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369B1 - 스피닝릴의프레임구조 - Google Patents

스피닝릴의프레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369B1
KR100433369B1 KR1019970007418A KR19970007418A KR100433369B1 KR 100433369 B1 KR100433369 B1 KR 100433369B1 KR 1019970007418 A KR1019970007418 A KR 1019970007418A KR 19970007418 A KR19970007418 A KR 19970007418A KR 100433369 B1 KR100433369 B1 KR 10043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ase
shaft
handle
spinn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9705A (ko
Inventor
유조 가와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19980069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1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케이스부에 있어서의 정도를 높게 유지시키고, 간소한 구조로 부착대부에 있어서의 강도도 높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릴 바디(2)는 낚싯대에 장착되며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로우터에 의해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스피닝 릴의 릴 바디(2)로서, 케이스부(10)와 두껑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10)는 핸들(1) 및 로우터(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스풀을 지지하는 것이다. 뚜껑부(11)는 케이스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케이스부(11)의 개구부(10a)를 덮는 커버부(11a)와, 커버부(11a)로부터 연장되며 선단에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는 부착대부(11b)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 특히 낚싯대에 장착되며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로우터에 의해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우터와, 로우터의 전방에 배치되며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에는 로우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는,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된 수지나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로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부 및 부착대부와, 뚜껑부를 구비하고 있다. 뚜껑부에는 구동 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부착대부는 케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레그부와, 레그부의 선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낚싯대 부착부를 갖고 있다. 뚜껑부는 케이스부의 개구를 막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로우터는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거기에 설치된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스풀은 케이스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거기에 설치된 레벨 와인드 기구에 의해 전후로 이동한다. 한편, 핸들의 회전축은 케이스부와 뚜껑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피닝 릴에는 경량화·고정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케이스부는 두께를 줄여 성형시의 열화를 감소시킴으로써 경량화·고정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부착대부는 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두껍게 형성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케이스부와 부착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화·고정도화를 위해 케이스부를 얇게 만들면, 성형시에 두꺼운 부착대부에 의해 케이스부가 인장되어 얇은 케이스부에서 두께 편차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고정도를 필요로 하는 케이스에서 성형 왜곡이 생기거나 수축이 일정하지 않아 고정도로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부착대부를 얇게 만들면, 부착대부에서의 강도가 저하되어 부착대부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부착대부를 케이스부와 별도로 하면 부착대부와 케이스부의 접합 부분에서의 강도가 필요하게 되어 접합 부분에서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케이스부에서의 정도를 높게 유지시키면서 간소한 구조로 부착대부에서의 강도도 높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는, 낚싯대에 장착되며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로우터에 의해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로서, 케이스부와 뚜껑부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는 핸들 및 로우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스풀을 지지하는 것이다. 뚜껑부는 케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케이스부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부와,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며 선단에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는 부착대부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구조에서는, 케이스부와 부착대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이 혼재하지 않게 되어 케이스부를 얇게 만들어도 성형시 두꺼운 부분의 영향을 받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케이스부를 얇게 만들면 케이스부를 고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는 케이스부를 막는 단순한 커버로서 고정도를 요하지 않기 때문에 부착대부를 두껍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부착대부에서의 강도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대부를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했기 때문에 별도로 하는 경우에 비해 간소한 구조로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티타늄제이다. 이 경우에는, 경량이며 강도가 큰 티타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착대부의 박형화를 도모하며, 뚜껑부의 강도를 유지하여 더욱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표면은 평활면이다. 이 경우에는, 표면의 요철이 줄어들어 두께의 변화가 감소하게 되며, 로스트 왁스법이나 다이 캐스트법 등의 고정도 제법으로 경량 금속제의 뚜껑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로우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마스터 기어가 설치된 핸들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핸들 축은 케이스부에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커버부가 단순한 커버의 기능만을 수행하면 되므로, 커버부에 축 지지를 위한 돌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커버부의 두께 변화가 줄어들며 로스트 왁스법이나 다이 캐스트법 등의 고정도 제법으로 경량 금속제의 뚜껑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에서는,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뚜껑부에 있어서 핸들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축 지지부가 2개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부만으로 핸들 축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로우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마스터 기어가 설치된 핸들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갖고 있다. 핸들 축은 뚜껑부에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착대부와 핸들 축의 축 지지부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부의 경량화 박형화를 꾀하며, 고정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케이스부 및 뚜껑부는 로우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마스터 기어가 설치된 핸들 축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착대부와 한 쪽의 축 지지부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부의 경량화·박형화를 꾀하며, 고정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는, 청구항 1 또는 7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뚜껑부는 금속제이며, 케이스부는 합성 수지제이다. 이 경우에는, 뚜껑부에 비교적 강도가 높은 금속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부착대부나 커버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지며, 릴 전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스부가 비교적 경량인 합성 수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릴 전체의 중량 증가를 초래하기 어렵다.
