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930B1 - 화장로 - Google Patents

화장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930B1
KR102216930B1 KR1020200096644A KR20200096644A KR102216930B1 KR 102216930 B1 KR102216930 B1 KR 102216930B1 KR 1020200096644 A KR1020200096644 A KR 1020200096644A KR 20200096644 A KR20200096644 A KR 20200096644A KR 102216930 B1 KR102216930 B1 KR 102216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main combustion
arch
combustion furnace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식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filed Critical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Priority to KR1020200096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23G5/165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arranged at a differe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2Casings; Linings; Wal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연소로와 연도 및 재연소로를 포함하는 화장로에 있어서, 상기 주연소로의 양측벽 아래측에는 주연소로 하부구조물과 결합되는 하단벽돌을 설치하고, 하단벽돌의 주연소로측에 연소화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돌을 연결하여 설치하며, 상기 하단벽돌과 가이드벽돌의 상부에는 주연소로의 측면에서 연소용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관이 내삽된 에어관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상기 에어관벽돌의 상부면에 주연소로의 측벽을 이루는 측면벽돌 다수층을 일정높이로 적층하고, 최상단 측면벽돌의 상부면은 주연소로의 천장을 아치형으로 형성하는 얇은 두께의 하부아치형벽돌의 일측 단면과 연결하여 적층하여 형성하며, 최상단 측면벽돌의 주연소로 외측 상부면에는 하부아치형벽돌과 제1, 2상부아치형벽돌이 주연소로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치형을 유지하는 지지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부아치형벽돌 상부면에는 주연소로의 천장 아치형 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내열 보강하는 제1상부아치형벽돌과 제2상부아치형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하며, 주연소로의 내부에는 세라믹타일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화장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화장로{Cinerator}
본 발명은 주연소로와 연도 및 재연소를 포함하는 화장로에 관한 것으로, 불규칙적으로 발생되는 고온가열 및 장기단열에 따른 온도변화로 내화벽돌의 수축과 팽창에 대응하는 내화벽돌 결합구조를 통해 화장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화장로 천장을 구성하는 아치형 내화벽돌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분리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화장로의 신설 및 보수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화장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로는 시체관에 화염을 분사하여 연소시키는 주연소로와 주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연도를 통해 재연소로로 이송하고 이송된 연소가스에 화염을 분사하여 재연소시키는 재연소로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있고, 이들 주연소로와 연도는 고온용 내화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있다.
상기 내화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한 종래기술의 화장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8513호 화장로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로(1)의 상부에 중간연도(3)와 재연소로(2) 및 배출연도(10)를 형성하되, 화장로(1)의 측벽과 중간연도(3)의 측벽에 조립형 이형내화재(6)를 적층하여 형성한다.
상기 이형내화제는 저면부와 평면부의 대응위치에 요입부(4)와 돌출부(5)를 형성하고, 상기 평면돌출부가 그 상부에 적층되는 이형내화재의 요입부에 끼워서 조립하여 적층시킨 것이다.
그리고 화장로(1)와 중간연도(3)의 상부 천장은 이형내화재(6a) 2개를 일조로 하여 일측면부를 대응 접촉시켜 아치형으로 형성하며, 아치형 이형내화재는 양단 저면에 요입부(4a)를 형성하고, 벽면에 평면돌출부(5)를 형성하여, 상기 요입부에 평면돌출부가 끼워진 상태로 맞물리고 동시에 대접되고 있는 접속부에 의해 서로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이형내화재(6)는 벽돌 저면부와 평면부에 하나의 요입부(4)와 돌출부(5)를 각각 형성하고, 벽돌 적층시 돌출부가 요입부에 끼워지면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화장작업시 고열과 화장종료시 냉각에 의한 온도변화로 벽돌의 수축과 팽창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벽돌의 뒤틀림이 발생되는 동시에 상부벽돌과 하부벽돌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호 회전 유동이 발생된다.
