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874B1 - 엘-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안정한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엘-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안정한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874B1
KR100417874B1 KR10-2000-0055955A KR20000055955A KR100417874B1 KR 100417874 B1 KR100417874 B1 KR 100417874B1 KR 20000055955 A KR20000055955 A KR 20000055955A KR 100417874 B1 KR100417874 B1 KR 10041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scorbic acid
water
weight
polyhydric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574A (ko
Inventor
김주호
김영조
심규식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8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유중다가알코올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L-아스코르빈산을 1-8 중량%의 고농도로 함유하는 물이 함유되지 않은 안정한 비수계 유중다가알코올형 에멀젼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안정한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A polyol in oil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high-concentrated L-Ascorbic acid with the improved stability and process}
본 발명은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유중다가알코올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L-아스코르빈산을 1-8 중량%의 고농도로 함유하는 물이 함유되지 않은 안정한 비수계 유중다가알코올형 에멀젼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L-아스코르빈산은 피부에 유용한 기능 즉, 피부미백효과, 피부 진피층 내에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탄력성을 회복하는 효과 ,자외선등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산소를 소거하는 효과 등 많은 생물학적 유용한 효과로 인해 화장품 및 의약품분야에 있어서 많은 관심의 대상물질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L-아스코르빈산은 화장품 중의 혹은 공기 중의 수분이나 빛, 산소 등의 노출로 인한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쉽게 산화, 분해되어 L-아스코르빈산 자체로서 혹은 제재 속에서 활성이 급격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황변이나 변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은잘 알려진 기지의 사실이기도 하다. 이에 L-아스코르빈산의 물질 안정화 방법을 위한 많은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각종 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를 합성하거나 리포좀화등의 안정화 방어기구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 L-아스코르빈산을 안정화하기 위한 유도체의 합성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특 1990-018130에서는 글루코실-엘-아스코르빈산을, 문헌 Vitamin, vol 43, pp205-209(1971) 및 vol 47, pp 259-267에서는 L-아스코르빈산 글루코시드의 생화학적 합성법을 재시하고 있다. 그리고, L-아스코르빈산 안정화를 위한 제재로서는 대한민국특허 공고번호 92-10272호에서는 다상유화형유액상화장료를 이용한 비타민 C의 안정화를 도모하였고, 대한민국특허출원 제 98-53973호에서는 2-히드록시 프로필 싸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한 유중수형 타입의 화장료 안정화를, 일본국 특개소 55-64511호에서는 L-아스코르빈산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를 싸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여 보호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 1999-029279호에서는 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에서는 pH가 중요하며 pH 6 근방에서 안정화를 도모했고, 일본특허공개평 5-345714호에서는 L-아스코르빈산 무기산 에스테르를 특정의 수용성 고분자와 배합하여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들 상기의 특허 문헌에서도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경우 안정성, 생리활성 면에서 L-아스코르빈산 자체에 비해서 미비하다는 점이고, 또한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화제재기술 등은 물이 존재하는 한 안정성 불량 및 산화 분해성으로 인한 역가 보존성 문제 및 갈변현상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다는 점이며, 이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100% 오일상에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량 분산시켜 사용한 제재가 소개되고 있기는 하나, 이 경우 L-아스코르빈산은 결정상으로 존재하고 피부에 도포시 피부흡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는 점은 기지의 사실이기도 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하기의 화학식(1)의 화학구조를 갖는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화 제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상기 