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639B1 - 차량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639B1
KR100423639B1 KR10-2000-0043577A KR20000043577A KR100423639B1 KR 100423639 B1 KR100423639 B1 KR 100423639B1 KR 20000043577 A KR20000043577 A KR 20000043577A KR 100423639 B1 KR100423639 B1 KR 100423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rmal open
open valve
wheel cylinder
whee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922A (ko
Inventor
정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0-004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6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휠실린더와 배력장치 사이의 유로상에 제 1노멀 오픈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 1노멀 오픈밸브와 휠실린더 사이의 유로상에 제 2노멀 오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구비한다. 휠실린더의 압력의 완만한 증가가 필요한 경우 제 1노멀 오픈밸브를 미리 설정된 고주파의 펄스 폭 변조신호로 구동시키고, 동시에 밸브에 인가되는 직류 전원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하고, 휠실린더의 압력의 완만한 감소가 필요한 경우 제 2노멀 오픈밸브를 미리 설정된 고주파의 펄스 폭 변조신호로 구동시키고, 동시에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TCS가 작동하는 경우 밸브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휠실린더의 압력을 완만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제동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제동장치{Brake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밸브의 구동에 따른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차륜의 제동력 제어가 보다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압장치의 유압구성을 개선한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제동장치중의 BTCS(Brake Traction Control System), VDC(Vehicle Dynamics Control system)에서 사용되는 유압장치는 급격한 제동제어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방법만으로 완만한 제동제어를 구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동장치는 도 1(네개의 차륜중의 두 개의 차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유압으로 변환하는 배력장치(10)와, 상기 배력장치(10)의 하류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개방되어 있고 TCS(Traction Control System)가 작동하는 경우 밸브가 닫히는 TC 노멀 오픈밸브(Traction Control Normal Open Valve)(11)와, 상기 TC 노멀 오픈밸브와 제 1차륜(14a)의 휠실린더(13a)를 연결하는 유로상에 설치되어 휠실린더(13a)로 유입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노멀 오픈밸브(12a)와, 상기 휠실린더(13a)의 출구측의 유로상에 설치된 휠실린더(13a)의 유압을 제어하는 노멀 클로즈 밸브(15a)와, 상기 노멀 클로즈 밸브(15a)의 출구측의 유로상에 설치된 모터(16)와, 상기 모터(16)에 의해 작동되어 생성된 유압을 휠실린더(13a)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압펌프(17)를 구비한다.
또한, 제 2차륜(14b)의 휠실린더(13b)의 입구와 출구측에는 제 1차륜(14a)에서와 마찬가지로 노멀 오픈밸브(12b)와, 노멀 클로즈 밸브(15b)가 설치되고, 이들은 유로를 통해 상기 모터(16)와 유압펌프(17)에 연결된다.
제 1차륜(14a)과 제 2차륜(14b)에서의 제동방식은 동일하므로, 제1차륜(14a)에 대한 유압제동의 동작만을 살펴보면, TCS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일반적인 브레이크 작동하는 경우) TC 노멀 오픈밸브(11)가 열린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유압은 노멀 오픈밸브(12a)를 통하여 유입되어 차륜(104)의 휠실린더(13a)로 공급된다. 그로 인해 제동이 수행되고,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면 유압은 배력장치(10)측으로 빠져나가 제동이 해제된다.
