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106B1 -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 Google Patents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106B1
KR100429106B1 KR1020030010627A KR20030010627A KR100429106B1 KR 100429106 B1 KR100429106 B1 KR 100429106B1 KR 1020030010627 A KR1020030010627 A KR 1020030010627A KR 20030010627 A KR20030010627 A KR 20030010627A KR 100429106 B1 KR100429106 B1 KR 100429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ire hose
fire
support fram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진인터내쇼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진인터내쇼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진인터내쇼날
Priority to KR102003001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진화차량에 후미에 탑재되어 화재진화 후 풀려진 소방호스를 자동으로 되감아주도록 하는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재 진압을 위해 불특정방향으로 드럼에서 풀려진 소방호스를 드럼에 정렬시키면서 가지런히 감길 수 있도록, 드럼을 메인프레임에 굴대장착하고, 메인프레임의 상측에는 상기 드럼의 드럼 샤프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프레임을 장착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어 자동으로 좌우 왕복하는 이동대차를 장착하고, 이동대차에는 수평방향으로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브래킷을 굴대 장착시키며, 브래킷에는 소방호스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가이드롤러와 이탈방지롤러를 일체로 장착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는 견인체인을 장착하되 견인체인의 핀 링크 중에 특정 외판을 상기 이동대차에 굴대 설치하여 견인체인의 구동에 의해 이동대차를 좌우 왕복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거리는 드럼이 1회전할 때에 소방호스의 직경만큼 이동하도록 하여 산불 진화 완료된 다음 풀려진 소방호스를 자동으로 되감을 때에 진입가이드롤러는 브래킷이 임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소방호스의 진입이 원활한 방향으로 스스로 돌려져 소방호스를 진입시키고, 이동대차는 드럼의 회전속도와 대응하여 좌우 왕복함으로서 소방호스를 정렬시키면서 되감을 수 있는 산불진화 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 Fire hose automatic rewind device for vehicle putting out a fire }
본 발명은 산불진화차량에 후미에 탑재되어 화재진화 후 풀려진 소방호스를 자동으로 되감아주도록 하는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진압을 위해 불특정방향으로 드럼에서 풀려진 소방호스를 드럼에 정렬시키면서 가지런히 감길 수 있도록, 드럼을 메인프레임에 굴대장착하고, 메인프레임의 상측에는 상기 드럼의 드럼 샤프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프레임을 장착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어 자동으로 좌우 왕복하는 이동대차를 장착하고, 이동대차에는 수평방향으로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브래킷을 굴대 장착시키며, 브래킷에는 소방호스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가이드롤러와 이탈방지롤러를 일체로 장착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는 견인체인을 장착하되 견인체인의 핀 링크 중에 특정 외판을 상기 이동대차에 굴대 설치하여 견인체인의 구동에 의해 이동대차를 좌우 왕복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거리는 드럼이 1회전할 때에 소방호스의 직경만큼 이동하도록 하여 산불 진화 완료된 다음 풀려진 소방호스를 자동으로 되감을 때에 진입가이드롤러는 브래킷이 임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소방호스의 진입이 원활한 방향으로 스스로 돌려져 소방호스를 진입시키고, 이동대차는 드럼의 회전속도와 대응하여 좌우 왕복함으로서 소방호스를 정렬시키면서 되감을 수 있는 산불진화 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단거리 이동시키기 위하여 호스를 사용하는데, 호스를 보다 용이하게 취급하기 위하여 드럼(또는 귄취 릴)에 감아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드럼에 감겨진 호스는 조밀하고 정렬되어 감겨진 상태이어야 신속하게 풀려질 수 있는 것으로, 드럼에 호스를 되감을 때에 세심한 주의를 기우려 감아 주어야 하는 것이다.
