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835B1 - 포탄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포탄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835B1
KR100433835B1 KR10-2001-0082489A KR20010082489A KR100433835B1 KR 100433835 B1 KR100433835 B1 KR 100433835B1 KR 20010082489 A KR20010082489 A KR 20010082489A KR 100433835 B1 KR100433835 B1 KR 10043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pillar
pillar portion
shells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504A (ko
Inventor
강희선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8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6Packages or containers for a plurality of ammunition, e.g.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2Locking of ammunition in 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4Shock-absorbing arrangements in packages, e.g. for shock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그 사이의 공간에 포탄이 적재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양측에 안착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기둥부들과, 각 기둥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포탄의 하부가 안착되는 포탄 받침대와, 각 기둥부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기둥부에 마련된 포탄 받침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재와, 각 기둥부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한 기둥부 사이에 적재된 포탄의 이탈방지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포탄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포탄 지지조립체; 및 포탄 지지조립체가 구동수단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무한궤도상에 간헐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각 포탄 받침대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탄 적재장치{Shell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포탄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탄의 운반 중에 차체 경사 또는 차체 충격에 의해 포탄이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포탄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전에 있어서, 전투용 차량에는 목표물에 발사하도록 포탄을 적재하게 되는데, 전투용 차량 내부에 마련된 공간부에 포탄 적재장치를 설치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포탄 운반차량에 포탄 적재장치를 설치하여 전투용 차량에 지속적으로 포탄을 공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포탄 적재장치는 차량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포탄을 보호하기 위한 포탄 지지조립체와, 포탄이 추출되는 위치로 포탄을 이송시키기 위한 포탄 이송수단과, 상기 포탄 이송수단으로부터 이송된 포탄을 추출하기 위한 포탄 추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포탄 지지조립체에 있어서, 포탄이 긴 경우는 진동 등에 의하여 포탄이 상부로 이탈되어 상부측에 위치된 부재와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포탄의 신관이 손상될 수 있었다. 또한, 진동 등에 의하여 포탄 이송수단으로부터 이송되어 추출될 위치에 놓인 포탄이 회전을 하는 등 불안정한 상태에 놓임으로써, 포탄의 추출시 포탄 추출수단에 마련된 그리퍼와 충돌하여 포탄 또는 그리퍼가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게다가, 차량이 대략 10°경사지는 경우에는 추출될 위치에 놓인 포탄이 기울어져 포탄의 전방에 놓인 스토퍼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스토퍼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스토퍼의 손상, 및 손상에 따른 개방 불능으로 포탄의 추출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탄 지지조립체에 포탄 고정장치, 포탄측면 지지부재, 및 포탄상부면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포탄의 운반 중에 차체 경사 또는 차체 충격에 의해 포탄이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포탄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탄 적재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포탄 지지조립체에 있어서, 기둥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기둥부에 있어서, 포탄 고정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기둥부에 있어서, 포탄측면 지지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2의 기둥부에 있어서, 포탄상부면 지지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포탄 지지조립체 11..기둥부
12..포탄 받침대 13..하부 연결부재
14..상부 연결부재 20..롤러 조립체
30..포탄 고정수단 31..판 스프링
32..아이들 롤러 33..포탄측면 지지부재
34..포탄상부면 지지부재 A..포탄 추출위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탄 적재장치는,
그 사이의 공간에 포탄이 적재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양측에 안착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기둥부들과, 상기 각 기둥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포탄의 하부가 안착되는 포탄 받침대와, 상기 각 기둥부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기둥부에 마련된 포탄 받침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재와, 상기 각 기둥부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한 기둥부 사이에 적재된 포탄의 이탈방지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포탄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포탄 지지조립체; 및