또한, TCS가 작동하는 경우 TC 노멀 오픈밸브(11)가 닫힌 상태에서, 유압펌프(17)에서 생성된 유압의 진행을 노멀 오픈밸브(12a)의 열린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제동력을 증가시키고, 제동력의 감소시에는 노멀 오픈 밸브(12a)를 닫은 상태에서 노멀 클로즈 밸브(15a)의 열린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휠실린더(103)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종래의 제동장치에서는 차륜의 입구와 출구측에 설치된 노멀 오픈밸브와 노멀 클로즈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내부의 플린저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작동하므로 전원공급에 따라 완전개방, 완전개폐 형태로 작동한다. 따라서, 플린저의 복원동작에 따른 큰 잡음이 발생하고, 또한 급격한 제동기능은 양호하지만 정밀제동 내지 완만하고 부드러운 제동에는 한계가 있어 TCS 가 작동하는 경우 차량의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TCS가 작동하는 경우 밸브의 구동에 따른 노이즈를 줄이고, 휠실린더의 압력의 증감을 완만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제동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제동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제동유압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력장치 101 : TC 노멀 오픈밸브
102a : 제 1노멀 오픈밸브 103a : 휠실린더
104a : 차륜 105a : 제 2노멀 오픈밸브
106a : 노멀 클로즈 밸브 107 : 모터
108 : 유압펌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노멀 오픈밸브가 휠실린더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제 2노멀 오픈밸브가 상기 휠실린더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노멀 클로즈 밸브가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휠실린더에 압력증가시에는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를 닫고, 제 1노멀 오픈밸브를 개폐하여 휠실린더로 유입되는 유압량을 제어하고, 상기 휠실린더에 압력감소시에는 제 1노멀 오픈밸브를 닫고, 노멀 클로즈 밸브를 연 상태에서 제 2노멀 오픈밸브를 개폐하여 휠실린더로부터 유출되는 유압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노멀 오픈밸브는 미리 설정된 고유 주파수 이상의 펄스폭 변조 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동시에 상기 밸브에 인가되는 전원 펄스 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휠실린더의 압력의 증가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노멀 오픈밸브는 미리 설정된 고유 주파수 이상의 펄스폭 변조 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동시에 상기 밸브에 인가되는 전원 펄스 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휠실린더의 압력의 감소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의 입력측에는 전륜의 좌측(FL)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FL 휠센서(10)와, 전륜의 우측(FR)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FR 휠센서(20)와, 후륜의 좌측(RL)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RL 휠센서(30)와, 후륜의 우측(RR)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RR 휠센서(40)와,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동감지센서(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어부(60)의 출력측에는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 구동부(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밸브 구동부(70)에는 TC 노멀 오픈밸브(101)와, FL 제 1노멀 오픈밸브(102a)(이하 제 1노멀 오픈밸브라 칭함)와, FL 휠실린더(103a)(이하 휠실린더라 칭함)와, FL 제 2노멀 오픈밸브(105a)(이하 제 2노멀 오픈밸브라 칭함)와, FR 제 1노멀 오픈밸브(102b)(이하 제 1노멀 오픈밸브라 칭함)와, FR 휠실린더(103b)(이하 휠실린더라 칭함)와, FR 제 2노멀 오픈밸브(105b)(이하 제 2노멀 오픈밸브라 칭함)와, F 노멀 클로즈 밸브(106a)(이하 노멀 클로즈 밸브라 칭함)와, RL 제 1노멀 오픈밸브(102c)와, RL 휠실린더(103c)와, RL 제 2노멀 오픈밸브(105c)와, RR 제 1노멀 오픈밸브(102d)와, RR 휠실린더(103d)와, RR 제 2노멀 오픈밸브(105c)와, R 노멀 클로즈 밸브(106b)와, 모터(107)와, 유압펌프(108)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TC 노멀 오픈밸브(101)는 TCS 가 작동하는 경우 밸브를 닫아 배력장치와 TCS 시스템측을 이격시켜 브레이크 페달에 관계없이 TCS가 작동하도록 하고, 제 1노멀 오픈밸브(102a)는 휠실린더(103a)로 유입되는 유압을 제어하고, 제 2노멀오픈밸브(105a)는 휠실린더(103a)로부터 유출되는 유압을 제어하고, 노멀 클로즈 밸브(106a)는 초기의 닫힌 상태로 TCS 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유압이 배력장치로부터 휠실린더(103a)로 유입되도록 하고, 모터(107)는 유압을 생성하고, 유압펌프(108)는 모터(107)에서 생성된 유압을 휠실린더(102a)측으로 보낸다. 상기 구성은 FL 차륜(제 1차륜)(이하 제 1차륜이라 칭함)에 대한 유압제동을 보인 것이고 FR 차륜(제 2차륜)(이하 제 2차륜이라 칭함), RL 차륜(제 3차륜)(이하 제 3차륜이라 칭함), RR 차륜(제 4차륜)(이하 제 4차륜이라 칭함)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2를 제 1차륜의 유압제동에 대해 살펴보면 제어부(60)는 차륜에 부착된 휠센서(50)를 통해 휠속도를 입력받고, 상기 휠센서(50)를 통해 입력된 휠속도가 제어부(60)내에 미리 저장된 차속과 비교하여 휠속도가 차속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제어부(60)는 밸브 구동부(70)를 통해 제 1노멀 오픈밸브(102a)를 구동시킨다. 그로 인해 유압이 제 1노멀 오픈밸브(102a)를 통해 휠실린더(103a)로 유입되어 휠속도가 낮아진다.
