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808B1 - 화장로 - Google Patents

화장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808B1
KR100421808B1 KR10-2000-0054268A KR20000054268A KR100421808B1 KR 100421808 B1 KR100421808 B1 KR 100421808B1 KR 20000054268 A KR20000054268 A KR 20000054268A KR 100421808 B1 KR100421808 B1 KR 10042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furnace
primary
refractory
bog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521A (ko
Inventor
원영상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888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218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filed Critical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Priority to KR10-2000-005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808B1/ko
Publication of KR2002002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4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specially adapted to be crem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2Casings; Linings; Wal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로(A)를 구축 형성하는 각 주벽을 ""형의 이형내화벽돌(9)로서 축조하면서 2개의 "

Description

화장로{CREMATION FURNACE}
본 발명은 화장로를 형성하는 각주벽을 이형내화벽돌로 구축하여 하방으로부터 1차연소실과 중간연도 및 2차연소실을 일체적으로 연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1차연소실 전면부에 설치된 냉각전실에 대기시켜 놓은 시체관을 탑재시킨 로내대차를 1차연소실의 내부로 진입시켜 연소버너를 이용하여 화장하는 화장로에 있어서, 상기 1차 연소실의 측부에는 저면요입부와 평면 돌출부가 형성되는 이형내화벽돌이 적층되어 구축되고, 상기 이형내화벽돌이 구축된 하부는 화력 및 연소재가 로내대차의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형내화벽돌을 분리형 이형내화벽돌을 축조설치하여 벽돌의 노후화시 그 일부 벽돌만 교체하도록 함으로서 경제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로내대차의 상부에는 시체관 받침돌기를 형성하여 시체관과 로내대차간에 소정의 공기유입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연소버너의 화력이 미치지 못하는 구석진 곳에 화력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버너를 설치함과 동시에 로내대차를 높게 구성하되, 그 측면부를 "ㄷ"자 형상으로 요홈지게 구성하여 대차 하부에 설치된 대차이송용 로울러가 화력으로부터 격리되어 훼손이 최소화 되도록 한 화장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로는 내화벽돌을 사용하여 화장실 및 연도의 상부를 아치형상의 구조로 축조하여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내화벽돌로 구축된 종래의 화장로는 화장시에 발생되는 대략 1200℃ 내외의 고열에 의하여 시공후 6개월을 전후로 하여 화장로를 구축하고 있는 내화벽돌이 서로 이탈되기 시작하고 대략 1년~1.5년을 전후하여 개수작업을 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화장로는 1차 연소실의 후방에 1차 버너만 설치되었으므로 소화물(시체관)을 화장하는 1차버너의 화력이 1차연소실의 전방 구석까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소화물을 연소하는 데 시간이 오래걸릴 뿐 아니라 불완전연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또한 화장시에 로내에 고열의 화염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화염이 로내대차의 둘레공간을 통하여 하부에 설치된 대차이송용 로울러까지 전달됨에 따라 금속재로 된 대차이송용 로울러가 고열에 의해 쉽게 훼손이 되는 결점이 있었다.그리고, 로내대차에 올려지는 시체관은 접촉면이 서로 밀접 접촉되어 있으므로 화장이 더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로내대차의 상부에 시체관 받침돌기를 돌설하여 시체관과 로내대차간에 소정 폭의 공기유입공간부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소시에 시체관의 둘레부로 공기회류가 원할하게 이루어져 연소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1차 연소실의 중앙 후방 측벽의 적정 위치에 보조 버너를 설치하여 1차 버너의 화력이 미치지 않는 구석진 곳에까지 화력이 공급되어 시체가 신속하게 연소되도록 하고,로내대차의 높이를 길게 그리고 측면부를 " ㄷ "자 형상으로 요홈지게 구성시켜 화염이 하부에 위치한 대차이송용 로울러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화력 하향방지 및 유골 흘림방지턱 역할을 하는 이형내화벽돌을 분리형으로 구성시켜 훼손시에 훼손된 일부만을 교체하도록 함으로서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경제성을 갖는 화장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1차 및 2차 연소실의 각 내벽에 세라믹 블록을 착설 시공하여 연료 소비량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로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로의 요부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장로에 ""형의 분리형 이형내화벽돌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요부 정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형의 분리형 이형내화벽돌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화장로 1 : 1차 연소실