상기 포탄 지지조립체가 구동수단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무한궤도상에 간헐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포탄 받침대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탄 고정수단은, 판 스프링과, 상기 판 스프링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부 사이에 적재된 포탄의 측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아이들 롤러들을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의 안착면의 중앙측에는 포탄의 측면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포탄의 구배에 대응되게 형성된 포탄측면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의 안착면의 상부측에는 포탄의 상부 측면을 압착하여 고정시켜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포탄의 구배에 대응되게 형성된 포탄상부면 지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탄 적재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기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탄 적재장치는 포탄 지지조립체(10)를 구비한다. 상기 포탄 지지조립체(10)에는 복수개의 기둥부(11)들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둥부(11)들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각 기둥부(11)의 양측에는 구배를 가지는 안착면(1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면(11a)의 구배는 포탄(1)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접한 기둥부(11)들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 내에 포탄(1)이 삽입되어 적재될 경우 포탄(1)의 외주면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1)의 하부 일측에는 포탄(1)이 안착될 수 있는 포탄 받침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탄 받침대(12)는 포탄(1)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11)의 하부 타측에는 하부 연결부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연결부재(13)는 인접한 기둥부(11)에 형성된 포탄 받침대(1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면 모든 기둥부(11)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둥부(11)들이 모두 연결되어 무한궤도를 이루게 되며, 이때, 포탄 지지조립체(10)에 있어서 기둥부(11)들이 2열로 배치되고, 각 열의 종단에 위치된 기둥부(11)들은 포탄 적재장치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120도의 각도를 가지게 배치되어질 수 있다. 비록 미도시되어 있지만, 포탄 적재장치의 우측에서도 포탄 적재장치의 좌측처럼 각 열의 종단에 위치된 기둥부들이 상호 120도의 각도를 가지게 배치되어질 수 있다.
포탄(1)이 추출되는 위치인 포탄 추출위치(A)는 120도의 각도를 이루는 기둥부(11)들이 위치된 곳 중 적어도 한 곳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탄 추출위치(A)는 포탄을 적재하기 위한 포탄 적재위치(B)가 될 수도 있다.
상기 포탄 지지조립체(10)의 하측에는 포탄 지지조립체(10)가 무한궤도상에 구동수단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 조립체(20)가 마련된다. 즉, 각 포탄 받침대(12)의 하측면에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롤러(21)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롤러(21)는 미도시된 가이드 레일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포탄 지지조립체(1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탄 지지조립체(10)의 기둥부(11)는 미도시된 구동모터와 이와 결합되는 캠부재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단위 피치씩 이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기둥부(11)의 상단에는 상부 연결부재(1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결부재(14)에는 판상의 몸체(15)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15)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결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연결부재(14)의 결합부(16)를 통하여 인접한 기둥부(11)들과 상호 결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결부재(14)는 기둥부(11)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포탄(1)이 기둥부(11)들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후술할 포탄측면 지지부재(33) 및 포탄상부면 지지부재(34)와 함께 포탄(1)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에는 포탄 고정수단(30)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탄 고정수단(30)은 상기 각 기둥부(11)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기둥부(11)들 사이에 적재된 포탄(1)들이 넘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차량 운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포탄 고정수단(30)은 판 스프링(31)과, 상기 판 스프링(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아이들 롤러(32)들을 구비한다. 상기 판 스프링(31)의 중앙부는 기둥부(11)의 외측면(11b)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31)의 양단은 자유단을 이루게 된다.
