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707B1 -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707B1
KR100421707B1 KR10-2000-0024595A KR20000024595A KR100421707B1 KR 100421707 B1 KR100421707 B1 KR 100421707B1 KR 20000024595 A KR20000024595 A KR 20000024595A KR 100421707 B1 KR100421707 B1 KR 100421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ing
antimicrobial
parts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3268A (ko
Inventor
호시노아키라
사지미키오
하야시고자부로
Original Assignee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0-002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70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은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함수규산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은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및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은 조형(molded) 또는 성형(formed)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DEODORANT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S}
본 발명은,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이용한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및 그 수지조성물을 조형(molding)하거나 또는 성형(forming)함으로써 얻어진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하면, 본 발명은 그 자체가 분말형상의 탈취 및 항균제로서 유용하며, 또한 도료, 합성섬유, 합성수지 및 종이 등의 각종 기재에 탈취력 및 항균성을 부여하는 데에 유용한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이용한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및 그 수지조성물을 조형하거나 또는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분야에 있어서의 많은 탈취 및 항균제가 사용되어왔다. 특히 필름, 벽지, 화장판, 건축자재, 섬유, 부직포 및 의료 등의 각종 제품은, 악취·세균, 곰팡이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악취·세균, 곰팡이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들의 악취·세균, 곰팡이 등을 제거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생활공간의 쾌적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도시화에 의한 주택의 밀집화 및 콘크리트 및 알루미늄 샷시윈도우로 구축된 밀폐형 주택이나 빌딩구조에서의 생활환경의 관점에서, 시각 및 후각상의 불쾌감 및 미생물오염 등의 위생상의 불쾌감을 제거하는 것이 청정환경에 없어서는 안될 조건이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근년,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건강장해가 문제가 되고 있다. 밀폐화된 주택구조에서의 생활환경, 특히 신축시의 포름알데히드 냄새는 "시크하우스증후군(sick house syndrome)"으로서 이미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 문제는, 신건축자재로부터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벽지, 화장판, 건축자재, 섬유, 부직포, 의료, 잡화 및 필름 등의 각종 제품에, 상기 발생한 포름알데히드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미생물오염의 방지 등의 위생상의 관점에서 항균 및 곰팡이방지의 기능도 동시에 필요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가지 재료에 뛰어난 탈취력과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함수규산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이용한 탈취 및 항균성수지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조형 또는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및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은 각종 불쾌한 악취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냄새, 포름알데히드 냄새, 아세트산 냄새 등의 탈취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및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은 또한 항균성이 우수하다.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및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은 여러 물품에 대하여 뛰어난 탈취력 및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은,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함수규산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조합시켜 이루어진다.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로서는, 예컨대 바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산화물 및 수산화물이지만, 특히 효과적인 것은 수산화마그네슘이다.
이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은,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전체를 100중량부로 한 경우, 그 80∼40중량부를 차지하는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알데히드류, 특히 포름알데히드의 포르모스(formose)의 변화가 늦어지게 되는 등의 점에서 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한편,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의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넘으면, 포름알데히드와 부가반응하여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물질, 즉,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비율이 감소하고, 알데히드류의 탈취반응속도가 늦어지며, 속효성이 떨어지는 등의 점에서 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함수규산이란, 실험식 SiO2·nH2O로 나타내어지며, 규산미립자의 표면에 다수의 실라놀기를 가지는 입자가 응집하여 2차입자가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함수규산은, 규산소다를 무기산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초미립자 함수규산의 응집체이며, 입자간에 다수의 보이드(void)를 가지고 있다. 