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520B1 - 밀기-끌기 장치 및 밀기-끌기 장치를 갖춘 지게차와 이것을 이용한 하역방법 - Google Patents

밀기-끌기 장치 및 밀기-끌기 장치를 갖춘 지게차와 이것을 이용한 하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520B1
KR100425520B1 KR1019950026380A KR19950026380A KR100425520B1 KR 100425520 B1 KR100425520 B1 KR 100425520B1 KR 1019950026380 A KR1019950026380 A KR 1019950026380A KR 19950026380 A KR19950026380 A KR 19950026380A KR 100425520 B1 KR100425520 B1 KR 10042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pantograph mechanism
forklift
pallet
f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435A (ko
Inventor
도시오기따지마
쓰또무이께다
료조마쓰모또
노리오도미무라
다까시쓰루따
유조니시야마
기요시와따나베
시게루고마쓰
Original Assignee
니폰 세키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야마까와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229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93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52539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세키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야마까와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세키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0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unloading
    • B66F9/19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unloading for pushing the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2Masts; Guides; Chains incli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밀기-끌기 장치를 구비한 지게차 및 그 밀기-끌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기-끌기 장치(40)는, 지게차로의 장착부를 보유하는 프레임(20)과 하부에 파지기(33)를 가진 페이스 플레이트(21)가 세로형의 팬터그래프 기구(22)에 의해 접속되어 구성된다. 프레임에는, 팬터그래프 기구(22)의 신축에 수반하여 팬터그래프 기구(22)의 기단측 가동부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34)를 설치한다. 이 가이드부에는, 팬터그래프 기구(22)를 최대로 신장시킨 위치에서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앞으로 기울고, 페이스 플레이트(21)가 소정 치수 강하하는 형상이 되도록 요부(35)를 설치한다. 또, 평 파렛트용의 통상의 포크를 보유하는 지게차에 밀기-끌기 장치(40)를 장치하여, 평 파렛트 및 시트 파렛트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기-끌기 장치 및 밀기-끌기 장치를 갖춘 지게차와 이것을 이용한 하역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파렛트(pallet)를 사용하는 데 적합한 지게차의 밀기-끌기(push-pull)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평 파렛트 및 시트 파렛트를 사용하여 하물의 하역을 행하는 하역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통상은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 파렛트(61)를 사용하여 하물(60)의 하역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제 12 도에 도시한 시트 파렛트(62)를 사용하여 하물(60)의 하역을 행하는 지게차가 있다. 시트 파렛트(62)를 사용하여 하물(60)의 운반을 행하는 지게차는, 제 10 도 및 제 11 도에 표시되는 밀기-끌기 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또한, 평 파렛트(61)는 2 매의 상하판재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판재로 형성되며, 상하판재의 사이의 공간에 지게차의 포크를 끼워 넣도록 되어 있다. 시트 파렛트(62)는 1 매의 플라스틱판으로 되어 있고, 그 일부(62a)가 비스듬히 구부러져 있다. 이 경사져서 구부러진 부분(62a)은 탭(tab)이라 불리며, 밀기-끌기 장치는 시트 파렛트(62)의 탭(62a)을 붙잡는 파지기(gripper)를 보유한다.
제 10 도는 종래의 밀기-끌기형 지게차의 일례를 표시하고, 제 11 도는 그 밀기-끌기 장치를 상세하게 표시한다. 밀기-끌기형 지게차는 제 10 도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마스트(2)에 장치된 밀기-끌기 장치(3)를 보유한다. 밀기-끌기 장치(3)는, 제 10 도 및 제 11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지게차의 마스트(2)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프레임(4)과, 프레임(4)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페이스 플레이트(face-plate)(7)와, 이들의 프레임(4)과 페이스 플레이트(7)를 접속시키는 상하 가동하도록 지지된 종형(從型)의 팬터그래프 기구(pantagraph mechanism)(6)로 이루어진다. 플래튼(platen)(5)이 프레임(4)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팬터그래프 기구(6)는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동된다.