이처럼 축조된 벽돌의 회전유동이 장기간 반복되어 벽돌의 뒤틀림이 발생됨에 따라 벽돌이 적층되는 벽돌 연결부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미량의 연소가스가 누설되어 화장장 공기를 오염시키며, 나아가 벽돌의 일부가 파손되어 화장로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화장로(1)의 상부 천장에 설치되는 이형내화재(6a)는 2개를 일조로 하여 일측면부를 대응 접촉시켜 아치형으로 형성하는 것이고, 1개의 아치형 이형내화재의 길이는 화장로(1) 폭의 1/2에 해당하는 길이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벽돌이 크고 무거워 천장 벽돌 설치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로의 주연소로와 연도를 형성하는 내화벽돌의 상하 양면에 각각 돌출부와 요입부를 형성하고 내화벽돌 적층 결합시 요입부와 돌출부 결합을 통해 화장로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을 저지하고, 화장로와 연도의 천장에 형성되는 아치형 내화벽돌을 분할구조로 형성하여 아치형 내화벽돌의 적층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화장로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연소로(100a)와 연도(100b) 및 재연소로(100c)를 포함하는 화장로(100)에 있어서, 상기 주연소로의 양측벽 아래측에는 주연소로 하부구조물과 결합되는 하단벽돌(101)을 설치하고, 하단벽돌의 주연소로 측에 연소화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돌(102)을 연결하여 설치하며, 상기 하단벽돌(101)과 가이드벽돌의 상부에는 주연소로의 측면에서 연소용 에어를 공급하는 내열에어관이 내삽되는 에어관벽돌(103)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상기 에어관벽돌의 상부면에 주연소로의 측벽을 이루는 측면벽돌(104) 다수층을 일정높이로 적층하고, 최상단 측면벽돌의 상부면은 주연소로의 천장을 아치형으로 형성하는 얇은 두께의 하부아치형벽돌(105)의 일측 단면과 연결하여 적층하여 형성하며, 최상단 측면벽돌의 주연소로 외측 상부면에는 하부아치형벽돌과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이 주연소로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치형을 유지하는 지지벽돌(106)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부아치형벽돌 상부면에는 주연소로의 천장 아치형 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내열 보강하는 제1상부아치형벽돌과 제2상부아치형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하며, 주연소로의 내부에는 세라믹타일(109)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구성이 포함된 화장로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주연소로(100a)의 상부에 형성되어 주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연소공기를 배출하는 연도(100b)는 주연소로의 제1상부아치형벽돌(107)과 지지벽돌(106)의 상측부에 복수개의 측면벽돌(104)을 적층하고, 최상단 측면벽돌의 연도 외측 상부면에는 하부아치형벽돌(105)과 후술하는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이 연도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치형을 유지하는 지지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하며, 하부아치형벽돌의 상부면에는 연도의 천장 아치형 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내열 보강하는 제1상부아치형벽돌과 제2상부아치형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관벽돌(103)은 주연소로의 양측면 길이방향에 대하여 3개소에 배치하여 각각의 에어관벽돌과 에어공급관을 연결하여 일정압력의 연소용 에어를 추가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하단벽돌(101)과 에어관벽돌(103), 측면벽돌(104), 지지벽돌(106),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은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 또는 어느 한 면에는 구형돌출부(110) 또는 구형요입부(111)를 일직선의 열을 이루어 형성하되, 상기 구형요입부는 반경 15mm의 깊이를 가지는 반원형 홈으로 형성하고, 구형돌출부는 반경 12mm의 반원형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하여, 상기 하단벽돌과 측면벽돌은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 형성되는 한쌍의 구형돌출부와 한쌍의 구형요입부의 결합을 통해 이중 턱걸림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 2아치형벽돌은 하부아치형벽돌과 구형돌출부와 구형요입부의 결합을 통해 일렬 턱걸림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하단벽돌(101)은 육면체 구조로 형성하되, 상부면에 한쌍의 구형돌출부(110)와 하부면에 한쌍의 구형요입부(111)를 일정거리 이격시켜 각각 열을 이루어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벽돌(102)은 육면체 구조의 일측 모서리면을 일정각도로 경사시켜 절취한 경사면(102a)을 포함하는 칠면체 구조로 형성하며, 상기 에어관벽돌(103)은 육면체 구조의 외측 수직면(103c)의 상측부와 육면체 구조의 내측 수직면(103d)을 관통하는 에어관장착홀(103e)을 형성하되, 에어관벽돌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60°로 경사시켜 내경 30~40mm로 형성하며, 상부면(103a)에 구형돌출부를 형성하고 하부면(103b)에 구형요입부를 각각 1열로 형성하고, 상기 측면벽돌(104)은 얇은 두께의 육면체 구조로 형성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에 구형돌출부와 구형요입부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2열로 형성하며, 상기 하부아치형벽돌(105)은 상부아치면(105a)과 하부아치면(105b)을 일정반경의 원호로 형성하고 하부수평면(105c)을 포함하는 일정길이의 칠면체 구조로 형성하되, 하부수평면에 1열의 구형요입부와 상부아치면에 2열의 구형돌출부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주연소로와 연도를 형성하는 내화벽돌의 적층면에 한쌍의 구형돌출부와 구형요입부가 안착되어 이중 턱걸림을 통해 주연소로의 온도변화에 따른 내화벽돌의 수축과 팽창에 대응함으로써, 벽돌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고 