언급된 문헌 등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제재 속에서 물이 존재하는 한 L-아스코르빈산의 황변, 변취, 역가의 보존성 등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특히 상기에 열거된 안정화 방법들은 일반적인 보통의 에멀젼 제재보다는 안정하기는 하였으나 근본적으로 일정기간 동안 고온(40℃)에서 황변, 변취등을 막기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알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수계 제재를 연구하였고, L-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유중다가알코올형 에멀젼 화장료 제재가 L-아스코르빈산 역가 보존성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으며 또한, 상기 제재 속에서 조성물의 갈변, 변취가 유발되지 않는 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화장료 조성물의 제재에 있어서, 먼저 다가알코올 20 내지 50중량%에 L-아스코르빈산 1 내지 8중량%를 배합하여 섭씨 60℃로 가열 투명하게L-아스코르빈산을 용해한 후, 특정조성의 유화제와 오일젤 점증제가 혼합된 오일상에 가해 혼합 유화하여 실온 상태로 냉각하고 그 제재속에 함유된 L-아스코르빈산의 역가보존성 및 변색,변취 등을 장기 관찰한 결과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고 황변, 변취등이 없는 안정한 베이스 개발에 성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중다가알코올형 에멀젼 화장료는 고온 안정성이 떨어져서 섭씨 40℃ 고온 조건하에서는 오일 일부가 부분 분리되는 현상과 다가알코올의 오일보다 높은 비중으로 인한 유상과의 비중 차이로 고온(섭씨 40℃ 이상)에서 20일 이상 경과되면 부분적인 층 분리현상이 일어나는 난제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오일상에 특정 조성의 오일젤 점증제를 사용한 결과 L-아스코르빈산이 고농도 함유된 안정화된 유중다가알코올형 에멀젼 베이스를 완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보다 갈변 현상이 없는 베이스 안정화를 위해 많은 항산화제를 연구한 결과 코엔자임 Q10(Ubiquinone)과 페룰릭산(Ferulic Acid)을 병용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멀젼 제재에서는 외상이 오일인 관계로 피부에 도포시 오일리 하면서 번들거리게 펴 발려지고 다가알코올 고함량 사용에 따른 눅진하면서 끈적이는 사용성을 갖고 있다는 단점을 또한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많은 연구를 진행한 결과 수종의 오일 분산성 파우더류를 유상 베이스에 배합, 고르게 분산한 결과 상기 베이스의 발림성과 퍼짐성이 크게 개선될 뿐만 아니라 파우더의 오일 흡수성으로 인해 피부에 도포시 피부 번들거림이 없는 안정화된 베이스개발이 이루어 질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성물 내에서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화 및 이에 따른피부 도포시의 발림성을 크게 개선한 L-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안정한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L-아스코르빈산의 피부효능을 극대화시켜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L-아스코르빈산 제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L-아스코르빈산 함유 유중다가알코올형 에멀젼 화장료에 대해서는 아스코르빈산의 농도를 종래 화장품 및 피부과학분야에서 사용되던 농도, 예를 들면 에멀젼 전체 무게의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다. 다가알코올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에멀젼 전체무게의 30 내지 60%가 적당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의 에멀젼에 사용할 수 있는 다가알코올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PEG 200, PEG 400, PEG 800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안전성과 피부 도포시의 퍼짐성을 위해서는 1,3부틸렌글리콜과 디프로필렌글리콜 사용이 바람직하고 사용연령층과 사용 피부타입에 따라 언급된 다른 다가알코올의 병용 사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에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알킬디메티콘 폴리올로서, 예를 들면 다우코닝사에 의해 판매되는 Q2-5200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라우릴디메치콘코폴리올, 예를 들면 골드쉬미트(Goldschmidt)사의 아빌이엠90(Abil EM90)으로 판매되는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을, 예를 들면 신네츠(Shin Etsu)사에 의해 판매되는 케에프 6017(KF-6017)상품으로서 디메치콘코폴리올이, 제너럴 일렉트릭사에 의해 SF-1228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제품 및 다우코닝사에 의해 판매되는 Q2-3225C로 판매되는 싸이클로메치콘 및 디메치콘코폴리올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유화제 함량은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 1종 혹은 2종 이상이 에멀젼 전체 무게의 1.0 내지 5.0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적당하다고 본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가 바람직하며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 단독으로 1.5 내지 3.0 중량%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였고 또한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를 주로 사용하고 여기서 상기 언급된 유화제를 1종 혹은 2종이상 혼합 병용 사용하는것도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의 에멀젼에 