그리고, 페이스 플레이트(7)의 하단에는 시트 파렛트(62)의 탭(62a)(제 12 도)을 맞무는 파지기(11)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기(11)는, 파지기 조오(jaw)(8)와, 파지기 판(9)과, 파지기 판(9)을 구동하는 실린더(10)로 되어 있다.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6)의 기단쪽(프레임(4)쪽)에는 시트 파렛트(62)를 플래튼(5) 위에 밀어붙이기 위한 누름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4)에는 누름부재(12)를 승강시키는 실린더(1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4)에는, 고정축받이(16)와 가이드홈(도시 안됨)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축받이(16)는 팬터그래프 기구(6)의 기단측의 고정부(18)에 지지된 핀을 지지하고, 가이드 홈에는 슬라이드 부시(slide bush)(17)가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시(17)는 팬터그래프 기구(6)의 기단측의 가동부(19)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시(17)의 상하동에 수반하여 팬터그래프 기구(6)가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밀기-끌기형 지게차에 의하여 짐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제 10 도와 같이 먼저, 팬터그래프 기구(6)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하물(60)을 적재한 시트 파렛트(62)의 탭(62a)을 파지기(11)로 파지하고, 이어서 팬터그래프 기구(6)를 수축시킴으로써 페이스 플레이트(7)를 후퇴시키고, 하물(60)을 시트 파렛트(62)와 함께 플래튼(5) 위로 끌어올린다. 결국 페이스 플레이트(7) 및 하물(60)은 이점쇄선의 위치에서 실선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짐을 운반할 수 있다. 하물(60)을 내리는 경우에는, 파지기(11)를 개방하여 시트 파렛트(62)의 탭(62a)을 놓고, 이어서 실린더(13)를 상승 및 하강시켜서 시트 파렛트(62)의 탭(62a)을 누름부재(12)로 누르고, 이어서 팬터그래프 기구(6)를 신장시킴으로써, 시트 파렛트(62)를 플래튼(5) 상에 남긴 상태에서 하물(60)만을 플래튼(5) 위로부터 밀어낼 수 있다.
종래의 밀기-끌기 장치에서는, 가이드 홈이 슬라이드 부시(17)를 직선적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팬터그래프 기구(6)는 플래튼(5)에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하고, 최대로 신장시킨 위치라도 플래튼(5)보다도 위에 파지기(11)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지상자 등을 적재한 시트 파렛트가 복수단 쌓기로 겹쳐 있는 경우에는, 2 단째 이하의 짐을 내리고자 하면, 시트 파렛트 밑에 플래튼(5)을 끼워 넣을 필요가 있으나, 파지기(11)보다 밑에 플래튼(5)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플래튼(5)의 선단이 짐에 부딪쳐 그대로는 끼워 넣을 수 없다.
이 때문에, 파지기(11)로 시트 파렛트를 파지한 후, 하물을 30 mm 정도 들어 올린 후 플래튼(5)을 끼워 넣고 있었다. 이 때문에, 해상 컨테이너 등의 어두운 장소에서의 작업에서는, 짐을 30 mm 정도 들어올린다고 하는 미세한 조정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평 파렛트로부터 짐을 내리는 경우에 플래튼(5)을 끼워 넣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 마루에서 짐을 들 경우, 경사기구에 의하여 지게차의 마스트를 앞으로 기울게 하여 약간 세게 플래튼(5) 및 파지기(11)를 마루에 댄 상태에서 페이스 플레이트(7)를 전진시켜 시트 파렛트를 파지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플래튼(5)의 마모가 빠르고, 또 경사를 크게 하였을 경우, 파지기(11)가 접지하기 때문에, 팬터그래프 기구(6) 전체에 무리한 힘이 걸리고, 동시에 파지기 조오(8)도 마모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트럭이나 철도 컨테이너 등을 이용하여 종이 봉지, 폴리에틸렌 봉지, 골판지 상자 등의 짐의 유통을 행하는 경우, 목제, 합성수지제 등의 평 파렛트(61)에 비하여 경량인 시트 파렛트(62)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시트 파렛트(62)로 하물을 내리는 데는 전용의 밀기-끌기 지게차가 필요하였다. 제조 메이커에서는 제품의 출하량이 많기 때문에 전용의 밀기-끌기 지게차를 준비하는 데에 문제는 없으나, 소량의 짐을 받는 쪽에서는 전용의 밀기-끌기 지게차를 준비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리해진다. 그래서, 종래의 평 파렛트(61)용의 지게차라도 시트 파렛트(62)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 종래의 밀기-끌기 지게차에서는, 평 파렛트 전용 지게차의 포크와 달리, 플래튼(5)의 폭이 넓고, 더욱이 금속제이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장치 전체로서의 중량도 무거워지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된다. 이 때문에 소량의 짐을 받는 쪽에서는 밀기-끌기 지게차의 보급이 진행되지 않으며, 파렛트의 통일화의 진척의 장해로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게차에 밀기-끌기 기구를 장치하는 경우, 플래튼을 포함하는 기구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지게차의 적재하중이 부족하다. 