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249B1 - 흡수식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식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249B1
KR100199249B1 KR1019960045046A KR19960045046A KR100199249B1 KR 100199249 B1 KR100199249 B1 KR 100199249B1 KR 1019960045046 A KR1019960045046 A KR 1019960045046A KR 19960045046 A KR19960045046 A KR 19960045046A KR 100199249 B1 KR100199249 B1 KR 100199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water
cooling
water tank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067A (ko
Inventor
가츠히토 이께다
하츠히꼬 가와무라
도오루 후쿠치
야스나리 후루가와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97002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모든 지역에서 수자원의 낭비나 수도요금의 증가를 억제함과 아울러, 모든 지역에서 이취의 발생이나 냉각수회로(62)의 막힘 등의 문제점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냉각수의 급수량에 의하여 문제점이 발생하더라도, 그 문제점이 반복하여 발생하지 않도록 대처가능하게 한다.
[해결수단]
냉각탑(61) 하측의 냉각수탱크(65)는, 소정수량 이상의 냉각수를 외부로 흘려보내는 배출구멍(66)을 구비한다. 냉각수탱크(65)내의 수위가 '로'레벨로 저하하면, 스위치수단(76)에 의하여 설정된 급수량의 냉각수가 급수되도록, '로'레벨에서 '하이'레벨에 이르는 시간을 고려하여 급수밸브(60)를 개방하는 시간을 설정한다. 그러면, 냉각수가 냉각수탱크(65)로 보충되고, 또한, 과량의 냉각수가 냉각수탱크(65)에 가해져서 냉각수가 희석된다. 스위치수단(76)으로 급수량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모든 지역에서 적절한 급수량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식 공조장치
제1도는 흡수식 공조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2도는 냉각수탱크의 개략 구성도.
제3도는 제어장치에 의한 블로다운 제어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플로챠트.
제4도는 냉각수탱크로 냉각수를 보충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수식 공조장치 2 : 가열수단
3 : 흡수식 냉동사이클 5 : 냉각수 냉각수단
6 : 제어장치(블로다운 운전수단) 15 : 고온재생기
16 : 저온재생기 17 : 응축기
18 : 증발기 19 : 흡수기
48 : 용액펌프 59 : 급수관(급수수단)
59a : 오버플로수 공급수단(급수수단) 61 : 냉각탑
62 : 냉각수회굴 65 : 냉각수탱크
66 : 배출구멍(배출수단) 71 : '로'레벨센서(블로다운 운전수단)
72 : '하이'레벨센서(블로다운 운전수단)
76 : 스위치수단(변경수단)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 냉방이 가능한 흡수식 공조장치(空調裝置)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수식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흡수열을 빼앗음과 아울러, 기화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흡수식 냉동사이클에는, 흡수기에서 기화냉매가 흡수액에 흡수될 때 발생하는 흡수열을 흡수함과 아울러 응축기에서 기화냉매를 냉각시켜 액화응축시키기 위하여 냉각수가 이용된다.
이 냉각수는, 흡수식 냉동사이클의 외부에 설치된 냉각탑에서 냉각되어 재이용된다. 즉, 냉각수는 흡수식 냉동사이클에서 가열되어 냉각탑에서 냉각되는 냉각수회로를 순환한다.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으로서는, 냉각수를 외기와 접촉시켜서 방열시킴과 아울러 냉각수의 일부를 증발시켜서 냉각수로부터 기화열을 빼앗아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증발형이 널리 알려져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 증발형 냉각탑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가 외기에 접촉되므로 외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매연 등이 냉각수에 부착하여 냉각수가 오염된다. 한편, 증발형 냉각탑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의 일부가 증발하여 외기중으로 날아간다. 이 때문에, 냉각수가 증발하여 감소될 때마다 감소된 냉각수만큼 만을 보충하면, 냉각수에 포함되어 공급되는 미네랄성분(Mg, Si, Ca 등)이나 혼입되는 먼지나 매연 등에 의해서 냉각수회로 중의 냉각수농도가 서서히 진해진다.
냉각수의 농도가 먼지나 매연 등의 불순물에 의해서 진해지면, 냉각탑에서 냉각수의 오염에 의한 이취가 발생하거나 냉각수회로가 불순물로 인하여 막힐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증발형 냉각탑을 이용하여 냉각수를 냉각하는 것에서는, 냉각수회로 중에 형성된 냉각수탱크내의 냉각수를 배출시킴과 아울러 급수수단에 의하여 냉각수탱크내로 냉각수(예를 들면, 수돗물)를 공급하는 냉각수의 블로다운(blow down) 운전을 정기적으로 하고 있다.
블로다운 운전의 간격이 짧아서 블로다운 운전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으면, 수자원의 낭비와 아울러 수도요금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대로, 블로다운 운전의 간격이 길어서 블로다운 운전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이 필요이상으로 적으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취의 발생이나, 냉각수회로의 막힘 등)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블로다운 운전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은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흡수식 공조장치가 설치된 지역에 따라서 블로다운 운전시 냉각수 탱크로 공급되는 수질이 다르므로, 넓은 지역에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블로다운 운전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을 다양하게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사용되는 지역에 따라서는 냉각수의 교환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자원을 낭비하게 되고 수도요금이 증가하게 된다.
또, 어느 정도 넓은 지역에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블로다운 운전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을 다양하게 설정하더라도, 공기중의 먼지나 매연 등이 매우 많은 지역이나 공급되는 냉각수에 포함되어 공급되는 미네랄성분이 매우 많은 지역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점이 발생하여, 예를 들어 메인티넌스를 실시하더라도, 반복해서 상술한 문제점이 재발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모든 지역에서 수자원의 낭비나 수도요금의 증가를 억제함과 아울러 모든 지역에서 이취의 발생이나 냉각수회로의 막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냉각수의 급수량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하더라도, 그 문제점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는 흡수식 공조장치의 제공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흡수식 공조장치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채용하였다.