벽돌 연결부의 헤어클랙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연소로와 연도의 천장 아치형부위를 형성하는 내화벽돌의 두께를 분할하여 상부와 하부아치형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적층하는 아치형 내화벽돌의 중량 감소를 통해 주연소로의 아치형 천장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천장 아치형부위의 내화벽돌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연소로를 형성하는 내화벽돌에 에어관장착홀이 형성된 에어관에어관벽돌을 적층하고 여기에 내열에어관을 내삽하도록 함으로써, 내열에어관 배출구 측이 열에 의해 훼손이 발생되어서 강제로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를 일정한 위치로 분사하여 사체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벽돌을 통해 에어관벽돌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와 연소버너의 연소화염이 혼합된 화염이 시체관 하부측으로 가이드하면서, 로내대차와 주연소로 측벽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주연소로 내화벽돌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한 주연소로와 배출가스 연도 및 재연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연소로의 에어관벽돌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연소로의 하단벽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연소로의 가이드벽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연소로의 에어관벽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연소로와 연도의 측면벽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연소로와 연도의 하부아치형벽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연소로와 연도의 지지벽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연소로와 연도의 제1, 2 상부아치형벽돌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나, 본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실시 예와 균등한 기술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 또는 단위 구성요소별 동일한 형상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의 명칭을 동일하게 표현하되 부호를 다르게 표현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로(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벽돌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주연소로(100a)와 연도(100b), 그리고 내화재로 이루어지는 재연소로(100c)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주연소로(100a)는 시체관을 탑재한 로내대차(112)의 상부측 연소화염이 접촉되는 공간 모두에는 내화벽돌들을 적층하여 형성하되, 주연소로의 양측벽 아래측에는 주연소로 하부구조물과 결합되는 하단벽돌(101)을 설치하고, 하단벽돌의 주연소로측에 연소화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돌(102)을 연결하여 설치하며, 상기 하단벽돌(101)과 가이드벽돌(102)의 상부에는 주연소로의 측면에서 연소용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관이 내삽되는 에어관벽돌(103)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관벽돌(103)의 상부면에 주연소로의 측벽을 이루는 측면벽돌(104) 다수층을 일정높이로 적층하고, 최상단 측면벽돌(104)의 주연소로측 상부면에는 주연소로의 천장을 아치형으로 형성하는 하부아치형벽돌(105)의 일측 단면과 연결하여 적층한다.
또한 상기 최상단 측면벽돌(104)의 주연소로 외측 상부면에는 하부아치형벽돌(105)과 후술하는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이 주연소로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치형을 유지하는 지지벽돌(106)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아치형벽돌(105) 상부면에는 주연소로의 천장 아치형 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내열 보강하는 제1상부아치형벽돌(107)과 제2상부아치형벽돌(108)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상술한 주연소로(100a)를 형성하는 하단벽돌(101)과 가이드벽돌(102), 에어관벽돌(103), 측면벽돌(104), 지지벽돌(106), 하부아치형벽돌(105),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의 적층은 주연소로의 세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측면이 대칭이 되도록 적층하고, 연소화염에 의해 화장작업이 수행되는 주연소로 내면에는 고내열성 세라믹타일(109)을 부착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연소로(100a)의 상부에 형성되어 주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연소공기를 배출하는 연도(100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소로(100a)의 제1상부아치형벽돌(107)과 지지벽돌(106)의 상측부에 복수개의 측면벽돌(104)을 적층하고, 최상단 측면벽돌(104)의 연도 외측 상부면에는 하부아치형벽돌(105)과 후술하는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이 연도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치형을 유지하는 지지벽돌(106)을 적층하여 형성하며, 하부아치형벽돌(105) 상부면에는 연도의 천장 아치형 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내열 보강하는 제1상부아치형벽돌(107)과 제2상부아치형벽돌(108)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상술한 연도(100b)를 형성하는 측면벽돌(104), 하부아치형벽돌(105), 지지벽돌(106) 및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은 상기 주연소로(100a)와 동일하게 세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측면이 대칭이 되도록 적층한다.