2 : 2차 연소실 3 : 중간연도
5 : 로내대차 5a : 요홈 6 : 시체관
7 : 1차버너 7a : 2차버너
8, 8a : ""형의 반아치형 이형내화벽돌
8c : 반아치형 이형내화재(8)(8a)의 저면요입부
8d : 반아치형 이형내화재(8)(8a)의 맞접부
9 : ""형의 이형내화벽돌 9a, 10a : 저면요입부
9b, 10b : 평면돌출부
10c : 화력하향 방지 및 유골흘림 방지턱
11 : ""형의 분리형 이형내화벽돌
12 : ""형의 분리형 이형내화벽돌(11)의 교체부
12a : ""형의 분리형 이형내화벽돌(11)의 고정부
13 : 시체관 받침돌기 13a : 공기유입공간부
14 : 보조버너 15 : 세라믹 블록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연소실(1)의 상부에 중간연도(3)를 절곡 설치하여 2차 연소실(2)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1차 연소실(1) 전면부에 설치하는 냉각전실(4)을 통하여 로내대차(5)로 탑재되어 진입되는 시체관(6)을 1차 버너(7)와 2차 버너(7a)를 이용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구조 결합으로서, 1차 연소실(1)의 상부는 ""형의 반아치형 이형내화벽돌(8)(8a) 2개를 일조로 하여 서로 대접하여 아치형의 지붕이 되도록 축조하였으며, 화장로(A)를 형성하는 각 주벽에는 저면 요입부(9a)와 평면돌출부(9b)가 형성되는 ""형의 이형내화벽돌(9)을 축조하여 화장로(A)를 구축형성함에 있어서, 로내대차(5)의 상면부에는 시체관 받침돌기(13)를 돌설하여 시체관(6)과 로내대차(5)간에 소정 폭의 공기유입공간부(13a)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화장시 화력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소 효율이 높도록 하였으며, 1차 연소실(1)의 중앙보다 전방의 측벽에 보조 버너(14)를 설치하여 1차 버너(7)의 화력이 닿지 않는 구석진 곳에까지 화력이 공급되도록 하였으며, 로내대차(5)를 높게 구성하고 그 측부를 " ㄷ "자 형으로 요홈(5a)지게 구성하여 화염이 로내대차(5)하부에 설치된 대차이송용 로울러(20)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하였다.또한, 도 3 및 도 4는 1차 연소실(1)의 내주벽 하부의 내부로 돌출되어 화력 하향 방지 및 유골흘림 방지턱(10c)이 고열에 용융되어 소손될 경우 소손된 부분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형의 분리형 이형내화벽돌(11)의 설치 상태와 구조를 보인 단면도와 발췌사시도로서, 상기 ""형의 분리형 이형내화벽돌(11)은 화력하향 방지 및 유골흘림 방지턱(10c)의 기능을 가지는 구조의 ""형의 교체부(12)와 ""형의 고정부(12a)를 일조로 결합 구성하여 고열에 용융되어 소손되는 ""형의 교체부(12)만을 용이하게 탈이시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6은 열기흡입구, 17은 냉각 덕트, 18은 배출연도, 19는 축열판, 19a는 축열판(19)의 배기구멍, 20은 로내대차(5)에 착설된 호차, 20a는 로내대차(5)의 멈춤 리미트 스위치, 21은 단열문, 22는 단열재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1차 연소실(1)에서, 1차연소실(1) 및 중간연도(3)를 형성하기 위해 축조된 양측 주벽의 상단부로는 ""형의 반아치형 이형내화벽돌(8)(8a) 2개가 일조로되어 일측면부가 서로 대접하여 아치형상의 지붕이 되도록 축조하여 구성한다. 이때, ""형의 반아치형 이형내화벽돌(8)(8a)의 양측 저면에 형성된 저면요입부(8c)가 주벽면에 축조된 ""형의 이형내화벽돌(9)의 평면돌출부(9b)에 덮어씌운 상태로서 맞물림됨과 동시에 대접되고 있는 맞접부(8d)에 의해 서로 지지되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저면요입부(9a)와 평면돌출부(9b)를 형성하는 구조의 ""형의 이형내화벽돌(9)의 상부에, 일측 저면부로 저면요입부(8c)를 형성하는 ""형의 반아치형 이형내화벽돌(8)(8a)을 대접하여 조립축조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여 구축작업이 지연되는 일이 없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형의 반아치형 이형내화벽돌(8)(8a)과 ""형의 이형내화벽돌(9)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전하게 구축되어 1200~1400℃ 내외의 고열에도 견디어 낼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된다.특히 ""형의 이형내화벽돌(9)로서 축조된 주벽의 최하단부가 되는 1차 연소실(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화력 하향 방지 및 유골 흘림 방지턱(10c)을 형성하는 구조의 ""형의 분리형 이형내화벽돌(11)을 축조하여 유골 또는 화력이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열이 중앙으로 집중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형의 분리형 이형내화벽돌(11)을 ""형의 교체부(12)와 ""형의 고정부(12a)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중에 고온의 열에 소손된 부분(화장로의 내측에 위치한 부분)이 되는 ""형의 교체부(12)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으로 작업성과 더불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1차 연소실(1)의 중앙부보다 전방 위치의 주벽에 보조버너(14)를 설치하여 1차 버너(7)의 화력이 충분히 미치지 않은 구석진 부분까지 공급되어 고열이 1차 연소실(1)의 내부 전체에 고루 미치도록 