또한, 제어부(60)는 차륜에 부착된 휠센서(50)를 통해 입력된 휠속도가 제어부(60)내에 미리 저장된 차속과 비교하여 휠속도가 차속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제어부(60)는 밸브 구동부(70)를 통해 제 2노멀 오픈밸브(105a)를 구동시킨다. 그로 인해 휠실린더(103a)의 유압이 제 2노멀 오픈밸브(105a)를 통해 유출되어 휠속도가 높아 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도 3(네 개의 차륜중의 두 개의 차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유압으로 변환하는 배력장치(100)와 제 1차륜(104a)을 구비한 휠실린더(103a)의 입구측 사이의 유로상에 TCS가 작동하는 경우 닫히는 TC 노멀 오픈밸브(101)와, 상기 TC 노멀 오픈밸브(101)의 출구측에 상기 휠실린더(103a)로 유입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제 1노멀 오픈밸브(102a)가 설치되고, 상기 휠실린더(103a)의 출구측 유로와 상기 TC 노멀 오픈밸브(101)의 출구측과 제 1노멀 오픈밸브(102a)의 유로에서 분기된 유로상에 상기 휠실린더(103a)로부터 유출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제 2노멀 오픈밸브(105a)와,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105a)의 출구측에 노멀 오픈밸브(106a)와, 모터(107)와, 상기 모터(107)에 생성된 유압을 유출시키는 유압펌프(108)가 설치된다.
또한, 제 1차륜(104a)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TC 노멀 오픈밸브(101)의 출구측과 제 1노멀 오픈밸브(102a)의 유로에서 분기된 유로와 제 2차륜(104b)의 휠실린더(103b)의 입구측 유로상에 제 1노멀 오픈밸브(102b)가 설치되고, 상기 제 1차륜(104a)의 제 2노멀 오픈밸브(105a)의 출구측과 노멀 오픈밸브(106a)의 입구측 유로에서 분기된 유로와 상기 휠실린더(103b)의 출구측의 유로상에 제 2노멀 오픈밸브(105b)가 설치된다(상기의 노멀 클로즈 밸브는 각 차륜의 제 2노멀 오픈밸브의 출구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 1차륜(104a)과 제 2차륜(104b)에서의 제동방식은 동일하므로, 제 1차륜(104a)에 대한 유압제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에서 상기 제 1노멀 오픈밸브(102a)는 미리 설정된 고주파의 펄스폭 변조신호로 구동되고, 동시에 제어부(60)가 상기 제 1노멀 오픈밸브(102a)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 펄스폭의 듀티사이클의 듀티비(ON 타임/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휠실린더(103a)의 압력의 증가율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105b)는 미리 설정된 고유주파수 이상의(약 1kHz이상)의 펄스폭 변조 신호로 구동되고, 동시에 제어부(60)가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105a)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 펄스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휠실린더(103a)의 압력의 감소율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60)는 현재 휠실린더(103a)의 압력증가값이 목표하는 압력증가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듀티비를 증가시키고, 목표값 이상일 경우에는 듀티비를 감소시킨다. 상기에서 듀티비는 한 주기의 펄스에서 하이상태의 구간과 로우상태 구간의 비를 의미하며, 듀티비를 증가시킨다는 의미는 하이상태 구간을 로우상태구간보다 더 크게 한다는 의미이다. 상기는 제 1차륜(104a)의 유압제동을 설명한 것이고, 제 2차륜(104b), 제 3차륜, 제 4차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제동유압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00)에서 제어부(60)에 TCS 작동개시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일반적인 브레이크 시스템이 동작되어 운전자가 페달을 밝으면 부스터에 의해 배력된 제동유압이 TC 노멀 오픈밸브(101)와 제 1노멀 오픈밸브(102a)를 통해 휠실린더(103a)로 유입되고, 운전자가 페달에서 발을 떼면 휠실린더(103 a)의 유압이 제 1노멀 오픈밸브(102a)와 TC 노멀 오픈밸브(101)를 통해 유출된다(S201-S204).