상기 에어관벽돌(10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소로의 양측면 길이방향에 대하여 3개의 에어관벽돌을 배치하되 세로방향 10개의 벽돌 중 입구로부터 5, 7, 9번째에 배치하고, 각각의 에어관벽돌과 에어공급관을 연결하여 일정압력의 연소용 에어를 추가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하단벽돌(101)과 에어관벽돌(103), 측면벽돌(104), 지지벽돌(106), 하부아치형벽돌(105),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은 모두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 또는 어느 한면에 구형돌출부(110) 또는 구형요입부(111)를 일직선의 열을 이루어 형성하되, 상기 구형요입부(111)는 반경 15mm의 깊이를 가지는 반원형 홈으로 형성하고, 구형돌출부(110)는 반경 12mm의 반원형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처럼 구형요입부의 깊이와 둘레를 구형돌출부의 높이와 둘레보다 각각 3mm 크게 형성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내화벽돌의 구형요입부에 구형돌출부가 여유 있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내화벽돌 각각에 대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단벽돌(101)은 도 2,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육면체 구조로 형성하되, 바닥면과 측면은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상부면에 한쌍의 구형돌출부(110)와 하부면에 한쌍의 구형요입부(111)를 일정거리 이격시켜 각각 열을 이루어 형성한다.
이처럼 육면체 구조의 하단벽돌(101)을 상하부면에 각각 한쌍의 구형돌출부(110)와 한쌍의 구형요입부(111)를 형성함으로써, 하단벽돌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연결되는 내화벽돌 및 벽돌 구조물의 홈과 돌기의 이중 턱걸림 결합을 통해 주연소로 열변화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가이드벽돌(102)은 도 2,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단벽돌(101)과 동일한 두께로 일측변에 경사면이 구비된 칠면체 구조로 형성하되, 육면체 구조의 일측 모서리면을 일정각도로 경사시켜 절취한 경사면(102a)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소로(100a)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벽돌(102)은 경사면을 구비하고 이를 주연소로 내측으로 돌출시켜 적층함으로써, 주연소로(100a)의 폭방향 단면을 축소시키면서 후술하는 에어관벽돌(103)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로내대차(112)의 상부에 안치된 시체관의 하부측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여 시체관 연소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관벽돌(103)은 도 2,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103a)과 하부면(103b)을 모두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일정체적의 육면체 구조로 형성하고, 주연소로의 외면측 육면체 구조의 외측 수직면(103c)의 상측부와 주연소로의 내면측 육면체 구조의 내측 수직면(103d)을 관통하는 에어관장착홀(103e)을 일정각도로 경사시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에어관벽돌(103)은 상부면(103a)에 구형돌출부(110)와 하부면(103b)에 구형요입부(111)를 각각 1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면(103a)의 구형돌출부는 후술하는 측면벽돌(104)의 구형요입부와 안착 결합되고 하부면(103b)의 구형요입부는 상기 하단벽돌(101)의 구형돌출부와 안착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에어관벽돌(103)에 형성되는 에어관장착홀(103e)은 내열에어관(미도시)을 내삽하되, 에어관 장착홀의 주연소로 측 출구 구멍은 로내대차에 탑재된 시체관의 하부측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내열에어관을 통해 주연소로의 연소용 공기를 강제로 주입하여 사체 연소가 더욱 활성화되고, 내열에어관의 배출구 측이 열손되더라도 강제 주입되는 연소용 공기를 일정한 위치로 분사하여 사체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에어관장착홀(103e)의 경사각은 에어관벽돌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60°로 경사시켜 형성하고, 내경은 30~40mm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관장착홀(103e)의 경사각을 60°미만으로 형성하거나 이를 초과하여 형성하면 공급되는 에어가 시체관의 연소화염이 접촉되는 지점을 벗어나게 되어 오히려 연소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에어관장착홀(103e) 내경을 30mm 미만으로 형성하면 여기에 내삽되는 내열에어관의 단면적이 적어 공급되는 에어속도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연소용으로 공급되는 에어의 속도가 지나치게 높아 연소를 방해하게 되고, 40mm를 초과하여 형성하면 내열에어관 단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일정속도의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에너지가 과다하게 소비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측면벽돌(104)은 도 2,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소로의 상측부 측면 벽을 형성하는 벽돌로서, 얇은 두께의 육면체 구조로 형성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구형돌출부(110)과 구형요입부(111)를 형성한다.
