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233B1 -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 - Google Patents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233B1
KR100423233B1 KR10-2001-0014547A KR20010014547A KR100423233B1 KR 100423233 B1 KR100423233 B1 KR 100423233B1 KR 20010014547 A KR20010014547 A KR 20010014547A KR 100423233 B1 KR100423233 B1 KR 100423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ster
parts
resin
magnesium hyd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645A (ko
Inventor
김상철
김현석
이건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2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7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4Triazines containing cyanurate groups; Tauto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6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coating or encapsulating of electronic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절연물로서, 코폴리에테르-에스터 (co-poly(ether-ester))수지, 코폴리에스터-에스터 (co-poly(ester-ester))수지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계 공중합체 수지의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혼용물에 대하여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블렌드하고, 수산화마그네슘,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등을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High strength insulation materials with flame retardant}
본 발명은 난연성 절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전선 피복용으로 사용되는 절연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전기 기기의 소형, 경량화와 이에 따른 기기 내부 온도의 증가로 인하여 여기에 적용되는 전선도 점점 박육화되고 있으며, 박육 상태에서도 점점 더 높은 물성과 고내열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성능/초박육 전선의 경우는 일반용 전선에 비하여 우수한 난연성과 함께 연소시 매우 낮은 연기 밀도를 나타내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EEA) 등의 올레핀 공중합 수지 또는 이들 공중합 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블렌드한 매트릭스 수지에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 충전제를 혼합하는 기술이 종래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전선 피복용 재료기술로는 한계가 있다.
그 대안으로서 코폴리에테르-에스터 (co-poly(ether-ester))수지, 코폴리에스터-에스터 (co-poly(ester-ester))수지 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터계 공중합체를 단독 사용하거나, 경도가 다른 수지들을 블렌드한 수지를 매트릭스로 하여 표면 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 난연 충전제를 단독 사용하거나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등의 난연제와 혼용하는 기술이 있다.
고강도 열가소성 난 할로겐 난연 고분자 조성물의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코폴리에테르-에스터 수지 (co-poly(ether-ester))와 코폴리에스터-에스터 수지 (co-poly(ester-ester))는 재료의 절연 성능을 나타내는 체적고유저항(Ωcm)이 1013~1014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수산화마그네슘이나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등의 난연제를 첨가한 고분자 조성물의 경우에는 체적고유저항이 1014보다 크게 감소하게 된다. 절연두께 0.5mm 이하의 박육 절연상태에서 전선절연체는 체적고유저항 1014이상을 요구하므로 상기 난연제를 첨가한 고분자 조성물의 경우 전선 절연체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박육상태에서도 전선 절연체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우수한 기계적 강도, 우수한 난연성과 함께 연소시 매우 낮은 연기 밀도를 나타내고 절연성능이 향상된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코폴리에테르-에스터 수지 (co-poly(ether-ester)), 코폴리에스터-에스터 수지 (co-poly(ester-ester)) 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계 공중합체 수지의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혼용물에 대하여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를 블렌드하고, 수산화마그네슘,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코폴리에테르-에스터 수지 (co-poly(ether-ester)), 코폴리에스터-에스터 수지 (co-poly(ester-ester))와 상용성이 있으면서 절연성능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를 블렌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폴리에스터 공중합체에서의 유연구조는 절연성능이 떨어지므로 유연구조의 함량이 적은 즉, 경도가 높은 수지를 혼용하여 사용함에 따라 절연 성능의 향상은 물론 기계적 강도의 신장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아미노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의 첨가에 따른 절연성능저하 방지를 위해서 고분자 물질로 표면 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을 단독 또는 아미노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수산화나그네슘과 혼용하여 사용함에 따라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난연성 향상을 위하여 수산화마그네슘과의 상승작용이 있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첨가하였는데, 상대적인 첨가량의 비를 조절함에 따라 최적의 절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화학식 1의 코폴리에테르-에스터 (co-poly(ether-ester))와 화학식 2의 코폴리에스터-에스터 (co-poly(ester-ester)) 두 가지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의 코폴리에테르-에스터에서 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alkylene terephthalate)는 강직 구조 (hard segment)로, 폴리 알킬렌 옥사이드 (polyalkylene oxide)는 유연구조 (soft segment)로 구성되어 있다.