〔실시 형태 1〕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 로우터(3) 및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우터(3)는 릴 본체(2)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그 외주면에 감는 것으로, 로우터(3)의 전방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로우터(3)와 스풀(4)을 지지하는 케이스부(10)와, 케이스부(10)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고정된 뚜껑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1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인 얇은 부재이다. 케이스부(10)의 내부에는 로우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우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6)와,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7)가 설치되어 있다.
뚜껑부(11)는 예를 들면 티타늄제이며, 로스트 왁스법에 의해 제조된 부재이다. 뚜껑부(11)는 케이스부(10)의 개구부(10a)를 커버하는 얇은 커버부(11a)와, 커버부(11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착대부(11b)를 갖고 있다. 커버부(11a)의 표면 및 내면은 거의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부착대부(11b)는 내부가 채워진 두꺼운 부재로서, 그 선단은 전후 양측으로 연장되어 낚싯대 부착부(11c)를 이루고 있다.
로우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이 연결된 핸들 축(12)과, 핸들 축(1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마스터 기어(13)와, 마스터 기어(13)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4)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축(12)은 핸들 지지부(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방(14a)은 로우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스풀(4)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4)는 상기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5),(16)을 통해 릴 본체(2)의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고정된 스풀 축(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레벨 와인드 기구(6)는, 스풀 축(20)의 상방에 배치된 나사축(21)과, 나사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사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갖고 있다. 나사축(21)은 스풀 축(2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나사축(21)의 외주부에는 나선형 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나사축(21)의 상측에 나사축(21)과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축(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 축(20)의 후단이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4)에 맞물려 있다.
핸들 지지부(7)는 케이스부(10)에 설치된 지지통(8)과, 지지통(8)의 내부에 핸들 축(12)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핸들 축(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베어링(9)을 갖고 있다. 지지통(8)은 케이스부(10)에 있어서 스풀축(2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우터(3)는,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제1 로우터 아암(31) 및 제2 로우터 아암(32)을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30)와 양측 로우터 아암(31),(32)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전방에는 전방벽(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3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33a)의 관통공을 피니언 기어(14)의 전방(14a) 및 스풀 축(20)이 관통하고 있다. 전방벽(33)의 전방에는 너트(34)가 배치되어 있으며, 너트(34)가 피니언 기어(14)의 선단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너트(34)의 내주부에는 스풀 축(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5)이 배치되어 있다.
로우터(3)의 전방벽(33)에는 축 방향으로 한 쌍의 슬릿이 삽입된 원통형의 제1 낚싯줄 물림 방지 부재(3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낚싯줄 물림 방지 부재(36)는 스풀(4)에 감긴 낚싯줄이 로우터(3)와의 틈으로부터 삽입되어 스풀 축(20)에 물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스풀(4)의 내부에 있어서 로우터(3)와의 사이에는 스풀(4)에 감긴 낚싯줄이 로우터(3)와의 틈으로부터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낚싯줄 물림 방지 부재(37)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낚싯줄 물림 방지 부재(37)는 항아리 모양의 부재로서, 전방에 제1 낚싯줄 물림 방지 부재(36)가 관통하는 한 쌍의 원호형 관통공(37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낚싯줄 물림 방지 부재(37)의 중심부에는 스풀 축(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8)이 배치되어 있다. 제2 낚싯줄 물림 방지 부재(37)의 가장자리에는 스풀(4)의 후단부와 로우터(3)와의 틈을 막기 위한 원통부(37b)와, 원통부(37b)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로우터 고정부(39a),(39b)가 설치되어 있다. 로우터 고정부(39a), (39b)는 로우터(3)의 한 쌍의 로우터 아암(30),(31)에 각각 고정되며, 제2 낚싯줄 물림 방지 부재(37)를 로우터(3)에 연동하여 회전시킨다.
