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491Y1 -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 Google Patents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491Y1
KR200454491Y1 KR2020100007011U KR20100007011U KR200454491Y1 KR 200454491 Y1 KR200454491 Y1 KR 200454491Y1 KR 2020100007011 U KR2020100007011 U KR 2020100007011U KR 20100007011 U KR20100007011 U KR 20100007011U KR 200454491 Y1 KR200454491 Y1 KR 200454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mbustion
combustion
chamber
refractory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환경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환경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환경기연
Priority to KR2020100007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4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6Crowns or roofs for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9/00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 F23M9/06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in fire-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차의 출입을 위한 단열문과 대차에 올려진 시신을 연소시키는 주연소버너가 구성된 주연소실과, 상기 주연소실의 상측에 형성되는 재연소실 및 상기 주연소실과 재연소실을 구분하며 미연소물질과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한 통로를 형성한 상단내화벽으로 이루어진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에 있어서, 상기 상단내화벽은 대차에 올려진 시신의 효과적인 연소를 위하여 하부가 좁게 형성되고, 상부가 넓게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내화벽돌의 결합으로 시신의 몸통에서 양팔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내화벽돌에는 경사부를 구성하여 각각의 내화벽돌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단내화벽이 주연소버너가 구성된 측에서 단열문이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상기 주연소버너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을 주연소버너의 각도조절에 따라 시신이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집중 분사할 수 있는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을 이용하면, 주연소버너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을 주연소버너의 각도조절에 따라 상단내화벽에 무리를 주지 않는 상태로 시신의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자연스럽게 집중분사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소물이 남거나 미연소되는 부분 없이 빠르게 연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연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연료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The cremator for a height efficiency combustion}
본 고안은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에 관한 것으로, 주연소버너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을 주연소버너의 각도조절에 따라 상단내화벽에 무리를 주지 않는 상태로 시신의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자연스럽게 집중분사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소물이 남거나 미연소되는 부분 없이 빠르게 연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연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연료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이라 함은 시신을 불에 태워 처리하는 장법으로, 토장, 수장, 풍장과 함께 더불어 쓰이는 4장의 하나이며, 죽은 사람의 시체를 불에 태워 남은 뼈를 골라 골호나 상자에 넣고 땅에 묻거나 가루로 만들어 강이나 산에 뿌리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화장 처리방법은 이승에 살았던 육체를 더러운 것이라 여겨 없애려고 하는 관념과, 육체의 형상을 없애야 영혼이 자유로워진다는 의식이 밑바탕이 되었으며, 불을 영혼을 깨끗하게 재탄생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것으로 생각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의 화장은 이 시대를 나타내는 문화적 유산으로 자리잡히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화장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화장 처리방법은 시신을 대차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의 화장로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차의 출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하는 단열문을 통해 시신을 주연소실로 안치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주연소실에는 시신의 머리쪽에 주연소버너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주연소버너로써, 대차에 올려진 관과 시신의 머리와 가슴부위를 연소시킨 후, 하복부 이하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주연소버너의 각도를 약간 상부로 이동시키고 화염길이를 길게 하는 비례제어방식으로 시신의 연소를 완료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주연소실의 시신의 다리쪽 상부에는 상단내화벽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고, 미연소되어 날리는 물질과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연소버너에서 분사되는 화염이 시신의 다리와 발 부위에 닿지 않아 완전연소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화장장의 기계실에서 작업자가 점검구멍을 통해 쇠스랑으로 다리와 발 부위를 가슴으로 끌어올려서 연소시키는 작업을 수행햐애 함으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사항을 보완하고자 "등록실용 20-0384927"과 같이 상단내화벽의 끝단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차단 벽을 구성한 화장로가 개발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주연소버너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의 방향을 바꾸어 시신의 다리와 발 부위까지 연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단 