사용하는 오일상은 에멀젼 전체 무게의 30 내지 70중량%가, 바람직하게는 에멀젼 전체 무게의 40 내지 55중량%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오일상은, 하이드로카본유(유동파라핀, 스쿠알란,폴리데신:Polydecene 등) 식물유(아몬드유, 살구씨오일, 호호바유, 메도우폼씨드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등) 합성 Ester유(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등) 및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의 실리콘유가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상중 오일류는 세틸헥사노에이트와 헥실라우레이트 및 폴리데신유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고 전체 오일함량은 에멀젼 전체 중량의 15 내지 40중량%가 바람직하였고 여기에 휘발성 실리콘유 및 비휘발성 고분자 실리콘인 디메치코놀(Dimethiconol)유를 별도의 유성상으로 하여 에멀젼 전체 중량의 1 내지 15중량%가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점증 목적으로는 밀납, 오조케라이트, 카나우바왁스, 경화유, 칸데릴라왁스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다른 점증 목적 및 안정화제로 Ca-Stearate, Al-Stearate등을 이용한 oil gelling agent를 사용할수 있으나 이방법은연구결과 안정도가 떨어져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학구조를 갖는 Dextrin Palmitate가 점증 및 고온 안정도가 매우 뛰어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Dextrin Palmitate가 에멀젼 전체 중량의 0.5 내지 7중량%가 적당하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중량%가 가장 바람직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산화방지제를 적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L-아스코르빈산의 고온 안정성 및 역가보존성을 연구하였다. 많은 항산화 물질 중에서 하기 화학식 (3)의 화학구조를 갖는 Coenzyme Q 10(코엔자임 큐 10)과 하기 화학식 (4)의 화학구조를 갖는 페룰릭산을 동시에 사용하였을 경우 L-아스코르빈산의 변색방지 및 역가 보존성이 매우 우수한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Coenzyme Q 10과 페룰릭산은 에멀젼 전체 무게의 0.01 내지 0.5중량%가,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멀젼 전체 무게의 0.01% 내지 0.1% 범위에서 가장 효과적임을 밝혀 냈다. 그리고, Coenzyme Q 10과 페룰릭산을 L-아스코르빈산의 변색방지 및 역가보존성을 위한 주 항산화제로 사용하고, 여기에 추가적으로 황금추출물 파우더(Woogon extract powder), 상백피파우더 (Mulberry root powder), 피틱산(phytic acid), dl-α Tocoperol(디엘 알파 토코페롤)과 그 유도체, 프로필갈레이트(propyl gallate), BHA(Butylated Hydroxyanisole), BHT(Butylated Hydroxy toluene)등을 Coenzyme Q 10과 페룰릭산 사용량의 10 내지 20%을 1종 혹은 2종 이상 병용 사용하였을 경우 L-아스코르빈산 역가 보존성의 상승효과가 있음을 또한 발견하게 되었다. 이 경우 수용성 항산화제는 반드시 물을 사용하지 않은 다가알코올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의 사용성 개선을 위해서, 더욱 자세하게는 다가알코올의 과다 사용에 따른 눅진한 사용성과 에멀젼 외상이 오일상인 관계로 인한 피부 번들거림을 줄여주기 위하여 많은 오일 분산성 파우더류을 검토한 결과 입자경 4.5 내지 8.5μm의 입자 Size에 해당하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칠렌글리콜비스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Methylmethacrylate/Ethyleneglycol bis methacryate copolymer)를 오일상에 고르게 분산하여 유중다가알코올형의 안정한 크림상을 만든후, 피부에 도포한 경우 종래의 피부 눅진함과 오일리한 사용성의 단점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칠렌글리콜비스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에멀젼 전체무게의 0.5 내지 5중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그리고,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칠렌글리콜비스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이외에 나일론파우더류,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CTFAName:Methylmethacrylate crosspoly-mer),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Acrylates copolymer)등을 1종 혹은 2종이상 병행 사용할 경우 바람직한 다양한 사용성이 나타남을 또한 밝혀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
조성 실시예 1 비교예 1
1 디프로필렌그리콜 15.0 좌동
2 1,3 부틸렌글리콜 30.0 좌동
3 L-아스코르빈산 5.0 좌동
4 페룩릭산 0.3 좌동
5 코엔자임 Q-10 0.03 좌동
6 BHT 0.03 좌동
7 BHA 0.02 좌동
8 밀납 3.5 좌동
9 경화유 2.5 좌동
10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 2.0 좌동
11 라우릴메치콘코폴리올 0.5 좌동
12 초산토코페롤 0.5 좌동
13 폴리데신 5.0 15.0
14 Ca-stearate - 1.5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
16 헥실라우레이트 19.62 12.62
17 덱스트린팔미테이트 5.0 -
18 싸이클로메치콘 7.0 좌동
19 오일분산성파우더-1 3.0 좌동
20 오일분산성파우더-2 1.0 좌동
오일분산성파우더-1 :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오일분산성파우더-2 : Methylmethacrylate/Ethyleneglycol bis methacrylate copolymer
제조방법
실시예 1.
