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715B1 - 편평모터와그모터의기기실장급전방법 - Google Patents

편평모터와그모터의기기실장급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715B1
KR100430715B1 KR10-1998-0035235A KR19980035235A KR100430715B1 KR 100430715 B1 KR100430715 B1 KR 100430715B1 KR 19980035235 A KR19980035235 A KR 19980035235A KR 100430715 B1 KR100430715 B1 KR 10043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motor
motor
feeding
electrode portion
termin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362A (ko
Inventor
다다오 야마구치
고이치 나카지마
도루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8-003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715B1/ko
Publication of KR2000001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6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consisting of prin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하우징의 일부(1)로부터 단자받침부(1c)를 돌출시키고, 이 단자받침부의 일면에 플랙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진 급전전극부(2b)를 점착부재(2a)를 통해 고착시킴과 동시에 선단을 구부려 다른 면에도 마찬가지로 고착시키도록 하며, 이 급전전극부를 기기측 급전패턴(Pb)에 납땜하거나 암형단자(7)로 끼워 유지시킴으로써 설치급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플랙시블 기판을 사용해도 단선되지 않으며, 제조비용을 들이지 않고 기기측 인쇄배선판의 급전패턴에 직접 납땜하는 경우이더라도 납땜이 용이하며 납땜하지 않는 경우라도 확실하게 접속될 수 있다.