이들 보이드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각종 악취성분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함수규산은, 예컨대 일본 미즈사와카가쿠(주)로부터 상품명 "P-801", "P-802", "P-526", "P-527", "P-603", "P-604", P-554A", "P-73", "P-78A", "P-78D", "P-78F", "P-707", "P-740", "P-752", "P-50", "P-766", "C-1", "S-0", "NP-8", "P-802Y", "P-832", "P-87", "P-363", "C-002", "P-402", "P-484"로서 입수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함수규산은,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부로 한 경우, 그 50∼10중량부를 차지하는 비율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수규산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미만이면, 알데히드류의 탈취반응속도가 낮아지고, 속효성이 떨어지는 등의 점에서 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한편, 함수규산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넘으면,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수지로 혼련한 경우에, 수지의 유동성이 불량하게 되는 등의 점에서 또한 성능이 불만족스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가, R은 C12∼C14인 알킬렌기인 실험식 HO-R- NHCH2CH2OH 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기와 반응함으로써, 알데히드화합물을 무취의 화합물로 한다. 이와 같은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일본 미요시유지(주)로부터 상품명 "미요콜368E", "미요콜QX-33N", "두스파125B", "두스파125BN", "두스파125BS", "두스파1400B"로서 입수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혼합하여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중에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때에, 분산성, 안정성, 열안정성, 내광성, 가공적성 및/또는 등에 부족한 화합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각종 용도로 적용할 때에는, 가공적성과 관련하여 내열성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특히 "두스파 125B" 및 "두스파 125BN"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량을 100중량부로 한 경우, 그 0.1∼30중량부를 차지하는 비율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미만이면, 알데히드류의 탈취반응속도가 늦어지고, 또한 항균성이 부족하는 등의 점에서 성능이 불만족스럽다. 한편,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넘으면, 얻어지는 조성물 자체가 분말성을 잃고, 그 취급성이 악화한다.
상기한 바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을 단순히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종래의 탈취 및 항균제와 동일한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종 수지성형물 등으로 탈취력 및 항균성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에는,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과 혼합하여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수지란, 종래 각종 성형물, 예컨대 플라스틱필름, 플라스틱시트, 플라스틱용기, 섬유 등의 조형 또는 성형을 위하여 각종 조형 또는 성형물에 수년간 사용되어 왔던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염화비닐, 비닐론, 폴리스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즈아세테이트 등의 합성 또는 변성의 열가소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수지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모두 시장에서 용이하게 입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 열가소성수지는 고체형상 또는 페이스트형상 등의 액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은, 필수성분으로서, 두 성분 즉, 상기의 수지와 상기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혼합비율은, 수지 99.9∼50중량부와 상기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0.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9.9∼80중량부와 상기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1.0∼20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그 외 종래 공지의 수지용 각종 첨가제, 예컨대 착색제, 충전제, 체질안료, 가소제, 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등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배합할 수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은, 상기 성분을 단순하게 혼합하기만 하여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그 혼합물을 용융혼련하여 팰릿 등으로 입자조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나중에 천연(즉, 무첨가) 열가소성수지로 희석하여 사용하기 위한 고농도(예컨대, 10∼50중량%의 농도)의 탈취 및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의 상태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은,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의 제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의 예는, 상기의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을 각종 형상, 예컨대 플라스틱필름이나 시트로 이루어지는 포재 및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을 각종 방법으로 조형 또는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원하는 형상의 용기를 조형 또는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 시트, 용기 등의 성형 또는 조형은, 종래 공지의 인플레이션 압출기, 프레스, 칼렌더, 압출기, 방사기, 블로우성형기, 사출성형기, 진공성형기 등에 의하여, 종래 공지의 각종 조건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문중에서, "부" 또는 "%"로 되어 있는 것은 중량기준이다.
