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035B1 - 재생기 - Google Patents

재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035B1
KR100424035B1 KR1019960058711A KR19960058711A KR100424035B1 KR 100424035 B1 KR100424035 B1 KR 100424035B1 KR 1019960058711 A KR1019960058711 A KR 1019960058711A KR 19960058711 A KR19960058711 A KR 19960058711A KR 100424035 B1 KR100424035 B1 KR 10042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regenerator
refrigerant
main body
furnac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254A (ko
Inventor
가즈야 사와꾸라
마사유끼 오오노오
스미오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140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2017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2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6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water vapour evaporated from a salt solution, e.g. lithium brom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03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or composition of the re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009Heat exchange having a solid heat storage mass for absorbing heat from one fluid and releasing it to another, i.e. re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용액의 농도 얼룩을 감소시켜서 공조 부하의 변동에 대한 응답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동일 지름의 개구(34a)가 한쪽이 조밀하지 않고 다른쪽이 조밀하게 되도록 나란히 설치하여 형성한 살포기(34)를, 개구(34a)가 조밀하지 않게 형성되어 있는 측을 용액 토출구(16)가 형성된 측벽(1a)으로 향하고, 개구(34a)가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는 측을 다른쪽의 측벽(1b)으로 향하고, 용액 토출구(16)보다 전벽(1c)측에 훨씬 치우친 위치에, 밑판을 수평으로 하여 증발 분리 영역(19)의 기상부에 설치하고, 그 긴쪽 방향의 중앙부에, 재생기 동체(1)의 측벽(1a, 1b)과 평행하게, 또한, 그 양 측벽에서 같은 거리의 위치에 설치한 공급 수단(35)을 통해, 흡수기에 의해 냉매를 흡수한 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했다.

Description

재생기{REGENERATOR}
본 발명은 흡수 냉동기에 있어서 재생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냉매에 물(H2O), 흡수제(흡수액)에 브롬화리튬(LiBr) 수용액을 사용한, 도3에 도시한 구성의 이중 효용 흡수 냉동기가, 예를 들면 일본 실공평7-2557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이중 효용 흡수 냉동기에 있어서는, 고온 재생기(40)에서 증발하고, 냉매 배관(81)으로 들어간 냉매는 저온 재생기(50)를 거쳐 응축기(60)로 들어가고, 냉각수 배관(82)내를 흐르는 물과 열교환하여 응축 액화한 후 냉매 배관(83)을 통해 증발기(70)로 흘러간다. 그리고, 냉매액이 냉수 배관(84)내를 흐르는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하고, 그 기화열에 의해 냉수 배관(84)내의 물이 냉각된다. 또한, 증발기(70)에서 증발한 냉매는, 흡수기(80)로 들어가 상방으로부터 살포되는 브롬화리튬 수용액의 흡수액(이하, 용액이라 말한다)으로 흡수된다. 그리고, 냉매를 흡수하여 농도가 엷게 된 용액이 흡수액 펌프(85)의 운전에 의해, 흡수액 배관(86)을 통해 저온 열교환기(87), 고온 열교환기(88)를 거쳐 고온 재생기(40)로 보내진다. 고온 재생기(40)로 들어간 용액은 버너(4)에 의해 가열되고, 냉매가 증발하고 중간 농도가 된 용액이 흡수액 배관(89), 고온 열교환기(88), 흡수액 배관(90)을 거쳐 저온 재생기(50)로 들어간다. 그리고, 용액은 고온 재생기(40)로부터 냉매 배관(81)을 흘러온 냉매 증기에 의해 가열되고, 또한 냉매가 증발 분리되어 농도가 높아진다. 고농도로 된 용액은 흡수 용액 배관(91), 저온 열교환기(87), 흡수액 배관(92)을 거쳐 온도 저하하고, 흡수기(80)로 흘러서 상방으로부터 살포된다. 한편, 참조 부호 93은 냉매 배관(94)에 설치되어 증발기(70)의 냉매실에 모인 냉매액을 증발기(70) 내의 냉매 배관으로 살포하기 위한 냉매 펌프이다.
