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736B1 -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736B1
KR100421736B1 KR10-1999-0021117A KR19990021117A KR100421736B1 KR 100421736 B1 KR100421736 B1 KR 100421736B1 KR 19990021117 A KR19990021117 A KR 19990021117A KR 100421736 B1 KR100421736 B1 KR 100421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ed ore
aqueous solution
blast furnace
water treat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705A (ko
Inventor
주진남
윤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2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7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26Cooling of roasted, sintered, or agglomerated o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결공정에 의해 생성된 소결광을 수처리하여 소결광 내에 존재하는 공극의 폐쇄 및 표면석출상의 코팅을 유도하여 고로 내에서의 저온환원분화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결광의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에 장입되는 소결광의 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는 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수용액의 산도를 7이상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수용액의 Ca2+의 이온농도를 4.4ppm이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거친 수용액 제조단계와, 상기 수용액 제조단계를 거친 수용액에 소결광을 침적시키는 침적단계와, 상기 수용액에 침적된 소결광을 건조하여 고로에 장입하는 장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Method of surface treatment of sinter ore for improvement of RDI}
본 발명은 소결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소결광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소결광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의 폐쇄 및 표면석출상의 코팅을 유도하여 고로 내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소결광의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공정에서 생산된 소결광은 고로에서 5~50mm의 입도로 정립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고로에 장입된 소결광은 고로 상부의 약 550℃부근인 저온환원영역에서 헤마타이트가 마그네타이트로 환원되면서 체적팽창이 일어나 소결광의 분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분화로 인해, 미분의 소결광이 발생하며 미분의 소결광은 고로의 내부에 적층구조의 공극을 막기 때문에 고로 내의 통기성을 악화시켜 환원가스의 흐름을 방해하고 노정의 상태를 불안정하게 하여 출선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각종 염화물(CaCl2, MgCl2, NH4Cl ,NaCl 등)을 소결배합원료에 첨가하여 소결과정에서 배합원료인 맥석성분의 슬래그(Slag)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소결광 내부의 공극을 폐쇄하여 환원가스의 침투를 억제시켜 저온환원분화성을 개선하는 "성품소결광의 CaCl2수용액중의 침지처리(일본학술진흥회1987.11)"이 공지되었으며, 그리고 "염화칼슘을 첨가한 소결광의 저온환원분화(철과 강1980 S676)"에서와 같이 해수 등의 할로겐화합물(NaCl, CaCl2, KCl, KBr 등)의 수용액을 소결광에 살수하여 소결광의 표면에 염화물의 코팅을 형성하고 코팅효과에 의해 저온환원분화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성품소결광의 CaCl2수용액중의 침지처리의 경우에는 소결과정과 폐가스 중에 Cl의 농도가 증가되어 "Cl + H2O →HCl ↑"의 반응식과 같이 염산이 발생하여 소결설비의 부식과 집진효율을 저하시키며, 염화칼슘을 첨가한 소결광의 저온환원분화의 경우에는 염화물에 의해 비스초오프 스크러버(Bischoff scrubber) 및 노정압 발전기를 부식시켜 설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제조된 소결광에 수처리를 하여 소결광 내에 존재하는 공극의 폐쇄 및 표면석출상의 코팅을 유도하여 고로 내에서의 저온환원분화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은 수용액과 수용액에 침지된 소결광과의 반응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CaCO3이 화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에 따른 침지시간과 소결광의 분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에 따른 침지시간과 소결광의 저온환원분화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에 따른 침지시간과 소결광의 환원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에 장입되는 소결광의 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는 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수용액의 산도를 7이상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수용액의 Ca2+의 이온농도를 4.4ppm이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거친 수용액 제조단계와, 상기 수용액 제조단계를 거친 수용액에 소결광을 침적시키는 침적단계와, 상기 수용액에 침적된 소결광을 건조하여 고로에 장입하는 장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a는 수용액과 수용액에 침지된 소결광과의 반응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CaCO3이 화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액이 소결광의 둘레를 감싸고 있다. 그리고 소결광의 내부에는 소결광의 생성과정 중에 미반응한 생석회가 잔존하며, 이 생석회는 소결광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액과 접하게 되어 수산화칼슘(Ca(OH)2)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수용액이 소결광의 둘레에 공급될 경우에는 대기중의 CO2가 수용액 속에 용해되어 이온화된 CO3 -2이온과, Ca(OH)2가 이온화되어 형성된 Ca+2이온이 결합하여 CaCO3의 화합물이 석출된다.
