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600B1 - 물제트 동력식 수상 크래프트 - Google Patents

물제트 동력식 수상 크래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600B1
KR100414600B1 KR1019960707295A KR19960707295A KR100414600B1 KR 100414600 B1 KR100414600 B1 KR 100414600B1 KR 1019960707295 A KR1019960707295 A KR 1019960707295A KR 19960707295 A KR19960707295 A KR 19960707295A KR 100414600 B1 KR100414600 B1 KR 100414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raft
watercraft
hull
sk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덴 위커트 제랄드
Original Assignee
알덴 위커트 제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덴 위커트 제랄드 filed Critical 알덴 위커트 제랄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10Power-driven personal watercraft, e.g. water scoot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래프트의 방향을 제어하는 스티어링 수단(28)과 탑승자용 시트 영역(48)을 포함하는 크래프트와, 크래프트를 추진하는 물 제트 노즐 수단(82)과 엔진(72)을 수납하는 선체부재(22)를 가지는 모토 사이클 형태인 수상크래프트(20)에 관한 것이다. 부가하여, 크래프트는 물 밸러스트 챔버(106)를 포함하는 선체에 고정된 한쌍의 측부 스커트(26)와, 스티어링 수단을 연결하는 물 밸러스트 챔버(160)를 가지는 분리된 전방 스키부재(24)를 포함한다. 물 밸러스트 챔버는 크래프트가 탑승자가 쉽게 탑승하도록 크래프트를 부분적으로 침수시키기 위해 정지할 때 빠르게 물로 채워지도록 고안되고 수단은 진행 및 정지위치에 제한없이 크래프트를 상승시켜 속도가 증가하게 할때 챔버에 물을 빠르게 빼내게 한다.

Description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본 발명의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또는 "제트 스키" 형태의 수상크래프트는 일반적으로 정시상태 또는 이동동안 물의 상부에 높게 떠있다. 이런형태에서는 물위에 높게 떠 있는 수상크래프트를 탑승해서 장치를 균형을 잡는 일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사람이 부력의 중심위에 정확하게 있어야 하므로 사용중 수상크래프트 팁위에 있어야 하므로 서기 어렵고 또한 탑승하기 어렵다.
그 외에, 종래의 발명에서 일부 수상크래프트는 상당히 좁은 발판(foot board)을 가지므로 안정을 달성하지 못한다. 더욱이, 현재의 제품은 탑승자의 기술에 따라 또는 주문에 따라 수상크래프트의 폭을 변경할 수 없다.
또한, 종래기술은 제트 노즐의 운동시에 전방 또는 후방 모두에 이중 스티어링 캐버티를 가지지 못했다.
본 발명은 물 제트 동력식 모터사이클과 같은 수상크래프트, 특히 정지 상태일 때 탑승이 용이하기 위해 반 잠수상태이고 탑승자가 승선했을 때 균형을 이루는 수상크래프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수상크래프트의 상면도.
도 3은 도 1의 수상크래프트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수상크래프트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수상크래프트의 분해도.
도 6은 정지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물에 잠긴 본 발명의 수상크래프트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6A는 주행위치를 향해 물에서 나오기 시작하는 상승 상태의 수상크래프트의 측단면도.
도 7은 주행위치로 완전히 물에서 나온 본 발명의 수상크래프트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8-8선을 따라 취한 수상크래프트의 후부 단면도.
도 9는 도 6의 9-9선을 따라 취한 수상크래프트의 후부 단면도.
도 10은 도 6A의 10-10선을 따라 취한 수상크래프트 스키의 단면도.
도 11은 2중 스티어링 장비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상면도.
도 12는 변경된 스커트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상면도.
도 13은 부유 장치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시트의 측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크래프트가 잠수될 수 있어 사람보다 낮은 물아래에부분적으로 잠겨있어 사람이 수상크래프트에 보다 쉽게 탈수 있도록 정지상태에서 물로채워진 다수의 밸러스트 캐비티(ballast cavities)를 포함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지상태일 때 물로 채워진 수상크래프트내의 물 입구 캐비티를 제공하는 것으로, 수상크래프트의 전진이동시 물을 방출하여 수상크래프트를 물위의 표면으로 들어올리거나 표면근처로 들어올리며, 전체 드래프트영역 또는 "드래그"를 감소하므로 수상크래프트를 물에서 보다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정가능한 전방 스키를 가진 수상크래프트를 제공하고 또한 수상크래프트에 직접 스티어링 성능을 보장하도록 제트 노즐을 동시에 구부릴 수 있는 스티어링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상크래프트에 추가로 측면 스커트를 제공하고 추가의 스커트의 폭을 보다 작거나 크게해서, 탑승자의 기술과 나이에 따른 안정도에 따라서 수상크래프트를 주문할 수 있다. 스커트는 비표면천공 수상익 효과(non-surface piercing hydrofoil)를 낸다.
본 발명의 부가의 목적은 추력을 변화시키도록 제트 노즐의 개구를 제어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가로로 60.96cm인 빔으로 구조된 수상크래프트의 변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구조체는 보다 적은 폭의 바닥면을 만들므로 수상크래프트가 회전될 때 바닥면이 물로부터 노출될 기회를 줄인다. 그러므로, 물을방출하지 않고 제트펌프로의 물의 흡입은 또한 공기로부터의 제트 펌프의 원하지 않은 공동화를 일으키지 못하게 한다.