(1) 원료 1-2에 원료 3,4를 투입 후, 섭씨 60℃로 가열 후 완전 투명하게 유지하여 다가알코올상을 만든다.
(2) 원료 5-13을 70℃로 완전 용융 한다
(3) 별도로 원료 16-17을 65℃로 용해하여 투명 gel base을 만든후, 원료 5-13베이스에 가하여 70-75℃로 유지, 유상베이스를 준비한다
(4) 이 유상 베이스에 원료 18 및 오일분산성파우더 19,20을 가하여 1,500-2,000 rpm/20min의 조건으로 파우더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준다
(5) 파우더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오일상에 준비된 (1)의 다가알코올상을 서서히 투입하여 혼합, 유화(70-75℃,3600rpm/5min)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투명성이 매우높은 유중다가알코올형의 비수계 투명에멀젼을 만들었다.
비교예 1.
(1) 원료 1-2에 원료 3,4를 투입후 섭씨 60℃로 가열 후 완전 투명하게 유지하여 다가알코올상을 만든다.
(2) 원료 5-12 및 원료 16을 70℃로 완전 용융 한다
(3) 원료 13-15를 섭씨 105-110℃로 가열하여 30분이상 Agi-mixing한후, 70℃로 유지하여 투명 gel 베이스를 만든다
(4) 여기에 70℃로 용해된 원료 5-12 및 원료16베이스를 (2)의 Ca-Stearate gel base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한후,원료 18 - 20를 투입하여 Homo-mixer를 이용하여 2,000 내지 3,000rpm으로 20분이상 균일하게 파우더를 분산 시킨다
(4) 이 유상 베이스에 준비된 (1)의 다가알코올상을 서서히 투입하여 혼합, 유화(3600rpm/5min)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투명성이 매우 높은 유중다가알코올형의 비수계 투명 에멀젼을 만들었다.
비교예 2, 3의 조성
조성 실시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정제수 - 5.0 35.0
2 디프로필렌그리콜 15.0 15.0 5.0
3 1,3 부틸렌글리콜 30.0 25.0 5.0
4 L-아스코르빈산 5.0 좌동 좌동
5 페룩릭산 0.3 좌동 좌동
6 코엔자임 Q-10 0.03 좌동 좌동
7 BHT 0.03 좌동 좌동
8 BHA 0.02 좌동 좌동
9 밀납 3.5 좌동 좌동
10 경화유 2.5 좌동 좌동
11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 2.0 좌동 좌동
12 라우릴메치콘코폴리올 0.5 좌동 좌동
13 초산토코페롤 0.5 좌동 좌동
14 폴리데신 5.0 좌동 좌동
15 헥실라우레이트 19.62 좌동 좌동
16 텍스트린팔미테이트 5.0 좌동 좌동
17 싸이클로메치콘 7.0 좌동 좌동
18 오일분산성파우더-1 3.0 좌동 좌동
19 오일분산성파우더-2 1.0 좌동 좌동
오일분산성파우더-1 :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오일분산성파우더-2 : Methylmethacrylate/Ethyleneglycol bis methacrylate copolymer
비교예 2,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투명성이 매우 높은 유중다가알코올형의 비수계 투명 에멀젼을 만들었다.