즉, 호스가 풀려질 때에 호스가 서로 엉키지 않고 원활하게 풀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체를 이동시켰던 내부가 젖어 있는 것으로 무겁고, 유연성이 떨어져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여 정렬된 상태로 드럼에 되감는 작업이 난해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드럼의 축과 평형한 방향으로 좌우왕복하면서 호스의 진입을 유도하는 작동구를 장착한 호스 되감기 장치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호스 되감기 장치를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프레임(1)의 상측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드럼(4)을 굴대장착하고, 드럼(4)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몸체프레임(1)의 하단일측에 스크루샤프트(5)와 가이드봉(6)을 장착하되, 스크루샤프트(5)의 일측과 상기 드럼(4)의 회전축은 전동요소인 체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드럼(4)의 회전축의 일측에는 감속기(3)와 전동요소인 벨트 등으로 연결하며, 감속기(3)는 구동모터(2)의 구동력을 전달 받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크루샤프트(5)는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동시에 형성하고, 스크루샤프트(5)의 나사부에는 슬라이더(7)를 체결하며, 슬라이더(7)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봉(6)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하고, 슬라이더(7)의 상측에는 가이드 링(8)을 일체로 형성하여 가이드 링(8)에 소방호스(13)를 통과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몸체프레임(1)의 전방에는 지지대(12)를 길게 돌출시켜 장착하고, 지지대(12)의단부에는 호스진입부(9)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호스진입부(9)는 가이드롤러(10)의 축이 세워진 형태로 가이드봉(11)에 굴대 장착하고, 가이드봉(11)은 뒤집어진 U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종래의 호스 되감기 장치는 소방호스(13)를 상기 호스진입부(9)의 가이드롤러(10)를 통과시키고, 상기 슬라이더(7)의 가이드 링(8)을 통과시켜 드럼(4)의 내부 일측에 장착된 고정되는 것이다.
구동모터(2)의 구동에 의해 구동력은 감속기(3)를 통해 드럼(4)과 스크루샤프트(5)에 전달되어 소방호스(13)를 되감기 시작하는데, 이때 스크루샤프트(5)에 체결된 슬라이더(7)는 왼나사 및 오른나사와 체결되어 있는 것으로 스크루샤프트(5)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7)는 좌우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즉 드럼(4)은 계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더(7)는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드럼(4)에는 나선형태로 소방호스(13)를 되감게 되고, 소방호스(13)는 상기 호스진입부(9)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진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스 되감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상기 스크루샤프트(5)에는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동시에 형성한 것으로 그 제작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상기 나선이 정교하게 형성되지 못할 때엔 좌우 양단 쪽에 슬라이더(7)가 위치하여 반전될 때에 반전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방호스(13)가 풀려진 방향은 불특정한 임의의 방향으로서 가이드롤러(10)와 상반된 쪽 예컨대 가이드봉(11)쪽에서 진입할 경우 소방호스(13)와 가이드봉(11)사이에서 마찰이 생기고, 이에 따라 소방호스(13)의 외표면의 마모가 더더욱 심해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소방호스(13)가 원활하게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방호스(13)는 직경은 다소 크고, 유연성이 떨어져, 좌우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7)와 호스진입부(9)사이의 거리가 멀어야만 소방호스(13)를 드럼(4)에 원활하게 감을 