수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의 표면처리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해성물질, 산화환원제, 발색제 및 착색제가 혼합된 표면처리액을 사용함으로써 근채류의 산화된 부분을 환원시키고 근채류 고유의 색상으로 유지시키면서 깔끔하게 하여 고품질의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킬 뿐만아니라 유통기한을 길게 하는데 그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근채류의 표면처리액{Solution for coating surface of rootcrop}
본 발명은 근채류의 표면을 코팅시키는 표면처리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해성물질과 산화환원제, 발색제 및 천연염료인 착색제가 혼합된 표면처리액에 관한 것이다.
야채나 과일등의 농산품은 수확한 후에도 호흡작용, 증산작용, 기타 여러 가지 생화학적 변화 등 생리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생리작용을 통해 농산품은 산화되어 고유의 색을 잃고 갈색 또는 기타 유색의 산화물로 변한다.
농산품의 산화환원 및 호흡작용 등을 억제하기 위하여 화학물질인 구연산으로 처리하는 방법, 셸락(Shellac)을 이용한 인공 코팅 방법, 식품 포장용기에서 산소를 제거하는 방법 및 조해성물질을 이용한 코팅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화학물질인 구연산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산화된 과일을 환원시키기 위해 많이 쓰인다. 이 방법은 매우 효과적이나 인체생리학상 첨가량의 제한을 받을 뿐 아니라 약품의 장기사용에 의한 인체 및 동물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셸락을 이용한 인공 코팅 방법은 과일의 코팅에 많이 이용된다. 셸락 코팅은과일의 호흡을 늦추고 과일의 경도를 유지시켜 과일 표면을 윤기나게 하지만 수분방출을 억제하여 내용물을 변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 감귤이나 사과 품종들은 셸락 코팅시 맛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셸락 코팅이 주로 곤충 분비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어떤 소비자들에게는 거부감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식품 포장용기에서 산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국내특허 공개번호 제2001-
0019360호 (공개일 2001.03.15)에 의하여 발명된 활성탄을 이용한 기능성 포장용 박스가 있다. 이 포장용 박스는 흡수 및 탈취 능력이 뛰어난 활성탄을 사용함으로써 농산물의 생리 활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틸렌, 암모니아와 같은 가스를 흡수하고 탈취해 식물의 노화 숙성을 억제하여 신선도 유지에는 도움이 되나 일반적으로 농산물의 유통은 각각에 대한 개별상태보다는 단위상태로 포장되어 유통되어지므로농산물 개개에 대하여는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특허 출원공개번호 특개 2000-342174 (공개일 2000.12.12)에 의한 근채류 표면처리방법은 조해성 물질을 이용하여 표면을 물빛으로 코팅시키는 방법으로 근채류의 표면을 물빛으로 코팅시켜주지만 이미 표면에 상처가 생긴 경우에는 산화 환원 반응을 하지 못하므로 상처가 생긴 부분은 계속적으로 산화가 일어나게되며 근채류 본래의 색상이 선명하지 못할 경우에는 조해성물질을 이용하여 코팅을 하여도 선명한 색상이 나타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해성물질, 산화환원제, 발색제 및 착색제가 혼합된 표면처리액을 사용하여 근채류, 특히 고구마의 표면을 코팅시기는 것으로, 표면처리액은 근채류의 산화된 부분을 환원시키고 근채류 고유의 색상으로 유지시키면서 깔끔하게 하여 고품질의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킬 뿐만아니라 유통기한을 길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근채류의 산화환원 및 호흡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근채류의 표면을 코팅하는 표면처리액에 있어서,상기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100중량%는, 조해성물질로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근채류의 수분 방출을 억제하는 염화마그네슘 0.500~3.000중량%, 산화방지제로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하여 갈변물질인 퀴놀을 디페놀로 전환시키는 아스코르빈산 0.025~0.100중량%, 발색제로 무색 결정성 분말인 니코틴산 아미드 0.010~0.025중량%, 착색제로 생물용 염료 중 천연식물의 추출물인 천연염료 30.000~70.000중량% 및 그 나머지를 정수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액에서 조해성물질은 대기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서 MgCl2, CaCl2또는 Al, Mn, Fe, Co, Ni 등의 염화물, 초산염, 과염소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해성물질의 적정 농도는 0.500 ~ 3.000중량%이며 이는 코스트 절감과 근채류에서 맛으로 요구되는 촉촉함을 고려하여 가장 바람직한 양이다. 조해성물질로 근채류 표면을 코팅시키면 근채류는 수분 방출이 억제되어 표면 색상이 물빛으로 코팅되며 또한 PE(Polyethylene)포장하면 시간이 경과하여도 물빛이 유지된다.