이들 및 다른 목적과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며, 이들은 첨부 청구범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수상크래프트 또는 제트 동력식 수상 스키(20)를 나타낸다. 수상크래프트(20)는 일반적으로 긴 선체(22)와 전방 스키 부재(24)인 2개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부가하여, 도 5에 도시된, 1쌍의 측부 스커트 부재(26)가 선체(22)에 설치된다. 도 12에 다른 면적으로된 1쌍의 부가적인 스커트 부재(27)는 수상크래프트의 사용자의 능력에 따라 측부 스커트(26)에 부착되어 수상크래프트의 안정성을 보다 양호하게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수상크래프트(20)는 전방 스키 부재(24)의 운동을 지시하고 선체를 조정하기 위해 전방 스티어링 기구(28)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 제트 노즐(32)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 2 선체 스티어링 기구(30)를 포함한다.
수상크래프트(20)가 제조될 때 긴 선체(22)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고, 대부분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형 전단부(36)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부(36)는 측부 패널(38) 내측으로 융합되며, 상기 측부 패널(38)은 길게 연장되고, 굴곡되어 각 측면상의 탑승자의 다리가 선체(22)에 걸쳐지는 위치(40)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모래시계 형상을 형성하고, 이 오목부내로 탑승자의 다리가 하향하여 위치되게 된다.
오목부(40)의 후방으로 측부 패널(38)은 42로 도시된 지점에서 부풀어 나오고, 돌출부(42) 사이의 굴곡된 후단부(44) 내로 융합된다.
도 6, 도 6A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단부에서의 선체(22)는 선체의 표면(49)에 고정된 기포형으로 형성된 시트부(48)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굴곡져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할 수 있다.
바닥부(50)는 일반적으로 평탄하고, 언더컷 후단부(5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굴곡형 전단부(36)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향 연장된다.
전단부(36)에 인접하게, 선체(22)의 내부를 통하여 선체 상부(59)로부터 바닥부(50)로 하향 연장된 스티어링 축 튜브(58)가 있다. 도 6, 도 6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58)는 직립하여, 수직 방향에 대해 미세하게 각도를 형성하고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기구가 상기 튜브에 조합되어 있다.
선체(22)의 굴곡형 전단부(36)에 대하여 방수식 모터 캐비티(60; 선체(22)의 내부)내에는 부양용 포옴(62)이 바람직하게 위치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모터 캐비티(60)내에 부가적인 부양용 포옴(66)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통로(64)는 선체 상부(49)로부터 내부로 개방되고 방수식 모터 캐비티(60)와 결합되어 있다. 통상적인 내연 기관(72)이 바닥부(50)에 장착되어 있는 캐비티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수상크래프트가 침몰되었을 때, 뒤집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크래프트의 측부로부터 다른 측부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화 수단으로 작동하는 단면을 가지는 세장형 외부 바닥판(70)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바닥부(50) 아래에 장착된다.
내연기관(72)은 수로 아래로 선체(22)의 측부로 바람직하게 배출되고머플러(74a)를 구비하는 통상적인 수상크래프트 배기 시스템(74)을 구비한다. 그러나, 엔진(72)과 배기 시스템(74)은 본 발명의 일부분이 아니다. 거기에는 방수 챔버에 설치된 연료 탱크(74b)가 설치되어 있다.
부가로 도 6, 도 6A,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언더컷 벽(52)에 설치된 통상적인 구동 축 커플링(76)이 있다. 벽(52)내의 시일과 커플링(76)을 통하여 모터(72)로부터 연장하여 프로펠러를 가지는 물 펌프(50)로 연장되는 구동축(78) 또는 통상적인 물 제트 노즐(82)에 연결된 임펠러가 있다. 노즐은 도 11에 도시된 트림을 위한 측방향 이동과 상, 하 이동으로 회전하게 설치되어 있다. 물 펌프(80)는 외부 바닥판(70)과 측부 스커트(26)에 설치되어 있다.
물펌프(80)는 물 충진 채널(84)에 걸쳐 있는 하우징(84)을 가지며 물 충진 채널은 제트 노즐(82)이 장착된 테이퍼진 물 제트 목부(86)에서 후방으로 종결되며 판(70)으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바닥판(70)은 물이 펌프(80)의 임펠러에 의해 개구(88)를 통하여 받아들이며 목부를 통하여 제트 노즐(82)안으로 속도 증가와 함께 방출되도록 개구(88)를 가지며, 상기 노즐은 수상크래프트(20)가 추진되도록 추가적인 추력을 발생시킨다.
구동축과 펌프(30) 주위에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커트 부재(26)가 위치된다. 스커트 부재는 선체(22)와 같은 동일 재료로 적합하게 성형되며 도 5에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스커트 부재(26)는 수상크래프트(20)의 밸러스트 부분의 일부로서 제공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전시 일부분이 잠수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측부 스커트(2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며 선체(22)의 측부 패널(38) 둘레에 경사지며 측부 패널(38)에 결합되며 하부판(70)에 결합 및 접속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다.
