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033B1 - 편평형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033B1
KR100677033B1 KR1020050011234A KR20050011234A KR100677033B1 KR 100677033 B1 KR100677033 B1 KR 100677033B1 KR 1020050011234 A KR1020050011234 A KR 1020050011234A KR 20050011234 A KR20050011234 A KR 20050011234A KR 100677033 B1 KR100677033 B1 KR 100677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terminal
circuit board
coupl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400A (ko
Inventor
문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033B1/ko
Priority to CN2006800010581A priority patent/CN101053141B/zh
Priority to PCT/KR2006/000394 priority patent/WO2006083128A1/en
Priority to JP2007541113A priority patent/JP2008519684A/ja
Priority to US11/720,235 priority patent/US7652401B2/en
Publication of KR2006009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208Mountings;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s
    • H01S5/02212Can-type, e.g. TO-CAN housings with emission along or parallel to symmetry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1Scanning system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ng means, e.g. raster or XY scan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of a laser di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35Method for mounting laser chips
    • H01S5/02375Positioning of the laser ch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모터의 베이스부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시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터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는 상기 스테이터부의 하측케이스 일측에서 연장형성되고 회로기판의 일부가 지지되는 고정지지대; 상기 회로기판과 결합되는 접합부, 외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접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2개의 단자; 및 상기 고정지지대와 스테이터부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 각각이 지지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는 단차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단차공간에 끼워진 후 회로기판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의 형태 및 결합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생산 공정 및 조립 공정이 간소화되고, 비용이 절감되며, 생산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단자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접점 위치가 형성되고, 단자의 변형 및 이탈이 방지되므로 모터의 기동특성이 장시간 유지된다.

Description

편평형 진동 모터{Vibration motor of flat type}
도 1은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외부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자가 베이스부에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베이스부 및 스테이터부가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베이스부, 단자 및 고정지지대가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베이스부, 단자 및 고정지지대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부, 단자 및 고정지지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부, 단자 및 고정지지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로터부 150: 제1회로기판
200: 스테이터부 210: 상부 케이스
220: 하부 케이스 230: 제2회로기판
300: 베이스부 310: 단차 공간
400: 단자 410: 접촉부
420: 탄성부 430: 접합부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 모터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편평형 진동모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초소형 모터로서, 콜센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소리 대신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줄 때 사용되는 부품이다.
즉, 매너 모드가 설정되었을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진동을 발생하는 것은 이러한 편평형 진동모터가 작동해서 생기는 현상이다.
편평형 진동모터는 동전만한 사이즈로서 강한 진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그 결합 구성이 상대적으로 견고해야 하는데, 그 구성부 중에서 단자가 변형되어 접점 부위가 달라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편평형 진동모터는 스테이터부, 로터부, 베이스부 및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베이스부는 스테이터부와 접착 부재를 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단자는 스테이터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 상에서 납땜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단자는 베이스부에 의한 지지가 충분하기 않기 때문에 단자의 납땜 부위가 탈락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 제안된 개선안들이 있으나, 이들 역시 구조상의 미비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 대한민국 특허 공개 No. 2003-0075982를 참조하여,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결합구조가 가지는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외부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는, 터미널(31, 32)이 편평형 진동 모터의 커넥터헤더(30)에 체결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터미널(31, 32)이 커넥터헤더(30)에 후크 형식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2는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터미널(31, 32)이 상기 커넥터헤더(30)에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커넥터헤더(30)가 케이스(15)에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터미널(31, 32)은 접점부(34) 및 끼움부(33)로 이루어지는데(접점부 및 끼움부의 부호(34, 33)는 설명의 편의상, 부호 "31"에 해당되는 터미널에 대해서만 표시됨), 끼움부(33)가 커넥터헤더(30)에 내삽/지지되고, 접점부(34)가 커넥터헤더(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도 3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헤더(30)는 하단에 고정리브(40)가 형성되고, 고정리브(40)의 밑에 걸림돌기(41)가 형성되어 케이스(15)의 커버플레이트(10)에 결합된다.
