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887B1 - 구동기계의출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구동기계의출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887B1
KR100426887B1 KR1019970708553A KR19970708553A KR100426887B1 KR 100426887 B1 KR100426887 B1 KR 100426887B1 KR 1019970708553 A KR1019970708553 A KR 1019970708553A KR 19970708553 A KR19970708553 A KR 19970708553A KR 100426887 B1 KR100426887 B1 KR 10042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topper
transmission
drive machine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074A (ko
Inventor
엑카드 레이링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2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7Safety-related asp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종래에는 조절 구동 장치가 고장난 때에, 트로틀 밸브가 긴급 운전 위치에 달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부가적인 스프링이 필요하게 되었다.
제안된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조절 구동 장치(16)가 고장난 때에 한편 스프링(8)이 트로틀 밸브(4d)를 2 개의 종단 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급운전 위치에 보존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2 개의 스프링 결합부(31, 32)와 중간부재 사이의 각종의 다른 크기의 전달비(6a, 6b)에 의해 달성된다. 이 때문에 부가적인 스프링은 필요치 않다.
이 제어장치는 트로틀 밸브식 내연기관을 구비한 차량을 위해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구동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공지의 제어 장치(국제 특허출원 WO 88/02064)에 있어서는 구동기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 부재는 트로틀 밸브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 이 조절 부재는 조절 구동 장치에 의해 조절할 수가 있다. 조절 구동 장치가 고장난 때 혹은 조절 구동 장치가 차단된 때에 조절 부재는 비작업 위치에 위치한다. 이 비작업 위치는 구동기계의 긴급 운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공지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조절 부재를 흡기 통로의 폐쇄 방향으로 부하하는 되돌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긴급용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제 2 의 스프링은 조절 부재가 비작업 위치에 달할 때까지 조절 부재를 개방 방향으로 부하한다. 제 2 스프링이 맞대이는 스토퍼에 의해 제 2 스프링이 조절 부재를 비작업 위치에 부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지의 제어 장치는 부가적으로 강한 스프링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공지의 제어 장치의 제조 비용 및 구조적인 크기는 불합리한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에 기재한 구동기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택된 유리한 실시예는 도면에 간단하게 도시되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6는 각종으로 다른 실시예의 상징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4, 도 5 및 도 7, 도 8는 각종의 다른 실시예의 다른 상세하고 또다른 방향으로 본 도면.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를 갖춘 구동기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장치는 스프링 장치가 조절 부재를 제 1 종단 위치의 방향으로도 또 제 2 종단 위치의 방향으로도 2개의 종단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비작업 위치에 조절할 수가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이것은 필요한 스프링 수를 감소시켜 이에 따라 제조 비용 및 필요한 구조적 크기는 유리한 형식으로 명백하게 감소된다.
종속 청구항에 기재한 수단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한 제어 장치의 유리한 변화 실시예 및 개량이 가능하다.
조절 부재와 중간 부재가 회전가능 혹은 선회 가능하게 받쳐져 있어 스프링 장치의 작용이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으면 곡률 반경을 간단하게 맞추므로서 유리한 형식으로 스프링 장치의 작용을 매우 간단하게 맞출 수가 있다.
전동 장치가 조절 부재와 중간 부재 혹은 치차 사이에서 전동 장치를 갖추고 있어 이 경우 이 전동 장치단이 조절 부재의 회전수를 중간 부재 혹은 중간 치차의 방향에서 커지도록 되어 있으면 이 전달비는 유리한 형식으로 조절 구동 장치의 회전수의 전동 장치의 일부로서 조절 부재의 각 속도로 이용할 수가 있다.
제 2 스프링 결합부 혹은 상응하게 형성된 제 2 스프링 결합부를 형성하는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끝 부분이 비작업 위치에서 비작업 위치 스토퍼에 맞대이면 이에 의해 유리한 형식으로 필요한 구성 부재의 수를 더욱 감소시킬 수가 있다.
비작업 위치 스토퍼가 조절 부재의 조절을 규정하는 경우에 구동기계가 긴급 운전시에 작업하는 위치에 조절 부재가 있도록 비작업 위치가 규정되어 있으면 조절 구동 장치가 고장난 때에도 구동 기계의 긴급 운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구동 기계가 장시간 차단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트로틀 밸브는 가스 통로에 고착되는 일은 없다.
조절 구동 장치가 중간 부재를 거쳐서 조절 부재에 결합되어 있으면 조절 구동 장치에서 조절 부재로 향해서 회전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중간 부재와 조절 부재 사이의 전동 장치단을 함께 이용할 수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
스프링 장치가 트로틀 밸브를 축방향으로 죄이는데 함께 이용하도록 되어 있으면 필요한 구성 부재의 수를 부가적으로 명백하게 감소시킬 수가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장치는 구동 기계의 출력을 제어하려는 각 구동 기계에 있어서 사용할 수가 있다. 구동 기계는 일정값으로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예를 들자면 자주식(自走式)의 기계 즉 차량으로 좋다. 구동 기계는 예를 들자면 공기 통로를 구비한 오토(otto) 기관이다. 이 경우 조절 부재는 예를 들자면 트로틀 밸브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 이 구동 기계는 디젤 엔진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 구동 기계의 조절부재는 분사 펌프의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레버이다. 이 구동 기계는 전동기라도 좋다. 전동기인 경우에는 조절 부재는 예를 들자면 전동기로의 급전을 바꿀 수가 있는 레버이다.
다음에 설명하는 도시하는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간략화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장치는 오토 기관을 구비한 차량에 내장되어 있는 것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특별히 선택된 제 1 의 실시예의 상징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1에는 가스 통로(2), 조절부재(4), 조절 레벌(4a), 전달비 혹은 전동 장치(6), 스프링(8a)을 구비하는 스프링 장치(8), 스토퍼 부재(12), 치차 전동 장치(14), 조절구동 장치(16), 전기도선(18), 비작업 위치 스토퍼(20), 제 1 종단 스토퍼(21), 제 2 종단 스토퍼(22)가 도시되어 있다.
가스 통로(2)는 예를 들자면 도시되지 아니한 에어 필터에서 도시하지 아니한 구동 기계의 연소실에 통하고 있다. 예를 들자면 공기 또는 연료 · 공기 혼합 가스가 가스 통로(2)를 통해서 흐른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절부재(4)가 슬라이더(4b)의 형상을 갖고 있다. 슬라이더(4b)에 의해 가스 통로(2)의 자유횡 단부면은 많거나 적거나 개방된다.