벽을 추가로 구성한 화장로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차단벽이 화염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주연소버너에서 더욱 강력한 화염을 분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한 화염과 화염의 열에 대항하는 차단벽의 부하로 인해 차단벽이 탈리되는 등과 같은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단벽을 이용하는 방법 외에도 "등록실용 20-0204286"과 같이 시신의 하복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나누어 연소시키는 제1, 2주연소버너가 각각 설치된 화장로가 개발되었는데, 이와 같은 화장로는 고가의 주연소버너를 2개로 나누어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재연소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배출구를 통해 미연소된 물질과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공개특허 10-2002-0087223"과 같이 시신의 발 부위 양측벽에 측벽연도를 2개소 설치하는 화장로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측벽연도를 이용한 방법은 양 측벽에 측벽연도가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연소버너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측면연도로 휩쓸리기 때문에 시신의 발 부위로 화염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완전연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시신과 떨어진 상부가 아닌 바로 옆부분에 연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연도를 통해 재연소실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재연소실에 재연소를 하더라도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물질이 연소가스와 함께 배출구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화장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주연소버너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을 주연소버너의 각도조절에 따라 상단내화벽에 무리를 주지 않는 상태로 시신의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자연스럽게 집중분사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소물이 남거나 미연소되는 부분 없이 빠르게 연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연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연료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는 대차의 출입을 위한 단열문과 대차에 올려진 시신을 연소시키는 주연소버너가 구성된 주연소실과, 상기 주연소실의 상측에 형성되는 재연소실 및 상기 주연소실과 재연소실을 구분하며 미연소물질과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한 통로를 형성한 상단내화벽으로 이루어진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에 있어서, 상기 상단내화벽은 대차에 올려진 시신의 효과적인 연소를 위하여 하부가 좁게 형성되고, 상부가 넓게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내화벽돌의 결합으로 시신의 몸통에서 양팔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내화벽돌에는 경사부를 구성하여 각각의 내화벽돌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단내화벽이 주연소버너가 구성된 측에서 단열문이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상기 주연소버너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을 주연소버너의 각도조절에 따라 시신이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집중 분사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를 이용하면, 주연소버너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을 주연소버너의 각도조절에 따라 상단내화벽에 무리를 주지 않는 상태로 시신의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자연스럽게 집중분사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소물이 남거나 미연소되는 부분 없이 빠르게 연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연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연료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내화벽돌.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상단내화벽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내화벽돌.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상단내화벽의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내화벽돌.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상단내화벽의 개략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의 출입을 위한 단열문(2)과 대차(1)에 올려진 시신을 연소시키는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주연소실(5)과, 상기 주연소실(5)의 상측에 형성되는 재연소실(6) 및 상기 주연소실(5)과 재연소실(6)을 구분하며 미연소물질과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한 통로(8)를 형성한 상단내화벽(10)으로 이루어진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단내화벽(10)은 대차(1)에 올려진 시신의 효과적인 연소를 위하여 시신의 몸통에서 양팔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측에서 단열문(2)이 형성된 측 즉, 시신의 상반신에서 하반신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주연소버너(4)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이 기울어져 형성된 상단내화벽(10)에 닿으면서 시신의 하반신 즉, 다리 및 발 부위로 자연스럽게 집중분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시신의 하반신을 빠르게 완전 연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내화벽(10)은 대차(1)에 올려진 시체관의 높이보다는 높은 위치에 도달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어야만 하며, 화염에 의한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음과 동시에 화염을 시신의 다리 및 발 부위까지 용이하게 분사시킬 수 있도록 5°~ 10°의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의 형상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연소실의 상단내화벽(10)은 하부가 좁게 형성되고, 상부가 넓게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시신의 몸통에서 