또한, 고정리브(40)의 옆으로 고정 브라켓트(50)가 형성되어 케이스(15)의 외측면에 스폿 용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는 제조 공정 및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고정리브(40)를 커넥터헤더(30)에 사출 방식으로 일체 형성하거나 상기 고정 브라켓트(50)를 고정리브(40)에 사출/결합시키는 까다로운 공정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도 3과 같이 터미널(31, 32)의 끼움부(33)가 후크 방식으로 밀어넣어 결착되는 구조는 조립 공정을 더욱 어렵게 하고, 상기 접점부(34)가 외부의 전원 단자와 하중을 받으며 접촉되면 접점 부위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트(50)가 상기 케이스(15)와 스폿 용접되는 구조이므로 제조공정의 효율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잡한 생산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단자가 베이스부에 강하게 결착되고 외부의 충격에도 이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편평형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에 단자를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외부 단자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접점 위치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가 베이스부에 의하여 압박된 후 납땜되는 경우 납땜 공정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변경된 편평형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시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터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는 상기 스테이터부의 하측케이스 일측에서 연장형성되고 회로기판의 일부가 지지되는 고정지지대; 상기 회로기판과 결합되는 접합부, 외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접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2개의 단자; 및 상기 고정지지대와 스테이터부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 각각이 지지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는 단차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단차공간에 끼워진 후 회로기판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 모터의 상기 단자는 단차 공간에 결합되는 접합부의 단부에 가이드 판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차 공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 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는 로터부(100), 스테이터부(200) 및 베이스부(300)로 구성되는데, 상기 로터부(100)는 코일(130), 수지물(140) 및 로터부기판(150)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200)는 상측 케이스(210), 하측 케이스(220), 회로기판(230), 브러쉬(240) 및 영구자석(마그넷)(2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00)는 단자(400)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샤프트(110)는 상기 하측 케이스(220)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부(100)가 회전되는 중심축의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110)와 로터부(100) 사이에는 베어링(120)이 위치된다.
상기 로터부기판(150)은 상기 코일(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정류자(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상기 브러쉬(240)와 접촉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코일(130)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로터부(100)는 상기 스테이터부(200) 내에서 편심 부하를 가지고 회전함으로써 진동력을 발생시킨다. 편심 부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로터부(100)에 편심수단이 구비되거나 로터부의 형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230)은 상기 베이스부(300)의 단자(400) 및 상기 브러쉬(240)와 통전된다.
상기 영구자석(250)은 도우넛 형태로 상기 코일(130)과 자계 반발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측케이스(220)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부(300)는 2개의 단자(400)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에 전원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베이스부(300), 단자(400) 및 스테이터부(200)가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터부(200)의 하부케이스(220) 일측으로 고정지지대(260)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지지대(260)는 상기 베이스부(300)의 저면측이 지지되는 사각형의 판형상으로서 상측으로 상기 회로기판(23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단자(400)는 접촉부(410), 탄성부(420) 및 접합부(430)로 형성되어 2개로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지지대(260) 상에서 각각 상호대향하게 위치된다.
상기 접합부(430)는 상기 회로기판(230)의 일부와 납땜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접촉부(41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구비하는 전원 단자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접합부(430)는 양측단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보다 넓은 면적이 베이스부(300)와 회로기판(23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회로기판(230)과 용이하게 납땜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부(420)는 접촉부(410)와 상기 접합부(430)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단자(400)는 금속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420)는 탄성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굴곡구조를 형성하고 있 다. 상기 접촉부(410)가 외부 전원 단자에 접촉되면 상기 탄성부(420)의 탄성으로 안정적인 접점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300)에는 상기 단자(400)의 접합부(430)가 위치하는 곳에 단차 공간(3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차 공간(310)은 상기 접합부(430)와 상응하는 사이즈를 가지므로 상기 접합부(430)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단차 공간(310)의 외측단은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부(430)와 단차 공간(310)은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그 형태 및 두께는 여러 종류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베이스부(300), 단자(400) 및 고정지지대(260)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300)는 상기 고정지지대(260)와 결합되면 상기 단자(40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접합부(430)의 일부(430a)가 상기 고정지지대(260)에 고정되어, 상기 외측으로 돌출된 접합부(430)의 일부(430b)는 외부로 개방되어 상기 회로기판(230)과 납땜(440)을 통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부(300)는 상기 회로기판(230)의 일부가 위치된 고정지지대(260)와 우선적으로 결합되고, 외부로 개방된 면을 통하여 상기 단자(400)가 압박되어(외부로부터 밀어넣어져) 끼워진 다음, 회로기판(230)에 납땜되는 조립 공정을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부(300a), 단자(400a) 및 고정지지대(260a)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베이스부(300a)와 단자(400a)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베이스부(300)의 단차 공간(310) 및 단자(400)의 접합부(430)와 동일한 형태와 결합 구조를 가진다(도 5 참조).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굴곡 구조를 가지는 단자(400a)의 탄성부(420a) 중에서 첫 번째 (저면과 평행을 이루는) 탄성면이 위치되는 지점에서 베이스부(300a)가 다른 단차 공간(310a)을 형성시키고 있는 점이 차별화된다.