도면에는 화살표(24)와 이 화살표(24)의 역 방향의 화살표(26)가 표시되어 있다. 유리하게 선택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절부재(4)를 화살표(24) 방향에서 조절하는 것은 가스 통로(2)를 통과하는 자유로운 횡단면이 확대되고 구동 기계에 의해 요구된 출력이 증대되는 것을 의미한다. 화살표(26) 방향에서 조절하는 것은 구동기계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조절 구동 장치(16)는 예를 들자면 전동기 유리하게는 고속 회전하는 직류 전동기이다. 조절 구동 장치(16)는 중간 부재(10)와 조절 레버(4a) 및 슬라이더(4b)를 구비한 조절 부재(4)를 조절 레버(4a)가 케이싱 고정된 제 2 종단 위치 스토퍼(22)에 맞대일 때 까지 화살표(24) 방향으로 조절할 수가 있고 또 슬라이더(4b)가 케이싱 고정된 제 1 종단 위치 스토퍼(21)에 맞대일 때 까지 화살표 방향(26)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스프링 장치(8)의 스프링(8a)은 제 1 스프링 결합 부분(31)을 거쳐서 조절 부재(4)의 조절 레버(4a)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제 2 스프링 결합 부분(32)을 거쳐서 스토퍼 부재(12)에 결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 장치(6)는 제 1 전동 장치단(6a)과 제 2 전동 장치단(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2)와 중간 부재(10) 사이에는 제 2 전동 장치(6b)의 영역내에서 제 2 스프링 결합부분(32)과 효과적으로 배속된 스토퍼(32b)와 중간 부재(10)에 효과적으로 배속된 스토퍼(10b)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2)에는 꼭같이 제 2 스프링 결합부분(32)에 효과적으로 배속된 별도의 스토퍼(32a)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2)는 스토퍼(32a)에서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맞대인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동인 부분은 직선 형상의 운동을 할 수가있다. 그러나 조절 레버(4a)를 구비한 조절 부재(4)와 중간 부재(10)와 스토퍼 부재(12)는 회전 가능 혹은 선회가 가능하게 받혀져 있어서 좋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부분은 회전이 가능하게 받쳐져 있는 것으로 한다.
제 1 전동 장치단(6a)은 조절 부재(4)에 서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된 조절 레버(4a)의 회전수를 중간 부재(10)의 회전수로 변속한다. 제 1 의 전동 장치단(6a)은 예를 들자면 조절 레버(4a)가 1 각도 단위(예를 들자면 1° )만큼 회전하였을 때에 중간 부재(10)가 4각도 단위(예를 들자면 4° )만큼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조절 부재(4)에서 중간 부재(10)로의 회전수의 전달비는 1 대 4(1:4)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 장치단(6a)에 의해 토크는 중간 부재(10)에 작용하는 토크가 스프링 장치(8)에 의해 조절 부재(4)에 작용하는 토크의 4분의 1(1/4)로 되도록 바뀐다. 즉 조절 부재(4)에서 중간 부재(10)로의 토크의 전달비는 4 대 1(4:1)로 된다. 환언하면 스프링 장치(8)는 제 1 의 스프링 결합부(31)를 거쳐서 화살표(26) 방향에서 중간 부재(10)에 작용하여 이 경우 중간 부재(10)에 작용하는 스프링 장치(8)의 토크는 제 1 의 전동 장치단(6a)에 의해 75퍼센트(75%)에서 25퍼센트(25%)로 감소된다.
제 2 의 전동 장치단(6b)는 예를 들자면 제 2 의 전동 장치단(6b)이 스토퍼 부재(12)의 4각도 단위(예를 들자면 4° )의 선회 운동을 중간 부재(10)의 7각도 단위(예를 들자면 7° )의 선회 운동으로 바꾸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화살표 24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장치(8)의 토크가 스프링 결합 부분(32)과 스토퍼부재(12)와 스토퍼(32b)와 스토퍼(10b)를 거쳐서 중간 부재(10)에서 57퍼센트(4/7=0.57 혹은 57%)로 감소되어서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장치(8)는 스토퍼 부재(12)가 그 스토퍼(32a)에 의해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서 들어올려진 동안은 제 2 의 스프링 결합 부분(32)을 거쳐서 57퍼센트(57%)만큼 중간 부재(10)에 작용한다.
조절 구동 장치(16)에 급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곧 조절 구동 장치(16)에 의해 토크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스토퍼 부재(12)의 스토퍼(32a)는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위치하고 스토퍼(10b)는 스토퍼(32b)에 위치한다. 또 조절 부재(4)는 별도의 가동 부분과 같이 비작업 위치에 위치한다. 이 비작업 위치는 제 1 종단 위치 스토퍼(21)와 제 2 종단 위치 스토퍼(22)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면은 별도의 가동 부재와 같이 조절 부재(4)의 비작업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비작업 위치에서 조절 구동 장치(16)는 조절 부재(4)를 화살표(24) 방향에서 종단 위치 스토퍼(22)까지 즉 조절 레버(4a)가 제 2 종단 위치 스토퍼(22)에 맞대일 때까지 조절하여 또 화살표(2b) 방향에서 종단 위치 스토퍼(21)까지 즉 슬라이더(4b)(트로틀 밸브라도 좋다)가 제 1 종단 위치 스토퍼(21)에 맞대일 때까지 조절한다.
조절 부재(4)가 도 1에서 도시한 비작업 위치에서 좌측에 있으면 스토퍼 부재(12)는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서 들어올려지고 스프링 장치(8)는 제 2 의 스프링 결합 부분(32)을 거쳐서 화살표(24) 방향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예로서 계산된 본래의 토크의 57퍼센트(57%)만이 중간 부재(10)에 작용한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스프링 장치(8)는 제 1 의 스프링 결합 부분(31)을 거쳐서 화살표(26) 방향에서 본래의 토크의 25퍼센트(25%)만이 중간 부재(10)에 작용하므로 화살표(24) 방향으로 작용하는 토크가 중간 부재(10)에 과잉으로 작용한다. 예로서 들어진 전달비에 의해 그 결과로서 생기는 토크는 스프링 장치(8)에 의해 생겨진 토크의 32퍼센트(57%-25%=32%)만이 화살표(24)방향에서 중간 부재(10)에 작용한다.
조절 부재(4)가 도 1에 도시된 비작업 위치에서 두 측에 위치하면 스토퍼 부재(12)는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맞대이고 스토퍼(10b)는 스토퍼(32b)에서 들어올린다. 조절 부재(4)의 이 위치에서 제 2 의 스프링 결합 부분(32)이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받쳐지므로 제 1 의 스프링 결합 부분(31)만이 화살표(26) 방향에서 중간 부재(10)에 25퍼센트(25%) 작용한다.