단계(S200)에서 제어부(60)에 TCS 작동개시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60)는 밸브 구동부(70)를 통해 TC 노멀 오픈밸브(101a)를 닫고(S300), 제어부(60)는 입력된 휠센서(50)의 출력신호에 따른 휠속도를 미리 저장된 차속과 비교한다(S301). 상기 판단단계(S301)에서 휠속도가 차속보다 낮다면 제동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휠실린더(103a)에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어부(60)는 밸브 구동부(70)를 통해 제 2노멀 오픈밸브(105a)를 닫고(S302), 모터(107)를 동작시켜 유압을 생성하고 그 유압을 유압펌프(108)를 통해 휠실린더(103a)측으로 유출시킨다(S303).
제어부(60)는 밸브 구동부(70)를 통해 제 1노멀 오픈밸브(102)를 미리 설정된 고주파의 펄스폭 변조신호로 구동하면서 직류 전원 펄스 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하면(304), 상기 유압펌프(108)에서 유출된 유압이 휠실린더(103a)로 유입되어 휠실린더(103a)의 압력이 서서히 증가한다.
이때 증가된 휠실린더(103a)의 압력이 특정한 값(10kHz의 고주파로 제 1노멀 오픈밸브(102a)를 펄스폭 변조구동하고 듀티비를 70퍼센트로 조정한 경우에는 약 56bar이다.)에 도달하면 제 1노멀 오픈밸브(102a)의 닫히려는 힘과 열리려는 힘은 평형에 도달한다. 하지만, 기존밸브가 ON/OFF 용도이기 때문에 듀티비의 60퍼센트 내지 80퍼센트(펄스 폭 변조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달라진다)에서 상기 듀티비와 휠실린더(103a)의 압력기울기가 비례하여 선형적 압력증가율을 얻을 수 있다.
실례로써, 제 1노멀 오픈밸브(102a)를 10kHz의 주파수로 펄스폭 변조신호로 구동시키고, 듀티비를 0 퍼센트 내지 100퍼센트로 증가시키고 실험에 의해 듀티비의 67퍼센트 내지 72퍼센트의 구간을 살펴보면 67퍼센트 이하의 듀티비에서는 휠실린더(103a)의 압력이 릴리프(Relief)압(약 113 내지 116bar)까지 증가하여 압력기울기가 크게 나타나며, 72퍼센트 이상의 듀티비에서는 휠실린더(103a)의 압력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 압력기울기가 제로상태이며, 70퍼센트 내지 72퍼센트의 듀티비에는 휠실린더(103a)의 압력기울기가 매우 작게 나타남으로써 상기 구간의 듀티비에서 압력의 완만한 증가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휠실린더(103a)의 완만한 증가와 마찬가지로 압력의 감소시에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본 발명은 상기 예의 휠실린더(103a)의 압력의 완만한 증가구간의 듀티비로 제 1노멀 오픈밸브(102a)를 동작시킴으로써 차량의 제동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노멀 오픈밸브(102a)가 힘의 평형점에 도달한다는 것은 ON/OFF 동작이 아닌 평균화 효과에 의한 동작을 한다는 의미한다. 상기 평균화의 효과는 제 1노멀 오픈밸브(102a)에 제 1노멀 오픈밸브(102a)의 응답속도보다 빠른 신호가 가해지면 제 1노멀 오픈밸브(102a)내의 솔레노이드에 듀티비에 비례하는 평균전류가 흐르고 상기 평균전류에 의해 솔레노이드가 동작하여 밸브를 열고, 닫는 동작을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평균화의 효과에 의해 밸브의 ON/OFF 동작특성이 작아지고, 그로 인해 밸브의 ON/OFF 동작에 따른 노이즈가 대폭 감소한다. 상기 평균화의 효과는 실험에 의해 펄스 폭 변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ON/OFF 동작 특성보다는 평균화 효과에 의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며 밸브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노이즈가 감소된다. 그러나, 펄스 폭 변조 주파수를 너무 높이 설정한 경우 펄스 폭 변조 포트(Port)의 분해능(Resolution)이 낮아져 제어 가능한 듀티비의 가지 수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인덕턴스(Inductance)가 증가하여 펄스 폭 변조구동이 비효율적으로 되기 때문에 약 10kHz 내지 20kHz 의 주파수가 노멀 오픈밸브의 펄스 폭 변조 주파수에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S301)의 판단단계에서 휠실린더(103a)가 압력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모터(107)와 유압펌프(108)를 정지시키고(S310), 제 1노멀 오픈밸브(102 a)를 닫으며(S311), 노멀 클로즈 밸브(106a)를 연다(S312).