함으로써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1차 버너(7)에 의해 완전연소를 위하여는 연소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의 화장로(A)에서는 1차 버너(7)에 의해 미연소된 구석진 부분을 보조 버너(14)에 의해 완전연소가 가능함은 물론 연소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또한, 로내대차(5)의 상부에 시체관 받침돌기(13)를 돌설하여 시체관(6)을 올려놓음으로써 로내대차(5)와 시체관(6)의 사이에 공기유입공간부(13a)가 형성되는 것으로 연소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여 연소가 보다 빨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그리고, 시체관이 올려지는 로내대차(5)는 기존의 대차보다 높이를 높게 구성하되 그 측부를 " ㄷ "자 형으로 요홈(5a)을 형성함으로서 화장시 발생하는 고열의 화염이 로내대차(5) 하부에 설치된 대차이송용 로울러(20)까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대차이송용 로울러(20)의 훼손이 최소화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1차 연소실(1)과 2차 연소실(2)의 내주벽으로 내화벽돌보다 축열량이 적은 세라믹 블록(15)을 부착 설치함으로써 1차 및 2차 연소실(1)(2)의 내부가 항상 고열이 유지되어 초기 연소시 짧은 시간에 고온으로 상승되며, 작업완료후 짧은 시간에 급냉되며, 급열, 급냉에 대하여 내화벽돌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내화벽돌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는 것이다.종래의 내화벽돌 구조에서는 화장로 특성상 급열, 급냉의 환경에서 내화벽돌은 스폴링 및 크랙, 뒤틀림 현상 발생으로 화장로 수명이 줄어들며, 내화물 교체 주기가 빨라져 비용이 많이 소용되었는데 이를 매우 효과적으로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세라믹 블록(15)의 시공은 내화벽돌을 시공한 후 고온의 본드를 내화벽돌 및 세라믹 블록(15)에 부착 시공하거나 앙카를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2차 연소실(2)의 내부에 칸막이형으로 설치시킨 다수의 배기구멍(19a)을 뚫은 축열판(19)에 의하여 화기(열기)가 화류하면서 미연소된 체액의 취기가스를 완전히 연소시킨 다음 배출연도(18)를 통하여 완전히 배기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1차 연소실(1)에서부터 중간연도(3)까지의 온도는 80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할 수있으며, 2차 연소실(2)의 온도는 항상 70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따라서, 1차 연소실(1)에서 배출되는 취기가스는 중간연도(2)에서 800℃ 의 고열에 의하여 열분해되고, 2차 연소실(2)의 700℃ 의 고온에 의하여 재차로 열분해되기 때문에 배출연도(18)를 통하여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악취가 매연이 없는 완전히 연소된 상태로서 배출되게 되는 것이며, 체액의 취기가스가 열분해되므로 환경공해의 요인을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로내대차의 상부에 시체관 받침돌기를 돌설하여 소정 폭의 공기유입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1차연소실의 중앙 전방측벽의 적정 위치에 보조 버너를 설치하여 1차 버너의 화력이 미치지 않는 구석진 부분까지 화력을 공급하여 시체가 용이하게 연소되도록 할 뿐 아니라, 로내대차를 높게 구성시키되, 그 측부를 " ㄷ "자 형으로 요홈지게 구성시켜 화염이 대차이송용 로울러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대차이송용 로울러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로를 실현하게 되는 것이다.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력 하향 방지 및 유골 흘림 방지턱을 형성하는 교체부와 고정부로 분리할 수 있는 ""형의 분리형 이형내화벽돌로 축조하여 연소시에 고온의 열기에 의해 용융되어 소손되는 부부인 교체부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과 경제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차 연소실(1)과 중간연도(3) 및 2차 연소실(2)을 형성하는 각 주벽은 저면요입부(9a)와 평면 돌출부(9b)를 형성하는 ""형의 이형내화벽돌(9)로서 축조되며, 상기 1차 및 2차 연소실(1)(2)의 상부는 ""형의 반아치형 이형내화벽돌(8)(8a)를 서로 대접하여 아치 형상의 지붕이 형성되도록 축조되었으며, 1차 연소실(1)의 전방에는 단열문(21)이 설치되고, 후방에는 1차 버너(7)와 2차 버너(7a)가 설치되었으며, 1차 연소실(1)의 내부에는 단열문(21)을 개폐하면서 시체관(6)을 탑재하는 로내대차(5)가 1차 연소실(1)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로내대차실(5a)로 진입하여 1차 연소실(1)의 하부의 적정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연소작용을 개시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구성된 화장로(A)에 있어서,
상기 화력하향방지 및 유골 흘림 방지턱(10c) 역할을 하는 벽돌은 교체부(12)와 고정부(12a)로 결합 분리되는 분리형 이형내화벽돌(11)을 구성하여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로내대차(5)의 상부에 받침돌기(13)를 돌설하여 시체관(6)과의 사이에 공기유입공간부(13a)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로내대차(5)는 높게 구성하되, 측면부를 " ㄷ "자 형으로 요홈(5a)을 형성하여 로내대차(5)의 하부에 위치한 대차이송용 로울러(20)가 화염으로부터 격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로.