조절 구동 장치(16)에 전기 도선(18)을 거쳐서 급전되면 전기식의 조절 구동 장치(16)는 치차 전동 장치(14)와 중간 부재(10)와 전동 장치단(6a)과 조절 레버(4a)를 거쳐서 조절 부재(4)를 도시한 위치에서 화살표(26)(좌 방향)에도 또 화살표(24)(우쪽 방향)에도 조절 부재(4)가 제 1 종단 위치 스토퍼(21)에 또는 제 2의 종단 위치 스토퍼(22)에 맞대일 때 까지 조절할 수가 있다.
조절 부재(4)가 도 1에 도시한 비작업 위치로서 조절 구동 장치(16)가 차단되면 스프링 장치(8)는 중간 부재(10)를 화살표(24) 방향에서 스토퍼(32a)가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맞대일 때 까지 조절된다. 이때에 전동 장치단(6a)을 거쳐서 조절부재(4)는 비작업 위치까지 함께 조절된다.
조절 구동 장치(16)가 조절 부재(4)를 도 1에 도시한 비작업 위치에서 우측방향으로 조절하여 이어서 조절 구동 장치(16)가 차단되거나 또는 고장으로 작용할 수 없게 되면 스프링 장치(8)는 스토퍼(10b)가 스토퍼(32b)에 맞대여서 조절 부재(4)다 다시 도 1에 도시한 비작업위치를 점할 때 까지 조절 부재(4)를 화살표(26)방향(좌측 방향)으로 조절한다.
중간 부재(10)의 운동에 의해 조절 부재(4)의 상응하는 운동이 생겨진다. 조절 부재(4)의 운동은 전동 장치단(6a)을 거쳐서 중간 부재(10)의 운동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전동 장치단(6a)에 의해 조절 부재(4)의 운동과 조절 부재(10)의 운동 사이의 전달비가 얻어진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별도의 실시예에 의한 선택된 가능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재 또는 같은 작용을 갖춘 부재에는 같은 부호가 붙여져 있다. 반대 사실에 관해서 아무것도 기술하지 아니하였거나 혹은 도면에 기재되어 있지 아니하면 도면에 관한 설명 및 도시된 것으로 별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해당된다. 설명되지 아니한 각종 다른 실시예의 상세한 것은 서로 조합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토퍼 부재(12)의 운동이 각도적으로 같은 크기의 운동을 중간 부재(10)에 전달한다. 바꾸어 말하자면 도 2 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의 전동 장치(6b)로 스토퍼 부재(12)의 선회 운동이 1대 1로 중간 부재(10)의 선회 운동에 전달된다. 따라서 도 2의 개략적인 도면에 있어서는 전동 장치단(6b)에 관해서 도 1에 도시된 테두리는 도시되지 아니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 장치(6)의 제 1 의 전동 장치단(6a)은 예를 들자면 조절 레버(4a)의 2각도 단위(예를 들자면 2° )의 선회 운동이 중간 부재(10)의 5 각도 단위(예를 들자면 5° )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 부재(4)가 도 2에 도시된 비작업 위치의 좌측에 있을 때에는 스프링 장치(8)는 제 2 의 전동 장치단(6b)에 있어서 1 대 1의 전달비를 위해 화살표(24)방향의 감소되지 아니한 토크를 수반하여 중간 부재(10)에 작용하고 또 제 1 의 스프링 결합 부분(31)을 거쳐서 화살표(26) 방향에서 제 1 의 전동 장치단(6a)에 있어서 전달비를 위해 스프링 장치(8)에 의해 생겨진 토크의 40%(2/5=0.4 혹은 40%)가 작용한다. 따라서 중간 부재(10)는 스프링 장치(8)에 의해 생겨진 토크의 60%를 수반해서 화살표(24) 방향에서 스토퍼 부재(12)가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맞대일때까지 이동되어진다. 비 작업 위치의 우측에서는 중간 부재(10)과 화살표(26) 방향에서 스프링 장치(8)에 의해 생겨진 토크의 40%를 수반해서 부하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장치의 별도의 유리한 선택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절 레버(4a)와 중간부재(10) 사이의 회전수의 변환은 생략된다. 제 1 의 전동 장치단(6a)은 조절부재(4)의 선회운동 혹은 회전 운동이 같은 크기의 선회 운동 혹은 회전 운동에 즉 1 대 1 로 중간부재(10)에 전달된다. 도 3 에는 도 1 에서 방형의 상자로서 도시된 제 1 의 전동장치단(6a)이 도시된 방형의 치형부로 바뀌어 놓여져 있다. 이 방형의 치형부는 조절 부재(4)와 중간부재(10)가 서로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1 대 1 의 전달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상징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동장치(6)의 전동 장치단(6b)은 예를들자면 스토퍼 부재(12)의 회전 운동이 2 각도 단위(예를들자면 2° ) 중간부재(10)의 회전 운동이 1 각도 단위(예를들자면 1°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스프링 장치(8)는 제 2 이 스프링 결합부분(32)을 거쳐서 중간부재(10)에 스프링 장치(8)에 의해 생긴 토크의 200 퍼센트(200%)를 수반해서 작용한다(우측 방향으로). 좌측 방향에는 스프링 장치(8)가 제 1 의 스프링 결합부분(31)을 거쳐서 100 퍼센트(100%)의 토크를 수반하여 중간부재(10)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조절부재(4)가 도 3 에서 좌측에 도시된 비작업 위치에 있을 때에 중간 부재(10)가 스프링 장치(8)에 의해 스토퍼(32a)가 비작업 위치(20)에 맞대일 때까지 화살표(24) 방향에서 100 퍼센트(200%-100%=100%)로 부하되도록 되어 있다. 비작업 위치의 우측에는 중간 부재(10)가 스프링 장치(8)에 의해 생긴 토크의 100 퍼센트(100%)를 수반해서 화살표(26) 방향에서 부하된다.
도 4 및 도 5 에는 도 1 에서 상징적으로 도시된 실시예가 실제로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대한 상세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절부재(4)는 트로틀 밸브(4d)와 트로틀 밸브축(4w)을 갖추고 있다. 트로틀 밸브(4d)는 고정나사(4s)를 거쳐서 트로틀 밸브축(4w)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치형부가 부착된 세그멘트(4z)는 트로틀 밸브축(4w)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트로틀 밸브(4d)와 트로틀 밸브축(4w)과 치형부가 부착된 세그멘트(4z)는 도 1 에 도시된 조절 레버(4a) 및 이 조절 레버(4a)에 고정된 슬라이더(4b)와 같은 작용을 갖추고 있다.
도 4 에는 케이스(36)가 도시되어 있다. 이 케이스(36)는 유리하게는 트로틀 밸브 슬리브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 트로틀 밸브 슬리브로서 작용한다. 케이스(36)에는 전동 장치실(36r)이 형성되어 있다. 전동 장치실(36r)은 커버(36d)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커버(36d)는 케이스(36)에 속한다.