스커트(26)는 측부 패널(38)에 부합되는 뾰족한 전단부(92)를 구비한다. 그 각각은 탑승체의 발판이 되는 평탄한 상부면(94)을 구비한다. 스커트(26)의 후단부(96)에 인접한 것은 선체(22)의 언더컷 후단부에 결합되도록 그 상부(99)에서 만곡진 상향 돌출 핀부(98)이다. 핀부(98)는 플랜지와 서로 내향으로 굽어진다. 두 플랜지(100)가 결합될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엣지(102)는 서로 접촉된다. 스커트가 함께 결합되고 체결 수단에 의해 선체에 고정될 때 플랜지(100)가 절단됨으로써 물 개구(104)가 형성된다. 결합된 스커트(24)와 선체(22)의 외부는 밸러스트 물 챔버(106)를 형성한다.
도 6, 도 6A 및 도 7에 있어서는 선체(22)에 고정될 때 스커트의 상부 프로 파일을 나타내는 가상선(103)이 도시되어 있다.
스커트(26)의 전방단(92)에 인접한 것은 공기 송풍개구(108)이다. 크래프트가 저속으로 잠수될 때 공기는 개구(108)를 빠져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이 밸러스트 물 챔버(106)에 갇히는 것을 방지한다. 물은 중공 스커트(26)내의 선체(22)를 둘러싸며 밸러스트 물 챔버(106)에 넘치게 된다. 수상크래프트가 제트 추력을 상승시키므로써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스커트와 물 챔버(106)에 있는 물은 도 6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개구(104)와 삼각형 개구(107)를 통해서 배출되고 상기 배출은 공기가 진입하도록 하며, 수상크래프트(20)가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최종 주행 위치로 상향 이동하도록 한다.
수상크래프트(20)의 후미에서 손잡이(116)는 수상크래프트(20)를 타고있는 탑승자를 돕기 위해 선체(22)에 고정된다. 또한, 다른 고정부(도시생략)가 제공되어 적재 및 적하시 수상크래프트(20)를 들어올려 운송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선체(22) 내부의 시트(48) 전방에는 저장 격실(118)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버(120)이다.
참조부호 24로 지시된 전방 스키는 매우 독특한 구조를 포함한다. 이 스키는 외장을 갖는 후방 개방 단부형 판툰(pontoon)이고, 상기 외장은 그것이 테이퍼진 원형 소프트 범퍼형 전단부(126)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 처럼 다소 굴곡되어 상부(124)를 형성하는 형태이다. 그후, 굴곡되어 바닥면(128)을 형성한다. 후단부(130)가 개방되고 그 전단부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흡입 및 공기 배출과 같이 작용하는 판툰의 전방에 통풍 또는 물 흡입 슬롯(132)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물 측면 저항 윙펜스 부재(134)를 제공한다. 이들 부재(134)는 수상크래프트(20)가 물에서 회전하는 동안 측방 이동을 방지하도록 펜스 또는 드래그로서 작용한다. 이들 윙펜스 부재(134)는 탑승자의 선택 사항이다. 이들이 제거된다면 수상크래프트(20)는 전방 스키 부재(24)가 회전될 때 진정한 곡선을 유지하기 보다는 오히려 회전시 미끄럼 이동하는 경향을 더 많이 갖는다.
참조부호 28로 지시된 스티어링 기구는 구동 칼럼 튜브(58)를 통과하는 가늘고 긴 스티어링 칼럼(140)을 포함하고 전방 스키(24)에 고정된 일단부(142)를 갖는다. 상기 칼럼(140)은 손잡이(146)를 양호하게 구비하는 조절가능한 핸들바아(144)에서 종결되는 튜브(58) 외측으로 상향 연장된다.
엔진(72)을 구동하고 엔진을 가속하기 위하여 우측 손잡이(146)가 비틀어지고, 회전되고 또는 당겨져서 쓰로틀에 연결되어 엔진(72)의 변환 연결은 수상크래프트(20)의 속도를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선택적으로 좌측 손잡이(146)는 제트 노즐(82)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된다. 도 8 에 나타나 있듯이 케이블(148)에 의하여 손잡이(146)의 회전으로 케이블(148)이 신장되거나 수축되게 한다. 케이블(148)은 셔터와 맞물리는 제트 노즐(82)을 통과하고 제트 노즐내의 감소 또는 팽창 배열(도시 안됨)은 수상크래프트의 속도를 감소 또는 증가하기 위하여 노즐을 통하여 물추진을 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하여 구멍을 신축 또는 팽창시킨다.