이러한 화합물(CaCO3)은 소결광 내의 공극이나 취약한 조직을 따라 소결광 표면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내부의 공극들을 채우면서 공극의 입구로 나오게 된다. 이 때, 화합물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 수용액이 존재하여야 하며, 그리고, 수용액 중에 Ca+2이온이 충분히 존재하여야 한다.
이렇게 공극과 취약한 조직을 따라 성장한 화합물(CaCO3)이 채워진 소결광은 고로의 저온환원영역에서의 환원가스의 침투를 방해하여 저온환원분화를 억제하여 고로 내의 통기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CaCO3의 화합물의 다른 특성의 하나로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650~850℃의 온도영역에서 완전히 분해되어 CO2가 휘발된다. 그리고 그 자리에 공극이 추가로 발생되기 때문에 소결광 내부 깊숙이 까지 환원가스의 침투가 용이하여 고온의 구역에서의 환원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시험예]
도면에서, 도 2a는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에 따른 침지시간과 소결광의 분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에 따른 침지시간과 소결광의 저온환원분화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에 따른 침지시간과 소결광의 환원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한편, 표 1은 소결광의 공극 및 취약조직에 CaCO3화합물을 석출시키기 위한 실험으로 소결광의 둘레를 감싸는 침지수의 산도와 이온농도를 나타낸 표이고, 표 2는 표 1에 사용된 침지수의 종류 및 침지기간에 따라 화합물의 성장속도를 나타낸 표이며, 표 3은 침지수의 Ca+2이온과 결합되어 발생하는 화합물의 깁스자유에너지를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도를 조절된 산도조절단계와 이온농도를 조절하는 이온농도조절단계를 거친 침지수에 제조된 소결광을 침적하여 소결광과 침지수의 일정기간동안 반응하도록 한 후에, 소결광을 건조하여 고로에 장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험에서 3종류의 침지수의 산도와 이온농도를 각각 표 1에 나타내었다. 산도(pH)가 6.4이며 Ca+2의 이온농도가 0.1ppm인 증류수와, 산도가 6.9이며 Ca+2의 이온농도가 4.4ppm인 담수 및, 산도가 11.3이며 Ca+2의 이온농도가 202ppm인 석회침출수에 소결광을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5, 10, 20, 30일 동안 침적시킨 후, CaCO3의 화합물의 발생을 비교하였다.
종류 산도 이온농도(ppm)
Ca+2 Mg+2 Na+ K+ SO4 -2 Cl-
증류수(종래예) 6.4 0.1 -
담수(본발명예1) 6.9 4.4 1.1 8.4 2.0 10.1 6.0
석회침출수(본발명예2) 11.3 202 0.1 126 79 438 383
여기에서, Tr은 극히 미량을 나타낸다.
종류 침지기간(일) 비고
5 10 20 30
증류수(종래예) × × × Ο CaCO3의 화합물
담수(본발명예1) × Ο Ο Ο CaCO3의 화합물
석회침출수(본발명예 2) Ο Ο Ο CaCO3, CaSO4의 화합물 공존
여기에서 ×는 화합물의 석출이 없음, ○은 화합물의 석출이 소량 형성, ◎는 화합물의 석출이 다량 형성됨을 나타낸다.