즉, 상기 첫 번째 단차 공간(310a)이 형성된 베이스부(300a)의 하단부(340a)는 상기 탄성부(420a)의 첫 번째 굴곡된 탄성면의 저면까지 형성되고, 상기 첫 번째 탄성면의 상면으로는 상기 베이스부(300a)의 하단부(340a)와 함께 상기 다른 단차 공간(310a)을 형성시키는 구조물(35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단자(400a)는 상기 베이스부(300a)에 의하여 두 부분(접합부(430a) 및 첫 번째 탄성면)이 고정지지되고 있으며, 외부 단자와의 하중으로 인한 이탈 및 변형 위험은 더욱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부(300b), 단자(400b) 및 고정지지대(260b)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에 의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부(300b), 단자(400b) 및 고정지지대(260b)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부(300b)의 단차 공간(310b)은 상면으로 "ㅅ"형태의 요철홈(31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홈(312b)에 맞도록 상기 접합부(430b)는 양 측단의 중심을 기준으로 역시 "ㅅ"형태로 굴곡되어 요철편(432b)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400b)가 상기 베이스부(300b)에 압박되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요철편(432b) 및 요철홈(312b)도 함께 꼭 맞게 내삽된다. 상기 외부로 돌출된 접합부(430b)의 일부는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지지대(260b) 상의 회로기판(230b)과 납땜을 통하여 통전결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에 의하면, 부품의 형태가 단순화되고 단자를 끼워넣은 후 납땜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고정지지대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화된 부품을 손쉽게 조립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비용을 감소시키고, 생산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단자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접점 위치가 형 성되고, 단자의 변형 및 이탈이 방지되므로 진동모터의 기동 특성이 장시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1. 회전시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터부를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부의 하측케이스 일측에서 연장형성되고 회로기판의 일부가 지지되는 고정지지대;
    상기 회로기판과 결합되는 접합부, 외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접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2개의 단자; 및
    상기 고정지지대와 스테이터부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 각각이 지지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는 단차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단차공간에 끼워진 후 회로기판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단차 공간에 결합되는 접합부의 양측단이 돌출되고, 상기 단차 공간은 상기 양측단이 돌출된 접합부를 결합시키는 편평형 진동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굴곡 구조를 가지고, 상기 굴곡된 면중에서 평면인 부분의 양측단이 돌출되고,
    상기 단차 공간은 상기 양측단이 돌출된 평면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편평형 진동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외측으로 노출된 일부가 상기 회로기판과 납땜을 통하여 통전결합되는 편평형 진동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공간은 내부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단차 공간과의 결합 면에 상기 요철 구조와 쌍을 이루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는 편평형 진동 모터.
KR1020050011234A 2005-02-07 2005-02-07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677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234A KR100677033B1 (ko) 2005-02-07 2005-02-07 편평형 진동 모터
CN2006800010581A CN101053141B (zh) 2005-02-07 2006-02-03 扁平振动马达
PCT/KR2006/000394 WO2006083128A1 (en) 2005-02-07 2006-02-03 Flat vibration motor
JP2007541113A JP2008519684A (ja) 2005-02-07 2006-02-03 偏平型振動モータ
US11/720,235 US7652401B2 (en) 2005-02-07 2006-02-03 Flat vibration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234A KR100677033B1 (ko) 2005-02-07 2005-02-07 편평형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400A KR20060090400A (ko) 2006-08-10
KR100677033B1 true KR100677033B1 (ko) 2007-02-01

Family

ID=3757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234A KR100677033B1 (ko) 2005-02-07 2005-02-07 편평형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0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362A (ko) * 1998-08-28 2000-03-15 가이 가즈오 편평 모터와 그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
KR20010047765A (ko) * 1999-11-23 2001-06-15 이형도 편평형 진동 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362A (ko) * 1998-08-28 2000-03-15 가이 가즈오 편평 모터와 그 모터의 기기실장 급전방법
KR20010047765A (ko) * 1999-11-23 2001-06-15 이형도 편평형 진동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400A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061B1 (ko) 진동모터
JP2008519684A (ja) 偏平型振動モータ
KR100621744B1 (ko) 편평형 진동모터
US7969053B2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with increased vibration amount
JP325516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その組立方法
WO2004108306A1 (ja)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US8513844B2 (en) Motor
JP2011504083A (ja) 回転子及び振動モータ
JP3523546B2 (ja) 小型モータ
KR100677033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20043549A (ko) 진동 발생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휴대 전화기
KR100670541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12300B1 (ko) 코인타입 진동모터
JP3856442B2 (ja) スピーカ
JP3363791B2 (ja) 音響・振動発生装置
JP3796238B2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KR101265772B1 (ko) 진동 발생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90399A (ko) 편평형 진동모터
JP3159211B1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1738135B1 (ko) 밸런스드 아마추어 유닛 및 그의 제조 방법
JPH11299165A (ja) 小型dcモータ
KR100638006B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5502380B2 (ja) モータ
JP3352377B2 (ja) 超小型ブラシモータにおけるエンドプレート、およびエンドプレート組立体、並びに振動発生装置
JP3856433B2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