[청구범위 제1항의 수단]
흡수식 공조장치는, a) 흡수액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b) 상기 가열수단으로 흡수액을 가열함으로써 흡수액의 일부를 기화시키는 재생기,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된 기화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저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 상기 흡수기내의 흡수액을 상기 재생기로 압송하는 용액펌프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사이클과, c) 상기 흡수기에 있어서 흡수열을 빼앗음과 아울러, 상기 응축기에서 기회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회로와, (d) 상기 냉각수회로에 설치되고, 냉각수를 외기에 접촉시켜서 방열하는 증발형 냉각탑과, e) 상기 냉각수회로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저장함과 아울러,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 냉각수탱크와, f) 상기 냉각수탱크내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수단과, g) 상기 배출수단으로 상기 냉각수탱크내의 냉각수를 배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급수수단에 의하여 상기 냉각수탱크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의 블로다운 운전수단과, h) 상기 블로다운 운전수단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을 변경하는 변경수단을 구비한다.
[청구범위 제2항의 수단]
청구범위 제1항의 흡수식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냉각수탱크에 형성된 배출구멍이고, 상기 변경수단은 복수의 급수량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수단이고, 상기 블로다운 운전수단은 상기 냉각수탱크내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멍보다 낮게 설정된 '로'레벨(low lovel)수위를 검출하는 '로'레벨센서와, 상기 '로'레벨센서가 '로'레벨수위를 검출한 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급수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급수량을 상기 냉각수탱크로 공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3항의 수단]
청구범위 제1항의 흡수식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다운 운전수단은, 운전시간을 카운터하는 카운트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에 의한 카운트 시간이 설정시간에 이를 때마다 상기 배출수단으로 상기 탱크내의 냉각수를 배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급수수단에 의하여 상기 냉각수탱크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의 블로다운 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설정 시간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4항의 수단]
청구범위 제1항의 흡수식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다운 운전수단은, 운전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에 의한 카운트 시간이 설정시간에 이를 때마다 상기 배출수단으로 상기 탱크내의 냉각수를 배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급수수단에 의하여 상기 냉각수탱크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의 블로다운 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냉각수탱크내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량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청구범위 제1항의 작용 및 효과]
흡수식 공조장치를 설치할 때, 블로다운 운전수단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을 설치된 지역에서 사용하는 수질이나 공기의 오염상태에 따른 값이 되도록 변경수단으로 설정한다.
즉, 급수수단에 의하여 냉각수탱크내로 공급되는 냉각수중에 포함되는 미네랄 성분등이 많은 경우이거나 냉각탑이 설치된 부위의 공기가 오염되어 있을 경우에는, 변경수단으로 블로다운 운전수단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이 많도록 설정하고, 반대로 급수수단에 의하여 냉각수탱크내에 공급되는 냉각수중에 포함되는 미네랄 성분등이 적은 경우이거나 냉각탑이 설치된 부위의 공기가 깨끗한 경우에는, 변경수단으로 블로다운 운전수단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이 적도록 설정한다.
이 결과, 흡수식 공조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수질이나 공기질에 관계없이 냉각수회로중의 냉각수농도가 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냉각탑에서의 이취발생이나 냉각수회로의 막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적당량의 냉각수만이 사용되므로 수자원의 낭비나 수도요금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냉각수의 급수량이 너무 많거나 혹은 너무 적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더라도, 변경수단으로 블로다운 운전수단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을 변경함으로써 발생한 문제점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처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의 작용 및 효과]
냉각탑에 의한 냉각수의 증발이 진행되면 냉각수탱크내의 수위가 저하된다. 냉각수탱크내의 수위가 '로'레벨수위까지 저하되면 '로'레벨센서는, 후위가 '로'레벨수위로 저하되었다는 의미의 신호(블로다운 운전지시신호)를 제어장치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장치는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변경수단인 스위치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급수량만큼 냉각수가 냉각수탱크로 공급되고, 소정수위 이상의 냉각수는 배출구멍으로 배출시킨다.
냉각탑에 의한 냉각수의 증발량이 많은 경우에는 급속히 냉각수의 농도가 상승하고, 반대로 냉각수의 증발량이 적은 경우에는 냉각수의 농도상승은 느리게 된다. 그래서, 청구범위 제2항의 흡수식 공조장치에서는, 냉각수의 증발량이 많은 경우에는 '로'레벨수위로의 저하빈도가 많게 되어 자주 블로다운 운전을 함으로써 냉각수의 농도상승을 억제하고, 반대로 냉각수의 증발량이 적은 경우에는 블로다운 운전도 적게 이루어져서, 결과적으로 냉각수의 농도상승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블로다운 운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의 흡수식 공조장치에서는, 급수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냉각수탱크내의 냉각수를 배출구멍으로부터 넘치게 하여 배출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배출밸브를 이용하지 않고 냉각수의 농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냉각수의 농도상승을 방지하는 수단에 있어서 고장확률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흡수식 공조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의 작용 및 효과]
블로다운 운전수단은, 냉각수탱크내의 수위에 관계없이, 운전시간이 변경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시간에 이를 때마다 급수밸브를 개폐하고, 증발에 의하여 감소한 냉각수량보다도 과량의 냉각수를 냉각수탱크내로 공급하여 냉각수냉크내의 냉각수농도를 저하시킨다. 이 결과, 수위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블로다운 운전을 하므로, 흡수식 공조장치의 코스트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의 작용 및 효과]
블로다운 운전수단은, 냉각수탱크내의 수위에 관계없이, 운전시간이 설정시간에 이를 때마다 급수밸브를 제어하고, 변경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공급량의 냉각수를 냉각수탱크내로 공급하고, 과량 공급된 냉각수량(이 양이 변경수단에 의해서 변경된다)에 의하여 냉각수탱크내의 냉각수 농도를 저하시킨다. 이 결과, 수위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블로다운 운전을 하므로, 흡수식 공조장치의 코스트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흡수식 공조장치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구성]
제1도 내지 제4도는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실내 공조를 행하는 2중 효용형(2重 效用型)의 흡수식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흡수식 공조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흡수식 공조장치(1)의 개략설명]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흡수식 공조장치(1)는 가정용등으로 사용되는 비교적 소형의 것으로, 크게 나누어서 흡수액(본 실시예에서는 브롬화 리튬 수용액)을 가열하는 가열수단(2)과, 2중 효용형의 흡수식 냉동사이클(3)과, 흡수식 냉동사이클(3)에 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냉온수(실내를 냉방/난방하기 위한 열매체, 본 실시예에서는 물)로 실내를 공조하는 실내공조수단(4)과, 흡수식 냉동사이클(3)내에서 주로 기화냉매(본 실시예에서는 수증기)를 식히기 위해서 이용되는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수 냉각수단(5)과, 탑재된 각 전기기능부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로 구성된다.