Description

편평 모터와 그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omitted}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 휴대전화기 등 통신기기의 무음경보원 등에 사용되는 편평 모터의 급전구조의 개량과 그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모터의 바깥쪽으로 플랙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급전전극부를 도출시킨 편평 모터가 박형화를 꾀하는 데 있어서 적합한 것으로서 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H)을 구성하는 브라켓(11)에 오목부(11a)를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하고, 이 오목부(11a)에 플랙시블기판으로 이루어진 급전부재(22)를 점착층(22a)를 통해 접착한 것으로, 이 급전부재(22)의 상면에 한 쌍의 브러시 설치패턴(22b)과 이 브러시 설치패턴(22b)에 연결 설치하여 급전전극부(22c)를 모터의 바깥쪽으로 도출시킨 편평 모터가 있다.
이러한 편평 모터는 급전부재부분의 두께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 자체의 박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랙시블 기판을 사용하는 것에서는 기판자체가 얇기 때문에 단선되기 쉽고, AWG30 사이즈 등의 리드선을 접속시키는 것에서는 땜납결선후 UV경화형 접착제 등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기측의 인쇄배선판의 급전패턴에 직접 납땜하는 경우라도 급전 패턴과 급전전극부(22b)는 아무리 플랙시블 기판 자체가 얇다고 해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열의 이동이 어렵고 납땜이 쉽지 않다. 또한 납땜 용이성을 노려 측면 쓰루홀(through hole)로 하는 것은 제조비용면에서 효율적이지 않으며 게다가 측면이 두껍지 않기 때문에 의외로 납땜이 어렵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플랙시블 기판을 사용하더라도 단선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으며, 제2의 목적은 제조비용을 들이지 않고 기기측의 인쇄배선판의 급전패턴에 직접 납땜하는 경우이더라도 납땜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납땜하지 않은 경우라도 확실하게 접속될 수 있는 기기실장 급전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는 상기 급전전극부를 노출되는 부분을 크게 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납땜이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일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동실시예를 구성하는 부재의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편평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측면도이다.
도 4는 동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편평 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브라켓 1b 오목부
1c 단자받침부 2 급전부재
2a 점착층 2b 브러시설치패턴
2c 급전전극부 3 브러시
4 마그네트 5 편심로터
6 케이스 7 암형단자
8 빠짐 방지수단 Pb 급전패턴
본 발명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의 형태는, 상기 청구항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모터를 구성하는 하우징 모터의 바깥쪽으로 플랙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진 급전전극부를 도출시킨 편평 모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상기 급전전극부를 적어도 3방향이 노출되도록 고착시키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상기 급전전극부를 고착하는 수단으로서 하우징의 일부에서 단자받침부를 돌출시키고 이 단자받침부의 일면에 상기 급전전극부를 점착부재를 통해 고착시킴과 동시에 선단을 구부려 다른 면에도 마찬가지로 고착시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급전전극부가 단자받침부에서 보강되기 때문에 단선문제가 전부 해소된다.
이와 같은 편평 모터를 기기에 실장하여 급전시키기 위해서는 청구항3에 개시한 바와 같이 모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플랙시블기판으로 이루어진 급전전극부를 도출시킨 편평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에 있어서, 모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에서 단자받침부를 돌출시키고, 이 단자받침부의 일면에 상기 급전전극부를 점착부재를 통해 고착시킴과 동시에 선단을 구부려 다른 면에도 마찬가지로 고착시켜 이루어진 것을 양면점착부재를 통해 기기측의 인쇄배선판에 접착시킨 후, 이 급전전극부와 기기측 인쇄배선판의 급전패턴에 땜납결선하는 작업 방법을 채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급전전극부의 납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땜납결선이 아닌 접촉형으로 하기 위해서는 청구항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모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플랙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진 급전전극부를 도출시킨 편평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에 있어서, 모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에서 단자받침부를 돌출시키고 이 단자받침부의 일면에 상기 급전전극부를 점착부재를 통해 고착시킴과 동시에 선단을 구부려 다른 면에도 마찬가지로 고착시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양면의 급전전극부를 기기측의 암형단자로 끼워 지지시키도록 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급전전극부는 양면에서 끼워 지지되기 때문에 접속이 확실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편평코어리스 진동모터에 채용한 실시예의 주오목부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브라켓이며, 중앙으로 일체로 버링공(burring hole;1a)을 세워 이것에 축(S)을 압입함으로써 지지함과 동시에 이 버링공(1a)의 주위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오목부(1b)를 형성하고 있다. 이오목부(1b)는 브라켓 바깥쪽으로 일체로 돌출된 단자받침부(1c)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b)에는 도 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동형상의 플랙시블기판으로 이루어진 급전부재(2)가 하면의 점착층(2a)을 통해 고착된다. 이 급전부재(2)의 상면에는 한 쌍의 브러시 설치패턴(2b)과 이 브러시 설치패턴(2b)에 연결 설치하여 땜납도금된 급전전극부(2c)가 형성된다. 이 급전전극부(2c)는 상기 단자받침부(1c)보다 더 길게 연장 설치되어 있어 단자받침부(1c)의 선단에서 구부려져서, 하면에 점착층(2a)을 통해 고착된다. 따라서 이 급전전극부(2c)는 단자받침부(1c)에 의해 확실히 보호됨과 동시에 3방향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쓰루홀 등의 수단을 제조비용 상승 없이 3면에 급전전극부를 형성할 수 있다.
3은 상기 한 쌍의 브러시 설치 패턴(2b)에 납땜 등에 의해 설치된 브러시이며, 이 브러시(3)의 바깥쪽으로는 링모양의 마그네트(4)가 상기 급전부재(2)를 끼워 지지하도록 브라켓(1)에 설치되고, 이 마그네트(4)에 간격을 두고 대면하게 한 편심로터(5)가 상기 축(S)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편심로터(5)는 여러개의 공심코일(5a)을 고접동성 수지(5b)로 일체 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접동성 수지(5b) 자체가 베어링을 겸하고 있다.
상기 브라켓(1)의 외주는 케이스(6)의 개구부에 코킹되고, 이 케이스(6)의 중앙에 뚫린 구멍(6a)이 상기 축(2)의 선단을 접착제가 도포된 폴리에스텔필름(6b)을 통해 지지시키고 있다.
이러한 편평 모터를 무선호출기 등에 설치하여 급전시키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의 인쇄배선판(P)에 양면점착필름(Pa)을 통해 고착시킴과 동시에 미리 형성해 놓은 급전패턴(Pb)에 상기 급전전극부(2c)를 납땜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설치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도록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6)로부터 설치가이드(6c)를 내어 놓아도 좋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납땜도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납땜이 아닌 접촉형으로 하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측에 암형단자(7)를 준비하여 급전전극부(2c)를 끼워 지지시키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급전전극부(2c)는 접촉안정성을 위해 귀금속 도금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8은 빠짐 방지수단이고 9는 걸어멈춤 부재이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설치가 간단해지며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급전전극부를 하우징의 일부에 고착하였기 때문에 극히 얇은 플랙시블 기판이라 해도 급전전극부의 단선이 생기지 않게 된다.
이러한 모터를 기기에 설치함에 있어서, 급전전극부가 3방향으로 노출, 즉 측면에도 있기 때문에 아주 쉽게 납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납땜이 아닌 접촉형으로 하는 경우라 해도 급전전극부(2c)를 상하 양면에 배치함으로써 접속이 확실해진다.