제어부(60)은 밸브 구동부(70)을 통해 상기 제 1노멀 오픈밸브를 제어하는 방법과 같이 제 2노멀 오픈밸브(105)를 미리 설정된 고주파 펄스폭 변조신호로 구동시키고, 직류 전원 펄스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하면(313), 듀티비의 60퍼센트 내지 80퍼센트에서 휠실린더(103)의 선형적 압력감소율을 얻을 수 있다.
종래의 제동장치에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105a)를 추가 설치한 이유는 일반적인 노멀 클로즈 밸브(106a)의 구조적 원인에 기인한다. 즉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105a)와 같은 노멀 오픈밸브는 ON 동작하는 경우 밸브 내부의 솔레노이드가 스프링을 미는 힘에 의해 밸브가 닫히고, OFF 동작하는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가 열린다. 반면에 노멀 클로즈 밸브(106a)는 ON 동작하는 경우 밸브 내부의 솔레노이드가 스프링을 당기는 힘에 의해 밸브가 열리고, OFF 동작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가 닫힌다.
따라서, 종래의 노멀 클로즈 밸브(106a)를 미리 설정된 고주파 펄스 폭 변조신호로 구동시키고, 직류 전원 펄스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하면 이미 휠실린더(103a)의 압력이 증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밸브를 열어 휠실린더(103a)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밸브 양단의 압력차를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큰 전류가 필요하다. 제어부(60)가 밸브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펄스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증가시켜 상기 밸브 양단의 압력차를 극복하기에 충분한 전류를 밸브 내부의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면 상기 밸브는 열리기 시작하고, 그로 인해, 휠실린더(103a)의 압력이 감소한다. 이때 상기 휠실린더(103a)의 압력이 감소한 상태에서도 솔레노이드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밸브는 더욱 크게 열려 휠실린더(103a)의 압력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멀 클로즈 밸브(106a)를 사용해서는 제 2노멀 오픈밸브(105a)를 사용하는 경우의 밸브의 열리려는 힘과 닫히려는 힘의 평형점에 의한 평균화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휠실린더(103a)의 압력의 완만한 감소를 얻을 수 없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제동제어에 따른 휠실린더의 압력의 완만한 증가와 완만한 감소가 이루어지도록 노멀 오픈 밸브를 미리 설정된 고주파의 펄스 폭 변조신호로 구동하고, 동시에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하여 휠실린더의 압력증감율을 제어함으로써 제동제어 동작시 밸브의 노이즈를 줄이고, 휠실린더의 압력의 완만한 제어를 통해 차량의 제동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휠실린더의 입구측에 설치된 제 1노멀 오픈밸브와,
    상기 휠실린더의 출구측에 설치된 제 2노멀 오픈밸브와,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의 출구측에 설치된 노멀 클로즈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휠실린더에 압력증가시에는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를 닫고, 제 1노멀 오픈밸브를 개폐하여 휠실린더로 유입되는 유압량을 제어하고, 상기 휠실린더에 압력감소시에는 제 1노멀 오픈밸브를 닫고, 노멀 클로즈 밸브를 연 상태에서 제 2노멀 오픈밸브를 개폐하여 휠실린더로부터 유출되는 유압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노멀 오픈밸브는 미리 설정된 고주파의 펄스폭 변조 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 1노멀 오픈밸브에 인가되는 직류 전원 펄스 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휠실린더의 압력증가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는 미리 설정된 고주파의 펄스폭 변조 신호로 구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에 인가되는 직류 전원 펄스 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휠실린더의 압력감소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4. 휠실린더의 입구측에 설치된 제 1노멀 오픈밸브와, 상기 휠실린더의 출구측에 설치된 제 2노멀 오픈밸브와, 상기 제 2노멀 오픈밸브의 출구측에 설치된 노멀 클로즈 밸브와, 차륜에 설치된 휠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밸브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제동장치의 유압제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휠센서의 감지된 신호에 따라 휠실린더에 압력증가가 필요한가를 판단하는 압력증가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압력증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 1노멀 오픈밸브를 미리 설정된 고주파의 펄스폭 변조 신호로 구동하고, 동시에 전원 펄스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휠실린더의 압력증가율을 제어하는 제 1노멀 오픈밸브 제어단계와,
    상기 휠센서의 감지된 신호에 따라 휠실린더에 압력감소가 필요한가를 판단하는 압력감소 판단단계와,
    상기 압력감소 판단단계에서 압력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 2노멀 오픈밸브를 미리 설정된 고주파의 펄스폭 변조 신호로 구동하고, 동시에 전원 펄스폭의 듀티 사이클의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휠실린더의 압력감소율을 제어하는 제 2노멀 오픈밸브 제어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의 유압제동방법.