그리고, 상기 이중 효용 흡수 냉동기 등에 사용하는 고온 재생기(40)로서, 예를 들면 도4 내지 도7에 도시한 구성의 것이 일본 특공평7-5421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면중 참조 부호 1은 재생기의 동체(이하, 재생기 동체이라 말함)이고, 그 하부에는 연소실(2)을 형성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노 본체(3)가 재생기 동체 벽과 소정의 간극을 통해 수납되고, 또한, 연소실(2)로 향하여 버너(4)가 재생기 동체(1)에 장비되어 있다. 참조 부호 5는 연소실(2)의 후방의 노 본체 복귀실(6)과 연통하고, 또한, 연소실(2)의 상방에 형성된 배기 통로이고, 이배기 통로에는 다수의 용액관(7)이 예를 들면 갈짓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재생기 동체(1)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용액부(8 내지 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용액부(14)는 용액관(7)보다 높은 부위의 재생기 동체 벽에 개설한 용액 토출구(16)와, 용액관(7)의 상단과의 사이의 부분에 형성되는 용액부이고, 용액부(15)는 용액부(13, 14)를 연통하고 있는 용액관(7)의 내부이다. 또한, 용액부(10, 11, 12)에 의해, 종단면이 U자형인 가열 대류 영역(17)이 형성되고, 이 가열 대류 영역의 상방에는 용액부(13, 14, 15) 및 기상부(氣相部)(18)로 구성되는 증발 분리 영역(19)이 연속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20은 배기 통로(5)와 연통하고 있는 연기실(煙氣室)이고, 이 연기실은 굴뚝(20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배기 통로(5) 내에는, 상류측일수록 높이가 낮고, 하류측일수록 높이가 높은 안내판(21, 22, 23, 24, 25)이 배기 통로(5)의 천장면으로부터 늘어져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참조 부호 26은 재생기 동체(1)의 천장판부에 개설된 용액 주입구, 참조 부호 27은 재생기 동체(1)의 상부에 배치된 증기실, 참조 부호 28은 이 증기실에 개설된 냉매 증기의 토출구이고, 참조 부호 29는 재생기 동체(1)를 안치하고 있는 가대이다.
또한, 도5에 도시한 참조 부호 30은 버너(4)의 부착구이고, 도5, 도8에 도시한 참조 부호 31, 32는, 각각 용액 주입구(26), 냉매 증기 토출구(28)에 배관 접속한, 토출용의 증기 배관과, 주입용의 용액 배관이다. 또한, 도5, 도7에 도시한 참조 부호 33은 연기실(20)의 덮개이고, 제거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고온 재생기(40)에 있어서는, 그 가열시에 배기 통로(5)를 흐르는 폐가스가 안내판(21 내지 25)에 의해 하류측일수록 하부측을 흐른다. 이 때문에, 배기 통로(5)내 하류측의 용액관(7) 하부에서의 열교환량이 많게 된다. 따라서, 배기 통로(5) 하류측의 용액관(7) 하부로부터 용액으로의 가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액이 비등하여 생기는 증기의 기포와 같이, 용액은 용액관(7)내, 즉 용액부(15)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하고, 다수의 이들 용액부(15)와 용액부(13, 14)로 형성된 증발 분리 영역(19)내를 용액은 대류하면서 교반되고, 그 결과로서, 상기 증발 분리 영역내에 있어서 용액의 브롬화리튬 농도의 균일화가 촉진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고온 재생기(40)에 있어서는, 버너(4)에 점화하여 화염을 연소실(2)에 형성하고, 화염과 폐가스의 여열(余熱)에 의해 재생기 동체(1)내의 용액을 가열하면, 화염의 선단이 늘어나고, 또한, 폐가스가 배기 통로(5)측에 반전하는 노 본체 복귀실(6)측의 용액 온도가 가장 높게 되고, 냉매 증기를 증발 분리하면서 상승하는 강한 대류가 일어나지만, 이 부분의 중앙부에 찬 용액이 용액 주입구(26)로부터 주입되어 있기 때문에, 용액 온도가 저하함과 동시에, 대류가 난류 기미를 보이고, 냉매 농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용액이 용액 토출구(16)로부터 직접 토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 분리 영역(19) 상방의 기상부(18)에 살포기(34)를 재생기 동체(1)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측벽(1a, 1b)에 평행하게, 또한, 양쪽의 측벽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설치하고, 이 살포기(34)를 통해, 용액을 가열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앞쪽의 버너 부착구측에, 보다 많은 용액을 주입하고, 이 버너 부착구측에서는 주입한 용액을 대류에 의해 일단 하강시키고, 가열 정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노 본체 복귀실(6)측에서는 용액을 발생하는 기포와 함께 상승시키고, 용액부(14)를 통해 전면측에 대류시킨 후, 용액 토출구(16)로부터 농도가 높게 된 용액을 토출하도록 구성한 고온 재생기(40)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도8에 도시한 구성의 고온 재생기에 있어서는, 살포기가 재생기 동체의 양 측벽에 평행하게, 또한, 양 측벽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설치되어, 용액이 저류부의 중앙 부분에 평균적으로 주입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대류에 의한 용액의 순환 혼합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용액에 농도 얼룩이 생겨 공조 부하의 변동에 대해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어, 이 점의 해결이 과제로 되고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의 설명도.