양팔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내화벽돌(9)의 하부에는 일측이 타측보다 두껍게 제작되는 제1경사부(11a)를 구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제1경사부(11a)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2경사부(12a)를 구성하여 각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주연소실의 상단내화벽(10)이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측에서 단열문(2)이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따르면, 일정각도로 미끄럽게 기울어져 형성된 상단내화벽(10)의 하부에 주연소버너(4)에서 분사되는 화염이 맞닿으면서 시신의 다리 및 발 부위까지 용이하게 연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상단내화벽(10)의 상부가 상단내화벽(10)의 하부와 동일한 미끄러운 경사면를 형성하여 연소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둘째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연소실의 상단내화벽(10)은 하부가 좁게 형성되고, 상부가 넓게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시신의 몸통에서 양팔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내화벽돌(9)의 하부에는 일측이 타측보다 두껍게 제작되는 제1경사부(11b)를 구성하여 각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주연소실의 상단내화벽(10) 하부가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측에서 단열문(2)이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는, 주연소버너(4)에서 분사되는 화염이 집적 맞닿는 부분인 상단내화벽(10)의 하부만 미끄러운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내화벽(10)은 각각의 내화벽돌(9)을 겹층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겹층되는 각각의 내화벽돌(9)을 결합시에는 내화벽돌(9)이 서로 겹층되어 고정설치되도록 내화시멘트(미도시)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내화시멘트를 겹층구조로 형성되는 내화벽돌(9)의 이웃하는 두 층 사이에 두껍게 발라 매움으로써,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는 내화벽돌 층의 상부를 상단내화벽(10)의 하부와 동일한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내화벽돌 층의 겹층구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상단내화벽(10)의 상부는 미끄러운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아도 연소가스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내화시멘트를 이용하여 매울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상단내화벽(10)의 상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셋째로,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연소실의 상단내화벽(10)은 하부가 좁게 형성되고, 상부가 넓게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시신의 몸통에서 양팔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내화벽돌(9)의 양 측면에는 상부가 하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 2경사부(11c, 12c)를 대칭되게 각각 형성하여 각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주연소실의 상단내화벽(10)이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측에서 단열문(2)이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따르면,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점차적으로 기우는 각도가 커지는 상단내화벽(10)의 하부에 주연소버너(4)에서 분사되는 화염이 맞닿으면서 시신의 다리 및 발 부위로 화염이 집중 분사될 수 있기 때문에 시신의 완전연소를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체관을 대차(1) 위에 올려놓은 후, 상기 대차(1)를 레일을 따라 주연소실(5)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때의 대차(1)의 이동통로인 단열문(2)은 대차(1)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계폐작동하는 통상의 단열문(2)을 이용함으로써, 시체관이 올려진 대차(1)의 이동을 손쉽게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소준비를 완료한 후에는, 작업자가 주연소버너(4)를 작동시켜 시체관의 연소를 시작하는데, 먼저, 주연소버너(4)의 화염이 시신의 머리를 포함한 상반신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시신의 상반신 연소를 완료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주연소버너(4)의 화염이 아래를 향하여 분사되기 때문에 상단내화벽(10)과의 작동관계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시신의 상반신 연소를 완료한 후에는, 주연소버너(4)의 각도를 조절하여 화염이 시신의 하반신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주연소버너(4)를 상측으로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작동시키면, 주연소버너(4)에서 분사되는 화염이 기울어져 형성된 상단내화벽(10)의 하부에 맞닿으면서 화염의 방향이 하측으로 향하게 되며, 이로써, 화염이 시신의 하반신인 다리와 발 부위를 집중되게 되어 시신의 하반신 연소가 완료된다.
따라서, 주연소실(5)에서의 시신의 연소가 완전히 완료되기 때문에 통로(8)를 거쳐 재연소실(6)에서 완전연소된 연소가스에는 악취가 거의 남지 않게 되어 배출구(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는 악취가 거의 맡아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를 이용하면, 하나의 주연소버너(4)로 시신의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집중연소할 수 있어 시신의 완전연소가 빠르게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1 : 대차 2 : 단열문
4 : 주연소버너 5 : 주연소실
6 : 재연소실 7 : 배출구
8 : 통로 9 : 내화벽돌
10 : 상단내화벽 11a, 11b, 11c : 제1경사부
12a, 12c : 제2경사부

Claims (4)

  1. 삭제
  2. 대차(1)의 출입을 위한 단열문(2)과 대차(1)에 올려진 시신을 연소시키는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주연소실(5)과, 상기 주연소실(5)의 상측에 형성되는 재연소실(6) 및 상기 주연소실(5)과 재연소실(6)을 구분하며 미연소물질과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한 통로(8)를 형성한 상단내화벽(10)으로 이루어진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에 있어서,