제1 로우터 아암(31)의 선단 내주 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두 개의 베어링(40a)에 의해 제1 로우터 아암(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해 라인 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로우터 아암(32)의 선단 내주 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 베일 지지 부재(42)를, 예를 들어 다른 부분보다 비중이 큰 재질로 구성하여, 제2 베일 지지 부재(40) 및 라인 롤러(41)에 의한 회전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밸런서로 작용하게 할 수도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의 라인 롤러(4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의 사이에는 베일(4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베일 지지 부재(40),(42), 라인 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해 베일 아암(45)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 베일 지지 부재(40),(42)를 로우터 아암(31),(32)의 내주 측에 장착함으로써 베일 아암(45)의 회전 반경이 작아지며, 낚싯대도 잡은 손에 닿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부착대부(11b)를 짧게하여 스풀(4)과 낚싯대를 근접시킬 수 있고 전체적으로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양쪽 베일 지지 부재(40),(42)는 일체의 요동축(M)을 중심으로 요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요동축(M)과 제1 로우터 아암(31)의 제1 베일 지지 부재 설치면이 교차하는 점을 요동 중심 C1으로 하고, 요동축(M)과 제2 로우터 아암(32)의 제2 베일 지지 부재 설치면이 교차하는 점을 요동 중심 C2로 한 경우, 요동 중심 C2는 요동 중심 C1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요동축(M)은 스풀축(20)과 직교하는 축에 대해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각 베일 지지 부재(40),(42)는 그들의 요동면이 요동축(M)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로우터(3)의 원통부(30) 내부에는 로우터(3)의 역회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롤러형의 일 방향 클러치(미도시)와, 일 방향 클러치를 작동 상태 및 비작동 상태로 절환하는 조작 기구(51)를 구비하고 있다. 일 방향 클러치는 외륜이 케이스부(10)에 고정되며, 내륜이 피니언 기어(14)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 기구(51)는 케이스부(10)의 하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52)를 갖고 있으며, 조작 레버(52)를 요동시킴으로써 일 방향 클러치가 두 개의 상태로 절환된다. 작동 상태인 경우에는 로우터(3)의 역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며, 비작동 상태인 경우에는 로우터(3)의 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스풀(4)은 로우터(3)의 제1 로우터 아암(31)과 제2 로우터 아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풀 축(2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동체부(4a)와, 동체부(4a)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후방 플랜지부(4b)와, 동체부(4a)의 전방에 고정된 전방 플랜지부(4c)를 갖고 있다. 동체부(4a)는 로우터(3)의 원통부(30)의 외주 측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통상의 스피닝 릴보다 동체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양측 플랜지부(4b),(4c)의 플랜지 높이는 통상의 스피닝 릴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낚싯줄을 풀어낼 때의 저항이 작아지고,가는 낚싯줄을 동체부(4a)에 감아도 낚싯줄이 꼬이기 어려워진다.
다음에 스피닝 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스피닝 릴에서는, 캐스팅시 베일(43)을 낚싯줄을 감는 위치에서 낚싯줄을 오픈시키는 위치로 젖힌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0),(42)는 요동축(M)을 중심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1 및 제2 베일지지 부재(40),(42)는 제1 및 제2 로우터 아암(31),(32)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요동축(M)이 스풀 축(20)에 대해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그 선단의 라인 롤러(41)는 실을 감을 때의 위치보다 더 내주 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캐스팅시에 풀어진 낚싯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와 라인 롤러(41)에 얽히기 어려워진다.