상기 측면벽돌(104)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구형돌출부(110)와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면에 형성되는 구형요입부(111)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2열로 형성하여, 측면벽돌 적층시 상부면의 구형돌출부와 하부면의 구형요입부가 각각 대응되어 벽돌의 구형요입부와 구형돌출부에 안착시켜 이중 턱걸림 결합을 통해 주연소로 열변화에 따른 측면벽돌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하부아치형벽돌(105)은 최상단 측면벽돌(104)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주연소로의 천장을 일정반경의 원호로 이루어지는 아치형을 형성하는 벽돌로서, 도 2,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아치면(105a)과 하부아치면(105b)을 일정반경의 원호로 형성한 일정길이의 칠면체 구조로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아치형벽돌(105)은 최상단 측면벽돌(104)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하부수평면(105c)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수평면은 주연소로 천장단면 원호의 1/2에 해당하는 원호에 대응되는 일정반경의 원호로 이루어지는 하부아치면(105b)의 일측 단부에 형성한다.
그리고 주연소로의 천장 중앙부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하부아치형벽돌(105)과 맞대어 지지하는 수직지지면(105d)을 상기 하부아치면(105b)의 타측 단부와 연결하여 수직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아치면(105b)과 동일한 형태로 대응되는 일정반경의 원호로 이루어지는 상부아치면(105a)을 상기 수직지지면(105d)과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부아치면의 일측 단부를 직각으로 수직을 이루며 상기 하부수평면(105c)과 연결하는 하부수직면(105e)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수평면(105c)은 1열의 구형요입부(111)를 형성하고, 상부아치면(105a)에는 2열의 구형돌출부(110)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며, 상기 수직지지면(105d)은 그 두께를 종래기술의 1/2 수준으로 감소시켜 중량 감소를 통해 아치형 천장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아치형벽돌(105)의 하부수평면(105c)에 형성되는 하나의 구형요입부(111)에는 최상단 측면벽돌(104)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구형돌출부(110)가 안착 결합되어 하부아치형벽돌(105)이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는 변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아치형벽돌(105)의 상부아치면(105a)에 형성되는 한쌍의 구형돌출부(110)는 후술하는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에 각각 형성되는 구형요입부가 결합되어 제1, 2 아치형벽돌이 턱 걸림을 통해 안정된 적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벽돌(10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단 측면벽돌(104)의 상부면 및 하부아치형벽돌(105)과 제1상부아치형벽돌(107)과 연결되어 아치형벽돌들이 주연소로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지지하는 벽돌이다.
보다 구체척으로 상기 지지벽돌(106)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면체 구조의 일측 모서리면을 일정각도로 경사시켜 절취한 경사면(106a)과 상기 경사면(106a)에 연결되는 수직면(106b) 및 바닥면(106c)을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106c)에는 1열의 구형요입부(111)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2,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106a)은 상부아치형벽돌(107)의 일측면이 밀착되고, 수직면(106b)은 하부아치형벽돌(105)의 일측면이 밀착되며, 바닥면(106c)은 최상부 측면벽돌(104)의 상면이 밀착되어 적층되도록 한다.
상기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은 도 2,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4각형 기둥을 일정원호로 구부려 형성한 것으로, 제1, 2하부아치면(107a, 108a)을 상기 하부아치형벽돌(105)의 상부아치면(105a) 원호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의 제1, 2하부아치면이 하부아치형벽돌(105)의 상부아치면에 밀착 적층시킨다.
