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690B1 - 차량의 핸들용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의 핸들용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24690B1 KR100424690B1 KR10-2001-0022841A KR20010022841A KR100424690B1 KR 100424690 B1 KR100424690 B1 KR 100424690B1 KR 20010022841 A KR20010022841 A KR 20010022841A KR 100424690 B1 KR100424690 B1 KR 100424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member
- side switch
- handle
- switch unit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60Q1/0082—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의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인 접속이 용이하고, 형상의 제약도 적고, 또한 핸들의 스포크부의 강도열화도 수반하지 않는 차량의 핸들용 스위치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유닛(1)이 핸들의 스포크부(2)에 설치할 때에 서로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면측 스위치부재(3)와 이면측 스위치부재(4)를 구비하고, 양 스위치부재(3, 4)를 일체화시키면 한쪽의 탄성전극부(6)가 다른쪽의 전극패턴부(5)에 탄성접촉하도록 하여 둔다. 이에 의하여 핸들에 설치하기 전에 양 스위치부재(3, 4)를 일체화하여 둘 필요가 없어짐으로 형상이나 크기의 제약이 적어진다. 또 핸들에 설치한 후에 양 스위치부재(3, 4)를 하니스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는 번잡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설치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핸들의 스포크부(2)에 설치용 통과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기계적 강도를 열화시킬 염려도 없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핸들(스티어링휠)의 스포크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위치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일체화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를 구비한 핸들용 스위치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이와 같은 종류의 핸들용 스위치유닛은 미리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를 소정의 브래킷에 설치하여 기계적으로 일체화하여 둠과 동시에 양 스위치부재를 배선을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두고 이 일체화한 스위치유닛의 브래킷을 핸들의 스포크부의 코어바에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의 운전석에서 보아 스포크부의 표면측에 표면측 스위치부재가 배치되고, 또한 스포크부의 이면측에 이면측 스위치부재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예로서는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를 각각 따로따로 핸들의 스포크부의 코어바에 고정시킨 후, 양 스위치부재를 하니스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핸들용 스위치유닛은 예를 들면 드라이브범위에서 주행중에 시프트위치를 업시키거나 다운시키기도 하는 가압조작형 스위치로서 사용할 수 있으나, 그 밖에 카에어컨디셔너나 자동차전화를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서 사용하거나, 혼스위치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 중, 전자는 미리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스위치유닛를 핸들의 스포크부에 고정시킨다는 것임으로 예를 들면 상기 스포크부의 코어바를 파지 가능한 형상의 브래킷에 양 스위치부재를설치하여 두지 안으면 안되고, 그 경우 각 스위치부재의 형상이나 크기가 제약되어 설계 자유도가 낮아진다는 불편이 있었다. 또 상기 기술의 변형예로서는 핸들의 스포크부의 코어바에 설치한 통과구멍에 어느 한쪽의 스위치부재가 삽입 가능한 상태로 양 스위치부재를 일체화하여 둔다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도 각 스위치부재의 형상이나 크기가 제약을 받기 쉽고, 또한 스포크부의 코어바에 큰 통과구멍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상기 스포크부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하게 열화하여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를 따로따로 핸들의 스포크부의 코어바에 고정시킨다는 후자의 종래기술의 경우, 설계 자유도의 저하나 스포크부의 강도열화를 초래할 염려는 없으나, 스포크부에 설치된 후에 양 스위치부재를 하니스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작업을 핸들의 이면측의 좁은 공간에서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설치시의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가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인 접속이 용이하고, 형상의 제약도 적고, 또한 핸들의 스포크부의 강도열화도 수반하지 않는 차량의 핸들용 스위치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유닛을 핸들의 스포크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로서 양 스위치부재의 전기적 접속부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상기 스위치유닛의 설치 후의 외관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
도 4는 상기 스위치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유닛 2 : 스포크부
2a : 코어바 3 : 표면측 스위치부재
4 : 이면측 스위치부재 5 : 전극패턴부(전극부)
6 : 탄성전극부 7, 12 : 조작버튼
8, 13 : 스위치소자 9, 14 : 스냅포올