표 2에 의하면, 증류수의 경우는 30일이 경과하여 화합물이 소결광의 표면에까지 석출되었고, 담수는 10일, 석회침출수는 5일만에 화합물이 소결광 표면까지 석출되었다. 이 때, 발생한 화합물은 CaCO3이며, 특히 석회침출수의 경우는 침지수중에 다량의 Ca+2이온과 SO4 -2이온이 존재하여 CaCO3뿐만 아니라, CaSO4형태의 화합물이 소결광의 표면에 공존하였다.
그리고, 표 3은 침지수 중에 Ca+2이온과 결합되어 발생되는 화합물의 안정화정도를 나타낸 깁스자유에너지(ΔGfo25℃,1atm)를 나타내었다. 표 3에서 나타낸 자료는 "Atlas of Electrochemical Equilibria in Aqueous Solutions(by MARCEL POURBAIX)"에서 참조하였다.
화합물 ΔGf°
CaCO3 -1128.8
CaCl2 -748.1
Ca(OH)2 -898.0
CaSO4 -1309.1
CaSO4ㆍ2H2O -1797.5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SO4와 CaCO3화합물이 가장 낮은 깁스자유에너지를 가지며, Ca(OH)2, CaCl2의 순으로 수용액상태에서 안정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산도에 따라 CO2의 용해도 및 CO3 -2의 이온화의 차이가 있으며, 산도에따른 반응식은 반응식 2 내지 반응식 4에 나타내었다.
CO2(g)+H2O=H2CO3(산도〈 7)
CO2(g)+H2O=HCO3 -+H+(산도≒ 7)
CO2(g)+H2O=CO3 -2+2H+(산도 〉7)
CaO+H2O=Ca(OH)2=Ca+2+2OH-
반응식 2 내지 반응식 4에서와 같이, 산도 7 이상의 수용액에서는 CO2의 CO3 -2이온화가 지배적이기 때문에 반응식 4와 반응식 5의 반응에 의해 CO2(g)+CaO+2H2O=CaCO3+2H++2OH-의 반응이 촉진되어 CaCO3의 석출이 용이하게 된다.
도 2a와 도 2b 및 도 2c는 종래의 기술인 증류수에 소결광을 침지시킨 후에 시험한 결과치와, 본 발명의 기술인 담수와 석회침출수에 소결광을 침지시킨 후에 시험한 결과치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도 2a는 소결광을 각각의 수용액에 일정기간 동안 침지시켰을 때 소결광의 분화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b는 각각의 수용액에침지시킨 소결광이 고로에 장입되어 환원가스(CO)와 접하면서 분화되는 소결광의 저온환원분화지수를 나타내며, 도 2c는 고로에 장입된 소결광이 환원가스와 접하면서 환원되는 환원율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산도 6.9이상의 수용액인 담수와 석회침출수에 침지시킨 소결광의 환원과 함께 생성되는 화합물(CaCO3)이 소결광의 공극을 폐쇄하고 소결광의 외부를 코팅함으로써, 소결광의 저온환원분화강도는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저온환원분화지수는 감소하게 된다.