낚싯줄을 감을 때에는 베일(43)을 낚싯줄을 감는 위치로 기울인다. 이것은 핸들(1)을 낚싯줄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미도시)과 스프링의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핸들(1)을 실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은 핸들 축(12) 및 마스터 기어(13)를 통해 피니언 기어(14)로 전달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14)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4)의 전방을 통해 로우터(3)로 전달되며, 로우터(3)가 실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피니언 기어(14)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23)에 의해 나사축(21)이 회전하며, 이 나사축(21)의 나선홈(21a)에 맞물리는 슬라이더(22)가 가이드 축(24)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스풀 축(20) 및 스풀(4)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베일(43) 및 라인 롤러(41)에 의해 스풀(4)로 안내된 낚싯줄은 스풀(4)의 동체부(4a) 외주면에 전후 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감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피닝 릴에서는, 두꺼운 부착대부(11b)를 커버부(11a)와 일체로 형성하고, 각 구동 부분을 수납하는 얇은 케이스부(10)를 부착대부(11b)와 별도로 형성했기 때문에 케이스부(10)의 정도를 높게 유지시킬 수 있고, 부착대부(11b)의 강도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대부(11b)를 커버부(11a)와 일체로 형성했기 때문에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간소한 구조로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핸들 축(12)을 케이스(10)만으로 지지하고 있었으나,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10)와 뚜껑부(11)로 지지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 실시 형태 2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더블 핸들(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우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우터(3)는 릴 본체(2)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그 외주면에 감는 것으로, 로우터(3)의 전방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로우터(3)와 스풀(4)을 지지하는 케이스부(10)와, 케이스부(10)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고정된 뚜껑부(11)를 갖고 있다. 케이스부(1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인 얇은 부재이다. 케이스부(10)의 내부에는 로우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우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부(10)의 외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축(12)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9a)을 수납하는 축 지지부(10b)가 설치되어 있다.
뚜껑부(11)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고강도 경량 금속제이며, 다이 캐스트법법에 의해 제조된 부재이다. 뚜껑부(11)는 케이스부(10)의 개구부(10a)를 커버하는 얇은 커버부(11a)와, 커버부(11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착대부(11b)를 갖고 있다. 커버부(11a)의 외측면에는 핸들 축(12)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9b)을 수납하는 축 지지부(11d)가 설치되어 있다. 축 지지부(11d)에는 나사 캡(11e)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나사 캡(11e)에 의해 물이나 이물의 내부로의 침입이 방지된다. 부착대부(11b)는 내부가 채워진 두꺼운 부재로서, 그 선단은 전후 양측으로 연장되어 낚싯대 부착부(11c)를 이루고 있다.
핸들 축(12)은 베어링(9a),(9b)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도중에 마스터 기어(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 축(12)에는 그 중심을 관통하여 축 본체(12a)는 착탈이 가능하고 회전은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축 본체(12a)의 일단에는 더블 핸들(1a)의 기단(基端)이 연결되어 있다. 축(12a)의 타단에는 부착 홀더(12b)가 결합되며, 부착 홀더(12b)에 의해 축 본체(12a)가 핸들 축(1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부착 홀더(12b)의 두부가 나사 캡(11e)으로 덮여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실시 형태 1과 거의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2를 채용한 스피닝 릴에서는,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착대부(11b)와 한 쪽의 축 지지부(11d)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부(10)의 경량화·박형화를 꾀하며 고정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1)에 비교적 고강도인 금속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부착대부(11b)와 커버부(11a)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져 릴 전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스부(10)가 비교적 경량인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릴 전체의 중량 증가를 초래하기 어렵다.