코폴리에테르-에스터 수지
화학식 2의 코폴리에스터-에스터 (co-poly(ester-ester))에서 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alkylene terephthalate)는 강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알리패틱 폴리에스터 (aliphatic polyester)는 유연구조로 이루어지며, 메탄다이페닐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methanediphenyldiisocyanate(MDI))는 사슬연장제 (chain extender)로 구성되어 있다.
코폴리에스터-에스터 수지
본 발명의 고강도 난 할로겐 난연성 절연물은 수지 매트릭스 100 중량부에 대해서, 산화방지제 0.1~10 중량부, 가공조제 0.1~10 중량부, 입자크기가 0.5~30㎛ 비표면적 (BET)이 3~20 ㎟/g인 수산화마그네슘 5~100 중량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5~30 중량부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에 대한 작용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강직구조와 유연구조의 구성비에 따라 쇼어(Shore) 경도 D 기준으로 40,55,63,72 네 가지 종류의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경도, 인장강도, 신율 등의 물성과 체적고유저항과 같은 전기적 특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폴리에테르-에스터 (co-poly(ether-ester)) 수지와 코폴리에스터 -에스터 (co-poly(ester-ester))수지의 단독 또는 혼용물에 상용성이 있는 화학식 2의 강직구조에 해당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를 블렌드하여 매트릭스로 사용한다.
또한, 수산화마그네슘에 대하여 스테아릭산, 올레익산, 아미노실란, 바이닐 실란, 스테아릭산/실란, 기타 고분자물질 등으로 표면 처리하여 절연성능을 비교/검토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절연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각 성분의 중량부 구성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수지1(A) 100 - - - - - -
수지2(B) - 100 - 100 90 80 90
수지3(C) - - 100 - - 10 -
수지4(D) - - - - 10 10 10
산화방지제 2 2 2 2 2 2 2
가공조제 2 2 2 2 2 2 2
수산화마그네슘1(E) 10 - - - - - -
수산화마그네슘2(F) - 10 - - - - -
수산화마그네슘3(G) - - 10 10 10 20 -
수산화마그네슘4(H) - - - - - - 10
멜라민시아누레이트 - - - 10 10 10 10
A : 폴리에스터 수지 경도 D40
B : 폴리에스터 수지 경도 D55
C : 폴리에스터 수지 경도 D72
D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E : 수산화마그네슘 (표면 처리 안 함)
F : 수산화마그네슘 (스테아릭산으로 표면 처리)
G : 수산화마그네슘 (아미노실란으로 표면 처리)
H : 수산화마그네슘 (고분자로 표면 처리)
각 실시예의 결과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절연저항(Ωcm) 8.7×1011 5.6×1013 2.1×1014 2.9×1013 7.9×1014 6.8×1015 4.3×1015
강도(kgf/㎟) 1.64 2.61 3.62 2.9 3.67 3.9 3.45
신율(%) 420 341 164 400 273 212 251
산소지수 24 26 23 28 28 29 28
본 발명에서 얻어진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은 체적 고유저항 (Ωcm)이 1×1014~1016의 높은 절연 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가수분해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어서 수분에 의한 절연 성능의 감소도 개선되었다. 또한, 강도 3.9kgf/㎟, 신율 212%, 산소지수 29의 특성을 가지며, 연소시 연기 발생량이 매우 적고 챠르 형성이 단단하여 흘러내리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어진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전선 피복시 절연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우수한 난연성을 가진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4)

  1. 각각 체적고유저항(Ωcm)이 1013~1014인 코폴리에테르-에스터 수지 및 코폴리에스터-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터 공중합체 수지 100중량부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1~50중량부를 블랜드한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1~10중량부;
    가공조제 0.1~1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5~100중량부;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5~30중량부;를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공중합체 수지는,
    쇼어(Shore) 경도 D40, 55, 63, 72인 수지의 단독 또는 2이상 혼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은,
    스테아릭산, 올레익산, 아미노실란, 바이닐실란, 스테아릭산/실란 및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표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
KR10-2001-0014547A 2001-03-21 2001-03-21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 KR100423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547A KR100423233B1 (ko) 2001-03-21 2001-03-21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547A KR100423233B1 (ko) 2001-03-21 2001-03-21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645A KR20020074645A (ko) 2002-10-04