트로틀 밸브축(4w)은 베어링(34)을 거쳐서 케이스(36)내에서 회전가능 혹은 선회 가능하게 받쳐져 있다. 트로틀 밸브축(4w)은 회전축선(4x)을 갖추고 있다. 케이스(36)내에는 베어링(34)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 절삭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34)의 지름은 베어링(34)이 회전 절삭부(36a)내에 밀어 넣어졌을 때에 케이스(36)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회전 절삭부(36a)에 맞추어져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34)은 트로틀 밸브축(4w)을 반경 방향에서도 축방향에서도 보존할 수가 있다. 베어링(34)은 예를 들자면 미끄럼 베어링이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 부재(10)는 큰 곡률 반경을 갖춘 제 1 의 치형부(10g)와 작은 곡률 반경을 갖춘 제 2의 치형부(10k)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부재(10)는 케이스(36)에 견고히 결합된 축(38)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받쳐져 있다.
트로틀 밸브축(4w)에 견고하게 결합된 치형부가 이 부착된 세그멘트(4z)는 겉 치형부(4k)를 갖추고 있다. 트로틀 밸브(4d)의 조절은 일반적으로 90° 로 충분하므로 겉 치형부(4k)는 일반적으로 약 110° 의 원호 각도로서 서로 설치하면 충분하다.
스토퍼 부재(12)는 관통구멍(12d)을 갖추고 있다. 스토퍼 부재(12)는 관통구멍(12d)에 의해 트로틀 밸브축(4w)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받쳐져 있다.
스프링 장치(8)는 코일 형상으로 감겨진 토오션 스프링 혹은 비틀림 스프링(8d)을 갖추고 있다. 스프링 장치(8)의 비틀림 스프링(8d)은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에 걸어맞추는 제 1 의 스프링 끝 부분(8e)과 스토퍼 부재(12)에 걸어 맞추는 제 2 의 스프링 끝 부분(8f)을 갖추고 있다. 스프링 끝 부분(8e)이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에 걸어맞추는 곳에서는 제 1 의 스프링 결합부분(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 2 의 스프링 끝 부분(8f)이 스토퍼 부재(12)에 걸어지는 곳에서는 제 2 의 스프링 결합부분(32)이 존재한다. 스프링 장치(8)는 스프링 끝 부분(8e 및 8f)을 거쳐서 조절부재(4)의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 및 스토퍼 부재(12)에 토크를 가한다.
스프링 장치(8)는 1 개만의 비틀림 스프링(8d) 대신으로 2 개 또는 3 개 혹은 그 이상의 개별 스프링을 갖추고 있어도 좋다. 이들 다수의 스프링은 이들의 스프링중 1 개가 고장난 때에 나머지의 스프링이 조절부재(4)를 비작업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충분한 스프링력을 갖추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동 장치실(36r)내에는 특히 중간 부재(10)와 스토퍼 부재(12)와 스프링 장치(8)와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와 각도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각도 센서(40)의 일부는 커버(36d)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각도센서(40)의 일부는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2)에 설치되어 있다. 각도 센서(40)는 트로틀 밸브(4d)의 그때 마다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스프링 장치(8)는 스프링 결합부분(31) 및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를 거쳐서 회전 축선(4x)을 중심으로 한 토크를 조절 부재(4)에 전달하여 그것과는 역 방향의 토크를 제 2 의 스프링 결합 부분(32)을 거쳐서 스토퍼 부재(12)에 전달한다. 비틀림 스프링(8d)의 길이는 스프링 장치(8)가 토크에 부가적인 힘을 회전축선(4x)에 대해서 축방향에서 생기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힘은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와 스토퍼 부재(12)를 축 방향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스토퍼 부재(12)는 케이스(36)내에 강하게 떠밀려진 베어링(34)에 대해서 축방향에서 떠밀려진다(도 4 에 좌측방향으로). 그와 동시에 스프링 장치(8)는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를 거쳐서 트로틀 밸브축(4w)을 우측 방향으로 밀어준다. 트로틀 밸브축(4w)에 작용하는 스프링 장치(8)의 이 축방향력을 보상하기 위해 트로틀 밸브축(4w)에는 오목부(4e)가 설치되어 있고 이 오목부(4e)내에 고정 원판(34a)이 삽입되어 있다. 고정원판(34a)은 한편에서는 오목부(4e)의 가장 자리에서 받쳐져 있어 다른 편에서는 스프링 장치(8)에 의해 축방향에서 베어링(34)으로 향해서 밀쳐져 있다(도 4 에서 우측 방향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34)은 케이스(36)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 장치(8)에 의해 생겨진 축방향의 프리로드(혹은 예비하중)에 의해 트로틀 밸브(4d)는 축방향에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실시예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장치(8)는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하고 또 트로틀 밸브(4d)를 가스 통로(2)에 대해서 축 방향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화살표 V 방향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커버(36d) 및 케이스(36)는 도시되지 아니하였다. 도 5에는 케이스(36)중의 케이스(36)에 일체로 성형된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와 같이 케이스(36)에 일체로 성형된 종단 위치 스토퍼(21, 22)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에 설치된 스토퍼가 케이스 고정된 제 2 종단 위치 스토퍼(22)에 맞대일 때에 조절부재(4)의 조절 운동이 화살표(24) 방향에서 제한된다. 화살표(26) 방향에서의 조절부재(3)의 회전운동은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에 설치된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다. 이 스토퍼는 케이싱 고정된 제 2 종단위치 스토퍼(21)에 맞대일 수가 있다. 그러나 트로틀 밸브(4d)(도 4)가 가스통로(2)내에서 선회하므로서 조절부재(4)의 선회 운동을 화살표(26) 방향에서 제한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해서 도 1 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로틀 밸브(4d)에 해당하는 슬라이더(4b)가 화살표(26) 방향에서 운동할 때에 제 1 종단위치 스토퍼(21)가 설치되어 있는 가스통로(2)에 맞대인다.
트로틀 밸브(4d)에 결합된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가 화살표(26) 방향(도 5)에서 회전되면 가스통로(2)(도 4)는 폐쇄되고 구동기계의 출력은 저하된다.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가 화살표(24) 방향에서 회전하면 가스통로(2)는 개방되고 구동 기계의 출력은 증대한다.