또한, 핸들 바아(144)위에는 도 8 및 도 9 에 나타나는 장치 포드(150)가 양호하게 제공된다. 여러 장치(152)가 경고등, 연료 게이지, RPM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본 발명의 고유한 특성은 제 2 스티어링기구(30)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스티어링 칼럼(140)이 벨 크랭크(154)와 케이블(156)에 끼워지며, 상기 케이블은 제트 노즐(82)로 후향 연장되며, 상기 제트 노즐(8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 이동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 바아가 좌측 회전을 위하여 좌측으로 돌려지면, 케이블(156)은 움직이게 되고 제트 노즐(82)이 또한 좌측으로 선회 또는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배열에 따라 훨씬 작은 반경의 능동적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이는 경주를 하는 경우에 회전시 소요되는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고유한 수상크래프트(20)의 작동에서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과 차이가 있다. 수상크래프트(20)가 정박중에 도 6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모든 밸러스트 물 챔버(106)와 스키(24)의 내부(160)가 물(162)로 채워질 것이다. 물은 도 6 나타난 것과 같이 수상크래프트(20)가 잠기기 위해서 측부부재(26)의 후방 개구와 전방 개구(108)와 전방 스키의 후방 개구와 개구(132)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스커트의 최상 표면(94)은 발판과 같이 작용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재료(164)가 부착될 수 있다. 수면(166)보다 충분히 낮은 표면(94)과 함께 발판영역을 딛고, 크래프트의 후방으로부터 탑승자가 접근하기 쉽고, 손잡이(116)를 사용하여 크래프트에 걸터앉고 좌석(48)에 안착한다. 수상크래프트(26)는 부분적으로 잠수되어 크래프트의 균형을 크래프트(20) 주변 수압에 의해 쉽게 유지한다.
물로 완전히 채워진 밸러스트 챔버와, 엔진(72)의 위치 설정으로 인해, 수면 아래의 매우 낮은 무게 중심을 갖게 되고(중앙선(170) 참조), 그래서, 요동이 극소화된다. 추가로, 전진 이후 무게 중심은 도 6에서 9-9 선상에 생긴다. 이것들은 비정상적 복원력과 전방에서 후방의 균형과 제어를 재차로 돕는다.
조작으로 되돌아가면, 탑승자가 수상크래프트(20)상에 안착하고, 수상크래프트(20)상에 쓰로틀이 당겨지고 도 6A 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전진할 수 있다. 이점에서 물(162)은 각각 캐비티내에서 수상크래프트(20)의 대형 개구(104)와 측부 스커트개구(107)와 전방스키(24)내의 후방개구로 배출된다. 이것은 다음에 크래프트(20)의 캐비티가 공기를 취하는 것을 허용되면 공기가 물(162)을 대체함으로써 부력이 증가하게 된다.
끝으로, 모든 물(162)이 배출되어 공기로 대체되고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크래프트가 물위에서 전작동을 위한 위치 또는 최대 작동을 위한 수면(166) 바로 아래의 위치에 위치되게 된다.
크래프트(20)가 감속되면 후진이 발생하고 물은 물크래프트에 입구 개구를 통과하여 챔버를 채우게 되고 물크래프트는 물속으로 가라앉게 되며 도 6의 위치가 얻어진다.
본 발명이 적합한 실시예만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크래프트(20)는 전면 스키 부재(24)가 고정되고, 크래프트의 회전이 전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트 노즐(82)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크래프트는 정지시 크래프트의 많은 부분이 둘러싸여서, 정지시 홀수선 이하에 중력 중심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이후에 물에서 크래프트를 상승시키도록 전방 이동을 수행한다.
또한, 비숙련자가 탑승할 경우 크래프트(20)에 추가적인 물 균형 챔버를 포함하는 측부 스커트(174)를 결합할 수 있다(도 12 참조). 이와 같이 하여, 크래프트가 물에 잠기거나 또는 물이 배출되는 경우에 전복을 방지하도록 넓은 바닥이 제공되며, 크래프트(20)는 물 위를 최적의 성능으로 질주할 수 있다. 제 2 스커트(174)는 적합한 소정의 방식으로 제 1 스커트에 고정된다.
시트 래치(176) 또한 크래프트(20)에서 시트(48)를 제거하여, 도 13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부양체로서도 작용하게 한다.
최종적으로 제 1 또는 제 2 측부 스커트(26, 174)의 쌍에 대해, 탑승자의 발이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면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수상크래프트(20)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크래프트에서 가장 넓은 부분인 크래프트의 빔(beam)이 있는 곳이 60.96 cm(24 in)임은 중요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빔은 크래프트의 휘어진 후단부(44)에서 측부 스커트 부재(22) 방향으로 하향되는 수직선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술한 구조에서, 바닥판(70)의 폭 또한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빔의 크래프트(20)가 회전 한다해도, 바닥면이 물에서 전복하지 않으며, 따라서, 물 접촉면(88)은 공기와 접촉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고, 캐비테이션의 발생이 방지된다. 캐비테이션은 제트 펌프(80)가 공기만을 또는 부분적으로 공기와 물을 수용할 때 발생된다. 이것은 펌프가 수상 매체속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캐비티를 잃어버리고 크래프트(20)의 엔진이 정지하거나 정상상태가 복구될 때까지 감속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60.96cm의 크래프트에 있어서 비임 개구 또는 흡입관(88)은 총 바닥 플레이트폭의 1/3이 양호하다. 이는 더 체적이 적은 물이 펌프로 도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장점은 앞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가능하며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정신과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거나 본 발명의 장점에 손상을 입지 않으면서 부품의 배치물, 구성체 및 형태에 있어서 가능하며, 여기에서 전술한 배치물은 단지 실시예일 뿐이다. 첨부 도면에 한정된 것은 제외하고, 언급되거나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기를 희망하지 않으며, 다양한 부분은 명확히 이해하도록 구분된 것이지 강조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Claims (25)

  1. 바닥면을 구비한 중공부인 주 선체와, 상기 선체의 상단부에 장착된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에는 물을 고속으로 제트 노즐내로 강제 압송하여 물이 상기 제트 노즐내의 오리피스를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크래프트를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물 펌프 임펠러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엔진이 장착되는 형식의, 크래프트에 탑승하여 핸들 바아로 크래프트의 방향 및 속도를 제어하는 탑승자를 유지하기 위한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에 있어서,