실시예1
저밀도폴리에틸렌 97부에, 중량비가 6:3:1인 수산화마그네슘,함수규산(상품명 "P-766")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두스파 125B")로 구성되는 혼합물(본 발명에따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3부를 배합한다. 믹서로 혼합하여, 40mm압출기(L/D
=28, C.R.:3.1, 덜메이지스크류, 실린더온도 130℃, 스크류속도 70rpm)에서 혼련함으로써, 팰릿형상인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을 인플레이션 압출기(30mm압출기, 안지름 50mm의 인플레이션다이, 실린더온도: 140℃, 스크류속도: 60rpm)에 투입하고, 블로우필름압출을 행하였다. 그 결과,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
하기의 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및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을 제작한 점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고, 본 발명의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저밀도폴리에틸렌 95부
·수산화마그네슘/함수규산(상품명 "P-707")/양이온계 계면활성제(상품명 "두스파 125B") 중량비 5:3:2의 혼합물
실시예3
하기의 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및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을 제작한 점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고, 본 발명의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97부
·수산화칼슘/함수규산(상품명 "P-740")/양이온계 계면활성제("두스파
125B")중량비 5:4:1의 혼합물
실시예4
하기의 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및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을 제작한 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의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폴리스틸렌 97부
·수산화칼슘/함수규산(상품명 "P-752")/양이온계 계면활성제(상품명 "두스파 125B") 중량비 4:4:2의 혼합물
실시예5
폴리프로필렌 70부 및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수산화마그네슘, 함수규산(상품명 "P-766")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상품명 "두스파 125B") 중량비 6:3:1로 구성되는 혼합물」 30부를 배합하였다. 헨쉘믹서로 1,500 rpm의 회전속도에서 2분간 혼합하고, 이어서 40mm압출기(L/D: 28, C.R.: 3.1, 덜메이지스크류, 실린더온도: 200∼215℃, 스크류속도 90 rpm)에서 혼련함으로써, 팰릿형상의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것을 천연수지(폴리프로필렌)로 10배 희석하였다. 방사기로 희석된 조성물은 200∼215℃에서 방사후 연신하여 15데니어의 섬유로 하였다. 방사 시 및 연신 시에 실이 끊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6
폴리에스테르 70부 및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산화마그네슘, 함수규산(상품명 "P-766")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상품명 "두스파 125B") 중량비 5;4;1로 구성되는 혼합물」 30부를 배합하였다. 헨쉘믹서로 1,500rpm의 회전속도로 2분간 혼합하고, 이어서 40mm압출기(L/D: 28, C.R.: 3.1, 덜메이지스크류, 실린더온도: 270∼280℃, 스크류속도 90rpm)로 혼련함으로써, 팰릿형상의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얻었다. 그 수지조성물을 천연수지(폴리에스테르)로 10배 희석하였다. 방사기로 희석된 조성물을, 280∼290℃에서 방사 후 연신하여 15데니어의 섬유로 하였다. 방사 시 및 연신 시에 실이 끊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평가>
실시예1∼6에서 얻어진 각종 성형물의 탈취 및 항균성의 효과를 하기의 각 시험방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후기 표 1∼5의 결과를 얻었다.
「탈취성능 시험방법」
(초산탈취시험)
300ml용 삼각플라스크에, 2%초산수용액(2.5㎕)를 넣어 샘플을 투입하였다. 플라스크는 25℃로 보존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기타가와식 가스검지기를 이용하여, 플라스크내의 초산 잔존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포름알데히드탈취시험)
300ml용 삼각플라스크에, 3.5% 포름알데히드수용액(1㎕)를 넣어 샘플을 투입하였다. 플라스크는 25℃로 보존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기타가와식 가스검지기를 이용하여, 플라스크내의 포름알데히드 잔존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아세트알데히드탈취시험)
300ml용 삼각플라스크에, 2.5% 아세트알데히드수용액(1㎕)을 넣어 샘플을 투입하였다. 플라스크는 25℃로 보존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기타가와식 가스검지기를 이용하여, 플라스크내의 아세트알데히드잔존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1: 초산탈취시험결과
초산농도(ppm) 시험샘플
5분 후 30분 후 120분 후
블랭크 45 45 45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1 2 비검출 비검출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2 3 비검출 비검출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3 1 흔적 비검출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4 2 비검출 비검출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5 비검출 비검출 비검출 필라멘트 0.2g
실시예6 비검출 비검출 비검출 필라멘트 0.2g
비교예 6 3 흔적 필라멘트 0.2g
·블랭크는, 본 발명의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성한 폴리에틸렌필름을 시험샘플로 사용한 경우이다.
·비교예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로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5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성한 필라멘트를 비교예의 시험샘플로 사용한 예이다.