비교예 4, 5의 조성
조성 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5
1 디프로필렌그리콜 15.0 좌동 좌동
2 1,3 부틸렌글리콜 30.0 좌동 좌동
3 L-아스코르빈산 5.0 좌동 좌동
4 페룩릭산 0.3 좌동 좌동
5 코엔자임 Q-10 0.03 좌동 좌동
6 BHT 0.03 좌동 좌동
7 BHA 0.02 좌동 좌동
8 밀납 3.5 좌동 좌동
9 경화유 2.5 좌동 좌동
10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 2.0 좌동 좌동
11 라우릴메치콘코폴리올 0.5 좌동 좌동
12 초산토코페롤 0.5 좌동 좌동
13 폴리데신 5.0 좌동 좌동
14 헥실라우레이트 19.62 23.62 22.62
15 텍스트린팔미테이트 5.0 좌동 좌동
16 싸이클로메치콘 7.0 좌동 좌동
17 오일분산성파우더-1 3.0 - 0.5
18 오일분산성파우더-2 1.0 - 0.5
오일분산성파우더-1 :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오일분산성파우더-2 : Methylmethacrylate/Ethyleneglycol bis methacrylate copolymer
비교예 4,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투명성이 매우 높은 유중다가알코올형의 비수계 투명 에멀젼을 만들었다.
실시예 2, 3 및 비교예 6, 7의 조성
조성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6 비교예 7
1 디프로필렌그리콜 15.0 좌동 좌동 좌동
2 1,3 부틸렌글리콜 30.0 좌동 좌동 좌동
3 L-아스코르빈산 5.0 좌동 좌동 좌동
4 페룩릭산 0.3 0.3 - -
5 코엔자임 Q-10 0.03 0.03 - -
6 dl-α-토코페롤 0.07 0.07 0.07 -
7 프로필갈레이트 0.02 0.02 0.02 -
8 BHT 0.03 - 0.03 -
9 BHA 0.02 - 0.02 -
10 밀납 3.5 좌동 좌동 좌동
11 경화유 2.5 좌동 좌동 좌동
12 세틸디메치콘코폴리올 2.0 좌동 좌동 좌동
13 라우릴메치콘코폴리올 0.5 좌동 좌동 좌동
14 초산토코페롤 0.5 좌동 좌동 좌동
15 폴리데신 5.0 좌동 좌동 좌동
16 헥실라우레이트 19.53 19.58 19.2 20.0
17 텍스트린팔미테이트 5.0 좌동 좌동 좌동
18 싸이클로메치콘 7.0 좌동 좌동 좌동
19 오일분산성파우더-1 3.0 좌동 좌동 좌동
20 오일분산성파우더-2 1.0 좌동 좌동 좌동
오일분산성파우더-1 :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오일분산성파우더-2 : Methylmethacrylate/Ethyleneglycol bis methacrylate copolymer
실시예 2,3 및 비교예 6,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투명성이 매우 높은 유중다가 알코올형의 비수계 투명 에멀젼을 만들었다.
실험예 1.
비교예 1-7의 아스코르빈산의 역가 측정 및 고온 안정도 체크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아스코르빈산의 역가 측정 및 고온 안정도 체크 결과
구 분 비 교 예
1 2 3 4 5 6 7
고온 안정도(40℃ 3주경과) X
L-아스코르빈산 잔존역가(40℃ 4주 경과) 91% 78% 62% 94% 94% 87% 81%
고온 변색 정도(40℃ 4주 경과) X X
사 용 성 X
주-1) 고온안정도: 고온조건 에서의 유화 안정도를 육안관찰을 하였음
X : 층분리 현상 심함 △ : 분리현상이 조금 있다 ○ : 층분리 현상이 약간 있다 ◎ : 분리현상이 없다
주-2) 고온변색정도:고온조건 에서의 칼라 변색정도를 육안관찰을 하였음
X :황변현상이 아주 심하다 △ :황변현상이 심한 편이다 ○ :황변현상이 조금 있다 ◎ :황변현상이 없다
주-3) 사용성 : 본 발명자를 비롯한 20명을 선정하여 사용성을 체크 하였음
X : 끈적임이 아주 심하고 번들거림 △ : 끈적임은 있으나 번들거림이 없다
◎ : 끈적임과 번들거림이 없으면서 흡수가 좋다
실험예 2.