    상기 주 선체로부터 분리된 전방 스키 부재와,
    상기 수상 크래프트가 정지해 있을 때 물로 채워져 상기 수상크래프트를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게 하여 상기 크래프트에 탑승하는 것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크래프트를 수면상에서 또는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크래프트의 전방 이동시 그로부터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밸라스트 캐비티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주 선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전방 스키 부재와,
    상기 수상 크래프트가 정지해 있을 때 물로 채워져 상기 수상크래프트를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게 하여 상기 크래프트에 탑승하는 것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크래프트를 수면상에서 또는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크래프트의 전방 이동시 그로부터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밸라스트 캐비티 수단을 각각 포함하면서, 탑승자를 위한 발판으로서 각각 작용하는 안정성을 위해 상기 선체의 측부에 설치된 한쌍의 측부 스커트 수단과,
    상기 수상크래프트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도록 선체를 통해 연장되는 스티어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수단은 상기 핸들 바아로부터 상기 선체를 통해서 상기 전방 스키와 고정 결합되어 종결되는 스티어링 축을 포함하고, 그래서, 상기 핸들 바아의 회전이 상기 핸들 바아의 회전에 대한 방향으로 상기 전방 스키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수단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수 있게 장착된 제트 노즐과,
    상기 제트 노즐이 상기 핸들 바아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수상 크래프트를 지향시키도록 상기 제트 노즐과 상기 핸들 바아를 결합하는 케이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단은 상기 케이블의 운동 방향을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트 노즐의 수평방향 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핸들 바아에 연계된 벨 크랭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수단은 이중 스티어링 수단과,
    상기 선체의 전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선체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티어링 칼럼 튜브와,
    상기 핸들 바아로부터 상기 선체를 통과하여, 전방 스키와 견고히 결합되어 종결되며, 상기 스키와 상기 핸들 바아가 동시에 회전하도록하는 스티어링 축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제트 노즐과,
    전진 동안 상기 제트 노즐이 상기 전방 스키와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수상크래프트를 선회시키도록 상기 제트 노즐과 상기 핸들 바아를 상호 결합시키는 케이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키는 내부에 물흡입구를 갖는 라운드형 전단부를 형성하는 테이퍼진 전방부를 각각 구비하는 굴곡형 상부 및 바닥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들이 중공형 내부 물 밸러스트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물 흡입구는 상기 물 밸러스트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스키의 후방에 물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키는 상기 크래프트가 정지해 있을 때 상기 물 흡입구에서 물을 흡입하여 상기 밸러스트 챔버를 채워 상기 크래프트가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게 하고, 상기 크래프트가 전진할 때 상기 밸러스트 챔버로부터 상기 후방 배출구로 물을 배출하여 상기 스키가 공기로 채워지며, 부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 크래프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추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제트 노즐의 구멍 사이즈를 다양하게 하는 제한 수단과,
    상기 탑승자에 의해 상기 추력을 제어하는 상기 스티어링 수단의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수단은 물이 통과되는 통로를 열거나 닫기 위해 상기 제트 물 추진의 경로를 가로지르는 조정가능한 셔터와,
    상기 스티어링 수단으로부터 상기 노즐 셔터까지 연장된 케이블 수단을 갖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스커트 각각은 중공형 상부와, 상기 선체의 일 측면 둘레에 부합되는 윤곽선을 가진 내면을 구비한 긴 중공형 부재와, 상기 다른 측면의 스커트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선체에 결합되었을 때 물 밸러스트 챔버를 한정하도록 상승된 윤곽선을 가진 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된 윤곽선을 가진 후부의 후방 단부와 상기 스커트의 후방 단부에서 물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스커트의 전방에 물 흡입 공기 배출 개구를 가지며, 상기 스커트는 상대적으로 매끄러운 테이퍼형 표면의 외부를 가지고, 그 길이를 따라 상기 상승된 윤곽선을 가진 후부와 결합됨으로써 형성된 후방 챔버와 소통하는 물 밸러스트 챔버를 형성하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각 스커트는 크래프트가 정지 상태일 때 물 흡입구에서 물을 받아들이거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양쪽 물 밸러스트 챔버를 채워 상기 크래프트가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게 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크래프트의 전진 이동이 상기 물이 상기 챔버로부터 두 개의 배출구를 외측으로 배출되게하여 상기 스커트가 공기로 채워져서 부양력을 가지게 되고, 그래서, 상기 선체가 전진 이동시 물 중량의 제한을 받지 않고 물 밖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키는 내부에 물흡입구를 갖는 라운드형 전단부를 형성하는 테이퍼진 전방부를 각각 구비하는 굴곡형 상부 및 바닥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들이 중공형 내부 물 밸러스트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물 흡입구는 상기 물 밸러스트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스키의 후방에 물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키는 상기 크래프트가 정지해 있을 때 상기 물 흡입구에서 물을 흡입하여 상기 밸러스트 챔버를 채워 상기 크래프트가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게 하고, 상기 크래프트가 전진할 때 상기 밸러스트 챔버로부터 상기 후방 배출구로 물을 배출하여 상기 스키가 공기로 채워지며, 부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 크래프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스키 및 스커트가 물로 채워졌을 때, 상기 수상크래프트는 수상크래프트의 총 높이의 2/3 이하로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게되어 안정화되고,