도2A 및 도2B는 살포기의 다른 형상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3은 흡수식 냉동기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4는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종래 기술의 설명도.
도5는 도4에 도시한 재생기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
도6은 도4에 도시한 재생기의 X-X 화살표의 단면 설명도.
도7은 도4에 도시한 재생기의 Y-Y 화살표의 단면 설명도.
도8은 다른 종래 기술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생기 동체(재생기의 동체) 1a, 1b : 측벽
2 : 연소실 3 : 노 본체
3a : 개시단부 3b : 종단부
4 : 버너 5 : 배기 통로
6 : 노 본체 복귀실 7 : 용액관
8 내지 15 : 용액부 16 : 용액 토출구
17 : 가열 대류 영역 18 : 기상부
19 : 증발 분리 영역 20 : 연기실
21 내지 25 : 안내판 26 : 용액 주입구
27 : 증기실 28 : 냉매 증기 토출구
29 : 가대 30 : 버너 부착구
34 : 살포기 34a : 개구
35 : 공급 수단 40 : 고온 재생기
50 : 저온 재생기 60 : 응축기
70 : 증발기 80 : 흡수기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노 본체와, 이 노 본체의 종단부로부터 연장 설치하여 노 본체의 상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배기 통로를 수납하고, 배기 통로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용액관을 구비하고, 종단면이 U자형인 가열 대류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가열 대류 영역의 상방에 증발 분리 영역을 연속 설치하는 재생기 동체내에, 흡수기에서 냉매를 흡수한 용액이 증발 분리 영역의 기상부에 설치한 살포기를통해 주입되고, 이 재생기 동체내의 용액을 노 본체내에서 생성하는 화염과 배기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에 의해 가열하고, 냉매를 용액으로부터 증발 분리하여 토출함과 동시에, 냉매가 증발하여 냉매 농도가 저하한 용액을 용액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재생기에 있어서,
재생기 동체의 한쪽 측벽측과 다른 측벽측에서 용액 살포량이 다른 살포기를 노 본체의 개시단부측에 설치함과 동시에, 소량의 용액이 살포되는 측의 측벽의 상기 살포기의 노 본체 종단부측으로 치우쳐 용액 토출구를 설치한 제1 구성의 재생기와,
재생기 동체의 한쪽의 측벽측으로 살포구가 향한 살포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재생기 동체의 다른쪽 측벽의 상기 살포기의 노 본체 종단부측으로 치우쳐 용액 토출구를 설치한 제2 구성의 재생기와,
재생기 동체의 한쪽의 측벽측과 다른쪽의 측벽측에서 개구 면적이 다른 살포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개구 면적이 작은 살포구측의 외측의 상기 살포기의 노 본체 종단부측으로 치우쳐 용액 토출구를 설치한 제3 구성의 재생기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살포기로부터 용액을 살포하면서, 가열 대류 영역과 증발 분리 영역에 저류되어 있는 용액을, 노 본체의 개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하여 가스 버너 등에 의해 화염을 형성하고, 화염에 의한 발열과 폐가스의 여열에 의해 가열하면, 화염과 반전하여 배출되는 폐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노 본체 종단부측의 용액 온도가 가장 높고, 살포기의 하방의 용액 온도가 가장 낮기 때문에, 노 본체의 종단부측에서는용액이 상승하고, 노 본체의 개시단부측에서는 침강하는 용액의 강한 대류가 생긴다.