전기식의 조절 구동 장치(16)는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도 5) 또는 슬라이드(4b)(도 1) 또는 트로틀 밸브(4d)가 제 1 종단 위치 스토퍼(21)에 맞대일 때까지 중간부재(10)를 거쳐서 조절부재(4)의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를 화살표(26)방향에서 조절할 수가 있다. 역방향(화살표(24))에서는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z)가 제 2 종단 위치 스토퍼(22)에 맞대일때까지(도5) 조절 구동 장치(16)는 조절 부재(4)를 회전시킬 수가 있다. 제어 장치는 유리하게는 조절 부재(4)가 제 1 종단위치 스토퍼(21)에 있을 때에 구동 기계가 최소 출력으로 작업하고 조절 부재(4)가 제 2 종단위치 스토퍼(22)에 있을 때에 구동 기계가 최대 출력으로 작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스프링 장치(8)는 제 1 의 스프링 결합부분(31) 및 겉 치형부(4k)를 거쳐서 중간부재(10)에 작용하고 그와 동시에 스프링 장치(8)는 제 2 의 스프링 결합부분(32) 및 스토퍼부재(12) 및 스토퍼 결합 부분(32b)을 거쳐서 중간 부재(10)에 작용한다. 겉 치형부(4k)의 곡률 반경은 2 개의 스토퍼(10b, 32b) 사이의 접촉의 반경보다도 크므로 스프링 장치(8)에 의해 도 1 에서 도 3 을 사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간 부재(10)에 작용하는 합응 토크가 생긴다. 중간부재(10)는 치형부(10k, 4k)를 거쳐서 조절부재(4)에 작용 결합하므로 조절부재(4)가 도시하는 비작업 위치와 제 1 종단위치 스토퍼(21) 사이에 존재할 때에 화살표(24) 방향의 합응 토크가 생기고 조절 부재(4)가 도시하는 비작업 위치와 제 2 종단위치 스토퍼(22) 사이에 존재할 때에 화살표(26) 방향의 합응 토크가 생긴다.
도 1 에 도시한 크기의 전동 장치단(6a, 6b)을 구비한 전달비 혹은 전동장치(6)를 얻기 위해 겉 치형부(4k)의 곡률 반경(도 5)은 치형부(10k)의 곡률반경의 수배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결합부분(31)에서 중간부재(10)에 1 대 4(1:4)의 회전수 전달비 혹은 4 대 1(4:1)의 토크 전달비가 얻어진다. 또 스토퍼(32b)의 곡률반경을 스토퍼(10b)의 곡률반경에 대해서 7 대 4(7:4)로 하면 이에따라 제 2의 스프링 결합부분(32)에서 중간부재(10)에 4 대 7(4:7)의 회전수 전달비 혹은 7 대 4(7:4)의 토크 전달비가 얻어진다.
도 2에 도시한 전동장치단(6a)을 구비한 전동장치(6)를 얻기 위해서는 스토퍼(10b)의 곡률 반경을 스토퍼(32b)의 곡률반경과 같은 크기로 하여 겉치형부(4k)의 곡률 반경을 치형부(10k)의 곡률 반경의 2.5배(2.5)로 한다.
전동 장치단(6b)을 구비한 전동장치(6)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비를 얻기위해 겉치형부(4k)의 곡률반경을 치형부(10k)의 곡률반경과 같은 크기로 하고 스토퍼(10b)의 곡률반경을 스토퍼(32b)의 곡률반경과 같은 크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 1의 전동장치 단(6a)을 거쳐서 제 1의 스프링 결합 부분(31)의 회전수를 중간 부재(1)나 약간 높게 전달하여 동시에 제 2의 전동 장치단(6b)을 거쳐서 제 2의 스프링 결합부분(32)의 회전수를 중간부재(10)에 약간 낮게해서 전달하면 스프링장치(8)의 의도적인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실 조절구동장치(16)는 치차(16a) 및 치형부(10g)를 거쳐서 중간부재(10)와 작용을 맞추어서 치형부(10k) 및 겉치형부(4k)를 거쳐서 조절부재(4)와 작용을 맞추고 있다. 조절구동장치(16)를 가급적 작게 구성하기 위해 조절 구동장치(16)를 위해서는 전도기 특히 고회전수를 갖춘 직류전동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절구동장치(16)의 회전수는 2개의 단을 거쳐서 트로틀 밸브축(4W)에 전달된다. 치차 구동장치(14)는 제 1의 단으로서 전동장치(6)의 전동장치단(6a)이 제 2의 단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제어장치의 각종의 다른 전동장치단은 주로 조절 구동장치(16)의 높은 회전수를 트로틀 밸브축(4W)의 낮은 회전수로 감소하기 위해서도 함께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제어장에 있어서는 전부에서 약간의 부분밖에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스프링장치(8)는 유리하게는 1개의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조절 부재(4)는 양방향 즉 화살표(24, 26) 방향에서 비작업위치로 조절할 수가 있는 큰 이점이 있다. 부가적인 스프링은 필요치 않다.
도 6, 도 7 및 도 8에는 도 1에서 도 5에 도시한 스토퍼 부재(12)를 어떻게 해서 생략할 수 있는가에 대한 가능성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특히 유리한 별도의 가능성의 실시예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프링장치(8)의 스프링 끝 부분(8f)은 제 2의 스프링 결합부분(32)의 영역내에서 조절부재(4)가 도시하는 비작업 위치에 있을 때에 스프링 끝(8f)이 비작업위치 스토퍼(20)에도 또 중간부재(10)에 속하는 스토퍼에도 맞대일 수가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조절구동장치(16)가 조절부재(4)를 도시하는 비작업 위치에서 종단위치 스토퍼(22)의 방향으로 조절하면 스토퍼(10b)는 스프링 끝 부분(8f)에 설치된 스토퍼(32b)에서 들어올려져 스프링장치(8)가 종단위치스토퍼(21)로 향해서 (화살표(26)) 조절부재(4)에 작용한다. 조절 구동 장치(16)가 조절부재(4)에 작용한다. 조절구동장치(16)가 조절부재(4)를 도시하는 비작업위치에서 제 1의 종단위치 스토퍼(21)로 향하는 방향(화살표(26)으로 조절하면 스프링 결합부(32)는 중간부재(10)에 의해 스토퍼(10b, 32b)를 거쳐서 화살표(26)방향으로 연행되고 스프링장치(8)의 스프링 끝 부분(8f)에 설치된 스토퍼(32a)는 비작업 위치(20)에서 들어 올린다. 이에 따라 스프링 장치(8)에 의해 합응력 혹은 합응토크가 중간 부재(10)로 향해서 화살표(24)의 방향에서 생긴다. 이 합응력 혹은 합응토크는 중간부재(10)에서 조절부재(4)에 전달된다. 즉, 스프링장치(8)는 화살표(24)방향에서 조절부재(4)가 도시하는 비작업위치에 달할때까지 조절부재(4)에 작용한다.