    상기 스커트는 상대적으로 낮은 무게 중심으로 인해 탑승자가 상기 수상 크래프트에 탑승하여 발을 상기 스커트상에 올린 상태로 위치를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지점으로 물에 잠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키는 스키의 바닥에서 하향 및 외향으로 돌출하여 수상에서의 선회 도중에 방향 안정성을 제공하여 크래프트의 측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쌍의 경사진 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 스커트 부재의 긴 외부 형상에 각각 부합되는 한쌍의 제 2 측부 스커트가 상기 선체의 외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측부 스커트 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크래프트의 측방향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크래프트의 측방향 티핑(tipping)을 제어하고,
    상기 각 제 2 스커트는 물로 채워질 수 있는 물 밸러스트 챔버를 구비하여 측방향 안정성의 향상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프트의 빔은 약 60.96cm(24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15. 수면상에서 또는 수면 근방에서 탑승할 수 있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에 있어서,
    방수실과, 탑승자를 수용하도록 사용되는 그 상부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에 대항한 외부 바닥판을 포함하는 주 선체와,
    배출 시스템과, 상기 방수실내의 모든 배출 시스템내에 결합된 머플러를 포함하는 외부 바닥판에 인접하게 장착된 내연 기관과,
    상기 바닥판을 통해 형성된 물 흡입구와, 상기 물 흡입구와 소통하여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환형 물 채널과,
    상기 물 채널에서 상기 기관의 후방에서 판에 장착된 잠수식 물 제트 펌프와 상기 기관 및 제트 펌프에 연결되어 펌프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후방에서 제트 펌프와 일렬로 연계되어서 빠른 속도로 물을 수령하여 제트 노즐로부터 배출된 물이 크래프트의 전진 이동을 일으키게하는 스티어링 제트 노즐과,
    탑승자가 상기 크래프트에 탑승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크래프트가 정지해 있을 때 물로 채워져 상기 크래프트가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게하고, 상기 크래프트의 전진시 그로부터 물을 배출하여 상기 크래프트가 수면상 또는 수면 근방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밸러스트 캐비티를 포함하는, 상기 주 선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전방 스키 부재와,
    안정성을 위해 선체 측면에 끼워지며 탑승자를 위한 발판으로서 작용하고, 또 크래프트를 탑승하기 용이하도록 크래프트를 부분적으로 잠수시키는데 도움을주기 위해 크래프트가 정지해 있을 때 물로 채워질 수 있으며 또한 크래프트의 전진 이동시 물을 배출하여 수면상 또는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크래프트가 주행하게 하는 밸러스트 캐비티 수단을 포함하는 한쌍의 제 1 측면 스커트 수단과,
    수상크래프트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탑승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 바아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 크래프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수단은 상기 핸들 바아로부터 상기 선체를 통해서 상기 전방 스키와 고정 결합되어 종결되는 스티어링 축을 포함하고, 그래서, 상기 핸들 바아의 회전이 상기 핸들 바아의 회전에 대한 방향으로 상기 전방 스키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수단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제트 노즐과,
    상기 제트 노즐이 상기 핸들 바아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수상 크래프트를 지향시키도록 상기 제트 노즐과 상기 핸들 바아를 결합하는 케이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단은 상기 케이블의 운동 방향을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트 노즐의 수평방향 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핸들 바아에 연계된 벨 크랭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수단은 이중 스티어링 수단과,
    상기 선체의 전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선체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티어링 칼럼 튜브와,
    상기 핸들 바아로부터 상기 선체를 통과하여, 전방 스키와 견고히 결합되어 종결되며, 상기 스키와 상기 핸들 바아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축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제트 노즐과,
    전진 동안 상기 제트 노즐이 상기 전방 스키와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수상크래프트를 선회시키도록 상기 제트 노즐과 상기 핸들 바아를 상호 결합시키는 케이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스커트 각각은 중공형 상부와, 상기 선체의 일측면 둘레에 부합되는 윤곽선을 가진 내면을 구비한 긴 중공형 부재와, 상기 다른 측면의 스커트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선체에 결합되었을 때 물 밸러스트 챔버를 한정하도록 상승된 윤곽선을 가진 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된 윤곽선을 가진 후부의 후방 단부와 상기 스커트의 후방 단부에서 물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스커트의 전방에 물 흡입 공기 배출 개구를 가지며,
