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541B1 - 편평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541B1
KR100670541B1 KR1020050011231A KR20050011231A KR100670541B1 KR 100670541 B1 KR100670541 B1 KR 100670541B1 KR 1020050011231 A KR1020050011231 A KR 1020050011231A KR 20050011231 A KR20050011231 A KR 20050011231A KR 100670541 B1 KR100670541 B1 KR 10067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circuit board
terminal
contac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397A (ko
Inventor
문병희
엄재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541B1/ko
Priority to PCT/KR2006/000394 priority patent/WO2006083128A1/en
Priority to US11/720,235 priority patent/US7652401B2/en
Priority to CN2006800010581A priority patent/CN101053141B/zh
Priority to JP2007541113A priority patent/JP2008519684A/ja
Publication of KR2006009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모터의 베이스부 및 단자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시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부, 그 내부에 상기 로터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전원을 전달하는 스테이터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는 상기 스테이터부의 하부케이스 일측에서 연장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회로기판의 일부가 지지되는 고정지지대; 외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접촉부와 탄성부보다 양측단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통전되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2개의 단자; 상기 단자 각각의 접촉부 및 탄성부가 관통되는 2개의 지지홀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고정지지대를 기구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하여 베이스부와 고정지지대가 결합될 때, 상기 지지홀의 저면 둘레에 의하여 단자의 접합부 양측단이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구적인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단자와 회로기판이 안정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납땜으로 인한 베이스부의 변형, 접촉불량, 환경오염 등 각종 폐해를 예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하여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 공정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편평형 진동모터{Vibration motor of flat form}
도 1은 종래의 편평형 진동모터의 결합 형태를 베이스부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베이스부, 단자 및 스테이터부가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합부의 저면 상에 형성되는 엠보싱 돌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리벳 이음 방식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로터부 110: 샤프트
120: 베어링 130: 코일
140: 편심수단 150: 제1회로기판
200: 스테이터부 210: 상측 케이스
220: 하측 케이스 230: 제2회로기판
240: 브러쉬 250: 영구자석
222: 고정지지대 300: 베이스부
400: 단자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모터의 스테이터부, 베이스부 및 단자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편평형 진동모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초소형 모터로서, 콜센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소리 대신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줄 때 사용되는 부품이다.
즉, 매너 모드가 설정되었을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진동을 발생하는 것은 이러한 편평형 진동모터가 작동해서 생기는 현상이다.
이러한 편평형 진동모터는 동전만한 사이즈로서 강한 진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그 결합 구성이 상대적으로 견고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편평형 진동모터의 결합 형태를 베이스부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종래의 편평형 진동모터는 스테이터부(10), 로터부(상기 스테이터부 내부에 위치됨) 및 베이스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부(10)는 하우징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상기 로터부를 회전 가 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로터부의 진동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부(10)는 회로기판(12)을 구비하여 상기 로터부로 전원을 인가하고, 일측에서 연장된 고정지지대(14)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12)은 스테이터부(10)에서 고정지지대(14)에 걸쳐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부(2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22)를 구비하여 상기 스테이터부(10)와 결합되고, 상기 단자(22)는 상기 고정지지대(14)의 회로기판(12)과 연결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단자(22)는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20)의 저면과 고정지지대(14)의 회로기판(12) 사이에 납땜으로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부(20)는 스테이터부(10)와 접착제(30)를 통하여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20)가 조립된 후에 상기 단자(22)가 회로기판(12)과 납땜(32)을 통하여 결합되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단자(22)는 하단부가 납땜(32)을 통하여 회로기판(12)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조 과정에서 외력을 받거나 혹은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제품에 장착되어 하중을 받는 경우에, 상기 단자(22)의 납땜 부위가 변형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상기 단자(22) 및 외부 단자의 접점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납땜이 경화되기 전에 약간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결합 부위는 쉽게 변형될 수 있고, 인두기를 통한 작업 중 액상의 솔더가 편평형 진동모터의 각 구성부에 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단자의 접촉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외관상으로도 보기가 좋지 않아 제품의 품위를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납땜 공정 중에 과도한 열이 발생되어 상기 베이스부(20)가 열변형되거나 탈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제품 불량률을 최소화하는데 장애로 작용한다.