〔실시 형태 3〕
상기 두 개의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축(12)을 케이스부(10)만으로 또는 케이스부(10)와 뚜껑부(11)로 지지하고 있었으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1)만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릴 본체(2)는 로우터(3)나 스풀(4)을 지지하는 케이스부(10)와, 케이스부(10)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고정된 뚜껑부(11)를 갖고 있다. 케이스부(1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인 얇은 부재이다. 케이스부(10)의 내부에는 로우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우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뚜껑부(11)는 예를 들면 티타늄제이며, 로스트 왁스법에 의해 제조된 부재이다. 뚜껑부(11)는 케이스부(10)의 개구부(10a)를 커버하는 얇은 커버부(11a)와, 커버부(11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착대부(11b)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부(11a)에는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7)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대부(11b)는 내부가 채워진 두꺼운 부재로서, 그 선단은 전후 양측으로 연장되어 낚싯대 부착부(11)를 이루고 있다.
로우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이 연결된 핸들 축(12)과, 핸들 축(1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마스터 기어(13)와, 마스터 기어(13)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4)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축(12)은 핸들 지지부(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방(14a)은 로우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스풀(4)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4)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5),(16)을 통하여 릴 본체(2)의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 지지부(7)는 커버부(11a)에 설치된 지지통(8)과, 지지통(8)의 내부에 핸들 축(12)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핸들 축(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베어링(9)을 갖고 있다. 지지통(8)은 커버부(11a)에 있어서 스풀 축(2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두 개의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3을 채용한 스피닝 릴에서는,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착대부(11b)와 핸들 지지부(7)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부(10)의 경량화·박형화를 꾀하며 고정도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뚜껑부(11)에 비교적고강도인 금속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부착대부(11b)와 커버부(11a)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져 릴 전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a) 스피닝 릴의 형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래그 기구를 갖는 것이나, 역회전 방지 기구를 대신하여 브레이크 레버를 갖는 제동 기구를 장착한 것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부착대부나 커버부 등의 모양이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채용한 스피닝 릴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채용한 스피닝 릴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핸들 2 릴 본체
3 로우터4 스풀
5 구동 기구6 레벨 와인드 기구
7 핸들 지지부9, 9a, 9b 베어링
10 케이스부10a 개구부
10b, 11d 축 지지부11 뚜껑부
11a 커버부11b 부착대부
11c 낚싯대 부착부12 핸들 축
13 마스터 기어
본 발명에 따른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에서는, 케이스부와 부착대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이 혼재하지 않게 되어 케이스부를 얇게 만들어도 성형시 두꺼운 부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케이스부를 얇게 만들면 케이스부를 고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는 케이스부를 막는 단순한 커버로서 고정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착대부를 두껍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부착대부에서의 강도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대부를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시키기 때문에 별도로 하는 경우에 비해 간소한 구조로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낚싯대에 장착되며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로우터에 의해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로서,
    상기 핸들 및 로우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낚싯대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대부를 갖는 뚜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티타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표면은 평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로우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마스터 기어가 설치된 핸들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핸들 축은 상기 케이스부에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있어서 핸들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로우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마스터 기어가 설치된 핸들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핸들 축은 상기 뚜껑부에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 및 상기 뚜껑부는 상기 로우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마스터 기어가 설치된 핸들 축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각각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
  8. 제1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금속제이며, 상기 케이스부는 합성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
KR1019970007418A 1996-04-25 1997-03-06 스피닝릴의프레임구조 KR100433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03032 1996-04-25
JP10303296 1996-04-25
JP9-29286 1997-02-13
JP02928697A JP3372809B2 (ja) 1996-04-25 1997-02-13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フレーム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705A KR19980069705A (ko) 1998-10-26
KR100433369B1 true KR100433369B1 (ko) 2004-08-30

Family

ID=2636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418A KR100433369B1 (ko) 1996-04-25 1997-03-06 스피닝릴의프레임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88173A (ko)