    상기 스커트는 상대적으로 매끄러운 외부 테이퍼형 표면을 가지고, 그 길이를 따라 상기 상승된 윤곽선을 가진 후부와 결합됨으로써 형성된 후방 챔버와 소통하는 물 밸러스트 챔버를 형성하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각 스커트는 크래프트가 정지 상태일 때 물 흡입구에서 물을 받아들이거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양쪽 물 밸러스트 챔버를 채워 상기 크래프트가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게 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크래프트의 전진 이동이 상기 물이 상기 챔버로부터 두 개의 배출구를 외측으로 배출되게하여 상기 스커트가 공기로 채워져서 부양력을 가지게 되고, 그래서, 상기 선체가 전진 이동시 물 밖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21. 제 20 항에 있어서, 내부에 물흡입구를 갖는 라운드형 전단부를 형성하는 테이퍼진 전방부를 각각 구비하는 굴곡형 상부 및 바닥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들이 중공형 내부 물 밸러스트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물 흡입구는 상기 물 밸러스트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스키의 후방에 물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키는 상기 크래프트가 정지해 있을 때 상기 물 흡입구에서 물을 흡입하여 상기 밸러스트 챔버를 채워 상기 크래프트가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게 하고, 상기 크래프트가 전진할 때 상기 밸러스트 챔버로부터 상기 후방 배출구로 물을 배출하여 상기 스키가 공기로 채워지며, 부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 크래프트.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 및 스커트가 물로 채워졌을 때, 상기 수상크래프트는 수상크래프트의 총 높이의 2/3 이하로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게되어 안정화되고,
    상기 스커트는 상대적으로 낮은 무게 중심으로 인해 탑승자가 상기 수상 크래프트에 탑승하여 발을 상기 스커트상에 올린 상태로 위치를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지점으로 물에 잠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 스커트 부재의 긴 외부 형상에 각각 부합되는 한쌍의 제 2 측부 스커트가 상기 선체의 외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측부 스커트 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크래프트의 측방향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크래프트의 측방향 티핑을 제어하고,
    상기 각 제 2 스커트는 물로 채워질 수 있는 물 밸러스트 챔버를 구비하여 측방향 안정성의 향상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프트의 빔은 약 60.96cm(24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흡입부는 상기 바닥판의 전체 폭의 약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제트 동력식 수상크래프트.
KR1019960707295A 1995-04-17 1995-10-10 물제트 동력식 수상 크래프트 KR100414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22,898 US5520133A (en) 1995-04-17 1995-04-17 Water jet powered watercraft
US422,898 1995-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4600B1 true KR100414600B1 (ko) 2004-04-03

Family

ID=2367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7295A KR100414600B1 (ko) 1995-04-17 1995-10-10 물제트 동력식 수상 크래프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520133A (ko)
EP (1) EP0764111B1 (ko)
JP (1) JP3662590B2 (ko)
KR (1) KR100414600B1 (ko)
AT (1) ATE238946T1 (ko)
AU (1) AU695489B2 (ko)
BR (1) BR9508703A (ko)
CA (1) CA2193216C (ko)
DE (1) DE69530585T2 (ko)
ES (1) ES2202381T3 (ko)
WO (1) WO1996033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4762B1 (en) 1997-10-27 2002-04-23 Correct Craft, Inc. Water sport towing apparatus
USRE37823E1 (en) 1997-10-27 2002-09-03 Correct Craft, Inc. Water sport towing apparatus and method
US6192819B1 (en) 1997-10-27 2001-02-27 Correct Craft, Inc. Water sport towing apparatus
US5979350A (en) * 1998-03-09 1999-11-09 Correct Craft, Inc. Water sport towing apparatus and method
US6044788A (en) * 1998-03-09 2000-04-04 Correct Craft, Inc. Water sports performance system and method
US6178905B1 (en) 1998-08-19 2001-01-30 Waveblade Corporation Personal hydrofoil water craft
US6071156A (en) * 1998-10-30 2000-06-06 Bird-Johnson Company Surface vessel with a fully submerged waterjet propulsion system
US6152792A (en) * 1999-03-09 2000-11-28 Bird-Johnson Company Steering and reversing apparatus for waterjet propulsion systems
US6675730B2 (en) 2000-02-04 2004-01-13 Bombardier Inc. Personal watercraft having off-power steering system
US6523489B2 (en) 2000-02-04 2003-02-25 Bombardier Inc. Personal watercraft and off-power steering system for a personal watercraft
US6422168B1 (en) * 2000-06-26 2002-07-23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porting water vehicle
JP3901630B2 (ja) * 2002-12-04 2007-04-0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水ジェット推進艇の運転制御装置
JP2004360651A (ja) * 2003-06-06 2004-12-24 Yamaha Marine Co Ltd 水ジェット推進艇の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JP2005009388A (ja) * 2003-06-18 2005-01-13 Yamaha Marine Co Ltd 水ジェット推進艇の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JP4420738B2 (ja) * 2004-05-24 2010-02-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水ジェット推進艇の速度制御装置
US7337739B2 (en) * 2004-06-07 2008-03-04 Yamaha Marine Kabushiki Kaisha Steering-force detection device for steering handle of vehicle
US7430466B2 (en) 2004-06-07 2008-09-30 Yamaha Marine Kabushiki Kaisha Steering force detection device for steering handle of vehicle
JP2006008044A (ja) * 2004-06-29 2006-01-12 Yamaha Marine Co Ltd 水ジェット推進艇の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JP2006194169A (ja) 2005-01-14 2006-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6199136A (ja) * 2005-01-20 2006-08-03 Yamaha Marine Co Ltd 滑走艇の運転制御装置
JP2006200442A (ja) * 2005-01-20 2006-08-03 Yamaha Marine Co Ltd 小型船舶の運転制御装置
US7513807B2 (en) * 2005-01-20 2009-04-07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planing boat