    상기 상단내화벽(10)은 대차(1)에 올려진 시신의 효과적인 연소를 위하여 하부가 좁게 형성되고, 상부가 넓게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시신의 몸통에서 양팔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내화벽돌(9)의 하부에는 일측이 타측보다 두껍게 제작되는 제1경사부(11a)를 구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제1경사부(11a)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2경사부(12a)를 구성하여 각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단내화벽(10)이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측에서 단열문(2)이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상기 주연소버너(4)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을 주연소버너(4)의 각도조절에 따라 시신이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집중 분사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3. 대차(1)의 출입을 위한 단열문(2)과 대차(1)에 올려진 시신을 연소시키는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주연소실(5)과, 상기 주연소실(5)의 상측에 형성되는 재연소실(6) 및 상기 주연소실(5)과 재연소실(6)을 구분하며 미연소물질과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한 통로(8)를 형성한 상단내화벽(10)으로 이루어진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에 있어서,
    상기 상단내화벽(10)은 대차(1)에 올려진 시신의 효과적인 연소를 위하여 하부가 좁게 형성되고, 상부가 넓게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시신의 몸통에서 양팔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내화벽돌(9)의 하부에는 일측이 타측보다 두껍게 제작되는 제1경사부(11b)를 구성하여 각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단내화벽(10)이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측에서 단열문(2)이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상기 주연소버너(4)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을 주연소버너(4)의 각도조절에 따라 시신이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집중 분사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4. 대차(1)의 출입을 위한 단열문(2)과 대차(1)에 올려진 시신을 연소시키는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주연소실(5)과, 상기 주연소실(5)의 상측에 형성되는 재연소실(6) 및 상기 주연소실(5)과 재연소실(6)을 구분하며 미연소물질과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한 통로(8)를 형성한 상단내화벽(10)으로 이루어진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에 있어서,
    상기 상단내화벽(10)은 대차(1)에 올려진 시신의 효과적인 연소를 위하여 하부가 좁게 형성되고, 상부가 넓게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시신의 몸통에서 양팔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내화벽돌(9)의 양 측면에는 상부가 하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 2경사부(11c, 12c)를 대칭되게 각각 형성하여 각각의 내화벽돌(9)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단내화벽(10)이 주연소버너(4)가 구성된 측에서 단열문(2)이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상기 주연소버너(4)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을 주연소버너(4)의 각도조절에 따라 시신이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집중 분사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KR2020100007011U 2010-07-01 2010-07-01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KR200454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011U KR200454491Y1 (ko) 2010-07-01 2010-07-01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011U KR200454491Y1 (ko) 2010-07-01 2010-07-01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491Y1 true KR200454491Y1 (ko) 2011-07-07

Family

ID=4929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011U KR200454491Y1 (ko) 2010-07-01 2010-07-01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49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7714A (en) * 1979-12-20 1981-07-16 Kamigaki Tekkosho:Kk Incinerating apparatus
KR20020021521A (ko) * 2000-09-15 2002-03-21 원영상 화장로
JP2003322316A (ja) * 2002-04-24 2003-11-14 Miyamoto Kogyosho Co Ltd 火葬炉の燃焼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7714A (en) * 1979-12-20 1981-07-16 Kamigaki Tekkosho:Kk Incinerating apparatus
KR20020021521A (ko) * 2000-09-15 2002-03-21 원영상 화장로
JP2003322316A (ja) * 2002-04-24 2003-11-14 Miyamoto Kogyosho Co Ltd 火葬炉の燃焼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1456A (zh) 具有整体式冠的水平热回收焦炉
RU2656426C1 (ru) Отражательная печь для переплава металла
CN103939919B (zh) 高效油污泥焚烧炉
KR200454491Y1 (ko) 고효율 연소를 위한 화장로
RU2361161C2 (ru) Отражательная печь для переплава металла
CN107739766A (zh) 顶燃式热风炉耐材分段砌筑施工方法
CN201093710Y (zh) 机械炉排煤气一体化常压热水锅炉
CN202546737U (zh) 顶置式蓄热燃烧系统
WO2023065391A1 (zh) 一种增设旁通垃圾预热道的小型垃圾焚烧炉
CN204224518U (zh) 干熄焦一次除尘进出口膨胀节
KR101213294B1 (ko) 브라운가스를 이용한 의료폐기물 고온열분해 용융소각로
RU2499957C2 (ru) Аквапечь куценко
KR102054629B1 (ko) 개장유골 화장로
CN206479027U (zh) 一种用于直燃石油焦粉的氧化镁轻烧窑
CN202521637U (zh) 蒸汽锅炉加中拱
KR100332420B1 (ko) 대용량쓰레기 및 가연성 폐기물의 안전소각로
CN201852076U (zh) 4t/h中压水煤浆蒸汽锅炉
JP3142404U (ja) 屋外用パン窯
CN105258111B (zh) 多孔壁风耦合空气分级的煤粉燃烧炉
KR200204286Y1 (ko) 화장로
CN101725956A (zh) 4t/h中压水煤浆蒸汽锅炉
CN202521636U (zh) 锅炉加中拱
KR200213657Y1 (ko) 화장로
FI123496B (fi) Krematorio
RU2717754C1 (ru) Двухванная отражательная печь для переплава алюминиевого ло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