(삭제)
(삭제)
KR10-2000-0054268A 2000-09-15 2000-09-15 화장로 KR100421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268A KR100421808B1 (ko) 2000-09-15 2000-09-15 화장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268A KR100421808B1 (ko) 2000-09-15 2000-09-15 화장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070U Division KR200213657Y1 (ko) 2000-09-16 2000-09-16 화장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521A KR20020021521A (ko) 2002-03-21
KR100421808B1 true KR100421808B1 (ko) 2004-03-18

Family

ID=1968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268A KR100421808B1 (ko) 2000-09-15 2000-09-15 화장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91Y1 (ko) * 2010-07-01 2011-07-07 주식회사 동방환경기연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CN110345482A (zh) * 2019-08-16 2019-10-18 温氏食品集团股份有限公司 动物尸体的热处理炉
KR102216930B1 (ko) * 2020-08-03 2021-02-18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화장로
CN114110593A (zh) * 2021-12-01 2022-03-01 民政部一零一研究所 一种通用型民族地区坐式火化设备炉体结构及其搭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843A (ja) * 1989-06-22 1991-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KR930003014U (ko) * 1991-07-30 1993-02-26 원영상 화장로
JP3026843U (ja) * 1996-01-16 1996-07-23 株式会社宮本工業所 火葬炉の炉壁
KR200178513Y1 (ko) * 1999-10-29 2000-04-15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화장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843A (ja) * 1989-06-22 1991-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KR930003014U (ko) * 1991-07-30 1993-02-26 원영상 화장로
JP3026843U (ja) * 1996-01-16 1996-07-23 株式会社宮本工業所 火葬炉の炉壁
KR200178513Y1 (ko) * 1999-10-29 2000-04-15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화장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521A (ko)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26798A (ja) モノリス構成要素構造を有するコークス炉
CN106661456A (zh) 具有整体式冠的水平热回收焦炉
KR100421808B1 (ko) 화장로
WO2012163274A1 (zh) 燃气电弧双热式高效炼硅炉及其加热方法
KR200213657Y1 (ko) 화장로
KR20100019045A (ko) 단열 격벽이 구비된 화목 보일러
KR100426046B1 (ko) 화목보일러의 버너부 구조
RU2306487C2 (ru) Печь для сжигания низкосортного каменного угля
KR101700336B1 (ko) 화목보일러용 화구조립체
CN201093710Y (zh) 机械炉排煤气一体化常压热水锅炉
CN2362048Y (zh) 反烧常压炉
JP2013234768A (ja) 陶芸薪窯
KR200178513Y1 (ko) 화장로
JP5320926B2 (ja) 加熱炉用バーナの蓄熱式バーナ化方法
CN201106843Y (zh) 燃煤净化燃烧链条炉排炉
KR200199706Y1 (ko) 화장로
RU2134844C1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4739184B (zh) 一种高炉煤气燃烧蓄热稳定装置
KR940002213Y1 (ko) 화장로
CN213687842U (zh) 一种高温节能型窑炉
CN201513923U (zh) 卧式反烧环保节煤炉
KR890004187Y1 (ko) 이차연소실과 냉각실을 갖는 원형 화장로의 구조
CN106678780A (zh) 燃烧装置
CN208058870U (zh) 焚烧炉
CN2463709Y (zh) 锅炉燃烧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401

Effective date: 200911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