따라서 지게차 본체도 신규 구입할 필요가 발생한다. 또 출하측 제조 메이커는 대규모라 하여도 하물접수쪽은 세분화되기 때문에 밀기-끌기 지게차가 다수 필요하게 되고, 초기 투자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성이 좋고, 동시에 플래튼, 파지기, 조오 등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밀기-끌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평 파렛트용 지게차를 이용하여 시트 파렛트에 의한 운반을 가능케 하는 밀기-끌기 장치를 보유하는 지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밖의 목적은, 종래의 평 파렛트용 지게차 밀기-끌기 장치를 이용하여 평 파렛트 및 시트 파렛트에 의한 운반을 가능케 하는 하역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 1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게차로의 장착부를 보유하는 프레임과, 하부에 파지기를 보유하는 페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를 접속하는 세로형의 팬터그래프 기구를 구비한 밀기-끌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의 기단쪽 가동부의 슬라이드 부시를 그 팬터그래프 기구의 신축에 수반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그 가이드부는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가 수축·후퇴한 위치에서 대강 수평으로 되며 동시에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가 최대로 신장한 위치에서 팬터그래프 기구가 앞으로 기울어 페이스 플레이트가 소정 치수 강하하는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기-끌기 장치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페이스 플레이트를 밀어내기 위하여 팬터그래프 기구를 신장시키면, 팬터그래프 기구의 기단부가 프레임의 가이드부에 따라서 안내되며, 팬터그래프 기구 전체가 최대 신장이 되는 위치에서 앞으로 기울고, 그에 수반하여팬터그래프 기구 앞끝의 페이스 플레이트가 소정 치수 강하한다. 이때, 파지기가 접지하면, 기단부는 유극부(遊隙部)에 의해 가이드 규제로부터 해방되고, 팬터그래프 기구에 필요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에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가 최대로 신장한 위치에 대응하는 요(凹)부를 보유하는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홈은, 페이스 플레이트가 접지했을 때 상기 기단측 가동부의 슬라이드 부시를 해방하는 유극부를 보유한다.
상기 제 2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평 파렛트용의 포크를 가진 지게차로서, 시트 파렛트의 탭을 파지하는 파지기를 하부에 가진 페이스 플레이트와, 지게차의 마스트에 설치된 핑거 바(finger bar)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기단부를 지지받고 다른 한쪽의 끝에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신축가능한 팬터그래프 기구로 이루어진 시트 파렛트용 밀기-끌기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통상의 평 파렛트용의 포크를 가진 지게차에 시트 파렛트용의 밀기-끌기 장치를 장착하고, 시트 파렛트와 그 위에 적재한 하물을 실은 평파렛트를, 포크로 들어올려서, 팬터그래프 기구를 펴서 페이스 플레이트를 전진시킴으로써, 하물을 시트 파렛트와 함께 밀어낸다. 또, 하물을 내릴 때에는, 지게차의 포크에 평 파렛트를 받치고, 이어서 밀기-끌기 장치의 팬터그래프 기구를 펴서 페이스 플레이트를 하물에 접근시켜, 그 파지기로 시트 파렛트의 탭을 파지하고,이어서 팬터그래프 기구에 의하여 페이스 플레이트를 후퇴시킴으로써 하물을 시트 파렛트와 함께 평 파렛트 위로 옮긴다. 이와 같이 포크에 평 파렛트를 받쳐서 플래튼 대신에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파렛트용 밀기-끌기 장치는, 상기 통상의 평 파렛트용의 포크와는 별도로 지게차의 핑거바에 탈착 가능케 장착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상의 평 파렛트용의 포크는, 단독으로 지게차의 핑거바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상기 제 3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평 파렛트용의 포크와 밀기-끌기 장치를 장비한 지게차를 사용하고, 그 지게차의 포크로 평 파렛트를 받친 상태로 그 밀기-끌기 장치를 사용하여 시트 파렛트 상의 하물의 하역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방법을 제공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밀기-끌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밀기-끌기 장치를 지게차의 마스트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밀기-끌기 장치의 팬터그래프(pantagraph) 기구를 신장시킨 상태의 도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밀기-끌기 장치를 구비한 지게차의 도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밀기-끌기 장치를 구비한 지게차의 도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밀기-끌기 장치의 사시도.