JP2007314084A (ja) * 2006-05-26 2007-12-06 Yamaha Marine Co Ltd 滑走艇の運転制御装置
US7856937B2 (en) * 2008-03-26 2010-12-28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Personal watercraft ballast
US8132524B2 (en) * 2008-12-03 2012-03-13 Fred Pereira Personal watercraft with reactive suspension and an integrated braking and steering system
US8718842B2 (en) * 2008-12-03 2014-05-06 Fred Pereira Hydroplaning vessel with reactive suspension and integrated braking, steering system
US8146524B1 (en) * 2009-10-30 2012-04-03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Sea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US8171874B2 (en) 2010-02-26 2012-05-08 Malibu Boats, Llc Wake tower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US8555801B1 (en) 2011-01-31 2013-10-15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Watercraft helm support structure and deck
US9302757B2 (en) * 2011-09-28 2016-04-05 Fred Pereira Split outer hull hydroplaning vessel with a reactive suspension and integrated braking and steering system
AU2013251509B2 (en) * 2012-04-25 2016-10-20 Bomboard Llc Modular personal watercraft
US9145206B1 (en) 2013-10-30 2015-09-29 Brandon Robinson Water propelled flying board
US9422038B2 (en) * 2014-06-27 2016-08-23 Christopher Morgan Rowden Submersi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US9555863B2 (en) 2014-06-27 2017-01-31 Flydive, Inc. Easy maintenance flying board
US10011327B2 (en) * 2016-07-27 2018-07-03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Watercraft
US20210284308A1 (en) * 2020-03-10 2021-09-16 Collin Ashley Schmidt Watercraft and method of propulsion of a watercraft
FR3120349A1 (fr) * 2021-03-02 2022-09-09 Simon GIMENEZ Embarcation motorisée à propulsion électrique subaquatiqu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0409A (en) * 1956-08-27 1960-06-14 Floyd L Chaffee Watercraft
US3756189A (en) * 1971-03-02 1973-09-04 L Yutzler Water vehicle
US3948206A (en) * 1974-09-06 1976-04-06 Still Water Properties, N.V. Jet powered watercraft
US4030443A (en) * 1976-03-29 1977-06-21 Price Donald C Sports watercraft
CA1082050A (en) * 1976-04-30 1980-07-22 Nelson Tyler Water ski
JPS55142395U (ko) * 1979-03-29 1980-10-11
US4775341A (en) * 1986-07-09 1988-10-04 Wetco Industries Foil system for jet propelled aquatic vehicle
JPH0420717Y2 (ko) * 1987-01-16 1992-05-12
US5050517A (en) * 1988-10-21 1991-09-24 Yamaha Hatsudoke Kabushiki Kaisha Small sized jet propulsion boat
JP2731560B2 (ja) * 1988-12-19 1998-03-2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小型ジェット推進艇の操舵装置
US5060591A (en) * 1990-04-23 1991-10-29 Richard Ciavarra Sailboat
US5150662A (en) * 1991-04-12 1992-09-29 Boyd James A Snowmobile flotation system
US5184564A (en) * 1992-03-25 1993-02-09 Team Scarab, Inc. Boat for personal waterc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38946T1 (de) 2003-05-15
CA2193216A1 (en) 1996-10-24
DE69530585D1 (de) 2003-06-05
JPH10505308A (ja) 1998-05-26
US5520133A (en) 1996-05-28
DE69530585T2 (de) 2004-04-08
WO1996033091A1 (en) 1996-10-24
CA2193216C (en) 2006-08-15
JP3662590B2 (ja) 2005-06-22
AU695489B2 (en) 1998-08-13
AU3997995A (en) 1996-11-07
BR9508703A (pt) 1997-08-12
EP0764111A4 (en) 1999-05-06
EP0764111A1 (en) 1997-03-26
ES2202381T3 (es) 2004-04-01
EP0764111B1 (en) 200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600B1 (ko) 물제트 동력식 수상 크래프트
US6178905B1 (en) Personal hydrofoil water craft
US3948206A (en) Jet powered watercraft
CA2354798C (en) Boat activated wake enhancement method and system
KR100293301B1 (ko) 고성능동력수상스키
EP0361149B1 (en) Jet propulsion small boat
JP2666139B2 (ja) 小型滑走艇
JPS5943355B2 (ja) 小型高速舟艇の安定用補助フロ−ト装置
US7856937B2 (en) Personal watercraft ballast
US8480444B2 (en) Rotary engine jet boat
EP3915867A1 (en) Deck extender for watercraft
EP0155939A1 (en) Watercraft stabilizing floatation structure
US5401197A (en) Hull
US3463116A (en) Self-propelled water skimmers
US4781141A (en) Personal water craft with improved hull design
US4548148A (en) Glass bottom boat
US20020124783A1 (en) Personal hydrofoil water craft
CN2776838Y (zh) 喷射式水上摩托艇
US4744325A (en) Engine compartment and steering arrangement layout for a small watercraft
JPH06191466A (ja) 滑走艇の船体構造
JP3176632B2 (ja) 高性能モータ水上スキー
WO2021051092A1 (en) Inflatable floating wave system
WO1988003109A1 (en) Recreational water vehicle
US11180225B2 (en) Water supply and storage system for water vessel
JP2001287693A (ja) 滑走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