KR100423233B1 true KR100423233B1 (ko) 2004-03-18

Family

ID=2769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547A KR100423233B1 (ko) 2001-03-21 2001-03-21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986B1 (ko) 2010-02-11 2013-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연성과 반사율이 높은 친환경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654B1 (ko) * 2005-03-09 2006-11-23 주식회사 코오롱 굴곡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용커버
KR101242686B1 (ko) * 2007-12-13 2013-03-12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100898418B1 (ko) * 2008-12-15 2009-05-21 (주)선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4055A1 (en) * 1995-04-26 1996-10-31 Raychem Corporation Polyester compositions
KR970008213A (ko) * 1995-07-26 1997-02-24 김광호 리던던시 셀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보장용 셀
KR970010473A (ko) * 1995-08-16 1997-03-27 전성원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장력 자동조절장치
JP2000186190A (ja) * 1998-12-21 2000-07-04 Kuraray Co Ltd ポリエステル系重合体組成物
JP2000248160A (ja) * 1999-03-02 2000-09-12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1064497A (ja) * 1999-08-31 2001-03-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難燃静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4055A1 (en) * 1995-04-26 1996-10-31 Raychem Corporation Polyester compositions
KR970008213A (ko) * 1995-07-26 1997-02-24 김광호 리던던시 셀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보장용 셀
KR970010473A (ko) * 1995-08-16 1997-03-27 전성원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장력 자동조절장치
JP2000186190A (ja) * 1998-12-21 2000-07-04 Kuraray Co Ltd ポリエステル系重合体組成物
JP2000248160A (ja) * 1999-03-02 2000-09-12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1064497A (ja) * 1999-08-31 2001-03-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難燃静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986B1 (ko) 2010-02-11 2013-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연성과 반사율이 높은 친환경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645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421247B2 (en) Flame retardant, low smoke, cold resistant electric cable
RU2627363C2 (ru) Огнестойкий материал, содержащий биополимер
US5412012A (en)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trippability
EP0370517B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JP2003183451A (ja) 耐摩耗性難燃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により被覆された電線
KR100423233B1 (ko) 고강도 난연성 절연물
JPH10237237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EP0520474A1 (en) Non-tarnishing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
WO2005121244A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the cable made of thereit
JPH10245456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使用した電力ケーブル
JP3966632B2 (ja) 電線被覆用樹脂組成物および絶縁電線
JP4057414B2 (ja) 絶縁組成物及び絶縁電線
JP2011111567A (ja) 難燃性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絶縁電線
KR100423234B1 (ko) 고강도 난연 고분자 조성물
KR20100090052A (ko)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기반 절연 및 외피 물질층용 조성물 및 이를 갖춘 전선
JP2000207937A (ja) 電線、ケ―ブル用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4339317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
KR100408625B1 (ko) 고강도 열가소성 난할로겐 난연 고분자 조성물
JPH0813913B2 (ja) ハロゲンフリーの難燃性耐熱性組成物
JP2004256621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9227872A (ja) 絶縁樹脂組成物および絶縁電線
JPS61228049A (ja) 樹脂組成物
JP2000265013A (ja) 難燃架橋樹脂組成物及びその電線・ケーブル
JP2003160709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2332385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