제 7A 도 내지 제 7C 도는 제 5 도 및 제 6 도의 지게차를 사용하여 하역을 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하물을 트럭의 짐칸에 싣는 경우를 보인 도면.
제 8A 도 내지 제 8F 도는 같은 방법으로 하역을 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하물을 트럭의 짐칸에서 내리는 경우를 보인 도면.
제 9A 도 내지 제 9C 도는 시트 파렛트를 회수하는 경우를 보인 도면.
제 10 도는 종래의 밀기-끌기형 지게차의 도시도.
제 11 도는 종래의 밀기-끌기형 지게차에 있어서의 밀기-끌기 장치의 도시도.
제 12 도는 시트 파렛트의 도시도.
제 13 도는 평 파렛트의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프레임 22: 팬터그래프 기구
24: 슬라이드 부시 33: 파지기
34: 가이드홈 35: 요부
40: 밀기-끌기 장치 42: 핑거 바
43: 포크 46: 가동부
51: 유극부 60: 하물
61: 평 파렛트 62: 시트 파렛트
63: 지게차 65: 짐칸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밀기-끌기 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 1 도는 측면도, 제 2 도는 사시도이다. 제 2 도에는 지게차의 마스트(41)에 가로로 설치한 핑거바(42)가 표시되어 있다.
밀기-끌기 장치(40)는, 지게차의 마스트(41)의 핑거바(42)에 장치 가능한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페이스 플레이트(21)와, 프레임(20)과 페이스 플레이트(21)를 신축가능하게 접속하는 세로형의 팬터그래프 기구(22)로 이루어진다. 팬터그래프 기구(22)는 평행 링크 기구이며, 짝을 이룬 복수의 링크(50)로 구성된다.
팬터그래프 기구(22)의 기단측(프레임(20)쪽)은 하부가 고정부(45), 상부가 가동부(46)로 되어 있다. 프레임(20)에는, 그 앞쪽에 팬터그래프 기구(22)를 지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고정축받이(23)가 설치되고, 상부에 가이드홈(가이드부)(34)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받이(23)는 팬터그래프 기구(22)의 기단측의 고정부(45)의 링크(50)를 지지하고, 가이드홈(34)에는 팬터그래프 기구(22)의 기단측의 가동부(46)의 링크(50)에 지지된 슬라이드 부시(24)가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같은 방법으로, 팬터그래프 기구(22)의 선단측 페이스 플레이트(21)쪽도, 하부가 고정부, 상부가 가동부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 페이스 플레이트(21)에는 하부에 고정축받이(28)가 설치되고, 상부에 가이드홈(37)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받이(28)는 팬터그래프 기구(22)의 선단측의 고정부의 링크(50)를 지지하고, 가이드홈(37)에는 팬터그래프 기구(22)의 선단측의 가동부의 링크(50)에 지지된 슬라이드 부시(29)가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시(24,29)가 가이드홈(34,37) 내를 상하로 미끄러져 움직임으로써, 슬라이드 부시(24,29)에 장치한 링크(50)가 회동하고,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신축한다. 이 신축은 도시되지 않은 유압 실린더 등의 구동기구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양 가이드홈(34,37)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나, 프레임(20)의 가이드홈(34)의 하단부는,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최대로 신장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페이스 플레이트(21)쪽을 향하여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그것에 의하여 요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홈(34)의 폭은 요부(35)의 위치에서 넓혀져있으며, 요부(35)의 반대쪽에 유극부(51)가 형성된다. 또, 프레임(20)의 배면에는 지게차의 마스트(41)에 가로로 설치된 핑거바(42)에 장착 가능한 걸쇠(25)가 설치되어 있다. 또, 페이스 플레이트(21)의 하부에는 파지기(33)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기(33)는, 파지기 조오(30)와, 파지기 플레이트(31)와, 파지기 플레이트(31)를 구동하는 실린더(32)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제 3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팬터그래프 기구(22)를 신장시켜 가면, 프레임(20)에 설치된 가이드홈(34)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드 부시(24)는, 가이드홈(34) 내를 수직으로 강하하면서 페이스 플레이트(2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페이스 플레이트(21)의 파지기(33)가 플래튼(36)의 선단 보다 앞으로 나오기 시작하면 슬라이드 부시(24)는 요부(34)에 다다른다.