특히, 용액 토출구가 형성된 측벽의 측보다, 용액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벽의 측에, 보다 많은 용액이 주입되기 때문에, 노 본체의 개시단부측에서는 용액이 하강하고, 노 본체의 종단부측에서는 용액이 상승함으로써, 용액의 대류력을 유지하면서, 용액 농도를 신속히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공조 부하의 변동에 대한 응답성이 개선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1, 도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도3 내지 도8에 도시한 종래의 재생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1에 예시한 본 발명의 고온 재생기(40)도 살포기(34)의 구조 및 설치 위치등을 제외하고는 도3 내지 도8에 도시한 종래의 공지된 고온 재생기와 같은 구성이다.
즉, 재생기 동체(1)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노 본체(3)와, 노 본체 복귀실(6)을 통해 이 노 본체의 종단부(3b)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노 본체의 상방으로 수평으로 배치된 배기 통로(5)가 수납되어, 재생기 동체(1)의 내측에 종단면이 U자형을 나타내는 가열 대류 영역(17)과, 이 가열 대류 영역의 상방으로 연속 설치된 증발 분리 영역(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 통로(5)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용액관(7)이 배치되어, 가열 대류 영역(17) 및 증발 분리 영역(19)에 있어서 용액이 상하 및 수평 방향으로 유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노 본체(3)의 개시단부(3a)측에는 예를 들면 도시가스용의 버너(4)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버너에 의해 연소실(2)에서 화염을 노 본체 복귀실(6)측으로 향하여 형성하고, 화염에 의한 발열과 폐가스의 여열에 의해 재생기 동체(1)내에 주입한 용액을 가열하고, 냉매를 용액으로부터 증발 분리하여 재생기 동체(1)의 상부에 설치한 냉매 토출구(28)로부터 토출함과 동시에, 냉매가 증발하여 냉매 농도가 저하한 용액을 전벽(1c)측의 측벽(1a)에 설치한 용액 토출구(16)로부터 토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 사용한 살포기(34)는 평평한 저판에 동일 지름의 개구(34a)가 한쪽이 조밀하지 않고 다른쪽이 점차 조밀하게 되도록 나란히 설치한 직선형의 살포기이고, 개구(34a)가 조밀하지 않게 형성되어 있는 측을 용액 토출구(16)가 형성된 측벽(1a)으로 향하고, 개구(34a)가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는 측을 다른쪽의 측벽(1b)으로 향하고, 용액 토출구(16)보다 전벽(1c)의 측으로 훨씬 치우친 위치에, 저판을 수평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살포기(34)는 긴쪽 방향의 중앙부에, 재생기 동체(1)의 측벽(1a, 1b)과 평행하게, 또한, 그 양 측벽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설치한 공급 수단(35)을 통해, 흡수기(80)에서 냉매를 흡수한 용액이 흡수액 펌프(85)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살포기(34)에서 기내에 살포되고, 가열 대류 영역(17), 증발 분리 영역(19)에 저류되어 있는 용액을, 버너(4)가 형성하는 화염의 발열과, 폐가스의 여열에 의해 재생기 동체(1)의 용액을 가열하면, 화염과 반전하는 폐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노 본체 복귀실(6) 근방의 용액 온도가 가장 높고, 살포기(34)의 하방의 용액 온도가 가장 낮기 때문에, 노 본체 복귀실(6) 부근의 용액은 상승하고, 전벽(1c)의 측에서는 침강하는 용액의 강한 대류가 생긴다.
특히, 용액 토출구(16)가 형성된 측벽(1a)의 측보다, 용액 토출구(16)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측벽(1b)의 측에, 보다 많은 용액이 주입되기 때문에, 전벽(1c)의 측에서는 용액이 하강하고 후벽(1d)에서는 용액이 상승함으로써, 용액의 대류력을 유지하면서, 용액 농도를 신속하게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공조 부하의 변동에 대한 응답성이 개선된다.