[가열수단(2)의 설명]
본 실시예의 가열수단(2)은, 연료인 가스를 연소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열로 흡수액을 가열하는 가스연소장치로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버너(11)와 이 가스버너(11)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수단(12)과 가스버너(11)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팬(13)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스버너(11)의 가스연소에 의해서 얻어진 열로 흡수식 냉동사이클(3)의 비등기(14)를 가열하여, 비등기(14)내로 공급된 저농도 흡수액을 가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흡수식 냉동사이클(3)의 설명]
흡수식 냉동사이클(3)은, 가열수단(2)에 의해서 가열되는 비등기(14)를 구비하며, 이 비등기(14)내로 공급된 저농도 흡수액을 가열함으로써, 저농도 흡수액에 포함되어 있는 냉매(물)를 기화(증발)시켜서 중농도 흡수액으로 하는 고온재생기(15)와, 이 고온재생기(15)내의 기화냉매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고온재생기(15)측으로부터 압력차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중농도 흡수액을 가열함으로써, 중농도 흡수액에 포함되어 있는 냉매를 기화시켜서 중농도 흡수액을 고농도 흡수액으로 하는 저온재생기(16)와, 고온재생기(15) 및 저온재생기(16)에서의 기화냉매(수증기)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17)와, 이 응축기(17)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물)를 진공에 가까운 압력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18)와, 이 증발기(18)에 의해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저온재생기(16)에서 얻어진 고농도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19)로 구성된다.
[고온재생기(15)의 설명]
고온재생기(15)는, 가열수단(2)으로 저농도 흡수액을 가열하는 상술한 비등기(14) 및 이 비등기(14)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비등통(21)을 구비한다. 상기 비등기(14) 및 비등통(21)에서 비등하여 저농도 흡수액에서 기화된 기화 냉매는, 비등통(21)에서 원통용기형상의 고온재생용기(22)내로 취출(吹出)된다. 이 고온재생용기(22)내로 취출된 고온의 기화냉매는, 고온재생용기(22)의 벽에 의하여 저온재생기(16)내의 중농도 흡수액이 증발할 때의 기화열로서 열을 빼앗겨 냉각됨으로써 액화냉매(물)가 된다.
고온재생기(22)내에는, 비등기(14)에서 가열되어 저농도 흡수액내의 냉매가 기화된 후의 비등통(21)내의 중동도 흡수액과, 그 주위에 잔류되는 액화냉매(물)를 단열하기 위해서, 비등통(21)의 주위에 단열칸막이통(24)을 설치하고 있다. 이 단열칸막이통(24)은, 그 상단은 비등통(21)의 상단과 접합되고 그 하단은 비등통(21)과 틈을 두고서 설치되어, 비등통(21)과 단열칸막이통(24) 사이에 공기가 침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온재생용기(22)에서 액화되어 단열칸막이통(24)의 외측으로 분리된 액화냉매(물)는, 하부에 접속된 액화냉매관(25)을 통하여 응축기(17)로 유도된다.
[저온재생기(16)의 설명]
저온재생기(16)는, 고온재생용기(22)를 에워싸는 원통용기형상의 저온재생용기(31)를 구비한다.
한편, 비등통(21)내의 중농도 흡수액은, 비등통(21) 하부에 접속된 중농도 흡수액관(26)을 통하여 저온재생기(16)로 공급된다. 또, 중농도 흡수액관(26)에는 오리피스등의 감압수단(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압수단(27)은, 후술하는 냉방/난방절환밸브(53)가 폐쇄되면 고온재생기(15)와 저온재생기(16)의 압력차를 유지한 상태로 중농도 흡수액을 흐르게 하고, 냉방/난방절환밸브(53)가 개방되면 중농도 흡수액을 거의 흐르지 않게 한다.
저온재생기(16)는 중농도 흡수액관(26)을 통하여 공급되는 중농도 흡수액을 고온재생기(22)의 천정부분을 향하여 주입한다.
저온재생용기(31)내의 온도는 고온재생용기(22)내의 온도에 비해 낮기 때문에, 저온재생용기(31)내의 압력은 고온재생용기(22)내의 압력에 비해 낮다. 따라서, 중농도 흡수액관(26)에서 저온재생용기(31)내로 공급된 중농도 흡수액은 증발하기 쉽다. 그리고, 중농도 흡수액이 고온재생용기(22)의 천정부분에 주입되면, 고온재생용기(22)의 벽에 의해서 중농도 흡수액이 가열됨으로써 중농도 흡수액에 포함되어 있는 냉매의 일부가 증발하여 기화냉매가 되고, 나머지는 고농도 흡수액이 된다.
여기서, 저온재생용기(31)의 상측은 환형용기형상의 응축용기(32)의 상측과 연통부(33)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저온재생용기(31)내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는 연통부(33)를 통하여 응측용기(32)내로 공급된다.
한편, 고농도 흡수액은 저온재생용기(31)의 하부로 적하되며, 저온재생용기(31)의 하부에 접속된 고농도 흡수액관(34)을 통하여 흡수기(19)로 공급된다.
또한, 저온재생용기(31)내의 상측에는 천정판(35)이 설치되며, 이 천정판(35)의 외측둘레단과 저온재생용기(31) 사이에는 기화냉매가 통과하는 틈(36)이 형성되어 있다.