상기 아이들 롤러(32)들의 회전축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아이들 롤러(32)들이 기둥부(11)들 사이에 적재된 포탄(1)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됨으로써, 포탄(1)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포탄 고정수단(30)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포탄 추출위치(A) 즉, 기둥부(11)들이 서로 12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위치에 놓인 포탄을 제외한 포탄들을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포탄 지지조립체(10)가 회전하여 포탄 추출위치(A)에 이르기 전까지 포탄(1)을 고정하게 되지만, 포탄 추출위치(A)에 이르게 되면 포탄(1)을 양쪽에서 고정하고 있던 포탄 고정수단(30)의 자유단들이 소정 각도 대략 60도를 이루고 있음으로 해서, 포탄(1)이 고정되지 않게 되어,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한편, 포탄 추출위치(A)에서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되어 이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포탄측면 지지부재(33)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탄측면 지지부재(33)는 상기 기둥부(11)의 안착면(11a)의 중앙측에 설치되며, 포탄(1)의 측면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포탄측면 지지부재(33)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탄측면 지지부재(33)의 포탄(1)과 접하는 면을 포탄(1)의 구배에 대응되도록 형성시키며, 포탄(1)이 삽입되는 기둥부(11)들에 각각 설치된 포탄측면 지지부재(33)가 이루는 간격이 포탄(1)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포탄측면 지지부재(33)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기둥부(11)들 사이에 포탄(1)이 삽입될 경우 포탄(1)이 상기 포탄측면 지지부재(33)로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포탄(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포탄상부면 지지부재(34)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탄상부면 지지부재(34)는 상기 기둥부(11)의 안착면(11a)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탄상부면 지지부재(34)는 포탄(1)의 상부 측면을 압착하여 고정시켜서 포탄(1)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포탄(1)이 상부 연결부재(14)와 충돌되어 포탄(1)의 신관 및 상부 연결부재(1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포탄상부면 지지부재(34)도 포탄측면 지지부재(33)와 마찬가지로 포탄(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면이 구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탄상부면 지지부재(34)는 기둥부(11)의 안착면(11a)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포탄(1)의 종류에 따른 대응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포탄상부면 지지부재(34)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탄 적재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포탄 적재위치(B), 즉 서로 120도의 각도를 이루는 기둥부(11)들이 위치된 곳으로 포탄(1)을 이송하여, 이송된 포탄(1)을 포탄 지지조립체(10)에 마련된 포탄 받침대(12)에 안착시킨다. 이때, 포탄(1)은 포탄 받침대(12)의 양측에 위치된 기둥부(11)들 사이에 삽입되어진다. 상기 기둥부(11)의 내측에는 포탄(1)과 접촉되는 안착면(11a)이 형성되어 있고, 안착면(11a)의 중앙측에는 포탄측면 지지부재(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면(11a)의 상부측에는 포탄상부면 지지부재(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둥부(11)들 사이에 삽입된 포탄(1)은 전체적으로 압착 지지되어 정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 다음, 구동 모터 및 캠부재(미도시)와 같은 회동수단에 의하여 롤러 조립체(20)가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한 피치 이송하게 되면, 이에 따라 포탄 지지조립체(1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기둥부(11)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된 포탄(1)이 이송된다. 상기 각 기둥부(11)에는 포탄 고정수단(3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탄(1)이 이송되는 동시에 상기 포탄 고정수단(30)의 아이들 롤러(32)가 포탄(1)의 외주면과 접촉 지지함으로써 포탄(1)을 고정하게 된다. 계속해서, 포탄(1)을 포탄 적재위치(B)로 이송시킨 다음 포탄 지지조립체(10)를 한 피치 회전시켜 포탄(1)을 이송시킨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포탄(1)들이 순차적으로 포탄 적재장치에 원활하게 적재될 수 있다.