그리고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의 제1, 2하부아치면(107a, 108a)에는 각각 1열의 구형요입부(111)를 형성하고, 이들 구형요입부가 하부아치형벽돌(105)의 상부아치면(105a)에 형성된 구형돌출부(110)에 안착 결합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화벽돌을 적층함에 따른 작용효과를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하부아치형벽돌(105)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아치형벽돌을 제1, 2아치형벽돌로 나누어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일정곡률의 원호로 이루어지는 주연소로 천장을 중량이 가벼운 벽돌로 나누어 적층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주연소로와 연도의 천장을 형성하는 아치형내화벽돌 들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주연소로에 적층되는 일정형태의 내화벽돌에 2열의 구형돌출부(110)과 구형요입부(111)를 형성하고 이들을 결합시켜 적층함으로써, 내화벽돌이 주연소로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되거나 팽창될 때 이중 턱걸림을 통해 내화벽돌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내화벽돌의 적층 연결부에 헤어클랙이 발생이 방지되어 주연소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연소로를 형성하는 내화벽돌에 에어관장착홀이 형성된 에어관에어관벽돌을 적층하고 여기에 내열에어관을 내삽하여 형성함으로써, 내열에어관의 배출구 측이 열에 의해 훼손되는 경우에도 강제로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를 일정위치에 분사하여 사체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 주연소로의 중앙 수직축을 기준으로 양측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비되는 내화벽돌의 자세한 설명을 타측에 구비되는 내화벽돌에 그대로 적용하여 형성한다.
100 : 화장로 100a : 주연소로
100b : 연도 100c : 재연소로
101 : 하단벽돌 102 : 가이드벽돌
103 : 에어관벽돌 104 : 측면벽돌
105 : 하부아치형벽돌 106 : 지지벽돌
107 : 제1상부아치형벽돌 108 : 제2상부아치형벽돌
109 : 세라믹타일 110 : 구형돌출부
111 : 구형요입부 112 : 로내대차

Claims (5)

  1. 주연소로(100a)와 연도(100b) 및 재연소로(100c)를 포함하는 화장로(100)에 있어서,
    상기 주연소로의 양측벽 아래측에는 주연소로 하부구조물과 결합되는 하단벽돌(101)을 설치하고, 하단벽돌의 주연소로 측에 연소화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돌(102)을 연결하여 설치하며, 상기 하단벽돌(101)과 가이드벽돌의 상부에는 주연소로의 측면에서 연소용 에어를 공급하는 내열에어관이 내삽되는 에어관벽돌(103)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상기 에어관벽돌의 상부면에 주연소로의 측벽을 이루는 측면벽돌(104) 다수층을 일정높이로 적층하고, 최상단 측면벽돌의 상부면은 주연소로의 천장을 아치형으로 형성하는 얇은 두께의 하부아치형벽돌(105)의 일측 단면과 연결하여 적층하여 형성하며,
    최상단 측면벽돌의 주연소로 외측 상부면에는 하부아치형벽돌과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이 주연소로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치형을 유지하는 지지벽돌(106)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부아치형벽돌 상부면에는 주연소로의 천장 아치형 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내열 보강하는 제1상부아치형벽돌과 제2상부아치형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하며, 주연소로의 내부에는 세라믹타일(109)을 부착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단벽돌과 에어관벽돌, 측면벽돌, 지지벽돌, 제1, 2상부아치형벽돌은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 또는 어느 한 면에는 반원형으로 돌출된 구형돌출부(110) 또는 반원형 홈의 구형요입부(111)를 일직선의 열을 이루어 형성하되,
    상기 구형돌출부와 구형요입부는 상하로 적층되는 내화벽돌의 구형돌출부가 구형요입부에 여유 있게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하단벽돌과 측면벽돌은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 형성되는 한쌍의 구형돌출부와 한쌍의 구형요입부의 결합을 통해 이중 턱걸림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1, 2아치형벽돌은 하부아치형벽돌과 구형돌출부와 구형요입부의 결합을 통해 일렬 턱걸림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소로(100a)의 상부에 형성되어 주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연소공기를 배출하는 연도(100b)는 주연소로의 제1상부아치형벽돌(107)과 지지벽돌(106)의 상측부에 복수개의 측면벽돌(104)을 적층하고, 최상단 측면벽돌의 연도 외측 상부면에는 하부아치형벽돌(105)과 후술하는 제1, 2상부아치형벽돌(107, 108)이 연도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치형을 유지하는 지지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하며, 하부아치형벽돌의 상부면에는 연도의 천장 아치형 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내열 보강하는 제1상부아치형벽돌과 제2상부아치형벽돌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관벽돌(103)은 주연소로의 양측면 길이방향에 대하여 3개소에 배치하여 각각의 에어관벽돌과 에어공급관을 연결하여 일정압력의 연소용 에어를 추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벽돌(101)은 육면체 구조로 형성하되, 상부면에 한쌍의 구형돌출부(110)와 하부면에 한쌍의 구형요입부(111)를 일정거리 이격시켜 각각 열을 이루어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벽돌(102)은 육면체 구조의 일측 모서리면을 일정각도로 경사시켜 절취한 경사면(102a)을 포함하는 칠면체 구조로 형성하며,