[응축기(17)의 설명]
응축기(17)는, 환형용기형상의 응축용기(32)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이 응축용기(32)의 내부에는 응축용기(32)내의 기화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용 열교환기(37)가 배치되어 있다. 상가 응축용 열교환기(37)는 환형상의 코일로서 그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른다. 그리고, 저온재생기(16)에서 응축용기(32)내로 공급된 기화냉매는 응축용 열교환기(37)에 의하여 냉각됨으로써 액화되어 응축용 열교환기(37)의 하측으로 적하된다.
한편, 응축용기(32)의 하측에는 상술한 고온재생기(15)에서 액화냉매관(25)을 통하여 냉매가 공급된다. 또한, 이 공급냉매는 응축용기(32)내로 공급될 때에 압력차{응축용기(32)내는 약 70mmHg의 저압}에 의하여 재비등함으로써 기화냉매와 액화냉매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된다. 또, 응축용기(32)에는 액화냉매를 증발기(18)로 유도하는 액화냉매공급관(38)이 접속되어 있다. 이 액화냉매공급관(38)에는 응축용기(32)에서 증발기(18)로 공급되는 액화냉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냉매밸브(39)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18)의 설명]
증발기(18)는 흡수기(19)와 함께 응축용기(32)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온재생용기(31) 주위에 설치된 환형용기형상의 증발흡수용기(41)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이 증발흡수용기(41) 내부의 외측에는 응축기(17)에서 공급되는 액화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용 열교환기(4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증발용 열교환기(42)는 환형상의 코일로서, 그 내부에는 실내공조수단(4)에 공급되는 냉온수(열매체)가 흐른다. 그리고, 응축기(17)에서 액화냉매공급관(38)을 통하여 공급된 액화냉매는 증발용 열교환기(42)의 상부에 배치된 환형상의 냉매살포구(43)에서 증발용 열교환기(42) 위로 살포된다.
증발흡수용기(41)내는 거의 진공(예를 들면 6.5mmHg)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비등점이 낮아 증발용 열교환기(42)에 살포된 액화냉매는 매우 증발하기 쉽다. 그리고, 증발용 열교환기(42)에 살포된 액화냉매는 증발용 열교환기(42)내를 흐르는 열매체에서 기화열을 빼앗아 증발한다.
그 결과, 증발용 열교한기(42)내를 흐르는 열매체가 냉각된다. 그리고, 냉각된 열매체는 실내공조수단(4)으로 유도되어 실내를 냉방한다.
[흡수기(19)의 설명]
흡수기(1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흡수용기(41)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그리고, 흡수기(19)는 증발흡수용기(41) 내부의 내측에, 고농도 흡수액관(34)에서 공급되는 고농도 흡수액을 냉각하는 흡수용 열교환기(44)가 배치되어 있다. 이 흡수용 열교환기(44)는 환형상의 코일로서 그 내부에는 코일위로 살포된 고농도 흡수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공급된다. 또한, 흡수용 열교환기(44)를 통과한 냉각수는 응축기(17)의 응축용 열교환기(37)를 통과한 후 냉각수 냉각수단(5)으로 유도되어 냉각된다. 그리고, 냉각수 냉각수단(5)에 의해서 냉각된 냉각수는 다시 흡수용 열교환기(44)로 유도된다.
한편, 흡수용 열교환기(44) 상부에는 고농도 흡수액관(34)에서 공급되는 고농도 흡수액을 흡수용 열교환기(44)에 살포하는 환형상의 흡수액 살포구(45)가 배치된다. 흡수용 열교환기(44)에 살포된 고농도 흡수액은 흡수용 열교환기(44)의 코일 표면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적하되는 동안에 증발용 열교환기(42)에서 증발에 의하여 생성된 기화냉매를 흡수한다. 이 결과, 증발흡수용기(41)의 바닥으로 적하되는 흡수액은 농도가 묽어진 저농도 흡수액이 된다.
증발흡수용기(41)의 내부에는 증발용 열교환기(42)와 흡수용 열교환기(44)와의 사이에 원통형상의 칸막이벽(4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원통형상의 칸막이벽(46)은, 상부만이 증발흡수용기(41)의 내부와 연통하는 것으로, 증발기(18)에서 생성된 기화냉매가 원통형상의 칸막이벽(46)의 상부를 통하여 흡수기(19)내로 유도된다.
또, 증발흡수용기(41)의 바닥에는, 증발흡수용기(41)의 바닥의 저농도 흡수액을 비등기(14)로 공급하기 위한 저농도 흡수액관(47)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저농도 흡수액관(47)에는 거의 진공상태로 된 증발흡수용기(41)내에서 비등기(14)로 저농도 흡수액이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용액펌프(48)가 설치되어 있다.
[흡수식 냉동사이클(3)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구성부품의 설명]
제1도에 나타낸 부호 51은, 비등통(21)내에서 저온재생기(16)로 흐르는 중농도 흡수액과 흡수기(19)에서 비등기(14)로 흐르는 저농도 흡수액을 열교환시키는 고온열교환기(51a)와, 저온재생기(16)에서 흡수기(19)로 흐르는 고농도 흡수액과 흡수기(19)에서 비등기(14)로 흐르는 저농도 흡수액을 열교환시키는 저온열교환기(51b)를 일체화한 열교환기이다.
또한, 고온열교환기(51a)는, 비등통(21)에서 저온재생기(16)로 흐르는 중농도 흡수액을 냉각하고, 반대로 흡수기(19)에서 비등기(14)로 흐르는 저농도 흡수액을 가열하는 것이다. 또, 저온열교환기(51b)는, 저온재생기(16)에서 흡수기(19)로 흐르는 고농도 흡수액을 냉각하고, 반대로 흡수기(19)에서 비등기(14)로 흐르는 저농도 흡수액을 가열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흡수식 냉동사이클(3)에는 상술한 작동에 의한 냉방운전외에 난방운전을 하기 위한 난방운전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난방운전수단은, 비등통(21)의 하부에서 고온의 흡수액을 증발기(18)의 하부로 유도하는 낭방관(52)과, 이 난방관(52)을 개폐하는 냉방/난방절환밸브(53)로 구성된다. 상기 냉방/난방절환밸브(53)는, 난방운전시에 밸브를 개방하여 고온의 흡수액을 증발흡수용기(41)내로 유도함으로써, 증발기(18)의 증발용 열교환기(42)내를 흐르는 냉온수를 가열하는 것이다.