10, 15 : 포올삽입구멍 11, 16 : 프린트기판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차량의 핸들의 스포크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위치유닛이 상기 스포크부에 설치할 때에 서로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양 스위치부재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각각 전극부가 설치되어 있어, 이들 전극부 중, 어느 한쪽이 탄성변형하는 탄성전극부이고, 상기 양 스위치부재를 일체화시키면 한쪽의 상기 탄성전극부가 다른쪽의 상기 전극부에 탄성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위치유닛은 핸들에 설치하기 전에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를 미리 일체화하여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형상이나 크기의 제약이 적어 설계의 자유도가 높고, 또 양 스위치부재를 기계적으로 일체화시키면 한쪽의 탄성전극부가 다른쪽의 전극부에 탄성접촉하여 전기적으로도 접속됨으로 핸들에 설치한 후에 양 스위치부재를 하니스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고 하는 번잡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의 스포크부에 설치용 통과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그 기계적 강도를 열화시킬 염려도 없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덧붙여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가 스냅끼워맞춤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하여 두면, 양 스위치부재를 스포크부를 끼운 상태로 하여 간단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시의 작업성이 대폭 향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유닛을 핸들의 스포크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로서 양 스위치부재의 전기적 접속부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상기 스위치유닛의 설치 후의 외관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 도 4는 상기 스위치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핸들용 스위치유닛(1)은 자동차의 핸들의 스포크부(2)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표면측 스위치부재(3)와 이면측 스위치부재(4)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스위치부재(3, 4)를 조합시킴으로써 2개의 스포크부(2)를 관통하게 하는 관통구멍(1a, 1b)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스포크부(2)란, 에어백장치 등이 수납되어 있는 핸들의 중앙부와, 핸들의 바깥 둘레부를 구성하는 둥근 고리형상의 링부를 연결하고 있는 부위로서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4개의 스포크부(2)를 가지는 핸들에 적용되고, 그 중, 2개의 스포크부(2)에 설치되는 스위치유닛(1)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위치유닛(1)의 표면측 스위치부재(3)와 이면측 스위치부재(4)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전극패턴부(5)와 탄성전극부(6)가 설치되어 있다. 즉, 표면측 스위치부재 (3)에는 가압조작되는 조작버튼(7)이나, 클릭고무 및 접점부를 가지는 스위치소자 (8)나, 스냅끼워맞춤용 스냅포올(9) 및 포올삽입구멍(10) 외에 프린트기판(11) 위에 형성된 전극패턴부(5)가 구비되어 있어 이 전극패턴부(5)가 표면측 스위치부재 (3)의 한쪽 끝부에 노출되어 있다. 또 이면측 스위치부재(4)에는 가압조작되는 조작 버튼(12)이나, 클릭고무 및 접점부를 가지는 스위치소자(13)나, 스냅끼워맞춤용 스탭포올(14) 및 포올삽입구멍(15) 이외에 프린트기판(16) 위에 설치된 전자부품(17)에 돌출설치되어 탄성이 풍부한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전극부 (6)가 구비되어 있어 이 탄성전극부(6)가 이면측 스위치부재(4)의 한쪽 끝부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측 스위치부재(3) 및 이면측 스위치부재(4)를 핸들의 스포크부(2)를 끼운 상태로 하여 서로 가압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냅포올(9)이 포올삽입구멍(15)에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스냅포올(14)이 포올삽입구멍(10)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양 스위치부재(3, 4)는 기계적으로 일체화되어 스포크부(2)에 설치된 상태의 스위치유닛(1)이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양 스위치부재(3, 4)를 일체화하면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측 스위치부재(4)의 탄성전극부(6)가 표면측 스위치부재(3)의 전극패턴부(5)에 탄성접촉함으로 양 스위치부재(3, 4)는 전기적으로도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한 스포크부(2)는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바(2a)를 합성수지제의 피복체(2b)로 피복한 것으로, 도시 생략하나 이면측 스위치부재(4)의 일부를 스포크부(2)의 코어바(2a)에 나사고정함으로써 스위치유닛(1)은 상기 코어바(2a)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스위치유닛(1)은 그 표면측 스위치부재(3)와 이면측 스위치부재(4)를 핸들의 스포크부(2)에 설치할 때에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는 것으로서, 양 스위치부재(3, 4)를 설치하기 전에 미리 일체화하여 둘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분할상태로 스포크부(2)에 설치할 수 있는 스위치유닛(1)은 각 스위치부재(3, 4)의 형상이나 크기가 거의 제약되지 않으므로 설계자유도가 양호하고, 따라서 각종 조작스위치에 적용가능하여 다기능화도 도모하기 쉽다.
또 이 스위치유닛(1)은 양 스위치부재(3, 4)를 끼워 맞추어 기계적으로 일체화시키면 한쪽의 탄성전극부(6)가 다른쪽의 전극패턴부(5)에 탄성접촉하여 양 스위치부재(3, 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핸들의 스포크부(2)에 설치한 후에 양 스위치부재(3, 4)를 하니스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다. 즉, 핸들의 이면측의 좁은 공간내에서 양 스위치부재(3, 4)의 전기적 접속을 도모하기 위한 번잡한 배선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스위치유닛(1)은 설치시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 스위치유닛(1)의 경우 표면측 스위치부재(3)와 이면측 스위치부재(4)에 스냅포올(14) 등을 설치하여 양 스위치부재(3, 4)가 스냅끼워맞춤에 의해 간단하게 일체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시의 작업성은 매우 양호하다.