있는 것으로 부득이 지지대(12)의 길이가 길어져 전체적으로 부피가 커지고, 호스진입부(9)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물체와 부딪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동력원을 전달받아 소방호스를 감는 드럼을 메인프레임에 굴대장착하고, 메인프레임의 상측에는 상기 드럼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프레임을 장착하며, 지지프레임에는 좌우왕복 이동하는 이동대차를 장착하고, 이동대차에는 전방에 한 쌍의 가이드 롤러를 대향하게 장착하며, 이동대차의 상측에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브래킷을 굴대장착하고, 브래킷에는 진입가이드롤러와 이탈방지롤러를 이격시켜 굴대 장착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에는 견인체인을 장착하되 견인체인의 핀 링크 외판은 상기 이동대차의 배면에 굴대장착하고, 견인체인은 상기 드럼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되, 드럼이 1회전할 때에 소방호스의 직경만큼 이동하도록 하고 좌우 양단부에 다다랐을 때에는 드럼이 1회전하는 동안 제자리에 머무르도록 하여 소방호스를 드럼에 나선형태로 감겨지도록 하되 조밀하게 정렬시켜 감기도록하고, 소방호스는 상기 이동대차의 브래킷을 통해 진입하도록 하여 소방호스의 진입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에서 주요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의 정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몸체프레임 2: 구동모터 3: 감속기
4: 드럼 5: 스크루샤프트 6: 가이드봉
7: 슬라이더 8: 가이드 링 9: 호스진입부
10: 가이드롤러 11: 가이드봉 12: 지지대
13: 소방호스
20: 메인프레임 21: 펌프 22: 동력수단
23: 드럼 24: 회전축 25: 소방호스
26: 지지프레임 27: 통로 28, 29: 스프로킷휠
28a, 30: 축 31: 견인체인 32: 외판
34: 브래킷 35:장착봉 36: 이동대차
37a, 37b: 이동바퀴 38a, 38b: 이동바퀴 39: 장착공
40a, 40b: 가이드롤러 41: 장착편 42: 수평대
43: 베어링 44: 브래킷 45: 중공축
45a: 유통공 46: 진입가이드롤러 47: 이탈방지롤러
50: 방향전환수단 51, 58, 60, 61, 63: 스프로킷휠
52, 59: 체인 54: 가로축 55, 57: 베벨기어
56: 세로축 62: 동력전달체인 64: 동력축
본 발명의 상기목적들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에서 주요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의 정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의 내측에 드럼(23)을 굴대 장착하고, 메인프레임(20)의 뒤쪽에는 통상의 펌프(21)와 동력수단(22)을 구비하여 동력을 드럼(23)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측에는 드럼(23)의 회전축(24)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프레임(26)을 장착하며, 지지프레임(26)에는 상기 드럼(23)에 전달된 동력을 방향전환수단(50)에 의해 전달받아 좌우왕복 이동하는 이동대차(36)를 장착하고, 이동대차(36)에는 360℃회전이 가능한 브래킷(44)을 굴대 장착하여 소방호스(25)를 상기 브래킷(44)을 통해 진입시키고, 드럼(23)과 이동대차(36)의 구동에 의해 드럼(23)의 외면에 나선모양으로 소방호스(25)를 되감도록 한 것이다.
상기 펌프(21)는 통상의 워터펌프로서 차량에 탑재된 물탱크(미도시)에서 물을 흡입하여 소방호스(25)를 통해 진화지 까지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동력수단(22)은 통상의 내연기관엔진 또는 전동 모터 등으로 구성이 가능하고,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이동이 잦은 산불진화차량에 탑재되는 만큼 내연기관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23)은 회전축(24)을 중공축으로 형성하여 회전축(24)의 양 단부를 상기 메인프레임(22)의 양측에 굴대장착하고, 회전축(24)의 일측단부에는 펌프(21)로부터 물을 유입하는 커플러(미도시)를 장착하며, 회전축(24)의 타측단부에는 한 쌍의 스프로킷휠(60)(61)을 이격시켜 장착한 것이다.
상기 스프로킷휠(61)은 상기 동력수단(22)의 동력축(64)에 장착한 스프로킷휠(63)과 동력전달체인(62)으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몸체프레임(20)의 상단에는 양측으로 브래킷(25)을 세워 장착하고, 양 브래킷(25)의 내측에는 지지프레임(26)을 고정 장착하며, 지지프레임(26)의 배면일측에는 방향전화수단(50)을 장착한 것이다.