도 6에는 별도의 실시예가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및 보기 쉽게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다시 별도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므로 실제의 실시가능성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도 7에는 선택된 특별하게 유리한 별도의 실시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트로틀 밸브축(4W)의 연장부에서는 커버(36d)에 부가부(36e)와 스프링 가이드부(36f)가 설치되어 있다.
단(36e)에서 스프링장치(8)가 축방향에서 받혀져 있으므로 스프링 장치(8)는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2)를 거쳐서 트로틀 밸브축(4w)에 회전축선(4x)에 대해서 세로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가 있다. 스프링 장치(8)는 트로틀 밸브축(4w)을 거쳐서 트로틀 밸브(4d)에 견고하게 결합된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2)를 끝 면쪽에서 베어링(34)에 대해서 꽉 조인다.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어링(34)은 구름 베어링으로서 이 구름 베어링은 반경방향이거나 축방향이거나 힘을 전달할 수가 있다. 베어링(34)은 외부 레이스(lace)를 갖추고 있고 이 외부 레이스는케이스(36)에 대해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34)의 내부 레이스는 트로틀 밸브축(4w)을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케이스(36)에 대한 외부 레이스의 고정은 상응하는 프레스 끼움에 의해 행할 수가 있다. 스프링 장치(8)는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2)에 베어링(34)에 대해서 스프링 탄성적인 프리로드(예비하중)를 가하므로서 가스통로(2)에 대한 트로틀 밸브(4d)의 정확한 축방향 가이드를 얻을 수가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장치(8e)의 구브러진 스프링 끝 부분(8e)은 치형부 부착세그멘트(42)에 설치된 구멍내에 매달려져 있다. 이 매달린 위치에 제 1의 스프링 결합 부분(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는 제어장치의 끝면쪽에서 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VII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에는 보기 쉽게 하기위해 케이스(26) 및 커버(36d)가 거의 생략되어 있다. 케이스(36)중의 스프링 가이드(36f)의 단면도 및 케이스(36) 혹은 커버(36d)에 위치하는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의 단면도와 케이싱 고정된 종단 위치 스토퍼(21, 22)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종단 위치 스토퍼(21)는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2)가 케이스(36)에 맞대이므로서 또는 조절부재(4)의 트로틀 밸브(4d)가 가스통로(2)의 벽에 맞대이므로서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 의하면 스프링장치(8)의 비틀림 스프링(8d)은 코일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비틀림 스프링(8d)은 스프링 결합부분(31)을 거쳐서 토크를 조절부재(4)에 가해서 또 스프링 결합 부분(32)을 거쳐서 토크를 중간부재(10)에 가한다. 스프링 결합 부분(32)의 영역내에서 스프링장치(8)의 와이어가 반경방향겉편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끝 부분(8f)은 스프링 결합부분(32)의 영역내에서 가로대를 형성하고 이 가로대는 조절부재(4)의 위치에 따라서 중간부재(10)의 스토퍼(10) 및/또는 케이싱 고정된 비 작업위치 스토퍼(20)에 맞대인다. 어느 상태에서 스프링 장치(8)의 스프링 끝 부분(8f)이 스토퍼(10b)에 혹은 비 작업위치 스토퍼(20)에 맞대이는가 하는 것은 도 6에 관련해서 이미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구동기계의 출력을 특히 자동차의 구동기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절부재(4)의 위치는 구동기계의 출력을 규정한다. 이 제어장치는 특히 오트 기관을 위해 설치되어 있고 이 제어장치는 조절부재(4)가 트로틀 밸브 축에 회전이 가능하게 받쳐진 트로틀 밸브면에 특히 유리하다. 조절 구동장치(16)는 제 1의 종단위치 스토퍼(21)에 의해 규정된 제 1의 종단위치와 제 2의 종단위치 스토퍼(22)에 의해 규정된 제 2의 종단 위치와의 사이에서 조절부재(4)의 트로틀 밸브(4d)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프링 장치(8)는 조절구동장치(16)가 고장난 때에 트로틀 밸브(4d)를 비작업위치 스토퍼(20)에 의해 규정되는 비작업 위치에 조절한다. 비작업 위치 스토퍼(20)는 제 1의 종단위치와 제 2의 종단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장치(8)는 제 1의 스프링 결합부분(31) 혹은 제 2의 스프링 결합부분(32)을 거쳐서 중간부재(10)에 이 중간부재(10)가 각각 비작업위치 스토퍼(20)에 의해 규정된 비작업위치에 달할때까지 작용한다. 이 경우 스프링장치(8)는 제 1의 스프링 결합 부분(31)을 거쳐서는 중간부재(10)를 제 1의 종단위치 스토퍼(21)에 의해 규정되는 제 1의 종단위치 방향으로 또 제 2의 스프링결합부분(32)을 거쳐서는 중간부재(10)를 제 2의 종단위치 스토퍼(22)에 의해 규정되는 제 2의 종단위치의 방향으로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조절부재(4)는 중간부재(10)에 작용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환언하며 조절부재(4)는 중간부재(10)에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절구동장치(16)가 고장난 경우에 조절부재(4)는 중간부재(10)와 함께 소정의 비작업 위치에 달한다. 스프링 장치(8)와 중간부재(10) 사이에는 최소한 1개의 전달비(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달비(6)에 의해 제 1의 종단 위치(제 1의 종단위치 스토퍼(21))와 비작업위치(비작업 위치 스토퍼(20))와의 사이에서 제 2의 종단위치(제 2의 종단위치 스토퍼(22))로 향해서 중간부재(10)에 작용하는 스프링장치(8)의 작용(힘 혹은 토크)이 제 1의 종단위치(제 1의 종단 위치 스토퍼(21))로 향해서 작용하는 작용 보다도 크게 되도록 달성된다. 스프링 장치(8)의 작용은 도 4,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응하는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받쳐져 있으므로 상응하는 토크가 얻어진다. 전동장치(6)는 특히 도 1에서 도 3까지 전동장치단(6a, 6b)에 의해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각종의 다른 전동장치단을 갖출 수가 있다.