한편, 접착제(30)를 통하여 결합된 상기 베이스부(30)와 상기 스테이터부(10)는 접착제(20)의 경화 정도와 충격이 가해지는 외부 환경(예를 들면, 사용자의 실수로 이동통신단말기가 낙하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부(10) 및 베이스부(20)의 결합면이 들뜨거나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스테이터부(10)와 베이스부(20)의 결합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단자(22)와 상기 회로기판(12)의 연결에 또한 장애가 초래되고 전원 인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로기판과 단자가 납땜되지않고 연결되는 편평형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 및 스테이터부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편평형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와 회록기판의 통전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는 편평형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시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부, 그 내부에 상기 로터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전원을 전달하는 스테이터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는 상기 스테이터부의 하부케이스 일측에서 연장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회로기판의 일부가 지지되는 고정지지대; 외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접촉부와 탄성부보다 양측단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통전되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2개의 단자; 상기 단자 각각의 접촉부 및 탄성부가 관통되는 2개의 지지홀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고정지지대를 기구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하여 베이스부와 고정지지대가 결합될 때, 상기 지지홀의 저면 둘레에 의하여 단자의 접합부 양측단이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지지대의 양측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편으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양측단에 상기 고정편과 결착되는 고정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의 상기 단자의 접합부, 고정지지대 및 베이스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홀을 관통하여 리벳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는 로터부(100), 스테이터부(200) 및 베이스부(300)로 구성되는데, 상기 로터부(100)는 코일(130), 편심수단(140) 및 제1회로기판(150)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200)는 상측 케이스(210), 하측 케이스(220), 제2회로기판(230), 브러쉬(240) 및 영구자석(마그넷)(2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00)는 단자(400)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샤프트(110)는 상기 하측 케이스(220)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부(100)가 회전되는 중심축의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110)와 로터부(100) 사이에는 베어링(120)이 위치된다.
상기 제1회로기판(150)은 상기 코일(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정류자(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상기 브러쉬(240)와 접촉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코일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로터부(100)는 상기 스테이터부(200) 내에서 편심 부하를 가지고 회전함으로써 진동력을 발생시킨다. 편심 부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로터부(100)에 편심수단(140; 가령, 수지물로 제작될 수 있음)이 구비되거나 또는 로터부(100)의 형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230)은 상기 베이스부(300)의 단자(400) 및 상기 브러쉬(240)와 통전된다.
상기 영구자석(250)은 도우넛 형태로 상기 코일(130)과 자계 반발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측케이스(220)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부(300)는 2개의 단자(400)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에 전원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베이스부(300), 단자 (400) 및 스테이터부(200)가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터부(200)의 하부케이스 일측으로 고정지지대(222)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300)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지지대(222)는 사각형 판형상으로서 제2회로기판(230)의 노출부(232)가 그 상면으로 위치된다.
상기 단자(400)는 접촉부(410), 탄성부(420) 및 접합부(430)로 구성되며, 2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회로기판(230)의 노출부(232) 상에서 상호대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회로기판(230)의 노출부(232) 상면에 형성된 통전부위(232a)와 결합되고, 상기 접촉부(41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외부의)전원 단자와 접촉된다.
상기 접합부(430)는 접촉부(410)나 탄성부(420)에 비해 넓은 폭을 갖도록 그 양측단이 연장형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420)는 접촉부(410)와 접합부(430)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단자(400)는 탄성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400)는 컨택트 타입 혹은 스프링 타입 등의 다양한 종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00)는 상기 단자 각각이 끼워지는 2개의 지지홀(320)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400)의 탄성부(420) 및 접촉부(410)는 상기 지지홀(320)을 관통하고 그 중 적어도 접촉부(410)는 상기 베이스부(300)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단자(400)의 접합부(430)는, 상기 베이스부(300)의 저면, 더욱 자세하게는 지지홀(320)을 형성하는 둘레에 의하여 그 양측단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300)가 고정지지대(222)에 결합되면, 상기 단자(400)의 접합부(430) 양측단은 지지홀(320)의 둘레에 의하여 눌리게 되고 결국 단자(400)와 제2회로기판(230)은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때, 단자(400)와 제2회로기판(230)이 전기적으로 견고히 접촉되기 위하여 접합부(430)와 제2회로기판(230) 사이에는 전기전달물질이 도포(형성)되어 통전성이 개선될 수 있는데, 가령, 상기 전기전달물질로는 도전성 테잎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테잎은 점착성을 가지며, 금, 은, 구리 등과 같은 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므로 두 구성부를 물리적/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데 유리한 점이 있다. 상기 도전성 테잎으로는 엠보싱형, 동박형, 금형, 은형, 조인셋(joinset)형 등의 테잎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00)의 양측단에는 고정턱(33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대(222)의 양측단에는 상기 고정턱(330)과 대응하는 고정편(22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턱(330) 및 고정편(224)의 개수 및 형태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300) 및 고정지지대(222)의 양측단에 1개씩 형성되고, 사각 형태를 가진다.
상기 고정지지대(222) 상에 제2회로기판(230)의 노출부(232), 단자(400) 및 베이스부(300)가 순차적으로 위치되면 상기 고정편(224)의 끝단부는 상기 고정턱(330)의 상면측으로 꺽여 영구변형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300)와 고정지지대(222)는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부(300)와 고정지지대(222)의 물리적 결합에 더하여 베이스부(300)와 스테이터부(200)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단자(400)는 상기 제2회로기판(230)의 통전부(232a)와 납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통전부(232a)는 주석/납 합금, 금 또는 은 등의 금속 재질로 도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400)의 접합부(430)와 상기 통전부(232a) 사이에는 고밀도 탄소섬유 재질의 복합필름과 같은 전기전도성 물질이 도포됨으로써 통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합부(430)의 저면 상에 형성되는 엠보싱 돌기(430a)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400)의 접합부(430)가 상기 통전부(232a)와 접촉됨에 있어 상기 접합부(430)의 저면에 비평면 구조, 예를 들어 엠보싱 구조 혹은 요철 구조 등을 형성시킴으로써 결합 구조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고정턱(330) 및 고정편(224)의 결착 구조는 기계적인 결착 방식으로서, 다른 결착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가령 리벳형 결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리벳 이음 방식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상기 고정지지대(222) 및 베이스부(300)에는 일렬로 형성된 홀(B)이 상면부터 저면까지 제공되고, 여기에 리벳(A)이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리벳(A)은 상기 고정지지대(222), 제어회로기판(230), 단자(400) 및 베이스부(300)가 순차적으로 위치되면 상기 홀(B)에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부(300)의 저면 측에서 리벳(A)의 단부를 가공하여 베이스부(300)와 고정지지대(222)를 결합시키게 된다.