이런 소결광이 고로 내에서 650~850℃의 온도가 되면, 화합물(CaCO3)은 반응식 1과 같이 이산화탄소와 산화칼슘으로 분해되어 소결광의 공극을 형성하고 코팅 또한 제거된다. 그럼으로써, 소결광의 환원율은 증가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은 소결광의 분화를 감소시키며 환원율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주변설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고로에 장입되는 소결광의 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산도가 7 이상이고 Ca2+의 이온농도가 4.4ppm 이상인 수용액에 소결공정에 의해 이미 조립된 소결광을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용액에서 발생되는 화합물에 의해 공극이 폐쇄되거나 코팅된 소결광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소결광을 상기 고로에 장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
KR10-1999-0021117A 1999-06-08 1999-06-08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 KR100421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117A KR100421736B1 (ko) 1999-06-08 1999-06-08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117A KR100421736B1 (ko) 1999-06-08 1999-06-08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05A KR20010001705A (ko) 2001-01-05
KR100421736B1 true KR100421736B1 (ko) 2004-03-10

Family

ID=1959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117A KR100421736B1 (ko) 1999-06-08 1999-06-08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241B1 (ko) * 1999-11-29 2003-06-19 주식회사 포스코 탄산가스 분사에 의한 소결광의 저온환원분화강도 개선방법
KR100628467B1 (ko) * 2004-12-17 2006-09-26 주식회사 천지테크 철광석류의 강도 개선을 위한 표면 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3731A (ja) * 1984-11-06 1986-05-31 Sumitomo Metal Ind Ltd 焼結鉱製造方法
KR890010248A (ko) * 1987-12-28 1989-08-07 정명식 소결원료 배합시 물과 생석회의 혼합첨가방법
JPH09272925A (ja) * 1996-04-04 1997-10-21 Nippon Steel Corp 高温性状と冷間強度の優れた焼結鉱の製造方法
JPH10226825A (ja) * 1997-02-17 1998-08-25 Kawasaki Steel Corp 焼結原料の造粒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3731A (ja) * 1984-11-06 1986-05-31 Sumitomo Metal Ind Ltd 焼結鉱製造方法
KR890010248A (ko) * 1987-12-28 1989-08-07 정명식 소결원료 배합시 물과 생석회의 혼합첨가방법
KR900005431B1 (ko) * 1987-12-28 1990-07-30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소결원료배합시 물과 생석회의 혼합첨가방법
JPH09272925A (ja) * 1996-04-04 1997-10-21 Nippon Steel Corp 高温性状と冷間強度の優れた焼結鉱の製造方法
JPH10226825A (ja) * 1997-02-17 1998-08-25 Kawasaki Steel Corp 焼結原料の造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05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giebor et al. Acid rock drainage formation and treatment: a review
US4671882A (en) Phosphoric acid/lime hazardous waste detoxification treatment process
RU2713885C1 (ru) Способ элюирования кальция из сталеплавильного шлака и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кальция из сталеплавильного шлака
Evangelou Pyrite chemistry: the key for abatement of acid mine drainage
US6177015B1 (en) Process for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metals and metalloids in an aqueous solution
KR100421736B1 (ko) 저온환원분화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결광의 수처리방법
JP5540434B2 (ja) 水中に溶解しているリンの除去方法および除去装置
EP0869193B1 (en) Method for processing chromium oxide-containing substances in large quantities
CA1244152A (en) Phosphoric acid/lime hazardous waste detoxification treatment process
KR100388241B1 (ko) 탄산가스 분사에 의한 소결광의 저온환원분화강도 개선방법
JP3891044B2 (ja) 汚染土壌中の重金属などの不溶化方法
JP5135552B2 (ja) 水域投入用製鋼スラグの製造方法
Dickinson et al. Manganese biofouling of stainless steel: deposition rates and influence on corrosion processes
KR100218548B1 (ko) 산성 침출수 중화제용 선별하소 백운석
KR20120063227A (ko) 인산염 표면피막제를 사용한 산성광산배수 사전억제 방법
KR20020052870A (ko) 산첨가 수용액처리에 의한 소결광의 저온환원분화지수개선방법
JP4434175B2 (ja) 汚染土壌中の重金属などの不溶化方法
US6143195A (en) Treatment of acid generating sulfide bearing material
JP4706828B2 (ja) 硝酸性窒素含有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20020045324A (ko) 저융점 무기화합물 코팅에 의한 소결광 환원분화 억제방법
Michailidou et al. Quantifying the role of transition metal plating in the cathodic activation of corroding magnesium
US6391384B1 (en) Method for providing a corrosion inhibiting solution
JPS59196796A (ja) 廃液の処理方法
CN109761285B (zh) 一种砷酸铁@硫化亚铁耐碱固砷材料的制备方法
CN107649492A (zh) 一种重晶石热还原‑水浸钡渣的环保解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