또 이스위치유닛(1)은 부품치수 등의 오차에 의해 전극패턴부(5)와 탄성전극부(6)와의 상대위치에 약간의 어긋남이 있었다 하더라도 탄성이 풍부한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탄성전극부(6)를 상기 전극패턴부(5)에 확실하게 탄성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니스를 개재하고 있지는 않으나, 양 스위치부재(3, 4)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은 높다. 또한 이 스위치유닛(1)에는 스포크부(2)의 코어바(2a)에 스위치부재(3 또는 4)를 끼워넣게 하기 위한 통과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코어바(2a)의 기계적 강도를 열화시킬 염려도 없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예에서는 이면측 스위치부재(4)에 탄성전극부(6)를 설치하고 있으나, 표면측 스위치부재(3)에 탄성전극부(6)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스위치유닛(1)을 스포크부(2)의 코어바(2a)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한 실시형태예에서는 이면측 스위치부재(4)를 코어바(2a)에 나사고정하고 있으나, 이 코어바(2a)에 표면측 스위치부재(3)를 나사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예에서는 스위치유닛(1)을 2개의 스포크부(2)에 설치하고 있으나, 스위치유닛(1)을 1개의 스포크부(2)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스포크부에 설치할 때에 서로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양 스위치부재를 일체화시키면 한쪽의 탄성전극부가 다른쪽의 전극부에 탄성접촉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핸들에 설치시키기 전에 양 스위치부재를 미리 일체화하여 둘 필요가 없고, 따라서 형상이나 크기의 제약이 적어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 핸들에 설치한 후에 양 스위치부재를 하니스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고 하는 번잡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설치시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핸들의 스포크부에 설치용 통과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기계적 강도를 열화시킬 염려도 없다.
또 본 발명은 탄성전극부가 탄성접촉하는 전극부를 프린트기판 위에 형성된 전극패턴을 가지고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전극부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어 스위치유닛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를 스냅끼워맞춤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설치시의 작업성을 더 한층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핸들의 스포크부에 나사고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스위치유닛을 스포크부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Claims (4)
- 차량의 핸들의 스포크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위치유닛이 상기 스포크부에 설치할 때에 서로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이면측 스위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양 스위치부재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각각 전극부가 설치되어 있어 이들 전극부 중, 어느 한쪽이 탄성변형하는 탄성전극부이고 상기 양 스위치부재를 일체화시키면 한쪽의 상기 탄성전극부가 다른쪽의 상기 전극부에 탄성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핸들용 스위치유닛.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전극부가 탄성접촉하는 상기 전극부가 프린트기판 위에 형성된 전극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핸들용 스위치유닛.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상기 이면측 스위치부재가 스냅걸어맞춤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핸들용 스위치유닛.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표면측 스위치부재와 상기 이면측 스위치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핸들의 상기 스포크부에 나사고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핸들용 스위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130704 | 2000-04-28 | ||
JP2000130704A JP3789284B2 (ja) | 2000-04-28 | 2000-04-28 | 車両のハンドル用スイッチユニッ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9755A KR20010099755A (ko) | 2001-11-09 |
KR100424690B1 true KR100424690B1 (ko) | 2004-03-27 |
Family
ID=1863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2841A KR100424690B1 (ko) | 2000-04-28 | 2001-04-27 | 차량의 핸들용 스위치 유닛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501035B2 (ko) |
EP (1) | EP1149730B1 (ko) |
JP (1) | JP3789284B2 (ko) |
KR (1) | KR100424690B1 (ko) |
DE (1) | DE60102092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62159B2 (en) * | 2002-08-28 | 2010-07-27 | Alps Electric Co., Ltd. | Steering switch for vehicle |
EP1415857A2 (de) * | 2002-10-30 | 2004-05-06 |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Fahrzeuglenkrad |
JP4415689B2 (ja) * | 2004-02-04 | 2010-02-1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ステアリング |
JP4142003B2 (ja) * | 2004-11-26 | 2008-08-2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
DE102007032657A1 (de) | 2007-07-13 | 2009-01-15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Betätigungseinrichtung an einem Fahrzeuglenkrad |
DE102009027232B4 (de) * | 2009-06-26 | 2016-06-02 | Ford-Werke Gmbh | Betätigungseinrichtung aus einem Lenkradschaltermodul |