실시예 1-3의 아스코르빈산의 역가 측정 및 고온 안정도 체크 결과는 하기 표 6와 같다.
아스코르빈산의 역가 측정 및 고온 안정도 체크 결과
안 정 도 실 시 예
1 2 3
고온 안정도(40℃, 4주 경과)
고온에서의 변색 정도(40℃, 4주경과)
L-아스크로빈산의 잔존률(%)(40℃,4주 경과) 94% 97% 92%
사 용 성
주-1) 고온안정도: 고온조건 에서의 유화 안정도를 육안관찰을 하였음
X: 층분리 현상 심함 △: 분리현상이 조금 있다 ○: 층분리 현상이 약간 있다◎: 분리현상이 없다
주-2) 고온변색정도:고온조건 에서의 칼라 변색정도를 육안관찰을 하였음
X:황변현상이 아주 심하다 △:황변현상이 심한 편이다 ○:황변현상이 조금 있다 ◎:황변현상이 없다
주-3) 사용성 : 본 발명자를 비롯한 20명을 선정하여 사용성을 체크 하였음
X: 끈적임이 아주 심하고 번들거림 △: 끈적임은 있으나 번들거림이 없다
◎: 끈적임과 번들거림이 없으면서 흡수가 좋다
L-아스코르빈산의 잔존률은 HPLC를 이용하여 대한약전에 제시된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 하였다.
실험결과 분석
실험예 1 및 실험예 2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예 1은 실시예 1에 비해 고온 안정도가 크게 떨어짐을 볼 수 있으며, 이와같은 사실로부터 덱스트린팔미테이트가 고온안정도에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3은 재제중에 물이 함유됨으로 인해 고온 안정도는 양호하나 고온에서의 칼라변색이 매우 심하게 나타나 L-아스코르빈산의 잔존역가가 크게 떨어짐을 볼 수 있으며 물이 함유되는 한, L-아스코르빈산의 역가보존은 기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 5는 실시예 1에 비해 사용성이 크게 떨어져, 오일분산성 파우더가 사용성 개선에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으며,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대신 Ca-stearate를 함유한 비교예 1은 오일분산성 파우더를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에 비해 사용성이 다소 떨어짐을 알 수 있다.
항산화제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7은 고온에서의 칼라변색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항산화제가 L-아스코르빈산의 역가 보존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은 실시예 2, 3에 비해 고온에서의 칼라변색이 심하게 나타나며 이것은 페룰릭산과 코엔자임 Q 10이 다른 항산화제 보다 L-아스코르빈산의 역가 보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는 dl-α토코페롤,프로필갈레이트등 다른 항산화제를 추가 사용함으로서, L-아스코르빈산의 역가보존성에 시너지효과를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 설명하고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 아스코르빈산을 다가알코올에 완전용해시키고 Dextrin Palmitate을 이용하여 유중다가알코올의 안정한 크림 베이스를 만들 수 있었고, 여기에 항산화제 Coenzyme Q 10과 페룰릭산을 도입함으로써 고온에서도 황변현상이 없으면서 L-아스코르빈산의 역가 보존성이 아주 뛰어난 투명한 외관을 가지면서 사용성이 우수한 크림상을 얻을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L-아스코르빈산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8 중량%의 고농도로 함유하고 물을 함유하지 않는 안정한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점증제 및 안정화제로서 덱스트린 팔미테이트를 에멀젼 전체 중량에 대해 0.5 내지 7.0 중량% 함유하고,
    피부의 번들거림을 줄여주기 위하여 4.5 내지 8.5 ㎛의 입자 크기를 갖는 오일분산성 파우더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한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다가알코올이 1,3부틸렌글리콜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한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은 1,3부틸렌글리콜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을 주로 사용하고 사용성의 조절을 위해 디글리세린,글리세린,PEG 200,PEG 400,PEG 800에서 선택되는 다가알코올을 1종 이상 동시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한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라우릴디메치콘 코폴리올,세틸디메치콘 코폴리올,디메치콘 코폴리올,싸이클로메치콘에서 선택되는 유화제 1종 이상을 에멀젼 전체 중량에 대해 1.0내지 5.0중량 % 사용하고, 유상으로는 세틸헥사노에이트,헥실라우레이트,폴리데신유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류를 에멀젼 전체 중량에 대해 15내지 40중량%와 휘발성 실리콘유 또는 디메치코놀유를 에멀젼 전체 중량에 대해 1내지 15중량 %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한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5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로서 코엔자임 Q 10(Coenzyme Q 10) 및 페룰릭산을 단독 또는 동시에 에멀젼전체 중량에 대해 0.01내지 0.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안정한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코엔자임 Q 10 및 페룰릭산을 주 항산화제로 사용하고 추가로 황금추출물 파우더, 상백피 파우더, 피틱산, dl-α 토코페롤과 그 유도체,프로필갈레이트,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Butylated Hydroxy toluene)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산화방지제를 상기 주항산화제 사용량의 10내지 20중량% 병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한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9. 다가알코올 20 내지 50 중량%에 L-아스코르빈산 1 내지 8 중량%를 배합하고 60℃로 가열하여 L-아스코르빈산을 용해시켜 다가알코올상을 만들고,