상기 방향전환수단(5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벨기어(55)(57)를 직각방향으로 굴대 장착한 것으로, 지지프레임(26)의 배면에 가로축(54)을 굴대장착하고, 가로축(54)의 단부에 베벨기어(55)를 장착하며, 상기 베벨기어(55)와 직각방향으로 맞물리는 다른 베벨기어(57)를 세로축(56)의 단부에 장착하고, 세로축(56)은 통상의 축수부(미도시)에 의해 굴대장착하며, 세로축(56)의 외측단부에는 스프로킷휠(58)을 장착하여 상기 드럼(23)의 회전축(24)에 장착한 스프로킷휠(60)과 체인(59)으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6)의 내부 양측에는 각각 축(28a)과 축(30)을 굴대장착하고, 축(28a)(30)의 전방단부에는 스프로킷휠(28)(29)을 고정 장착하며, 일측의 축(30)은 외측단부에 다른 스프로킷휠(51)을 장착하고, 스프로킷휠(51)과 상기 방향전환수단(50)의 가로축(54)에 장착한 스프로킷휠(53)에 체인(52)으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6)의 전방면에는 상기 스프로킷휠(28)과 스프로킷휠(29)의 중심과 동일한 높이에 통로(27)를 형성하고, 스프로킷휠(28)과 스프로킷휠(29)에는 견인체인(31)으로 연결하며, 상기 견인체인(31)은 특정 한 곳 핀 링크의 외판(32)은 내측 방향으로 이중 절곡하여 브래킷(34)을 형성하고, 브래킷(34)의 하단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장착봉(35)을 돌출 형성하며, 장착봉(35)은 상기 통로(27)를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견인체인(31)의 핀 링크 중심에서 장착봉(35)의 중심까지의 거리(ℓ)와 상기 스프로킷휠(28)(29)의 피치원 반경(R)이 동일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이동대차(36)는 배면에 두 쌍의 이동바퀴(37a)(37b)와 이동바퀴(38a)(38b)를 이격시켜 굴대 장착하여, 상기 이동바퀴(37a)(37b)는 지지프레임(26)의 윗면을 따라 굴려지도록 하고, 상기 이동바퀴(38a)(38b)는 지지프레임(26)의 아랫면을 따라 굴려 지도록 하며, 중심부에는 장착공(39)을 형성하여 장착공(39)에 상기 견인체인(31)의 장착봉(35)을 굴대 장착시킨 것이다.
상기 이동대차(36)의 전면에는 한 쌍의 오목한 가이드롤러(40a)(40b)를 굴대장착하고, 한 쌍의 가이드롤러(40a)(40b)의 외측에는 고정편(41)을 장착한 것이다.
상기 이동대차(36)의 상면에는 수평대(42)를 일체로 형성하고, 수평대(42)의 중앙에는 베어링(43)을 장착하며, 베어링(43)에는 브래킷(44)의 중공축(45)을 장착하여, 브래킷(44)은 상기 이동대차(36)에서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굴대 장착하고, 상기 중공축(45)의 유통공(45a)은 상기 한 쌍의 오목한 가이드롤러(40a)(40b)의 간극과 연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브래킷(44)은 저면에 중공축(45)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진입가이드롤러(46)를 굴대장착하며, 진입가이드롤러(46)의 상측에이탈방지롤러(47)를 굴대 장착하여 진입가이드롤러(46)와 이탈방지롤러(47)사이에 소방호스(25)를 통과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소방호스(25)는 상기 브래킷(44)의 진입가이드롤러(46)와 이탈방지롤러(47)사이를 통과하고, 브래킷(44)의 유통공(45a)을 통과하며, 이동대차(36)에 굴대장착한 쌍의 가이드롤러(40a)(40b)사이를 통과하여 드럼(23)의 내측에 장착한 것이고, 드럼(23)의 일측에는 펌프로부터 연결되는 커플러와 연결되어 펌핑된 물을 공급받는 것이다.
먼저 소방호스(25)를 풀어서 진원지로 이끌 때에는 드럼(23)에 구동력이 공지의 클러치 등의 수단에 의해 단절되어 아이들(idle)상태로 자유로이 회전되고 이로서 원활하게 소방호스(25)가 풀려져 나가는 것이다.