JP5861269B2 (ja) * | 2011-04-25 | 2016-02-16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芳香発生装置 |
SE536985C2 (sv) | 2013-03-05 | 2014-11-25 | Scania Cv Ab | Anordning vid kontrollenhetskonfigur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7805602U1 (de) * | 1978-02-24 | 1978-06-08 | Zehender, Lothar, Ing.(Grad.), 7333 Ebersbach | Kraftfahrzeug-Sicherheitslenkrad |
US4447684A (en) * | 1982-06-23 | 1984-05-08 | Nihon Plast Co., Ltd. | Automotive horn switch structure on steering wheel |
US4697092A (en) * | 1983-02-23 | 1987-09-29 | Petri Ag |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s of an automotive vehicle |
US4590340A (en) | 1985-01-29 | 1986-05-20 | Nihon Plast Co., Ltd. | Steering wheel assembly for vehicles |
US5152358A (en) * | 1989-08-24 | 1992-10-06 |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 Vehicle steering apparatus |
US5855144A (en) * | 1992-07-13 | 1999-01-05 | Parada; Nikolay | Steering wheel |
US5627352A (en) * | 1994-09-28 | 1997-05-06 | Toyoda Gosei Co., Ltd. | Steering wheel |
US5721541A (en) | 1995-04-17 | 1998-02-24 | Chrysler Corporation | Remote control assembly for operating audio components in motor vehicle |
US5739491A (en) * | 1996-03-25 | 1998-04-14 | Crosson, Jr.; Oliver J. | Lane changer apparatus |
IT1285333B1 (it) * | 1996-05-17 | 1998-06-03 | Fiat Auto Spa | Dispositivo di comando di un avvisatore acustico, particolarmente per il volante di un autoveicolo. |
DE69725246T2 (de) * | 1996-08-06 | 2004-07-29 | Toyoda Gosei Co., Ltd., Haruhi | Lenkrad |
JP3276581B2 (ja) * | 1996-09-27 | 2002-04-22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
DE29720079U1 (de) * | 1997-11-12 | 1998-07-02 |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 Fahrzeuglenkrad mit integriertem Gassack-Modul |
DE29805207U1 (de) * | 1998-03-23 | 1998-06-04 |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63743 Aschaffenburg | Lenkrad mit Airbag |
DE19819695C2 (de) * | 1998-05-02 | 2000-12-07 | Eaton Controls Gmbh | Lenkrad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
JPH11329157A (ja) * | 1998-05-21 | 1999-11-30 | Alps Electric Co Ltd | スイッチ装置 |
JP3719861B2 (ja) * | 1998-11-12 | 2005-11-24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テアリング装置 |
-
2000
- 2000-04-28 JP JP2000130704A patent/JP378928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04-19 DE DE60102092T patent/DE60102092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4-19 EP EP01109683A patent/EP114973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4-19 US US09/838,481 patent/US650103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4-27 KR KR10-2001-0022841A patent/KR1004246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10037931A1 (en) | 2001-11-08 |
EP1149730B1 (en) | 2004-02-25 |
JP3789284B2 (ja) | 2006-06-21 |
KR20010099755A (ko) | 2001-11-09 |
DE60102092T2 (de) | 2004-10-28 |
EP1149730A3 (en) | 2002-12-04 |
EP1149730A2 (en) | 2001-10-31 |
US6501035B2 (en) | 2002-12-31 |
DE60102092D1 (de) | 2004-04-01 |
JP2001310740A (ja) | 2001-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763447B1 (en) | Combination switch device | |
US6257615B1 (en) | Impact protection device | |
US6576855B2 (en) | Rocker switch | |
JP3333387B2 (ja) | スイッチの取付構造 | |
US6145402A (en) | Steering module | |
KR100424690B1 (ko) | 차량의 핸들용 스위치 유닛 | |
US7934931B2 (en) | Rotating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 |
US20040179370A1 (en) | Switch structure of lamp unit | |
JP3273540B2 (ja) | 回転コネクタの取付構造 | |
EP0792221B1 (en) | Symmetrical circuit connection board for vehicle application | |
KR200445702Y1 (ko) | 차량용 스위치 유니트 | |
JP2002076732A (ja) | アンテナユニットの取付構造 | |
US12005953B2 (en) | Steering column | |
JPH11198742A (ja) | 自動車のドア用ハーネスの配索構造 | |
KR100509824B1 (ko) | 차량용 혼플레이트 어셈블리 | |
JP2726883B2 (ja) | 自動車ドア用回路体の取付構造 | |
KR0125729Y1 (ko) |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취부구조 | |
KR100410881B1 (ko) | 자동차용 클럭 스프링 | |
KR200146635Y1 (ko) |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연결용 그로메트 | |
JPH10172668A (ja) | 電子制御ユニットの防水コネクタ | |
JP4169628B2 (ja) | 車両用貼付スイッチ装置 | |
KR20000000051U (ko) | 자동차의 오디오기기용 램프 장착구조 | |
JP2003165386A (ja) | 自動車用内装構造 | |
JP2926675B2 (ja) | メータモジュールの車両への組付け方法 | |
KR0125837Y1 (ko) | 차량의 오토 안테나 콘넥터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