[실내공조수단(4)의 설명]
실내공조수단(4)은, 실내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54)와, 이 실내 열교환기(54)를 흐르는 증발기(18)를 통과한 냉온수와 실내공기를 강제적으로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실내 팬(55)을 구비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54)에는 냉온수를 순환시키는 냉온수회로(56)가 접속되어 있고, 이 냉온수회로(56)에는 냉온수를 순환시키는 냉온수펌프(5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온수펌프(57)는 용액펌프(48)를 구동시키는 겸용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냉온수회로(56)는 증발기(18)를 통과한 냉온수를 실내 열교환기(54)로 유도하고,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냉온수를 다시 증발기(18)로 유도하는 냉온수관으로서, 이 냉온수회로(56) 중에는 실내 열교환기(54)와 냉온수펌프(57)외에, 냉온수를 저장하여 난방시에 팽창탱크로서의 기능을 구비함과 아울러 냉온수회로(56)내에 냉온수를 보충하는 물탱크(5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58)에는 그 내부로 냉온수(수돗물)를 공급하는 급수관(59)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59)에는 물탱크(58)내로 냉온수를 공급/공급정지하는 급수밸브(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물탱크(58)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위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물탱크(58)내의 냉각수 수위가 저하되면, 급수밸브(60)를 개방하여 물탱크(58)내로 냉온수를 보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물탱크(58)에는 오버플로된 냉온수를, 냉각수로서 후술하는 냉각수탱크(65)내로 유도하는 오버플로수 공급수단(59a)이 형성되어 있다. 즉, 급수관(59) 및 오버플로수 공급수단(59a)에 의해서 냉각수탱크(65)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수단이 구성된다.
[냉각수 냉각수단(5)의 설명]
냉각수 냉각수단(5)은, 증발형 냉각탑(61)과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회로(62) 및 냉각수회로(62)에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펌프(63)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탑(61)는, 흡수기(19) 및 응축기(17)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게 하고, 흐르고 있는 동안에 외기와 열교환하여 방열시킴과 아울러 일부 증발시키고, 증발시에 냉각수에서 기화열을 배앗아 흐르고 있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상측에서 냉각수를 살포하는 살포부(61a)와, 냉각수가 흐르는 넓은 표면적을 가진 증발부(61b)와, 이 증발부(61b)를 통과한 냉각수를 모으는 수집부(61c)로 구성된다. 또, 상기 냉각탑(61)은, 증발부(61b)에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증발부(61b)에서의 냉각수의 증발 및 냉각을 촉진시키는 팬(64)을 구비하고 있다.
냉각수회로(62)는, 흡수기(19) 및 응축기(17)를 통과하여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냉각탑(61)으로 유도하고, 이 냉각탑(61)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다시 흡수기(19) 및 응축기(17)로 보내는 수로관으로서, 이 냉각수회로(62)중에는 냉각탑(61)과 냉각수펌프(63) 외에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탱크(65)가 구비되어 있다.
이 냉각수탱크(65)는, 냉각탑(61)과 물탱크(58)의 하측에 설치되어 냉각탑(61)을 통과한 냉각수가 공급됨과 아울러, 물탱크(58)에서 오버플로된 물이 공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냉각수탱크(65)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량(예를 들어, 141)이 저장되고 있고, 그 이상의 냉각수는 외부로 오버플로배수하는 배출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멍(66) 주위에는, 냉각수탱크(65)에 공급된 냉각수가 희석에 사용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배출구멍(66)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용기(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용기(67)에 의해서 냉각수탱크(65) 내부는 2개로 구획되어 있고, 배출구멍(6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 급수됨으로써 새로이 급수된 물은 곧 배출되기 어렵고, 혼입되는 먼지나 매연 등에 의해 농도가 짙어진 냉각수는 배출구멍(66)으로 배수되기 쉽게 되다.
또, 상기 배출구멍(66)으로 배출되는 냉각수는 배출구멍(66)에 접속된 배수관(68)을 통하여 하측으로 배출된다.
또, 냉각수탱크(65)에는 배출구멍(66)보다 낮게 설정된 '로'레벨수위(예를 들어, 배출구멍(66)에 의해서 규정되는 수위보다 21 적은 121의 수위)를 검출하는 '로'레벨센서(71)가 설치됨과 아울러, 배출구멍(66)보다는 낮고 '로'레벨수위보다는 높게 설정된 '하이'레벨수위(예를 들어, '로'레벨수위보다 11 많은 131의 수위)를 검출하는 '하이'레벨센서(7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레벨센서(71)가 OFF 신호를 내려 '로'레벨수위를 검출하면, 그 검출신호(블로다운 지시신호)를 받아서 제어장치(6)에 의한 블로다운 운전이 작동한다. 이 제어장치에 의한 블로다운 운전(상세한 것은 후술한다)은 '로'레벨센서(71)가 '로'레벨수위를 검출하면 급수밸브(60)를 개방시킨다. 급수밸브(60)가 개방되어 물탱크(58)에서 넘친 물이 오버플로수 공급수단(59a)을 통하여 냉각수탱크(65)내로 유도되어 냉각수탱크(65)내로 냉각수로서 보급된다. 배출구멍(65)의 높이인 소정수위(141의 수위)가지 보충된 후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량(예를 들어 21) 이상 냉각수가 냉각수탱크(54)내로 냉각수의 보충이 완료된 후에도 소정량의 냉각수가 과량으로 냉각수탱크(65)내로 공급되고, 과량 공급된 냉각수는 배출구멍(66)으로 오버플로 배수된 후, 블로다운 제어수단에 의해서 급수밸브(60)가 폐쇄된다. 즉, 냉각수탱크(65)내로 공급됨으로써 냉각수회로(62)중의 냉각수가 희석되고, 과량 공급된 냉각수는 배출구멍(6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급수밸브(60)를 통하여 냉각수탱크(65)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은, 후술하는 스위치수단(76)에 의하여 설정된 급수량이 되도록 후술하는 블로다운 운전수단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장치(6)의 설명]
제어장치(6)는 상기한 냉매밸브(39), 용액펌프(48){냉온수펌프(57)}, 실내팬(55), 냉방/난방절환밸브(53), 급수뱃브(60), 냉각수펌프(63), 냉각수팬(64) 등의 전기기능부품 및 가열수단(2)의 전기기능부품{연소팬(13), 가스량조절밸브(73), 가스개폐밸브(74), 점화장치(75) 등}을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설정되는 컨트롤러(도시생략)의 조작지시나, 복수개 설치된 각 센서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통전제어하는 것이다.