또,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신장하여 페이스 플레이트(21)가 플래튼(36)의 선단보다 앞으로 나오면, 슬라이드 부시(24)는 가이드홈(34)의 요부(35)에 진입하기 시작한다. 그에 수반하여 페이스 플레이트(21)는 곡선적으로 내려가기 시작하여,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최대로 신장한 시점에서 페이스 플레이트(21)는 소정 치수 내려간 위치가 된다. 또, 이 소정 치수는 파지기 조오(30)가 플래튼(36)의 하면에서 약 30 mm 내려간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치수에 대응하여 가이드홈(34)의 요부(35)의 깊이 치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하역을 행할 때에는, 플래튼(36)을 마루에서 수평으로 뜨게 하고, 파지기 조오(30)만을 마루에 붙여서 지게차를 전진시킬수 있기 때문에, 플래튼(36)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파지기(33)가 시트 파렛트(62)(제 12 도)를 파지하여 시트 파렛트를 끌어들이면, 플래튼(36)이 시트 파렛트의 밑으로 끼워 넣어지게 된다. 이 경우, 시트 파렛트를 끌어들이면 페이스 플레이트(21)는 상승하고, 플래튼(36)의 끼워 넣기는 용이해진다.
또, 종래는 파지기(33)가 플래튼(36)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마루 위에 있는 시트 파렛트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경사 기구에 의하여 팬터그래프 기구(22)를 앞으로 기울게 하여 파지기(33)를 내릴 필요가 있었으며 그 때문에 플래튼(36)을 무리하게 휘게 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기(33)를 플래튼(36)보다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그럴 필요는 없으며, 동일 두께의 한 장의 플래튼이라도 좋다. 이 때문에, 플래튼의 제작량의 대폭적인 비용절감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20)에 설치된 가이드홈(34)의 요부(35)의 홈 폭을 크게 하여 슬라이드 부시(24)와의 사이에 유극부(51)를 가지고 있게 함으로써, 파지기 조오(30)를 접지시켰을 경우, 페이스 플레이트(21)의 위쪽으로의 회동이 자유로워 팬터그래프 기구(22)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4 도는 본 실시예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통상의 평 파렛트(61)용의 포크(43)와 밀기-끌기 장치(40)를 장비한 지게차를 개시한 것이다. 밀기-끌기 장치(40)는 플래튼(36)이 없는 것을 제외하면 전의 실시예의 밀기-끌기 장치(40)와 동일한 구성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지게차의 포크(43)로 평 파렛트(61)를 지지한 상태에서 그 밀기-끌기 장치(40)를 사용하여 시트 파렛트(62) 위의 하물의 운반을 행할 수 있다. 또, 68은평 파렛트(61)가 파지기 조오(30)의 밑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파렛트 스토퍼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34)은 요부(35)를 포함하기 때문에, 팬터그래프 기구(22)를 축소한 상태에서는 파지기 조오(30)는 평 파렛트(61)의 상면보다 위에 있고, 팬터그래프 기구(22)를 신장시키고 동시에 지게차의 마스트(41)를 앞으로 기울게 하고 경사각을 크게 하였을 때에는, 파지기 조오(30)가 마루면에 접하도록 가이드홈(34)의 요부(35)의 깊이를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 4 도는 트럭의 짐칸(65)에서 하역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하물을 적재한 시트 파렛트(62)가 트럭의 짐칸(65) 위에 있고, 지게차의 포크(43)에는 평 파렛트(61)가 지지되어 있다. 즉, 지게차의 포크(43)는 평 파렛트(61)에 끼워 넣어져 있다. 먼저, 파지기(33)로 시트 파렛트(62)를 파지하고, 지게차를 후퇴시켜서, 짐칸(65)의 위에 있는 평 파렛트(61)가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짐칸(65)의 끝에서 떨어진 위치에 오게 하고, 그리고 평 파렛트(61)의 상면이 짐칸(65)의 상면과가 거의 동일면이 되도록 하강시킨다. 그 후, 팬터그래프 기구(22)를 줄이는 방향으로 구동한다면, 시트 파렛트(62)에 하물을 실은 상태대로 시트 파렛트(62)를 평 파렛트(61) 상에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2 개의 실시예에서는 팬터그래프 기구(22)의 기단측의 하부를 고정부(45), 상부를 가동부(46)로 하였으나, 거꾸로 상부를 고정부, 하부를 가동부로 하고 가이드홈을 상기 실시예와 대칭적으로 설치하여도 똑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지게차에 사용되는 밀기-끌기 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앞의 실시예와 같이 밀기-끌기 장치(40)는, 프레임(20)과, 페이스 플레이트(21)와, 팬터그래프 기구(22)를 보유하고 있다. 