이어서 펌프(21)와 동력수단(22)의 구동에 의해 펌핑되어 물은 소방호스(25)를 따라 이동하여 산불이나 그 밖의 화재 등을 진화시키는 것이다.
진화 완료 후 소방호스(25)를 되감을 때에는 펌프(21)에 동력을 단절시키고, 드럼(23)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드럼(23)이 회전하게 되면 아울러 이동대차(36)도 동시에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동력전달은 드럼(23)의 회전축(24)에서 체인(59)으로 연결된 방향전환수단(50)의 세로축(56)을 회전시키게 되고, 세로축(56)과 일체로 구동하는 베벨기어(57)는 맞물려진 다른 베벨기어(55)를 회전시키며, 베벨기어(55)의 구동에 의해 체인(52)으로 연결된 축(30)이 구동되고, 축(30)의 구동에 의해 견인체인(31)이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대차(36)를 견인하는 것이다.
견인체인(31)에 형성한 브래킷(34)이 지지프레임(26)의 양측에 굴대장착 한 스프로킷휠(28)(29)에 다다르면 견인체인(31)은 계속해서 회전 이동하지만 브래킷(34)의 장착봉(35)은 스프로킷휠(28)(29)의 중심부에 위하게 되므로 좌우 어느 쪽으로도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 멈춰져 있는 형태를 유지하고, 반전된 다음에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대차(36)는 좌우 직선왕복 이동하되 좌우측의 반환점에서는 잠시 머무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대차(36)의 이동과 동시에 드럼(23)이 동시에 회전하되 드럼(23)이 1회전할 때에 소방호스(25)의 직경만큼 이동대차(36)가 이동하여 소방호스(25)가 드럼(23)에 나선형태로 정렬되면서 감기는 것이다.
드럼(23)의 좌우측면에 다다랐을 때에는 상기 이동대차(36)가 잠시 머무르게 되고, 이동대차(36)가 잠시 머무르는 동안 드럼(23)은 계속 회전하여 소방호스(25)는 다중으로 겹쳐 감겨지며, 이동대차(36)가 반대쪽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면 이동대차(36)의 이동방향을 따라 계속하여 소방호스(25)를 드럼(23)에 감기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대차(36)는 견인체인(31)에 이끌려 좌우 왕복이동을 하는 동안 이동대차(36)의 상측에 굴대 장착한 브래킷(44)은 임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소방호스(25)가 진입하는 방향을 향해 지속적으로 회전함으로서 소방호스가 더더욱 원활하게 진입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드럼(23)내에 소방호스(25)를 나선형태로 정렬시키면서 조밀하게 감겨지는 것으로 재차 소방호스(25)를 풀어낼 때에 드럼(23)내에서 소방호스(25)자체가 엉키는 폐단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키는 것이다.
상기 방향전환수단(50)에서 한 쌍의 베벨기어(55)(57)로 동력전달 방향을 전환하였지만, 웜과 웜휠 등으로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반드시 베벨기어(55)(57)에 한정하는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는 산불진화차량에 탑재되어 화재 진압 후에 소방호스를 드럼에 정렬시키면서 자동으로 되감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는 좌우 전후방향의 폭이 좁게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소형트럭에 탑재가 용이하여 산불진화 및 대형 소방차가 진입할 수 없는 좁은 골목길 등에 용이하게 진입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드럼에 소방호스를 감는 것에 있어서 드럼의 양측부에 소방호스가 감길 때에 이동대차가 잠시 머무르도록 함으로서 드럼의 양 내측에 소방호스를 다중으로 견실하게 감을 수 있는 것이고, 드럼의 1회전에 이동대차의 이동거리를 소방호스의 직경만큼 이동시킴으로서 나선형태로 조밀하고 견실하게 소방호스를 감을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정렬되어 감겨진 소방호스는 풀려질 때에 엉킴 없이 원활하게 풀려져 나가는 것이다.