·이들 각주는 표 2 및 표 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표 2>
표 2: 포름알데히드탈취시험결과
포름알데히드농도(ppm) 시험샘플
5분 후 30분 후 120분 후
블랭크 105 105 105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1 10 6 2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2 10 7 2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3 12 8 3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4 10 5 1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5 비검출 비검출 비검출 필라멘트 0.2g
실시예6 비검출 비검출 비검출 필라멘트 0.2g
비교예 15 10 5 필라멘트 0.2g
<표 3>
표 3: 아세트알데히드탈취시험결과
아세트알데히드농도(ppm) 시험샘플
5분 후 30분 후 120분 후
블랭크 35 35 35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1 10 6 1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2 10 7 2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3 9 4 1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4 5 3 흔적 필름1장(50mm×200mm)
실시예5 3 흔적 비검출 필라멘트 0.2g
실시예6 1 비검출 비검출 필라멘트 0.2g
비교예 15 10 10 필라멘트 0.2g
「항균성시험」
시험된 균주;
·그램음성균: 대장균: Escherichia coli IFO 3972
·그램양성균: 황색포도구균: Staphylococcus aureus IFO 12732
시험방법;
·전배양: 뉴트리엔트육즙액 배지에서 37℃, 진탕배양(대장균: 16시간, 황색포도구균: 12시간)
·항균시험: 멸균처리한 샘플(약 50×50mm, 섬유인 경우에는 0.05g)를 건조하고, 멸균샤알레에 넣었다. 한편, 상기 전배양액을 희석하여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낸 접종액을 작성하였다. 대장균의 전배양액의 경우에는, ml 당 생균수를 3.1×105로 조정하도록 상기 전배양물을 용액으로 희석하여 상기 접종액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 용액은, 뉴트리엔트육즙액 배지를 그 영양분농도가 1/500까지 낮아지도록 인산완충액(pH 7.2)으로 희석하여 작성한 것이다. 한편, 황색포도구의 전배양액의 경우에는, ml 당 생균수를 8.5×104으로 조정하도록 상기 전배양물을 용액으로 희석하여 상기 접종액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 용액은, 뉴트리엔트육즙액배지를 그 영양분농도가 1/50까지 낮아지도록 인산완충액(pH 7.2)으로 희석하여 작성한 것이다. 각 세포주에 관하여, 상기와 같이 생균수를 조정한 접종액을 각 시험샘플의 표면에 0.1ml을 대각에 4개소, 중심에 1개소의 총계 0.5ml를 접종하였다. 30±1℃, 상대습도 90% 이상으로 24시간 배양한 후, 인산완충액 4.5ml로 세포를 씻어내었다. 이 시험액중의 생균수를 보통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혼석평판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구로서 샤알레에 균액만의 시험을 행하였다.
<표 4>
표 4: 대장균의 항균시험결과
샘플 생균수(세포/ml) 억제율(%)
접종액(초기 생균수) 3.1×105 -
컨트롤 1.9×105 -
실시예1 <10 99.99
실시예2 <10 99.99
실시예3 <10 99.99
실시예4 <10 99.99
실시예5 <10 99.99
실시예6 <10 99.99
비교예 7.9×106 0
·컨트롤은, 샘플을 넣지 않고 그대로 방치한 경우이다.
·비교예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로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유사한 방법으로 작성한 필름을 시험샘플로서 사용하였다.