프레임(20)은 고정축받이(23)와 가이드홈(34)을 구비하고, 페이스 플레이트(21)는 고정축받이(28)와 가이드홈(37)을 구비하고 있다. 팬터그래프 기구(22)의 가동부의 링크에 지지된 슬라이드 부시(24,29)가 가이드홈(34,37)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며, 따라서 팬터그래프 기구(22)가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프레임(20)의 배면에는 지게차의 마스트(41)에 가로 설치된 핑거바(42)에 장착 가능한 걸쇠(25)가 설치되고, 프레임(20)의 하부에는 시트 파렛트(62)를 누르는 누름부재(26)와 그 누름부재(26)를 구동하는 실린더(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재(26)와 실린더(27)는 제 1 도에서 제 4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설치할 수 있다. 이 누름부재(26)는 시트 파렛트를 회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페이스 플레이트(21)에는, 파지기 조오(30)와, 파지기 플레이트(31)와, 파지기 플레이트(31)를 구동하는 실린더(32)로 구성된 파지기(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지기 조오(30)는, 도시한 상태에서 위쪽으로는 이동가능하며 도시 안된 스프링으로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또한, 파지기 조오(30)는, 상기 누름부재(26)를 생략했을 경우는 고정될 수도 있다.
이 밀기-끌기 장치(40)는, 제 5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게차의 마스트(41)에 가로 설치된 핑거 바(42)에, 프레임(20)의 발톱모양의 걸쇠(25)에 의하여 걸려서 장착되어 있다. 또, 밀기-끌기 장치(40)의 좌우에는, 평 파렛트용의 포크(43)가 핑거바(42)에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를 이용한 지게차에 의한 하역방법을 제 7A 도 내지 제 8F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설명은, 제 4 도의 설명을 더욱 상세하게 한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7A 도 내지 제 7C 도는 하물(60)을 트럭(64)의 짐칸(65)에 적재하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으며, 하물(60)은 미리 제 7A 도와 같이 평 파렛트(61)의 위에 실어 놓은 시트 파렛트(62) 위에 적재되어 있다. 다음에 제 7B 도와 같이 본 발명의 밀기-끌기 장치(40)를 장착한 지게차(63)가, 그 포크(43)를 평 파렛트(61)에 끼워 넣고, 그 평 파렛트(61)의 윗면이 짐칸의 문을 밑으로 내린 트럭(64)의 짐칸(65)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들어올린다.
이어서 제 7C 도와 같이 시트 파렛트(62)의 탭을 페이스 플레이트(21)의 파지기(33)로 잡고, 그 상태에서 팬터그래프 기구(22)를 늘리고 페이스 플레이트(21)를 전진시킴으로써, 시트 파레트(62)와 함께 하물(60)을 트럭의 짐칸(65)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한다. 이어서 파지기(33)를 개방하고, 팬터그래프 기구(22)를 줄여서 페이스 플레이트(21)를 후퇴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하물(60)을 트럭(64)에 실을 수 있다.
또한 하물(60)을 트럭(64)의 짐칸(65)의 안쪽 깊숙이 적재할 때는, 상기와 같이 하물(60)을 트럭에 실은 후, 포크(43)로부터 평 파레트(61)를 제거하고, 동시에 팬터그래프 기구(22)를 힘껏 늘인 상태에서, 지게차(63)를 전진시키고,포크(43)가 짐칸(65)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여, 페이스 플레이트(21)로 하물(60)을 밀어 넣을 수 있다.
제 8A 도에서 제 8F 도는 하물(60)을 트럭(64)의 짐칸(65)으로부터 내리는 경우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 8A 도에서는, 하물(60)이 시트 파렛트(62)의 위에 적재되어 트럭(64)의 짐칸(65)의 안쪽에 실려져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 지게차(63)에 평 파레트(61)를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링크기구(22)를 최대로 늘리고, 지게차를 전진시켜서 페이스 플레이트(21)의 파지기(33)로 시트 파렛트(62)의 탭을 잡고, 이어서 지게차(63)를 후퇴시켜서 제 8B 도와 같이 시트 파렛트(62)와 하물(60)을 짐칸(65)의 끝으로 끌어당긴다.