한편, 살포기(34)의 개구(34a)는, 도2A와 같이 용액 토출구(16)를 설치하지 않은 측벽(1b)의 측으로 향하여 형성해도 좋고, 도2B와 같이 용액 토출구(16)를 설치한 측벽(1a)의 측의 개구 지름을 작게 형성하고, 측벽(1b)의 측이 개구 지름을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구(34a)를 상기 어느 것과 같이 형성하는 경우도, 개구(34a)는 같은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해도 좋고, 용액 토출구(16)의 측이 조밀하지 않게 되고, 그 반대측이 조밀하게 되도록 나란히 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열로 형성해도 좋고, 공급 수단(35)을 용액 토출구(16)로부터 이간하는 방향, 즉 측벽(1b)의 측으로 치우쳐 설치하거나, 측벽(1b)의 측이 측벽(1a)의 측보다 훨씬 낮게 되도록, 살포기(34)를 기울여 설치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살포기(34), 공급 수단(35)을 파이프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공급 수단(34a)은 살포기(34)의 위로 늘어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특허 청구의범위에 기재된 취지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연설된 노 본체와, 이 노 본체의 종단부로부터 연장 설치하여 노 본체의 상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배기 통로를 수납하고, 배기 통로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용액관을 구비하고, 종단면이 U자형인 가열 대류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가열 대류 영역의 상하에 증발 분리 영역을 연속 설치하는 재생기 동체내에, 흡수기에 의해 냉매를 흡수한 용액이 증발 분리 영역의 기상부에 설치한 살포기를 통해 주입되고, 이 재생기 동체내의 용액을 노 본체내에 생성하는 화염과 배기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에 의해 가열하고, 냉매를 용액으로부터 증발 분리하여 토출함과 동시에, 냉매가 증발하여 냉매 농도가 저하한 용액을 용액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재생기에 있어서,
재생기 동체의 한쪽의 측벽측과 다른쪽의 측벽측에서 용액 살포량이 다른 살포기를 노 본체의 개시단부측에 설치함과 동시에, 소량의 용액이 살포되는 측의 측벽에 상기 살포기로부터 노 본체 종단부측으로 치우쳐 용액 토출구를 설치한 재생기이고,
재생기 동체의 한쪽의 측벽측으로 살포구가 향한 살포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재생기 동체의 다른쪽의 측벽에 상기 살포기로부터 노 본체 종단부측으로 치우쳐 용액 토출구를 설치한 재생기이고,
또한, 재생기 동체의 한쪽의 측벽측과 다른쪽의 측벽측으로 개구 면적이 다른 살포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개구 면적이 작은 살포구측의 측벽에 상기 살포기로부터 노 본체 종단부측으로 치우쳐 용액 토출구를 설치한 재생기이기 때문에,
어느 재생기에 있어서는 노 본체 종단부 부근에서는 용액이 상승하고, 노 본체 개시단부 부근에서는 침강하는 용액이 강한 대류가 생긴다.
그리고, 용액 토출구가 형성된 측벽의 측보다, 용액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벽의 측에, 보다 많은 용액이 주입되기 때문에, 노 본체 개시단부측에서는 용액이 하강하고 노 본체 종단부측에서는 용액이 상승함으로써, 용액의 대류력을 유지하면서, 용액 농도를 신속하게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공조 부하의 변동에 대한 응답성이 개선된다.

Claims (3)

  1.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노 본체와, 이 노 본체의 종단부로부터 연장 설치하여 노 본체의 상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배기 통로를 수납하고, 배기 통로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용액관을 구비하고, 종단면이 U자형인 가열 대류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가열 대류 영역의 상방에 증발 분리 영역을 연속 설치하는 재생기 동체내에, 흡수기에서 냉매를 흡수한 용액이 증발 분리 영역의 기상부에 설치한 살포기를 통해 주입되고, 이 재생기 동체내의 용액을 노 본체내에 생성하는 화염과 배기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에 의해 가열하고, 냉매를 용액으로부터 증발 분리하여 토출함과 동시에, 냉매가 증발하여 냉매 농도가 저하한 용액을 용액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재생기에 있어서,
    재생기 동체의 한쪽의 측벽측과 다른쪽의 측벽측에서 용액 살포량이 다른 살포기를 노 본체의 개시단부측에 설치함과 동시에, 소량의 용액이 살포되는 측의 측벽에 상기 살포기로부터 노 본체 종단부측으로 치우쳐 용액 토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기.