또한 이동대차의 상면에 굴대 장착한 브래킷은 임의 방향으로 자유자재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소방호스를 감을 때 소방호스의 진입방향 쪽으로 자동으로 회전함으로서 더더욱 소방호스를 원활하게 되감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서처럼 스크루샤프트에 왼나사 및 오른나사를 동시에 가공하지 않고도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체인을 변형시킴으로서 보다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2)

  1. 몸체프레임(20)에 드럼(23)을 굴대장착하고, 드럼(23)의 회전축(24)의 일측에는 펌프(21)와 연결하는 커플러(미도시)를 일체로 장착하며, 동력수단(22)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을 드럼(23)에 전달하여 드럼(23)의 회전에 의해 소방호스(25)를 당기면서 감기도록 하는 소방호스 되감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20)의 상단에 장착하되 상기 드럼(23)의 회전축(24)과 평행한 방향으로 장착하고, 전면에는 통로(27)를 형성하며, 내부의 좌우양측에는 스프로킷휠(28)(29)을 축(28a)(30)에 굴대 장착한 지지프레임(26)과,
    상기 지지프레임(26)의 양 스프로킷휠(28)(29)에 연결하되, 특정한 핀 링크의 외판(32)은 내측방향으로 브래킷(34)을 형성하고, 브래킷(34)의 하단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장착봉(35)을 형성한 견인체인(31)과,
    상기 지지프레임(26)의 윗면과 아랫면에 결착하도록 배면에 두 쌍의 이동바퀴(37a)(37b)와 이동바퀴(38a)(38b)를 이격시켜 굴대장착하고, 배면의 중앙에 장착공(39)을 형성하여 상기 견인체인(31)의 장착봉(35)을 굴대장착하며, 전면에는 좌우측으로 한 쌍의 오목한 가이드롤러(40a)(40b)를 굴대장착하고, 상면에 수평대(42)를 일체로 형성하며, 수평대(42)의 중앙에 베어링(43)을 장착한 이동대차(36)와,
    상기 이동대차(36)의 베어링(43)에 장착하도록 저면에 중공축(45)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진입가이드롤러(46)를 굴대장착하며, 진입가이드롤러(46)의 상측으로 이격시켜 이탈방지롤러(47)를 굴대 장착한 브래킷(44), 및
    상기 지지프레임(26)의 배면일측에 장착하여 상기 드럼(23)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베벨기어(55)(57)조합에 의해 90°방향 전환하여 견인체인(31)에 전달하는 방향전환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체인(31)의 외판(32)은,
    상기 견인체인(31)의 핀 링크 중심에서 장착봉(35)의 중심까지의 거리(ι)와 상기 스프로킷휠(28)(29)의 피치원 반경(R)이 동일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KR1020030010627A 2003-02-20 2003-02-20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KR100429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627A KR100429106B1 (ko) 2003-02-20 2003-02-20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627A KR100429106B1 (ko) 2003-02-20 2003-02-20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037U Division KR200313982Y1 (ko) 2003-02-20 2003-02-20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9106B1 true KR100429106B1 (ko) 2004-05-03

Family

ID=3733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627A KR100429106B1 (ko) 2003-02-20 2003-02-20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10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2534A (zh) * 2010-10-29 2011-02-16 张建明 手摇式消防水带回收装置
KR101153444B1 (ko) * 2009-08-28 2012-06-27 대한민국 산불진화용 차량의 소방호스보호커버
WO2012087159A1 (en) * 2010-12-22 2012-06-28 Fraser Fire & Rescue Limited Improvements in hose reels
CN106185476A (zh) * 2016-07-22 2016-12-07 黄振灵 一种便携式消防水带收卷机
CN108892009A (zh) * 2018-08-14 2018-11-2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一种主动式自动排线机构及具有该机构的绞盘