제어장치는 유리하게는 조절부재(4)가 제 1 종단 위치 스토퍼(21)에 의해 규정된 제 1 종단 위치에 있을 때에 구동 기계가 최소의 출력으로 작업하거나 또는 완전하게 차단되거나 혹은 출력을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절부재(4)가 제 2 종단 위치 스토퍼(22)에 의해 규정된 제 2 종단 위치에 있으면 구동기계는 유리하게는 최대 출력으로 작업한다.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의해 규정된 비작업 위치는 유리하게는 비작업 위치에 있어서 구동기계가 자동차의 비상 운전이 가능할 정도로 큰 출력을 발생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전동 장치(6)의 전동 장치단(6a, 6b)은 제 1 의 전동 장치단(6a)이 회전수를 제 1 의 스프링 결합부분(31)에서 중간 부재(10)에 제 1 의 전달비 만큼 상승시키고 제 2 의 전동 장치단(6b)이 제 2 의 스프링 결합부분(32)에서 중간부재(10)에 제 2 의 전달비만큼 상승시키고 이경우에 제 1 의 전달비는 제 2 의 전달비보다도 크다 힘 혹은 토크에 관해서는 전동 장치(6)의 전동 장치단(6a, 6b)은 제 1 의 전동 장치단(6a)이 힘 혹은 토크를 제 1 의 스프링 결합부분(31)에서 제 2 의 중간부재에 제 1 의 전달비만큼 저하시켜 제 2 의 전동 장치단(6b)이 힘 혹은 토크를 제 2 의 스프링 결합부분(32)에서 중간 부재(10)에 제 2 의 전달비만큼 저하시켜 이 경우 제 1 의 전달비는 제 2 의 전달비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전동 장치단(6a)에 있어서 조절부재(4)에서 중간부재(10)로 전달되는 스프링 장치(8)의 힘 혹은 토크는 제 2 의 전동 장치단(6b)에 있어서 제 2 의 스프링 결합부분(32)에서 중간부재(10)로 전달되는 힘 혹은 토크보다도 강하게 저하된다. 도 4, 도 5,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것의 특히 유리한 전동장치(6)의 분할이 선택된 상응하는 곡률반경에 의해 부여된다.
제 1 의 전동 장치단(6a)을 거쳐서 토크는 조절 구동 장치(16)에서 트로틀 밸브(6d)에 전달되므로 제 1 의 전동 장치(6a)를 위해 치차 전동 장치가 특히 유리하다. 제 2 의 전동 장치(6b)는 특히 비작업 위치를 정확하게 규정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제 2 의 전동장치단(6b)의 영역내에는 고가인 치차 전동 장치는 필요치 아니하고 도 4, 도 5, 도 7 및 도 8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반대 방향의 걸어줄 수가 있어 레버 전달 장치로서 사용되는 스토퍼(32b, 10b)로 충분하다. 제 1 종단위치 스토퍼(21)에 의해 규정된 제 1 종단 위치와 비작업 위치 사이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 예를들면 15 ° 진행할 뿐이다. 이것은 꼭같이 2 개의 스토퍼(10b, 32b)는 레버 전달 장치를 구비한 간단하게 한다.
비작업 위치(20)는 예를들면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있어서 나사를 사용하므로서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이 나사를 거쳐서 조절부재(4)에 속하는 트로틀 밸브(4d)의 비작업 위치가 조절된다. 그러나 트로틀 밸브(4d)의 비작업 위치는 제어 장치의 조립시에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2)가 트로틀 밸브축(4w)에 대해서 스토퍼(32a)가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맞대였을 때에 트로틀 밸브(4d)가 희망하는 위치에 달할 때까지 상응하게 회전되므로서 조절된다. 이어서 비로서 치형부 부착 세그멘트(42)는 트로틀 밸브축(4w)에 고정된다.
도시하는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스프링 장치(8)(도 1, 도 2, 도 3, 도 6)의 스프링(8a) 혹은 스프링 장치(8)(도 4, 도 5, 도 7, 도 8)의 비트림 스프링(8d)은 조절부재(4)에 직접적으로 힌지 접속되어 있다. 바꾸어말하자면 스프링 장치(8)는 제 1 의 스프링 결합부분(31)을 거쳐서 직접적으로 또한 항상 조절부재(4)에 작용한다. 스프링 장치(8)와 조절부재(4)를 서로 연결 및 연결해제할 필요는 특히 없다.

Claims (17)

  1. 구동기계 특히 차량의 구동기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서 구동기계의 출력을 규정하는 조절부재(4, 4b, 4d)와, 제 1 종단 위치(21)와 제 2 종단 위치(22) 사이에서 조절부재(4, 4b, 4d)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구동 장치(16)와, 이 조절 구동 장치(16)가 고장난 때에 조절부재(4, 4b, 4d)를 비작업 위치로 조절하는 스프링 장치(8)를 갖추고 있고, 비작업 위치(20)가 제 1 종단 위치(21)와 제 2 종단 위치(22) 사이에 위치하는 형식의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조절 부재(4, 4b, 4d)와 작용하도록 접속되어 있는 중간 부재(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경우 스프링 장치(8)가 제 1 스프링 결합부(31)를 거쳐서 중간부재(10)에 제 1 종단 위치(21)의 방향으로 작용하고, 제 2 스프링 결합부(32)를 거쳐서 제 2 종단 위치(22)의 방향으로 비작업 위치(20)에 도달할 때까지 작용하고, 스프링 결합부(8)와 중간부재(10) 사이에 최소한 1 개의 전동 장치(6, 6a, 6b)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전동 장치에 의해 제 1 종단 위치(21)와 비작업 위치(20) 사이에서 제 2 종단 위치(22) 방향으로 중간부재(10)에 작용하고, 스프링 장치(8)의 제 1 스프링 작용이 제 1 종단 위치(21)의 방향에서의 스프링 장치(8)의 제 2 스프링 작용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종단 위치에 위치하는 조절부재(4, 4b, 4d)에서 구동기계가 최소의 출력으로, 또한 제 2 종단 위치(22)에 위치하는 조절부재(4, 4b,4d)에서 구동 기계가 최대의 출력으로 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절부재(4, 4b, 4d)와 중간 부재(10)가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스프링 장치(8)의 제 1 스프링 작용이 제 1 토크이고, 스프링 장치(8)의 제 2 작용이 제 2 토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 장치(6, 6a, 6b)가 제 1 스프링 결합부(31)와 중간 부재(10) 사이의 제 1 전동 장치단(6a; first transmission stage)과, 제 2 스프링 결합부(32)와 중간부재(10) 사이의 제 2 전동 장치단(6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전동 장치단(6a)은 제 1 스프링 결합부(31)에서 중간 부재(10)로 회전수를 제 1 전달비만큼 높이고, 제 2 전동 장치단(6b)은 제 2 스프링 결합부(32)에서 중간부재(10)로 회전수를 제 2 전달비만큼 높이도록 되어 있고, 이 경우 제 1 전달비가 제 2 전달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전동 장치단(6a)은 치차 전동 장치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전동 장치단(6b)은 레버 전동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스프링 결합부(32)는 스토퍼 부재(12; stop piece)가 비작업 위치(20)에서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맞닿을 때까지 스토퍼 부재(12)를 거쳐서 중간부재(10)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스프링 결합부(32)는 제 2 스프링 결합부(32)가 비작업 위치(20)에서 비작업 위치 스토퍼(20)에 맞닿을 때까지 중간부재(10)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10. 제 8 항 또는 9 항에 있어서, 비작업 위치 스토퍼(20)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11. 제 8 항 또는 9 항에 있어서, 비작업 위치 스토퍼(20)가 구동 기계의 긴급 운전위치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 구동장치(16)는 중간 부재(10)를 거쳐서 조절 부재(4, 4b, 4d)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조절 구동 장치(16)와 중간부재(10) 사이에 조절 구동장치(16)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치차 전동장치(1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부재(4, 4b, 4d)가 스로틀 밸브축(4w)에 고정된 회전축선(4x)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36)내에 지지된 스로틀 밸브(4d)이며, 스프링 장치(8)가 케이스(36)에 배속된 축방향 스토퍼(34, 34a)에 대해서 스로틀 밸브축(4w)을 축방향에서 밀기(tensing)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8)는 스로틀 밸브축(4w)을 축방향 스토퍼(34, 34a)에 대해서 축 방향에서 밀기 위해 대항 방향에서 케이스(36, 36a)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8)는 스토퍼 부재(12)를 거쳐서 케이스(36)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8)는 끊임없이 조절부재(4)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계의 출력 제어 장치.