  2.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노 본체와, 이 노 본체의 종단부로부터 연장 설치하여 노 본체의 상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배기 통로를 수납하고, 배기 통로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용액관을 구비하고, 종단면이 U자형인 가열 대류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가열 대류 영역의 상방에 증발 분리 영역을 연속 설치하는 재생기 동체내에, 흡수기에서 냉매를 흡수한 용액이 증발 분리 영역의 기상부에 설치한 살포기를 통해 주입되고, 이 재생기 동체내의 용액을 노 본체내에 생성하는 화염과 배기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에 의해 가열하고, 냉매를 용액으로부터 증발 분리하여 토출함과 동시에, 냉매가 증발하여 냉매 농도가 저하한 용액을 용액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재생기에 있어서,
    재생기 동체의 한쪽의 측벽측으로 살포구가 향한 살포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재생기 동체의 다른쪽의 측벽에 상기 살포기로부터 노 본체 종단부측으로 치우쳐 용액 토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기.
  3.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노 본체와, 이 노 본체의 종단부로부터 연장 설치하여 노 본체의 상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배기 통로를 수납하고, 배기 통로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용액관을 구비하고, 종단면이 U자형인 가열 대류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가열 대류 영역의 상방에 증발 분리 영역을 연속 설치하는 재생기 동체내에, 흡수기에서 냉매를 흡수한 용액이 증발 분리 영역의 기상부에 설치한 살포기를 통해 주입되고, 이 재생기 동체내의 용액을 노 본체내에 생성하는 화염과 배기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에 의해 가열하고, 냉매를 용액으로부터 증발 분리하여 토출함과 동시에, 냉매가 증발하여 냉매 농도가 저하한 용액을 용액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재생기에 있어서,
    재생기 동체의 한쪽의 측벽측과 다른쪽의 측벽측으로 개구 면적이 다른 살포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개구 면적이 작은 살포구측의 측벽에 상기 살포기로부터 노본체 종단부측으로 치우쳐 용액 토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기.
KR1019960058711A 1995-11-29 1996-11-28 재생기 KR100424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140395A JP3702017B2 (ja) 1995-11-29 1995-11-29 再生器
JP95-311403 1995-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254A KR970028254A (ko) 1997-06-24
KR100424035B1 true KR100424035B1 (ko) 2004-06-18

Family

ID=4951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711A KR100424035B1 (ko) 1995-11-29 1996-11-28 재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0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254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702B2 (en) Absorption water heater/chiller and high temperature regenerator therefor
JPH0550668B2 (ko)
US4501127A (en) Heating system incorporating an absorption-type heat pump and methods for the operation thereof
US3316727A (en)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s
JP2723454B2 (ja) 吸収式冷暖房機
JP3367323B2 (ja) 吸収式冷温水機の高温再生器及び吸収式冷温水機
KR100424035B1 (ko) 재생기
US5832742A (en) Absorption type refrigerator
US5704225A (en) Regenerator
KR100458890B1 (ko) 고온재생기
JPS6135902Y2 (ko)
JPS6133483Y2 (ko)
JP2000257819A (ja) 表面燃焼バーナ
JP2806798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2911107B2 (ja) 吸収式冷凍機用再生器
JP3865327B2 (ja) 直焚高温再生器
JPH10238705A (ja) 液管対流式燃焼加熱炉
JP3117631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S6018906B2 (ja) 吸収冷凍機
JPH10267203A (ja) 液管対流式燃焼加熱炉
JPH10267202A (ja) 液管対流式燃焼加熱炉
KR100199249B1 (ko) 흡수식 공조장치
JPH09178304A (ja) 吸収式空調装置
KR100349619B1 (ko) 흡수식 냉난방기용 흡수기
KR200350139Y1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온재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