또 제어장치(6)에는, 복수개의 급수량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수단(76)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스위치수단(76)은, 4종류의 급수량(예를 들면, 3.5ℓ, 4ℓ, 4.5ℓ, 5ℓ)을 설정하는 2비트의 절환스위치이다. 그리고, 제어장치(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수단(76)의 설정상태에 따라서 급수밸브(60)의 개방시간을 설정하고, 스위치수단(76)에 의하여 설정된 냉각수량을 공급한다.
[블로다운 제어수단의 설명]
제어수단(6)은,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탱크(65)에 설치된 '로'레벨센서(71)가 '로'레벨수위를 검출하면 급수밸브(60)를 개방시켜 냉각수탱크(65)내로 냉각수를 보급함과 아울러, 설정량의 냉각수를 과량으로 냉각수탱크(65)내로 공급하여 냉각수를 희석시키는 블로다운 제어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로다운 제어수단에 의한 급수밸브(60)의 제어예를 제3도의 플로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6)가 운전을 개시하면, 우선 '로'레벨센서(71)가 '로'레벨수위를 검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 그 판단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스텝 S1으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판단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급수밸브(60)를 개방하여 냉각수탱크(65)로의 냉각수 공급을 개시한다(스텝 S2).
다음으로, '하이'레벨센서(72)가 '하이'레벨수위를 검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3). 그 판단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판단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로'레벨수위를 검출한 후 '하이'레벨수위를 검출할 때까지의 카운트시간으로부터 급수밸브(60)의 밸브개방시간을 결정한다(스텝 S4; 밸브개방시간 결정수단의 작동).
구체적으로, '로'레벨수위를 검출한 후 '하이'레벨수위를 검출할 때까지 1l의 냉각수가 냉각수탱크(65)에 공급되는 것이고, 스위치수단(76)이 3.5l의 급수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급수밸브(60)의 밸브개방시간은, ('로'레벨 수위를 검출한 후 '하이'레벨수위를 검출할 때까지의 카운트시간)×3.5로 결정되고, 스위치수단(76)이 4l의 급수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급수밸브(60)의 밸브개방시간은, ('로'레벨수위를 검출한 후 '하이'레벨수위를 검출할 때까지의 카운트시간)×4로 결정되고, 스위치수단(76)이 4.5l의 급수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급수밸브(60)의 밸브개방시간은, ('로'레벨수위를 검출한 후 '하이'레벨수위를 검출할 때까지의 카운트시간)×4.5로 결정되고, 스위치수단(76)이 5l의 급수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급수밸브(60)의 밸브개방시간은, ('로'레벨수위를 검출한 후 '하이'레벨수위를 검출할 때까지의 카운트시간)×5로 결정된다.
다음으로, '로'레벨수위를 검출한 후 스텝 S4에서 결정된 밸브개방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5). 그 판단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스텝 S5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판단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냉각수탱크(65)에 4l의 냉각수가 공급되었다고 판단하여 급수밸브(60)를 폐쇄시키고(스텝 S6), 그 후 리턴된다.
[실시예의 작동]
계속해서 흡수식 공조장치(1)의 냉방운전의 작동 및 냉방운전시의 블로다운 운전의 작동을 설명한다.
[냉방운전의 작동설명]
흡수식 공조장치(1)가 기동되면, 각 전기기능부품의 작동에 의하여 가열수단(2) 및 흡수식 냉동사이클(3)이 작동한다.
흡수식 냉동사이클(3)은, 가열수단(2)이 비등기(14)를 가열함으로써 고온재생기(15) 및 저온재생기(16)에서 기화냉매가 얻어짐과 아울러, 저온재생기(16)에서 고농도흡수액이 얻어진다.
고온재생기(15) 및 저온재생기(16)에서 얻어진 기화냉매는, 응축기(17)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후 증발기(18)의 증발용 열교환기(42)에 살포되고, 증발용 열교환기(42)내의 냉온수에서 기화열을 빼앗아 증발한다. 따라서, 증발용 열교환기(42)를 통과하여 냉각된 냉온수는 실내공조수단(4)의 실내 열교환기(54)로 공급되어 실내를 냉방한다.
증발기(18)내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는 원통형상의 칸막이벽(46) 상측을 통과하여 흡수기(19)내로 유입된다.
한편, 흡수기(19)내에서는 저온재생기(16)로부터 얻어진 고농도 흡수액이 흡수용 열교환기(44)에 살포되며, 이 고농도 흡수액에 증발기(18)에서 유입된 기화냉매가 흡구된다. 또한, 기화냉매가 고농도 흡수액에 흡수될 때 발생하는 흡수열은 흡수용 열교환기(44)에 의해 흡수되어 흡수능력의 저하가 방지된다.
도한, 흡수기(19)에서 기화냉매를 흡수한 고농도 흡수액은 저농도 흡수액이 되어 용액펌프(48)에 의해서 다시 비등기(14)내로 되돌아가며, 상기의 사이클을 반복한다.
[블로다운 운전의 작동설명]
흡수식 냉동사이클(3)에 의한 상기의 냉방운전 중 응축기(17) 및 흡수기(19)에서 가열된 냉각수는, 냉각탑(61)의 증발부(61b)에서 냉각수팬(64)에 의해 송풍되는 외기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방열됨과 아울러 냉각수의 일부가 증발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블로다운 운전에 의하여 소정수위{배출구멍(66)에 이르는 수위}인 냉각수가 서서히 감소한다.