KR102168307B1 (ko) 2019-05-07 2020-10-21 박종민 산불 진화용 호스 견인 기구
CN112203728A (zh) * 2018-05-25 2021-01-08 芦森工业株式会社 排水机
CN112957645A (zh) * 2021-02-05 2021-06-15 益阳市消防救援支队 一种消防水带运输铺设装置
CN113428742A (zh) * 2021-06-15 2021-09-24 北京国电富通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柔性带收放机构
WO2023281134A1 (es) * 2021-07-07 2023-01-12 Antonio Rico Villena Dispositivo de extinción y contención de incendios forestale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444B1 (ko) * 2009-08-28 2012-06-27 대한민국 산불진화용 차량의 소방호스보호커버
CN101972534A (zh) * 2010-10-29 2011-02-16 张建明 手摇式消防水带回收装置
WO2012087159A1 (en) * 2010-12-22 2012-06-28 Fraser Fire & Rescue Limited Improvements in hose reels
US8807157B2 (en) 2010-12-22 2014-08-19 Fraser Fire & Rescure Limited Hose reels
CN106185476A (zh) * 2016-07-22 2016-12-07 黄振灵 一种便携式消防水带收卷机
US11602652B2 (en) 2018-05-25 2023-03-14 Ashimori Industry Co., Ltd. Water-discharging machine
CN112203728A (zh) * 2018-05-25 2021-01-08 芦森工业株式会社 排水机
CN108892009A (zh) * 2018-08-14 2018-11-2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一种主动式自动排线机构及具有该机构的绞盘
KR102168307B1 (ko) 2019-05-07 2020-10-21 박종민 산불 진화용 호스 견인 기구
CN112957645B (zh) * 2021-02-05 2022-01-04 益阳市消防救援支队 一种消防水带运输铺设装置
CN112957645A (zh) * 2021-02-05 2021-06-15 益阳市消防救援支队 一种消防水带运输铺设装置
CN113428742A (zh) * 2021-06-15 2021-09-24 北京国电富通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柔性带收放机构
WO2023281134A1 (es) * 2021-07-07 2023-01-12 Antonio Rico Villena Dispositivo de extinción y contención de incendios forestales
ES2932419A1 (es) * 2021-07-07 2023-01-18 Villena Antonio Rico Dispositivo de extincion y contencion de incendios foresta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106B1 (ko)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US7617840B1 (en) Self packing non leak hose storage system
CN101621194A (zh) 一种电缆缠绕装置
CN102530658B (zh) 排缆装置
KR200313982Y1 (ko) 산불진화차량용 소방호스 자동 되감기 장치
CN220115938U (zh) 电缆卷线机构
RU161996U1 (ru) Механизм навивки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навивки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на носитель
CN215710843U (zh) 一种用于疏通车的自动排管卷管装置
KR101627225B1 (ko) 호스 권취 장치
CN202414900U (zh) 排缆装置
US4022047A (en) Hose reel for piercer and reeler outlet tables
JP3580422B2 (ja) 索状体の巻き取り装置
CN218931340U (zh) 一种同步收放的液压软管卷盘
KR200348966Y1 (ko) 멀티 텐셔너
CN217344056U (zh) 一种光纤收放装置及激光切管机
CN216660085U (zh) 一种全功能内外管道攀爬机器人
CN219971318U (zh) 井下旧料收卷装置
JP2915688B2 (ja) 管内移動機器台車の位置決め装置
JPS5830862B2 (ja) 長尺物送出装置
CN215710700U (zh) 一种带有防缠绕功能的钢丝绳收卷装置
CN117623016B (zh) 一种自动收放线排线机构
CN219553585U (zh) 一种用于晶圆贴膜机的换膜机构
CN220844972U (zh) 一种多功能绞磨自动收线尾架
CN112938630A (zh) 一种智能快速的自动卷管装置
CN111453556A (zh) 摆动式出线抗弯折连接机构及基于该连接机构的系留缆收放线绞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