    유화제, 오일젤 점증제, 항산화제 및 오일분산성 파우더를 오일상에 가해 유상 베이스를 만들고,
    상기 유상 베이스에 상기 다가알코올상을 혼합 유화하여 L-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고 물을 함유하지 않는 안정한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0-0055955A 2000-09-23 2000-09-23 엘-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안정한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41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955A KR100417874B1 (ko) 2000-09-23 2000-09-23 엘-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안정한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955A KR100417874B1 (ko) 2000-09-23 2000-09-23 엘-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안정한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574A KR20020023574A (ko) 2002-03-29
KR100417874B1 true KR100417874B1 (ko) 2004-02-11

Family

ID=1969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955A KR100417874B1 (ko) 2000-09-23 2000-09-23 엘-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안정한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499A (ko) * 2001-03-07 2002-10-3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유중 폴리올 액적형 엘-아스코르빈산 콜로이드 화장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77716B1 (ko) * 2002-03-19 2005-03-18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E10243437A1 (de) * 2002-09-18 2004-04-29 Pm-International Ag Kosmetische Formulierung
KR101396277B1 (ko) * 2012-02-10 2014-05-19 한국콜마주식회사 바인더로 유중다가알코올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42799B1 (ko) * 2012-06-25 2014-09-19 (주)에이씨티 안정화된 l-아스코르빈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중 나노 서스펜션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2188B1 (ko) * 2012-12-13 2014-08-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무수제형의 세정제 조성물
KR101461121B1 (ko) * 2013-02-12 2014-11-12 (주)아비오 고농도 비타민c 및 비타민c 유도체의 투명 졸, 겔 조성물
CN104546602A (zh) * 2014-12-23 2015-04-29 唯美度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含茶单宁的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546712A (zh) * 2014-12-26 2015-04-29 唯美度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甘草黄酮油包醇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606372A (zh) * 2014-12-30 2015-05-13 唯美度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茶多酚油包多元醇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622750A (zh) * 2015-02-06 2015-05-20 深圳唯美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延缓肌肤老化的保湿防晒膏
CN104644464A (zh) * 2015-02-06 2015-05-27 深圳唯美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细胞活力的防干燥油及其制备方法
KR102360819B1 (ko) * 2017-09-22 2022-02-09 (주)아모레퍼시픽 유화 분리 방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침시킨 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7157047A (zh) * 2021-03-30 2023-12-01 莱雅公司 用于护理角蛋白材料的组合物
KR102346898B1 (ko) 2021-07-20 2022-01-05 (주)나우코스 비타민c를 안정화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N113546016B (zh) * 2021-07-28 2022-12-09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油包水型疤痕修复微乳液及其制备方法