냉각수가 증발하여 냉각수탱크(65)내의 수위가 '로'레벨수위에 이르면, 제어장치(6)가 급수밸브(60)를 개방하여 스위치수단(76)으로 설정된 냉각수를 냉각수탱크(65)에 공급한다. 공급된 냉각수 중 처음의 2l는 냉각수탱크(65)보충에 이용되고, 나머지는 냉각수 희석에 이용된다. 즉, 냉각수탱크(65)에 과량의 냉각수가 공급됨으로써 냉각수가 희석되고, 과량공급된 냉각수는 배출구멍(66)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다음으로, 냉각수의 평형농도를 설명한다.
먼저 제4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위가 소정수위에 이르면 냉각수탱크(65)내의 냉각수량을 H라 하고, 그 때의 농축배율을 x라 한다. 여기서, 제4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B량의 냉각수를 더하여 냉각수를 희석하면 냉각수의 농축배율은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 B량{스위치수단(76)의 조작에 의하여 변경가능한 수량}의 냉각수가 더해지면 과량의 냉각수는 배출구멍(66)으로 배출되어, 제4도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위가 소정수위로 되돌아가고 냉각수탱크(65)내의 냉각수량은 H로 유지된다.
냉각탑(61)에서 냉각수의 증발이 진행되어, 제4도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수가 E량 증발하였을 때{냉각수탱크(65)내의 수위가 '로'레벨수위에 이른 상태}의 냉각수의 농축배율은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4도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수탱크(65)내로 냉각수가 E량 공급되었을 때의 냉각수의 농축배율은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평형상태에서 제4도의 (a)와 제4도의 (e)는 농축배율이 같으므로, 평형상태의 농축배율 x(ave)는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계산설정의 조건으로, 급수 중에 있어서 증발분은 고려하지 않으며 냉각수탱크(65)내의 농축배율은 균일한 것으로 한다.
여기서, 냉각수탱크(65)의 냉각수가 소정수위에 이르는 수량(H)을 14l, 증발로 인하여 보충되는 수량(E)을 2l, 희석을 위하여 공급되는 수량(B)을 2l로 하면, 그 때의 평형상태는, 각 값을 상기 『수식 4』에 대입하여 구하면 2.14가 된다.
한편, 최대 농축배율은 증발로 인하여 가장 냉각수량이 적은 제4도의 (d)의 상태이고, 상기 각 수치값(수량H=14l, 수량E=2l, 수량B=2l)을 『수식 3』에 대입하여 구하면, 최대 농축배율은 2.33이 된다.
[실시예의 효과]
흡수식 공조장치(1)는, 최초로 설치될 때 블로다운 운전에 의하여 교환되는 냉각수의 급수량이, 그 설치되는 지역에서 사용될 수질이나 공기의 오염상태에 따른 값이 되도록 설치자에 의한 스위치수단(76)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다. 즉, 급수관(59)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중에 포함되는 미네랄 성분등이 많거나 냉각탑(61)이 설치될 곳의 공기가 오염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위치수단(76)에 의하여 냉각수의 급수량이 많도록 설정되어 과량 공급되는 냉각수량이 많아지고, 반대로 급수관(59)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중에 포함되는 미네랄 성분등이 적거나 냉각탑(61)이 설치될 곳의 공기가 깨끗한 경우에는, 스위치수단(76)에 의하여 냉각수의 급수량이 적도록 설정되어 과량 공급되는 냉각수량이 적어진다.
그 결과, 흡수식 공조장치(1)가 설치된 수질이나 공기질엔 관계없이, 냉각수회로(62)중의 냉각수 농도가 소정 농도보다 짙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냉각탑(61)에서의 이취 발생이나 냉각수회로 막힘 등의 문제점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적당량의 냉각수만이 사용되므로 수자원의 낭비나 수도요금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냉각수의 급수량이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더라도, 변경수단에 의하여 블로다운 운전수단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을 변경시켜 과량 공급되는 냉각수량을 변경함으로써, 발생한 문제점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흡수식 냉동장치(1)는, 소정수위 이상의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멍(66)을 이용하고, 증발로 인하여 감소된 냉각수량보다 많은 양의 냉각수를 냉각수탱크(65)에 공급함으로써, 냉각수회로(62)내의 냉각수를 희석한다. 그 결과, 배수밸브를 없앨 수 있어 코스트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배수밸브가 고장나는 문제점이 방지되어 흡수식 공조장치(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로'레벨센서(71)가 '로'레벨수위를 검출하면 제어장치(6)가 급수밸브(60)를 개방하여 블로다운 운전을 하므로, 냉각탑(61)에서 증발량이 많은 경우에는 블로다운 운전도 많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증발량이 적은 경우에는 블로다운 운전도 적게 이루어져서, 결과적으로 희석부족을 방지함과 아울러 과도한 블로다운 운전을 억제할 수 있으며 냉각수의 지나친 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로'레벨센서(71)가 '로'레벨수위를 검출한 후 '하이'레벨센서(72)가 '하이'레벨수위를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서 급수밸브(60)의 밸브개방시간이 결정되므로, 냉각수 공급수단의 변동에 의하여 달라진 공급속도에 관계없이 냉각수의 실제 급수량을 스위치수단(76)으로 설정한 급수량과 같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블로다운 운전시에 있어서 급수량을 급수시간에 의하여 설정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급수관(59)에 수량센서를 설치하여 냉각수탱크(65)내로 공급되는 통과급수량 자체를 측정함으로써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하이'레벨센서(72)는 불필요하게 된다.