이어서, 파지기(33)를 개방하고, 페이스 플레이트(21)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포크(43)에 평 파렛트(61)를 받치게 하고, 제 8C 도와 같이 평 파렛트(61)를 하물(60)에 접근시켜, 그 윗면을 짐칸(65)과 같은 높이로 들어올린다.
이어서 제 8D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페이스 플레이트(21)를 전진시키고, 그 파지기(33)로 시트 파렛트(62)의 탭을 잡고, 제 5E 도와 같이 팬터그래프 기구(22)에 의하여 페이스 플레이트(21)를 후퇴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시트 파렛트(62)는 제 8F 도와 같이 하물(60)을 적재한 채로 평 파렛트(61)의 위에 옮겨진다. 이후에 지게차(63)는 하물(60)을 소정의 장소로 운반하는 것이다.
또한, 제 7B 도 및 제 7C 도에 있어서, 시트 파렛트(62)를 회수하는 경우에는 제 9A 도에서 제 9C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하여 행할 수 있다. 즉, 제 9A 도는 페이스 플레이트(21)의 파지기(33)가 시트 파렛트(62)의 탭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제 9B 도와 같이, 파지기(33)를 개방함과 아울러 프레임(20)의 실린더(27)를 작동시켜서 누름부재(26)를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그 선단이 파지기 조오(30)를 들어올린다.
파지기 조오(30)를 들어올리면, 시트 파렛트(62)의 탭은 파지기 조오(30)에서 벗어나 아래쪽으로 떨어진다. 이 탭을 제 9C 도와 같이 누름부재(26)로 평 파렛트(61)에 밀어붙인다. 그리고 페이스 플레이트(21)에 의하여 하물(60)을 밀어냄으로써, 시트 파렛트(62)를 남겨두고 하물(60)을 트럭에 실을 수가 있으며, 시트 파렛트(62)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성이 좋으며, 파지기 조오, 플래튼 등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밀기-끌기 장치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평 파렛트용의 포크를 보유하는 지게차에 시트 파렛트용의 밀기-끌기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시트 팔레트의 하역이 가능해진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지게차에 밀기-끌기 장치의 장치 개조를 행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전용의 밀기-끌기 지게차를 구입하는 것에 비하여 경제적이 된다. 또 시트 파렛트를 평 파렛트와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평 파렛트 위에 하물을 옮겨실은 후에는 종래의 하역작업과 하등 변함이 없다. 따라서 소량의 짐을 받는 쪽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대량의 제조메이커로부터 소량의 짐을 받는 쪽까지의 파렛트의 통일화에 기여하는 바가 지대하다.

Claims (7)

  1. 지게차로의 장착부(25)를 보유하는 프레임(20)과, 하부에 파지기(33)를 가진 페이스 플레이트(21)와,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21)를 접속하는 종형의 팬터그래프 기구(22)를 구비한 밀기-끌기 장치(4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에는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22)의 기단측 가동부(46)의 슬라이드 부시(24)를 그 팬터그래프 기구의 신축에 수반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34)를 설치하고, 그 가이드부(34)는,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수축· 후퇴한 위치에서 개략 수평이 되고 동시에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최대로 신장한 위치에서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앞으로 기울어져서 페이스 플레이트(21)가 소정 치수 강하하는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기-끌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20)에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최대로 신장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부(35)를 보유하는 가이드홈(34)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기-끌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34)은, 페이스 플레이트(21)가 접지했을때 상기 기단측 가동부(46)의 슬라이드 부시(24)를 해방하는 유극부(51)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기-끌기 장치.