KR10-2000-0043577A 2000-07-28 2000-07-28 차량용 제동장치 KR100423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577A KR100423639B1 (ko) 2000-07-28 2000-07-28 차량용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577A KR100423639B1 (ko) 2000-07-28 2000-07-28 차량용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922A KR20020009922A (ko) 2002-02-02
KR100423639B1 true KR100423639B1 (ko) 2004-03-22

Family

ID=1968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577A KR100423639B1 (ko) 2000-07-28 2000-07-28 차량용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949B1 (ko) * 2007-07-27 2008-09-03 주식회사 만도 안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0075A (ja) * 1991-12-24 1993-07-09 Atsugi Unisia Corp 車両の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H0656021A (ja) * 1992-08-07 1994-03-01 Nisshinbo Ind Inc 前輪駆動車輌のアンチスキッド制御方法
JPH09502944A (ja) * 1993-09-28 1997-03-25 アイティーティー・オートモーティブ・ヨーロップ・ゲーエムベーハー スリップ制御付き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JP2000177554A (ja) * 1998-12-18 2000-06-27 Nissan Motor Co Ltd ブレーキ制御装置
KR20020006282A (ko) * 2000-07-12 2002-01-19 밍 루 차량 제동장치의 온오프 밸브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0075A (ja) * 1991-12-24 1993-07-09 Atsugi Unisia Corp 車両の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H0656021A (ja) * 1992-08-07 1994-03-01 Nisshinbo Ind Inc 前輪駆動車輌のアンチスキッド制御方法
JPH09502944A (ja) * 1993-09-28 1997-03-25 アイティーティー・オートモーティブ・ヨーロップ・ゲーエムベーハー スリップ制御付き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JP2000177554A (ja) * 1998-12-18 2000-06-27 Nissan Motor Co Ltd ブレーキ制御装置
KR20020006282A (ko) * 2000-07-12 2002-01-19 밍 루 차량 제동장치의 온오프 밸브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922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091B1 (ko) 안티브레이크시스템및안티슬립레귤레이션시스템을제어하기위한방법과장치
JP4547793B2 (ja) 車両の運動制御装置
JP2002264795A (ja) 車両用液圧ブレーキ装置
JP2009062048A (ja) 自動車ブレーキ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0535734B1 (ko) 차량용 제동력 제어장치
US10773696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vehicles
JP4555746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2000127929A (ja) ブレ―キ装置における圧力制御弁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0423639B1 (ko) 차량용 제동장치
JPH11301442A (ja) 車両用液圧ブレーキ装置
JPH09109861A (ja) 車両ブレーキ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1263531A (ja) 電磁弁制御装置
KR100590708B1 (ko) 에이비에스 시스템에서의 밸브 소음저감방법
JPH11278238A (ja) ブレーキ装置の内部液漏れ検出装置
JP2001301592A (ja) 車両用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1260840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3735884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H08268253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JP4999554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20170087708A (ko) 차량용 유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285912Y1 (ko) 차량용 브레이크 액압 제어장치
JP2009184587A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20010076032A (ko) 브레이크 액압의 맥동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전자밸브구동제어방법
JP2001247024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H1086801A (ja) 制動力配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