[제2실시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로'레벨센서(71)가, '로'레벨수위를 검출하면 제어장치(6)가 급수밸브(60)를 개방하여 블로다운 운전을 하고, 냉각수의 급수량을 변경하는 스위치수단(76)에 의하여 복수 설정가능한 급수량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장치(6)내의 카운터(도시생략)로 냉방운전시간을 카운트하고, 이 카운터에 의한 카운트시간이 변경수단인 스위치수단(76)에 의하여 복수의 설정시간(예를 들면, 20분간, 30분간, 40분간, 50분간)중 선택된 설정시간에 이를 때마다 제어장치(6)가 급수밸브(6)를 일정 시간 혹은 일정 급수량 공급될 때까지 밸브개방시켜서 블로다운 운전을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나타낸 '로'레벨센서(71) 및 '하이'레벨센서(72)를 폐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감소에 의하여 흡수식 공조장치(1)의 코스트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블로다운 운전간격을 변경함으로써 급수량을 복수단계로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블로다운 운전간격을 일정하게 하고 급수밸브(60)의 밸브개방시간을 복수단계로 변경함으로써 급수량을 변경하거나, 급수관(59)에 수량센서를 설치하고 냉각수탱크(65)내에 공급되는 통과 급수량 자체를 복수단계로 변경함으로써 급수량을 변경하여도 된다.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냉각수탱크(65)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수단으로서 물탱크(58)로 물을 유도하는 급수관(59) 및 물탱크(58)에서 오버플로된 물을 냉각탑(61)을 통하여 냉각수탱크(65)로 유도하는 오버플로수 공급수단(59a)을 이용하였지만, 냉각수가 직접 냉각수탱크(65)로 도입되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냉각수탱크(65)내에서 냉각수를 배수시키므로, 냉각수탱크(65)에 냉각수를 과량 공급하고 과량분을 배출구멍(66)으로 오버플로 배출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냉각수탱크(65)에 배수밸브를 설치하고 이 배수밸브를 개폐하여 냉각수탱크(65)내의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흡수식 냉동사이클의 일례로서 2중 효용형의 흡수식 냉동사이클(3)을 예로 나타내었으나, 1중 효용형의 흡수식 냉동사이클로 하여도 되고, 3중 이상의 다중 효용형의 흡수식 냉동사이클이어도 된다. 또, 저온재생기내에 중농도 흡수액을 주입할 때, 저온재생기(16)의 상측에서 주입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하측에서 주입하여도 된다.
가열수단(2)의 가열원으로서 가스버너(11)를 이용하였으나, 석유버너나 전기히터를 이용하거나, 다른 장치(예를 들어, 내연기관)의 배기열을 이용하여도 된다.
응축용 열교환기(37), 증발용 열교환기(42), 흡수용 열교환기(44)를 코일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튜브 앤드 팬이나, 적층형 열교환기 등 다른 형식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도 된다.
흡수액의 일례로서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예로 나타내었으나, 냉매로서 암모니아, 흡수제로서 물을 이용한 암모니아수용액 등 다른 흡수액을 이용하여도 된다.
열매체의 일례로서 수돗물을 이용하고 냉각수회로의 냉각수와 공용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냉각수회로의 냉각수는 다른 부동액이나 오일 등 다른 열매체를 이용하여도 된다.

Claims (4)

  1. a) 흡수액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b) 상기 가열수단으로 흡수액을 가열함으로써 흡수액의 일부를 기화시키는 재생기,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된 기화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저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화냉매를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 상기 흡수기내의 흡수액을 상기 재생기로 압송하는 용액펌프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사이클과, c) 상기 흡수기에 있어서 흡수열을 빼앗음과 아울러, 상기 응축기에서 기화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회로와, d) 상기 냉각수회로에 설치되고, 냉각수를 외기에 접촉시켜서 방열하는 증발형 냉각탑과, e) 상기 냉각수회로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저장함과 아울러,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 냉각수탱크와, f) 상기 냉각수탱크내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수단과, g) 상기 배출수단으로 상기 냉각수탱크내의 냉각수를 배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급수수단에 의하여 상기 냉가수탱크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의 블로다운 운전수단과, h) 상기 블로다운 운전수단에 의한 냉각수의 급수량을 변경하는 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냉각수탱크에 형성된 배출구멍이고, 상기 변경수단은, 복수의 급수량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수단이고, 상기 블로다운 운전수단은, 상기 냉각수탱크내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멍보다 낮게 설정된 '로'레벨수위를 검출하는 '로'레벨센서와, 상기 '로'레벨센서가 '로'레벨수위를 검출한 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급수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급수량을 상기 냉각수탱크로 공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다운 운전수단은, 운전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에 의한 카운트시간이 설정시간에 이를 때마다 상기 배출수단으로 상기 탱크내의 냉각수를 배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급수수단에 의하여 냉각수탱크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의 블로다운 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설정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다운 운전수단은, 운전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에 의한 카운트시간이 설정시간에 이를 때마다 상기 배출수단으로 상기 탱크내의 냉각수를 배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급수수단에 의하여 상기 냉각수탱크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의 블로다운 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냉각수탱크내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량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장치.
KR1019960045046A 1995-10-27 1996-10-10 흡수식 공조장치 KR100199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80885 1995-10-27
JP7280885A JP2954515B2 (ja) 1995-10-27 1995-10-27 吸収式空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067A KR970022067A (ko) 1997-05-28
KR100199249B1 true KR100199249B1 (ko) 1999-06-15

Family

ID=1763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046A KR100199249B1 (ko) 1995-10-27 1996-10-10 흡수식 공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54515B2 (ko)
KR (1) KR1001992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26584A (ja) 1997-05-16
KR970022067A (ko) 1997-05-28
JP2954515B2 (ja)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249B1 (ko) 흡수식 공조장치
JP2846583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H11304398A (ja) 空調装置
KR100199252B1 (ko) 흡수식 공조장치
JP2846582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2954514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3017060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2902305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2650654B2 (ja) 吸収式冷凍サイクル装置
JP3117631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3140376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H0829000A (ja) 吸収式空調装置
JP3322994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3920979B2 (ja) 吸収式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2898202B2 (ja) 吸収式冷房装置
JP3988016B2 (ja) 吸収式冷凍機
JP3904726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3281564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2994236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3113195B2 (ja) 吸収式冷凍装置の抽気装置
JP2003014258A (ja) 吸収式冷暖房装置
JP3790360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H11201577A (ja) 吸収式空調装置
JPH09126579A (ja) 吸収式空調装置
JP2000186866A (ja) 吸収式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