상기의 산화환원제는 에르소르빈산, 에르소르빈산 나트륨, 아스코르빈산 등이 있으나 그 중에서 특히 비타민C로 불리우는 아스코르빈산이 적당하며 일반적으로 0.025~0.100중량%내에서 사용한다. 아스코르빈산은 강력한 환원제로서 여러가지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하며 산소와 결합하여 디하이드로 아스코르빈산으로 되고 갈변물질인 퀴논을 디페놀로 전환시켜 갈변물질이 생성됨을 억제한다.
발색제로는 니코틴산 아미드를 사용하며 니코틴산 아미드는 무색 결정성 분말로 니코틴산과 같이 트립토판(Truptophan)으로부터 생성되는데 비타민B군에 속한다. 니코틴산 아미드는 0.010~0.250중량%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니코틴산을 나이아신이라고도 하는데 1937년 C.A 엘비옘에 의해서 쌀겨의 엑기스로부터 처음으로 단리되어 발견되었다. 식품 중의 나이아신은 대부분 니코틴산아미드의 형태로 존재한다. 나이아신은 니코틴산으로 옥수수를 주식으로 하는 지방에서 발생하는 피부병의 일종인 펠라그라(Pellagra)의 예방치료에도 효과가 있고 개이 흑설병에도 효과가 있는데 니코틴산 아미드도 이와 같은 항페라그라 인자이다.
상기 착색제로는 염료 또는 안료를 주로 사용하며 공업용, 현미경용, 생물용이 있다. 표면처리액에서의 착색제로는 생물용 염료를 사용하며 그 중에서도 천연염료를 30.000~70.00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염염료는 식물체 내에서 염료로 되어 있는 것을 채취하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식물체로는 꽃, 잎, 줄기, 뿌리, 과실 등 모든 부분이 이용되며, 세계에서 염료로 이용되는 식물은 문헌상 약 3,000종을 헤아리나, 그 조사가 진척되면 그 수는 배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에서도 예로부터 엉거시과의 잇꽃, 마디풀과의 쪽, 콩과의 다목, 꼭두서니과의 치자나무 등이 염료를 채취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감나무에서는 떫은 날감의 즙인감즙이 염료로 이용되어 왔다.
착색제인 천연염료는 상품가치의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근채류의 종류에 따른 표면 색상을 고려하여 색상이 일치하는 염료를 사용한다. 착색제로 화학합성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한 천연식물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이 없다.
특히, 고구마의 착색제로는 선인장 열매 과즙이 주로 사용되며 선인장은 일명 백년초라 불리는 자생식물로서 제주도 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되어 있는 식물이다.
진술한 백년초는 노화억제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페놀성 물질(Phenolio)과 플라노 노이드(Flavonoide)는 다른 과채류보다 백년초열매에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변비치료, 이뇨작용, 장운동 활성화, 식욕촉진 및 기의 흐름과 혈액순환 등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현은 이하 실시예로서 설명하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근채류는 고구마를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켜 사용한다. 단지, 이하 실시예는 기재상의 간편함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근채류는 고구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100중량%로서 조해성물질인 MgCl21.000중량%, 산화방지제인 아스코르빈산 0.100중량%, 발색제인 니코틴산 아미드(Nicotinic-acid Amide) 0.020중량%, 착색제인 백년초 열매의 과즙을 40.000중량%, 정수 58.88중량%의 배합비율로 혼합된 표면처리액을 만든다.
상기 표면처리액에 표면 손상이 없는 고구마를 넣은 뒤 곧바로 표면처리액에서 꺼내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다. 수분을 제거한 고구마를 자연 건조시키면 고구마의 표면은 표면처리액으로 코팅되어진다.
이상과 같이하여 표면을 표면처리액으로 코팅한 고구마는 고구마 본래의 적색으로 선명하게 되었으며 코팅한 고구마를 일정 용량으로 PE포장하여 일주일이 경과한 후에도 색상이 변하지 않고 표면의 물빛이 유지되었다.