Claims (3)

  1. 모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1)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브러시베이스 수납용 오목부(1b)를 마련하고, 이 오목부(1b)에 배치한 플랙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진 브러시베이스(2)를 마그네트(4)의 하부를 통하여 측방으로 급전전극부(2c)로서 도출시킨 편평 모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베이스 수납용 오목부(1b)에 연통하여 일체로 단자받침부(1c)를 돌출시키고, 상기 급전전극부(2c)를 상기 단자받침부(1c)의 상면으로 노출시킴과 아울러 그 단자받침부(1c)를 감싸도록 절곡하여 상기 단자받침부(1c)의 하면으로도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급전전극부(2c)의 패턴이 상기 단자받침부(1c)의 측방과 상방 및 하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편평 모터.
  2. 모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측방으로 플랙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진 급전전극부를 도출시킨 편평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편평 모터를, 기기측의 인쇄배선판(P)에 배치하여 부착시킨 후, 상기 급전전극부(2c)를 기기측의 인쇄배선판(P)의 급전패턴(Pb)에 납땜하여 이루어지는 편평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
  3. 모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측방으로 플랙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진 급전전극부를 도출시킨 편평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편평 모터를, 상기 급전전극부(2c)를 기기측의 접촉형단자(7)로 끼워 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빠짐방지수단(8)과 걸어멈춤수단(9)을 통해 기기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편평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
KR10-1998-0035235A 1998-08-28 1998-08-28 편평모터와그모터의기기실장급전방법 KR100430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235A KR100430715B1 (ko) 1998-08-28 1998-08-28 편평모터와그모터의기기실장급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235A KR100430715B1 (ko) 1998-08-28 1998-08-28 편평모터와그모터의기기실장급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362A KR20000015362A (ko) 2000-03-15
KR100430715B1 true KR100430715B1 (ko) 2004-06-26

Family

ID=1954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235A KR100430715B1 (ko) 1998-08-28 1998-08-28 편평모터와그모터의기기실장급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61B1 (ko) * 2002-03-22 2004-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KR100677033B1 (ko) * 2005-02-07 2007-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 모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473U (ja) * 1983-03-23 1984-10-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小型モ−タのブラシ取付構造
JPS63149183U (ko) * 1987-03-20 1988-09-30
JPH0666264U (ja) * 1992-08-27 1994-09-16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扁平モータのブラシベースの組付け構造
JPH08140301A (ja) * 1994-11-09 1996-05-31 Tokyo Parts Ind Co Ltd 偏平モータの給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473U (ja) * 1983-03-23 1984-10-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小型モ−タのブラシ取付構造
JPS63149183U (ko) * 1987-03-20 1988-09-30
JPH0666264U (ja) * 1992-08-27 1994-09-16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扁平モータのブラシベースの組付け構造
JPH08140301A (ja) * 1994-11-09 1996-05-31 Tokyo Parts Ind Co Ltd 偏平モータの給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362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9404B1 (en) Motor control unit and brushless motor
KR20020050065A (ko) 편평형 진동모터
WO2006006403A1 (ja) 振動発生用デバイスの取付用ホルダー
EP1225652A1 (en) Antenna device
EP0971474B1 (en) Motor boot for a circuit board
JP3179362B2 (ja) 扁平モータと同モータの機器実装給電方法
US20040051400A1 (en) Low-profile, coreless motor
KR100430715B1 (ko) 편평모터와그모터의기기실장급전방법
EP1833142B1 (en) Small brushless motor structure
JP3362098B2 (ja) 筒型振動モータの印刷配線板搭載構造
JPH08140301A (ja) 偏平モータの給電装置
JP2008011674A (ja) プリント回路基板固定モータ
JP3598797B2 (ja) 電子機器
JP4033229B2 (ja) カード装置
EP1243062B1 (en) Mirco-motor having a motor-base-plate containing stator-holding means and electrical terminals
JP3249908B2 (ja) 小型モータの接触型給電構造
KR100811721B1 (ko) 진동 발생용 디바이스의 부착용 홀더
KR20080033702A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3249907B2 (ja) 小型モータの接触型給電装置
CN217486298U (zh) 马达单元
MY124473A (en) Small motor.
JP2000197853A (ja) 振動モ―タ装置
JP3192131B2 (ja) 携帯無線通信装置の無音報知用の円筒型直流モータ
JP4205720B2 (ja) カード装置
JP2002096025A (ja) 振動発生用小型モータ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