CN114642600A (zh) * 2022-03-12 2022-06-21 广州悦荟化妆品有限公司 一种油凝胶组合物、非乳化型面膜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20230147830A (ko) 2022-04-15 2023-10-24 (주) 셀리버리 리빙앤헬스 고함량의 아스코빅애시드의 보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CN115531262B (zh) * 2022-09-02 2024-04-05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提高油溶性抗坏血酸衍生物稳定性的方法及其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0206A (ja) * 1984-11-30 1986-06-18 Kanebo Ltd 非水系粉体化粧料に添加したエステル化されたアスコルビン酸の安定化法
US4695452A (en) * 1984-10-10 1987-09-22 Gannis Peter M Cosmetic stick
US5981578A (en) * 1997-09-15 1999-11-09 Alexandrides; Ariadne Increased solubilization and stable cosmetic preparations of ascorbic acid
WO2000002535A1 (en) * 1998-07-10 2000-01-20 Shaklee Corporation Improved stable topical ascorbic acid compositions
US6124348A (en) * 1997-07-01 2000-09-26 Lawrence M. Wells Vitamin C skin formulations
KR100297347B1 (ko) * 1998-12-09 2001-08-07 이현순 안정화된l-아스코르빈산을함유하는유중수형에멀젼화장료조성물및그의제조방법
WO2001066092A1 (en) * 2000-03-03 2001-09-13 Australian Importers, Ltd. Micronized vitamin c formul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452A (en) * 1984-10-10 1987-09-22 Gannis Peter M Cosmetic stick
JPS61130206A (ja) * 1984-11-30 1986-06-18 Kanebo Ltd 非水系粉体化粧料に添加したエステル化されたアスコルビン酸の安定化法
US6124348A (en) * 1997-07-01 2000-09-26 Lawrence M. Wells Vitamin C skin formulations
US5981578A (en) * 1997-09-15 1999-11-09 Alexandrides; Ariadne Increased solubilization and stable cosmetic preparations of ascorbic acid
WO2000002535A1 (en) * 1998-07-10 2000-01-20 Shaklee Corporation Improved stable topical ascorbic acid compositions
KR100297347B1 (ko) * 1998-12-09 2001-08-07 이현순 안정화된l-아스코르빈산을함유하는유중수형에멀젼화장료조성물및그의제조방법
WO2001066092A1 (en) * 2000-03-03 2001-09-13 Australian Importers, Ltd. Micronized vitamin c for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574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874B1 (ko) 엘-아스코르빈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안정한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1666267B1 (ko) 화장 지속성 및 유연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955353B1 (ko) 화장료의 제조 방법
JP3821499B2 (ja) 固体の親油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93505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1898244B1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8551458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 hydroxylated diphenylmethane derivative
JP2011507867A (ja) トラメテス属の抽出物を用いた皮膚処置用組成物および方法
FR2744911A1 (fr) Utilisation d'un organopolysiloxane solide elastomere associe a une phase grasse pour la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ou dans une composition de soin ou de maquillage pour matifier la peau
KR100697484B1 (ko)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
KR102325385B1 (ko) 외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00071709A (ko) 특정 에스테르 및 실리콘 화합물의 배합물을 함유하는화장용 조성물
KR102063524B1 (ko) 칸나비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9143004A2 (en) Aqueous based cosmetic compositions with clear or translucent non-amidated structuring agent
EP3858323A1 (en) Water-in-oil emulsified solid cosmetic
CN112566612A (zh) 多层化妆料
DE10164470B4 (de) Klares Antitranspiranz-Gel
CN112120942B (zh) 非表面活性剂型化妆料组合物
JPH09151108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220056671A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05186B1 (ko) 피지조절능및화장지속성이우수한실리콘유화형수용성젤화장료조성물
KR102379257B1 (ko)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04702A (ko)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그리고, 그것을 포함한 화장료
KR102321531B1 (ko)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