KR1019970708553A 1996-03-30 1996-11-21 구동기계의출력제어장치 KR100426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2869.2 1996-03-30
DE19612869A DE19612869A1 (de) 1996-03-30 1996-03-30 Steuereinrichtung zum Steuern einer Leistung einer Antriebs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074A KR19990022074A (ko) 1999-03-25
KR100426887B1 true KR100426887B1 (ko) 2004-07-30

Family

ID=779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553A KR100426887B1 (ko) 1996-03-30 1996-11-21 구동기계의출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50241A (ko)
EP (1) EP0828932B1 (ko)
JP (1) JP3957757B2 (ko)
KR (1) KR100426887B1 (ko)
CZ (1) CZ292796B6 (ko)
DE (2) DE19612869A1 (ko)
ES (1) ES2173342T3 (ko)
WO (1) WO1997037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6521A1 (de) * 1997-08-22 1999-02-25 Mannesmann Vdo Ag Lastverstellvorrichtung
US6155533C1 (en) * 1999-01-29 2002-07-30 Visteon Global Tech Inc Default mechanism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system
US6070852A (en) * 1999-01-29 2000-06-06 Ford Motor Company Electronic throttle control system
US6095488A (en) * 1999-01-29 2000-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throttle control with adjustable default mechanism
US6513491B1 (en) * 1999-10-15 2003-02-04 Siemens Vdo Automotive Inc. Electronic throttle control linkage with limp home mechanism
US6575427B1 (en) * 1999-11-10 2003-06-1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throttle control mechanism with reduced friction and wear
US6253732B1 (en) * 1999-11-11 2001-07-0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throttle return mechanism with a two-spring and two-lever default mechanism
US6286481B1 (en) * 1999-11-11 2001-09-1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throttle return mechanism with a two-spring and one lever default mechanism
US6267352B1 (en) * 1999-11-11 2001-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throttle return mechanism with default and gear backlash control
EP1369564A1 (en) * 2002-06-07 2003-12-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gular motion driving mechanism and gear wheel for use in such mechanism
DE102004043125B4 (de) * 2004-09-07 2017-10-05 Robert Bosch Gmbh Drosselvorrichtung
JP4366324B2 (ja) * 2005-03-17 2009-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吸気量制御装置
DE102005062467B4 (de) * 2005-12-27 2017-02-09 Robert Bosch Gmbh Stellantrieb für ein Stellorgan
DE102005063021B4 (de) 2005-12-30 2017-03-30 Robert Bosch Gmbh Stellantrieb für ein Stellorgan
DE102008014609A1 (de) * 2008-03-17 2009-09-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ktuator für Schaltelement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JP6675959B2 (ja) * 2016-09-07 2020-04-08 愛三工業株式会社 スロット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1283C2 (de) * 1986-09-13 1999-11-25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gesteuerten Zumessung von Verbrennungsluft in eine Brennkraftmaschine
DE3815735A1 (de) * 1988-05-07 1989-11-16 Vdo Schindling Lastverstelleinrichtung
DE3927043A1 (de) * 1989-08-16 1991-02-21 Vdo Schindling Lastverstelleinrichtung
DE4030901A1 (de) * 1990-09-29 1992-04-02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steuern der antriebsleistung eines fahrzeug-antriebsmotors
DE4243893C2 (de) * 1991-12-26 1996-03-28 Hitachi Lt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Drosselklappe einer Brennkraftmaschine
US5492097A (en) * 1994-09-30 1996-0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rottle body default actuation
DE19524941B4 (de) * 1995-07-08 2006-05-18 Siemens Ag Lastverstellvorrichtung
US5812050A (en) * 1996-12-18 1998-09-22 Figgins; Daniel S. Electrical control apparatus with unidirectional tactile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074A (ko) 1999-03-25
EP0828932A1 (de) 1998-03-18
JPH11507118A (ja) 1999-06-22
ES2173342T3 (es) 2002-10-16
DE19612869A1 (de) 1997-10-02
EP0828932B1 (de) 2002-02-20
CZ292796B6 (cs) 2003-12-17
JP3957757B2 (ja) 2007-08-15
US6050241A (en) 2000-04-18
DE59608764D1 (de) 2002-03-28
CZ369697A3 (cs) 1998-03-18
WO1997037116A1 (de) 1997-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887B1 (ko) 구동기계의출력제어장치
US20040060349A1 (en) Actuator
US4947815A (en) System for regulated dosing of combustion air in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02032A (en) Apparatus to control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vehicles
KR101475810B1 (ko) 양방향 작동기용 작동 드라이브 장치
US5606957A (en) Control system for exhaust gas recirculation
US6918374B1 (en) Intake air amount control apparatus for an engine
JP2007002845A (ja) 作動機構に用いられる作動器
JPS6253697B2 (ko)
US9309813B2 (en) Regulating device for an actuator
US5845677A (en) Dual throttle valve
JP4012445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US6868828B2 (en) Idle speed control apparatus in throttle body
US7124736B2 (en) Idling opening degree control apparatus in intake air control apparatus
KR100473211B1 (ko) 부하조절장치
US6089208A (en) Throttle valv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the apparatus
JP2003083171A (ja) タンデム弁型スロットルボデー
JP2007285308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駆動機構
JP2000297660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吸気流量制御装置
JP4669812B2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H01108484A (ja) 流量制御弁
JP3286232B2 (ja)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JP3286231B2 (ja)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GB2293864A (en) Detection of engine or motor power control actuation
JPH05248274A (ja) スロットル弁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