  4. 통상의 평 파렛트용의 포크(43)를 가진 지게차로서, 시트 파렛트의 탭을 파지하는 파지기(33)를 하부에 보유하는 페이스 플레이트(21)와, 지게차의 마스트(41)에 설치된 핑거바(4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에 기단부를 지지받고, 다른 한쪽의 끝에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21)를 지지하여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신축가능한 팬터그래프 기구(22)로 된 시트 파렛트용 밀기-끌기 장치(40)가 장착되어 구비되고,
    상기 밀기-끌기 장치는,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22)의 기단측 가동부(46)의 슬라이드 부시(24)를 그 팬터그래프 기구의 신축에 따라 자유로이 미끌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3?)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34)는,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수축· 후퇴한 위치에서 개략 수평이 되고 또한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최대로 신장한 위치에서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앞으로 기울어져 페이스 플레이트(21)가 소정 치수 강하하는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파렛트용 밀기-끌기 장치(40)는, 상기 통상의 평 파렛트용의 포크(43)와는 별도로 지게차의 핑거바(42)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의 평 파렛트용의 포크(43)는, 단독으로 지게차의 핑거바(42)에 탈착가능토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7. 지게차로의 장착부(25)를 보유하는 프레임(20)과, 하부에 파지기(33)를 가진 페이스 플레이트(21)와,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21)를 접속하는 종형의 팬터그래프 기구(22)를 구비한 밀기-끌기 장치(40)와 통상의 평 파렛트용의 포크가 장착되어 구비된 지게차를 사용한 하역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에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22)의 기단측 가동부(46)의 슬라이드 부시(24)를 그 팬터그래프 기구의 신축에 따라 자유로이 미끌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34)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34)는,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22)가 최대로 신장한 위치에서 팬터그래프 기구(22)가 기울어져 페이스 플레이트(21)가 소정 치수 강하하는 기능을 갖춘 밀기-끌기 장치(40)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지게차의 포크(43)로 평 파렛트를 받친 상태에서 상기 밀기-끌기 장치(40)를 사용하여 시트 파렛트 상의 하물의 하역을 행하고, 이 때, 밀기-끌기 장치에 의해 하물을 실은 시트 파렛트를 평 파렛트로 끌어올리고, 하물을 실은 시트 파렛트를 평 파렛트로부터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방법.
KR1019950026380A 1994-08-25 1995-08-24 밀기-끌기 장치 및 밀기-끌기 장치를 갖춘 지게차와 이것을 이용한 하역방법 KR100425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93/1994 1994-08-25
JP200808/1994 1994-08-25
JP20080894A JP3322999B2 (ja) 1994-08-25 1994-08-25 プッシュプル装置
JP20079394A JP3352539B2 (ja) 1994-08-25 1994-08-25 荷役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435A KR960007435A (ko) 1996-03-22
KR100425520B1 true KR100425520B1 (ko) 2004-06-23

Family

ID=2651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380A KR100425520B1 (ko) 1994-08-25 1995-08-24 밀기-끌기 장치 및 밀기-끌기 장치를 갖춘 지게차와 이것을 이용한 하역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25520B1 (ko)
CN (1) CN11070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8453A (zh) * 2013-04-23 2014-10-29 昆山友进智能建筑工程有限公司 建筑工程用便于卸料的推料车
CN105501998B (zh) * 2015-12-31 2018-08-21 江苏新美星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用于快速装车的垛输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87U (ko) * 1976-06-25 1978-01-12
JPS57184899U (ko) * 1981-05-18 1982-11-24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2286A (en) * 1983-05-09 1984-11-13 Cascade Corporation Forklift truck push-pull slipsheet handler for facilitating conversion of truck between slipsheet handling and pallet handling capabilit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87U (ko) * 1976-06-25 1978-01-12
JPS57184899U (ko) * 1981-05-18 1982-11-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021C (zh) 2003-04-30
CN1123765A (zh) 1996-06-05
KR960007435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61628A (en) Load handling in fork-lift trucks movable fork cover for forklift truck
JP3881369B2 (ja) 貨物用ラック
US7255202B2 (en) Truck mounted forklift with double-acting freelift mast
US34385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load supported on a pallet
US4415302A (en) Pallet retrieving mechanism for forklift vehicle
NL2004526C2 (nl) Duw-trek inrichting, heftruck en werkwijze voor het verplaatsen van goederen.
JPS6019699A (ja) スリツプシ−ト処理装置
US4832562A (en) Integrated air bearing slip sheet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slip sheet employed therein
KR100425520B1 (ko) 밀기-끌기 장치 및 밀기-끌기 장치를 갖춘 지게차와 이것을 이용한 하역방법
US3197053A (en) Article-handling apparatus with pusher and anchor means mounted on a vertically movable subframe
CN212557648U (zh) 一种新式集装箱
JP3352539B2 (ja) 荷役方法
JP2915808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プッシャ装置
JP7189833B2 (ja) 車両用荷室のスライド脱着構造
JP2000203799A (ja) フォ―クリフトのクランプ装置
JPH11139793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プッシャ装置
JP3322999B2 (ja) プッシュプル装置
KR102459334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JP2733013B2 (ja) トラックローダー
JP2585136B2 (ja)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JP3208241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プッシャ装置
KR960000113B1 (ko)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JPH072115A (ja) 昇降機構付き運搬台車
JP3352536B2 (ja) 貨物損傷防止機構付フェースプレート
CN111776494A (zh) 一种新式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