EP (1) EP0803191B1 (ko)
JP (1) JP3372809B2 (ko)
KR (1) KR100433369B1 (ko)
CN (1) CN100364391C (ko)
DE (1) DE69732316T2 (ko)
MY (1) MY116897A (ko)
TW (1) TW3232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6058B2 (ja) * 1996-10-30 2004-08-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軸往復動機構
JP4445094B2 (ja) * 1999-10-27 2010-04-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3079291A (ja) * 2001-09-12 2003-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03225039A (ja) * 2002-02-05 2003-08-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7118059B2 (en) 2003-01-29 2006-10-10 Shimano Inc. Reel unit for spinning reel
JP4022480B2 (ja) * 2003-01-29 2007-12-1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4236568A (ja) * 2003-02-05 2004-08-2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SG121863A1 (en) * 2003-02-05 2006-05-26 Shimano Kk Reel unit for spinning reel
JP4804279B2 (ja) * 2006-08-31 2011-11-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7275705B1 (en) 2006-09-07 2007-10-02 Shakespeare Company, Llc Spinning reel having two-piece frame and leg assembly with concealable attachment points
WO2012112560A1 (en) 2011-02-14 2012-08-23 Arribe Manufacturing, Llc Fishing reel
JP6166558B2 (ja) * 2013-03-13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419020B2 (ja) * 2015-04-28 2018-11-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871141B2 (ja) * 2017-12-12 2021-05-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113707B2 (ja) * 2018-09-14 2022-08-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3776U (ko) * 1979-03-17 1980-09-22
JPS57166925A (en) * 1981-04-03 1982-10-14 Daiwa Seiko Co Production of enclosure of spinning reel
JPS5883267U (ja) * 1981-11-30 1983-06-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S6083519A (ja) * 1983-10-13 1985-05-11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ル
JPH0553469U (ja) * 1991-06-08 1993-07-20 株式会社銀星社 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防水装置
JPH065465U (ja) * 1992-06-29 1994-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61601A (en) * 1930-11-15 1931-11-26 Light Casting Reel Company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asting reels for angling
US3788570A (en) * 1970-12-12 1974-01-29 Ryobi Ltd Spinning reel for fishing
JPH0618459Y2 (ja) * 1986-07-21 1994-05-18 リョービ株式会社 スピニングリール
US5350130A (en) * 1991-10-15 1994-09-27 Shimano Inc. Spinning reel with removable cover
JP2561243Y2 (ja) * 1992-03-06 1998-01-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5443571A (en) * 1992-07-15 1995-08-22 Zebco Corporation Wrap around side cover for a spinning fishing re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3776U (ko) * 1979-03-17 1980-09-22
JPS57166925A (en) * 1981-04-03 1982-10-14 Daiwa Seiko Co Production of enclosure of spinning reel
JPS5883267U (ja) * 1981-11-30 1983-06-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S6083519A (ja) * 1983-10-13 1985-05-11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ル
JPH0553469U (ja) * 1991-06-08 1993-07-20 株式会社銀星社 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防水装置
JPH065465U (ja) * 1992-06-29 1994-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88173A (en) 1998-08-04
DE69732316T2 (de) 2006-01-12
EP0803191B1 (en) 2005-01-26
JPH104836A (ja) 1998-01-13
CN1173277A (zh) 1998-02-18
TW323218B (ko) 1997-12-21
MY116897A (en) 2004-04-30
KR19980069705A (ko) 1998-10-26
EP0803191A2 (en) 1997-10-29
EP0803191A3 (en) 1998-08-19
DE69732316D1 (de) 2005-03-03
JP3372809B2 (ja) 2003-02-04
CN100364391C (zh)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369B1 (ko) 스피닝릴의프레임구조
EP1652426B1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EP1332672B1 (en) Reel unit for spinning reel
KR101080068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US6786442B2 (en) Spinning reel rotor
KR100450629B1 (ko) 폭이 좁은 릴 본체 하우징을 갖는 스피닝 릴
KR101000347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US20040140385A1 (en) Handle assembly for a spinning reel
KR101058363B1 (ko)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JP333952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7066419B2 (en) Reel unit for spinning reel
KR20040071628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장착 구조
KR20040071073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108184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347085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装置
EP0711500A1 (en) Spinning reel
JP412186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739106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38485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EP0753993B1 (en) Spinning reel
JPH1011310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4261041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178486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28977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H111863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ライダ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