도 5에서는 베이스부(300)와 고정지지대(222)의 결합에 리벳이음이 사용되었으나 나사 결합 또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편평형 진동모터에 의하면, 기구적인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단자와 회로기판이 안정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납땜으로 인한 베이스부의 변형, 접촉불량, 환경오염 등 각종 폐해를 예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하여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 공정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8)

  1. 회전시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부, 그 내부에 상기 로터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전원을 전달하는 스테이터부를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부의 하측 케이스 일측에서 연장형성되고 하측 케이스에 고정된 회로기판의 일부가 그 상측으로 지지되는 고정지지대;
    외부의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접촉부와 탄성부보다 양측단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통전되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2개의 단자;
    상기 단자 각각의 접촉부 및 탄성부가 관통되는 2개의 지지홀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고정지지대를 기구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하여 베이스부와 고정지지대가 결합될 때, 상기 지지홀의 저면 둘레에 의하여 단자의 접합부 양측단이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편평형 진동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지지대의 양측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편으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양측단에 상기 고정편과 결착되는 고정턱이 형성되는 편평형 진동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접합부, 고정지지대 및 베이스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홀을 관통하여 리벳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저면에 엠보싱 구조가 형성되는 편평형 진동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저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는 편평형 진동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접합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주석/납의 합금, 금 또는 은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로 도금되는 편평형 진동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접촉되는 상기 접합부의 저면에 전기전달물질이 도포되는 편평형 진동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스테이터부는
    결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KR1020050011231A 2005-02-07 2005-02-07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7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231A KR100670541B1 (ko) 2005-02-07 2005-02-07 편평형 진동모터
PCT/KR2006/000394 WO2006083128A1 (en) 2005-02-07 2006-02-03 Flat vibration motor
US11/720,235 US7652401B2 (en) 2005-02-07 2006-02-03 Flat vibration motor
CN2006800010581A CN101053141B (zh) 2005-02-07 2006-02-03 扁平振动马达
JP2007541113A JP2008519684A (ja) 2005-02-07 2006-02-03 偏平型振動モ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231A KR100670541B1 (ko) 2005-02-07 2005-02-07 편평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397A KR20060090397A (ko) 2006-08-10
KR100670541B1 true KR100670541B1 (ko) 2007-01-16

Family

ID=3757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231A KR100670541B1 (ko) 2005-02-07 2005-02-07 편평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0541B1 (ko)
CN (1) CN1010531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1973B2 (ja) * 2009-08-31 2012-05-1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モータ
CN103227548B (zh) * 2013-04-11 2016-04-27 惠州市华阳多媒体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子设备震动马达
KR101614133B1 (ko) * 2013-11-29 2016-04-29 (주)파트론 진동 모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61B1 (ko) 2002-03-22 2004-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61B1 (ko) 2002-03-22 2004-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53141A (zh) 2007-10-10
CN101053141B (zh) 2010-09-15
KR20060090397A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2401B2 (en) Flat vibration motor
JP5318394B2 (ja) 振動モータ
KR100670541B1 (ko) 편평형 진동모터
US20050094842A1 (en) Speak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022321A (ja) モータ用端子及びモータ
JP3844291B2 (ja) ロータ構造とそのロータ構造を組み込んだ扁平型コアレスモータ
KR20090011282A (ko) 편평형 진동 모터
CN200984550Y (zh) 扁平型振动源及电连接器
JP2007215376A (ja) モータ装置、及び携帯装置
JP2002263572A (ja) 振動発生器および携帯電話機
KR102341975B1 (ko) 신호 전송 커넥터용 소켓 조립체
JP4099216B2 (ja) レシーバ等のコネクタ
KR100677033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H0644028Y2 (ja) 基板実装用電池
JP2002165402A (ja) 小型直流モータ部品と同部品の製法及び同部品を用いた小型直流モータ
CN1966162B (zh) 扁平型振动源的电连接器
KR100518116B1 (ko) 마이크로폰 홀더의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1093926B (zh) 扁平型振动源的电连接器
EP2009772A2 (en) Vibration motor
CN101369703B (zh) 扁平型振动源的电连接器
CN1970171B (zh) 扁平型振动源及电连接器
CN101020176B (zh) 扁平型振动源及电连接器
CN1966161B (zh) 扁平型振动源及电连接器
CN1927475B (zh) 扁平型振动源及电连接器
CN1986083B (zh) 扁平型振动源及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