한편, 포탄(1)의 추출이 필요할 경우에는 포탄 추출위치(A)에서 포탄 고정수단(30)으로부터 포탄(1)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에서, 포탄(1)의 전방에 위치된 스토퍼(미도시)를 개방하고, 포탄 이송기(미도시)에 마련된 그리퍼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포탄(1)을 파지하여 추출한다. 계속해서 적재된 포탄(1)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포탄 지지조립체(10)를 한 피치 회전시켜 포탄(1)을 포탄 추출위치(A)로 이송시킨 다음 그리퍼에 의해 이송된 포탄(1)을 파지하여 추출한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적재된 포탄(1)들이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추출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탄 적재장치에 있어서, 포탄 지지조립체는 포탄 고정장치, 포탄측면 지지부재, 및 포탄상부면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포탄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포탄의 운반 중에 차체 경사 또는 차체 충격에 의해 포탄이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그 사이의 공간에 포탄이 적재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양측에 안착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기둥부들과,
    상기 각 기둥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포탄의 하부가 안착되는 포탄 받침대와,
    상기 각 기둥부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기둥부에 마련된 포탄 받침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재와,
    상기 각 기둥부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한 기둥부와의 사이에 적재된 포탄의 이탈방지 및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판 스프링과 상기 판 스프링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부들 사이에 적재된 포탄의 측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아이들 롤러들을 구비하는 포탄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포탄 지지조립체; 및
    상기 포탄 지지조립체가 구동수단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무한궤도상에 간헐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포탄 받침대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적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안착면의 중앙측에는 포탄의 측면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포탄의 구배에 대응되게 형성된 포탄측면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의 안착면의 상부측에는 포탄의 상부 측면을 압착하여 고정시켜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포탄의 구배에 대응되게 형성된 포탄상부면 지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적재장치.
KR10-2001-0082489A 2001-12-21 2001-12-21 포탄 적재장치 KR10043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489A KR100433835B1 (ko) 2001-12-21 2001-12-21 포탄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489A KR100433835B1 (ko) 2001-12-21 2001-12-21 포탄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504A KR20030052504A (ko) 2003-06-27
KR100433835B1 true KR100433835B1 (ko) 2004-05-31

Family

ID=2957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489A KR100433835B1 (ko) 2001-12-21 2001-12-21 포탄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8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511A (en) * 1977-05-25 1978-09-19 General Electric Company Endless conveyor mechanism
JPH0217394A (ja) * 1988-04-14 1990-01-22 General Electric Co <Ge> 物品供給装置
KR950014258U (ko) * 1993-11-26 1995-06-16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포탄 적치 및 배출장치
KR980009198U (ko) * 1996-07-25 1998-04-30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포탄 적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511A (en) * 1977-05-25 1978-09-19 General Electric Company Endless conveyor mechanism
JPH0217394A (ja) * 1988-04-14 1990-01-22 General Electric Co <Ge> 物品供給装置
KR950014258U (ko) * 1993-11-26 1995-06-16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포탄 적치 및 배출장치
KR980009198U (ko) * 1996-07-25 1998-04-30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포탄 적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504A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978B1 (ko) 계란케이스용 커버 및 안내시트 이송장치
CN109533601B (zh) 一种防倾倒装置
US20070131574A1 (en) Plate material packing box, plate material transporting method, and plate material loading or unloading method
KR100433835B1 (ko) 포탄 적재장치
JPH0626787A (ja) 大口径火砲用弾薬の弾倉搬送装置
JP6518592B2 (ja) 車輪の回転を制限する装置
JPH10502602A (ja) ウェーハ用コンベヤカセット
CN101685788B (zh) 具门闩及气密结构的前开式晶圆盒
CN214526471U (zh) 输送设备
KR200190444Y1 (ko) 포탄이송장치
JP6528205B2 (ja) 除水装置
CA1197487A (en) Device for moving conveyor containers
JP3971876B2 (ja) 収容状態修正装置
JP2002193425A (ja) 農作物搬送装置および農作業機
CN218877338U (zh) 箍带运输装置
CN216761794U (zh) 一种塑料制品运输装置
JP3418267B2 (ja) 卵移送装置
KR20200045812A (ko) 선박블록 지지장치
CN210824401U (zh) 固定装置
CN209215782U (zh) 一种计算机硬件自动化检测平台
CN210150170U (zh) 一种带式煤矿输送机减震固定架
US3757930A (en) Conveyor belt suspension
JP3350224B2 (ja) アンプル包装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20002041U (ko) 기판 흡착 장치
CN217575004U (zh) 钢轨支架和长钢轨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