    상기 에어관벽돌(103)은 육면체 구조의 외측 수직면(103c)의 상측부와 육면체 구조의 내측 수직면(103d)을 관통하는 에어관장착홀(103e)을 형성하되, 에어관벽돌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60°로 경사시켜 내경 30~40mm로 형성하며, 상부면(103a)에 구형돌출부를 형성하고 하부면(103b)에 구형요입부를 각각 1열로 형성하고,
    상기 측면벽돌(104)은 얇은 두께의 육면체 구조로 형성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에 구형돌출부와 구형요입부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2열로 형성하며,
    상기 하부아치형벽돌(105)은 상부아치면(105a)과 하부아치면(105b)을 일정반경의 원호로 형성하고 하부수평면(105c)을 포함하는 일정길이의 칠면체 구조로 형성하되, 하부수평면에 1열의 구형요입부와 상부아치면에 2열의 구형돌출부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로.
KR1020200096644A 2020-08-03 2020-08-03 화장로 KR102216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44A KR102216930B1 (ko) 2020-08-03 2020-08-03 화장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44A KR102216930B1 (ko) 2020-08-03 2020-08-03 화장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930B1 true KR102216930B1 (ko) 2021-02-18

Family

ID=7468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644A KR102216930B1 (ko) 2020-08-03 2020-08-03 화장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9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39U (ko) * 1985-06-17 1987-01-07
KR20020021521A (ko) * 2000-09-15 2002-03-21 원영상 화장로
KR101512729B1 (ko) * 2014-01-17 2015-04-17 에프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화장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39U (ko) * 1985-06-17 1987-01-07
KR20020021521A (ko) * 2000-09-15 2002-03-21 원영상 화장로
KR101512729B1 (ko) * 2014-01-17 2015-04-17 에프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화장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7214A (en) Interlocking floor brick for non-recovery coke oven
CA1172987A (en) System for improving the flow in the ducts between the regenerators or recuperators and the combustion chambers of industrial gas-fired systems, more particularly coke ovens
US4130160A (en) Composite ceramic cellular structure and heat recuperative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AU2006268489B2 (en) Chamber setting with improved expansion joints and bricks for making same
EP0727630A1 (en) Horizontal flue technology for carbon baking furnace
KR102216930B1 (ko) 화장로
CN210193749U (zh) 一种优化的焦炉燃烧室炉头结构
CN214781941U (zh) 一种炉箅子及热风炉系统
EA023241B1 (ru) Насадочный кирпич для подогревателя дутья
JP6763026B2 (ja) ワンピースの耐荷重壁ブロックで形成されたガラス炉熱交換器
CN216192455U (zh) 高炉热风炉耐火胶泥拱顶
CN212504701U (zh) 一种节能、耐久焦炉蓄热室封墙
JPS58182078A (ja) 横バ−ナ復熱炉
US4479778A (en) Construction of regenerator furnaces
US2664837A (en) Suspended furnace arch
CN102747177B (zh) 一种高炉热风炉及其建造方法
CN111473356A (zh) 烟道式加热炉
US4229163A (en) Heating furnace
CN113136471A (zh) 一种耐高温炉箅子、热风炉系统及加热中温风的方法
CN219363489U (zh) 小炉侧墙与蓄热室连接结构及盖板玻璃窑炉
CN220018123U (zh) 一种辊道窑预热管路
CN214735339U (zh) 一种新型玻璃熔窑蓄热室墙体
CN215947336U (zh) 一种高炉热风管道结构
CN212252685U (zh) 烟道式加热炉
CN220335056U (zh) 一种浮法玻璃窑炉小炉斜坡碹胀缝的改进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