·이들 각주는 표 5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표 5>
표 5: 황색포도구균의 항균시험결과
샘플 생균수(세포/ml) 억제율(%)
접종액(초기 생균수) 8.5×104 -
컨트롤 6.7×104 -
실시예1 <10 99.99
실시예2 <10 99.99
실시예3 <10 99.99
실시예4 <10 99.99
실시예5 <10 99.99
실시예6 <10 99.99
비교예 6.8×104 0
실시예7
실시예1에서 얻어진 팰릿형상의 탈취 및 항균성과립(100g)을 진공청소기(히타치(주)제, 상품명 "CV-C45")의 필터부분에 봉입하고, 실내(온도: 26℃, 습도: 75%)의 벽 및 바닥을 진공청소기로 청소하였다. 실내의 포름알데히드농도는 0.279ppm에서 0.003ppm으로 내려가고(포름알데히드 제거율: 80%), 또한 클로젯 안에서는 포름알데히드농도가 0.467ppm에서 0.003ppm으로 내려갔다(포름알데히드 제거율: 90%).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및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은 각종 불쾌한 악취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냄새, 포름알데히드 냄새, 아세트산 냄새 등의 탈취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및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은 또한 항균성이 우수하다.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및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은 여러 물품에 대하여 뛰어난 탈취력 및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9)

  1.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함수규산; 및
    R이 C12∼C14의 알킬렌기인 실험식: HO-R-NHCH2CH2OH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를 100중량부로 한 경우,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이 80∼40중량부, 함수규산이 50∼10중량부,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가 0.1∼3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이, 수산화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4. 삭제
  5. 열가소성수지 99.9∼50중량부; 및
    알칼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함수규산 및 R이 C12∼C14의 알킬렌기인 실험식: HO-R-NHCH2CH2OH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0.1∼5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전체를 100중량부로 한 경우,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이 80∼40중량부, 함수규산이 50∼10중량부,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가 0.1∼3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이, 수산화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
  8. 삭제
  9.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로서, 상기 탈취 및 항균성 수지조성물은
    열가소성수지 99.9∼50중량부; 및
    알카리토류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함수규산 및 R이 C12∼C14의 알킬렌기인 실험식: HO-R-NHCH2CH2OH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0.1∼5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및 항균성 수지성형물.
KR10-2000-0024595A 2000-05-09 2000-05-09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KR100421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595A KR100421707B1 (ko) 2000-05-09 2000-05-09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595A KR100421707B1 (ko) 2000-05-09 2000-05-09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268A KR20010103268A (ko) 2001-11-23
KR100421707B1 true KR100421707B1 (ko) 2004-03-10

Family

ID=4938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595A KR100421707B1 (ko) 2000-05-09 2000-05-09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00A (ko) * 2001-02-01 2001-06-05 최경열 항균 발수 타일줄눈 몰탈 및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592A (ja) * 1992-02-07 1994-06-03 Takeda Chem Ind Ltd 吸着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H1160804A (ja) * 1997-08-15 1999-03-05 Chisso Corp 抗菌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592A (ja) * 1992-02-07 1994-06-03 Takeda Chem Ind Ltd 吸着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H1160804A (ja) * 1997-08-15 1999-03-05 Chisso Corp 抗菌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268A (ko)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30325A (ja) 防菌、防カビ性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CN1112219C (zh) 除臭和抗菌的分散体
US20210235702A1 (en) Antiviral agent, coating 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and antiviral product
KR101742917B1 (ko) 친환경 규조토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규조토 기능성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WO2003060003A1 (en) Antimicrobial solid surface materials containing chitosan-metal complexes
KR20000068252A (ko) 항균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수지성형품
JPH11193358A (ja) 耐変色性に優れた無機抗菌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21707B1 (ko)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JP2002179515A (ja) 抗菌剤、その製造方法、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並びに塗料
CN1098301C (zh) 塑料材料、塑料制品以及制备塑料材料的方法
WO2003085051A1 (fr) Composition de verre a effet antibacterien, composition de resine a effet antibacterien et procede pour produire lesdites compositions
JPH0647625B2 (ja) 合成樹脂成形体
JP3373781B2 (ja) 脱臭性樹脂組成物
US6555102B1 (en) Deodorant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s
JP3281195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4264163B2 (ja) 無機系抗菌・防カビ剤、抗菌性樹脂組成物および抗菌性樹脂製品
JPH08208414A (ja) 樹脂組成物、抗菌方法および抗カビ方法
JP4339456B2 (ja) 抗菌性塗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抗菌製品
JP2005041823A (ja) 抗菌剤
CN109627820A (zh) 一种抗菌型复合乳胶涂料的配方
JP2000044408A (ja) 抗菌剤および抗菌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抗菌性成形品
JP3290381B2 (ja) 抗菌性ポリアセタール樹脂成形品
JP2000290515A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H11349850A (ja) 不飽和脂肪酸処理無機化合物の安定化方法およびその使用
JP2012036282A (ja) 銀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