(실시예2)표면이 손상된 고구마를 실시예1과 같은 표면처리액에 넣어 실시예1과 같이 코팅시켰다. 이 고구마는 실시예1의 고구마와 같이 일주일이 경과한 후에도 색상이 변하지 않고 표면의 물빛이 유지되었고 손상되어 산화된 부분도 환원되어 본래의 색상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근채류 중 고구마의 표면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조해성물질, 산화환원제, 발색제 및 착색제가 혼합된 표면처리액을 사용함으로써, 근채류의 산화된 부분을 환원시키고 근채류 고유의 색상으로 유지시키면서 깔끔하게 하여 고품질의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킬 뿐만아니라 유통기한을 길게 하는데 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근채류의 산화환원 및 호흡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근채류의 표면을 코팅하는 표면처리액에 있어서,
    상기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100중량%는, 조해성물질로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근채류의 수분 방출을 억제하는 염화마그네슘 0.500~3.000중량%, 산화방지제로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하여 갈변물질인 퀴놀을 디페놀로 전환시키는 아스코르빈산 0.025~0.100중량%, 발색제로 무색 결정성 분말인 니코틴산 아미드 0.010~0.025중량%, 착색제로 생물용 염료 중 천연식물의 추출물인 천연염료 30.000~70.000중량% 및 그 나머지를 정수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채류는 고구마이고 착색제로 생물용 염료 중 천연식물의 추출물인 천연염료는 백년초 열매 과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KR10-2001-0047060A 2001-08-03 2001-08-03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KR10043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060A KR100435035B1 (ko) 2001-08-03 2001-08-03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060A KR100435035B1 (ko) 2001-08-03 2001-08-03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86A KR20030012686A (ko) 2003-02-12
KR100435035B1 true KR100435035B1 (ko) 2004-06-09

Family

ID=2771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060A KR100435035B1 (ko) 2001-08-03 2001-08-03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934B1 (ko) * 2008-03-18 2011-06-21 대한민국 자색고구마 추출물을 이용한 고구마 표면처리제 및 그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834B1 (ko) * 2007-12-18 2009-03-30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고구마의 표면 처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988A (ko) * 1984-08-13 1986-03-24 홍은수 직열식 온돌
JPS61293338A (ja) * 1985-06-20 1986-12-24 Gerumatsukusu:Kk 野菜類の鮮度を維持する方法
KR910001888A (ko) * 1989-06-22 1991-01-31 와트킨스-존슨 캄파니 이산화규소 막 증착 방법 및 그 제품
JPH0525017A (ja) * 1991-07-17 1993-02-02 Yoshimitsu Kojima 肌改良組成物及び養毛用組成物
KR20000000505A (ko) * 1999-10-30 2000-01-15 권재중 건강 백년초 적 단무지 제조방법
KR20010033791A (ko) * 1998-01-09 2001-04-25 윌리엄 제이. 베리 생 야채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988A (ko) * 1984-08-13 1986-03-24 홍은수 직열식 온돌
JPS61293338A (ja) * 1985-06-20 1986-12-24 Gerumatsukusu:Kk 野菜類の鮮度を維持する方法
KR910001888A (ko) * 1989-06-22 1991-01-31 와트킨스-존슨 캄파니 이산화규소 막 증착 방법 및 그 제품
JPH0525017A (ja) * 1991-07-17 1993-02-02 Yoshimitsu Kojima 肌改良組成物及び養毛用組成物
KR20010033791A (ko) * 1998-01-09 2001-04-25 윌리엄 제이. 베리 생 야채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
KR20000000505A (ko) * 1999-10-30 2000-01-15 권재중 건강 백년초 적 단무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934B1 (ko) * 2008-03-18 2011-06-21 대한민국 자색고구마 추출물을 이용한 고구마 표면처리제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86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bert Sprouts, microgreens, and edible flowers: the potential for high value specialty produce in Asia
Richmond et al. Australian native fruits: Potential uses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Ali et al. Effect of coating of aloe vera gelon shelf life of grapes
CN103039952A (zh) 一种风味金针菇韭菜花酱的制作方法
Malabadi et al. Plant natural pigment colorants-health benefits: Toxicity of synthetic or artificial food colorants
KR100435035B1 (ko) 근채류의 표면처리액
Al-Shaibani et al. Effects of Stage of Maturity, Storage, and Cultivar on Some Quality Attributes of Tomatoes1
CN107223923A (zh) 一种粤味即食黄花菜
Avila-Sosa et al. Bergamot (Citrus bergamia) oils
KR101296492B1 (ko) 분말을 이용한 식품의 환 제조방법
KR1020937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Marquez et al. 4.1 Chlorophylls in Foods: Sources and Stability
Mai et al.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Oil
CN103535681A (zh) 一种抗氧化固态复合调味料及其制备方法
KR20210048971A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DE102007020378A1 (de) Mittel mit gesundheitsfördernder Wirkung
US2019006956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oduce
Luo Natural Antioxidants from Fruit By-products for Active Packaging Applications
US20110171333A1 (en) Morinda Citrifolia Base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Formulations for Improved Color Stability and Increased Shelf Life of Various Meat Products
KR102441308B1 (ko) 신선도 및 보존성이 우수한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포장방법
CN103828895A (zh) 一种茶油米皮及加工方法
JP2001192580A (ja) 着色剤
KR102660978B1 (ko) 샤워기 헤드 필터용 조성물
Srivastava Advance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JPH0499472A (ja) β―カロテン含有清涼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