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199B1 -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199B1
KR100414199B1 KR10-2001-0000616A KR20010000616A KR100414199B1 KR 100414199 B1 KR100414199 B1 KR 100414199B1 KR 20010000616 A KR20010000616 A KR 20010000616A KR 100414199 B1 KR100414199 B1 KR 10041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ching
silicon wafer
pattern
wet etching
e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532A (ko
Inventor
김덕봉
장우혁
조성제
김은지
김승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랜텍
Priority to KR10-2001-000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19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eting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은, 구조물의 모양을 다양하게 하고, 돌출된 볼록 코너를 가지는 구조물의 (111)면이 침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실리콘 웨이퍼의 식각될 영역 상의 소정영역에 식각 방지 패턴을 형성한 다음 실리콘 웨이퍼를 식각액에 노출시킴으로써 실리콘 웨이퍼를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각 공정 종료 직전 또는 식각 공정 종료시에 사라지게 되는 식각 방지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여러 가지 공정 또는 반복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고 저렴하게 복잡한 모양이나 다양한 식각 깊이를 갖는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고, 제조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형태를 정확하게 구현함으로써 실리콘 구조물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Method of fabricating a structure of silicon wafer using wet etching}
본 발명은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식각 방지 패턴을 이용하여 복잡한 모양의 구조물을 용이하게 제조하고 다양한 식각 깊이를 갖는 구조물을 한번의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은 그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반도체 분야를 비롯한 각종 분야에서 기본적인 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성장축이 100인 실리콘 웨이퍼의 (100)면과 (111)면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하여 특수한 각을 가지는 식각면을 얻을 수 있는 실리콘 습식 식각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마이크로 머시닝(Micro Elecro-Mechanical Systems, MEMS)이나 광소자(Optic device)분야 등에서도 실리콘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실리콘의 습식 식각은 식각 속도가 빠르고 식각 면의 표면조도(Ra)가 수 nm (10-9m) 까지 조절되며, 실리콘의 결정구조에서 기인하는 특수한 각도의 식각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응용범위가 매우 넓고, 결정면 각각의 식각비를 이용하므로 단순한 직사각형 모양이나 깊은 깊이의 식각에 용이하다. 하지만, 복잡한 모양이나 다양한 깊이가 있는 구조물을 제작하기에는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다. 일반적으로돌충출된 볼록 코너(Convex Corner)가 존재하는 구조물은 보상 패턴(Compensation Pattern)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여러 가지 깊이를 갖는 구조물은 여러 번의 반복되는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실리콘 웨이퍼의 습식 식각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들로서, 도 1의 (a)는 식각 너비가 각각 다르도록 습식 식각한 것이고, 도 1의 (b)는 식각 깊이가 각각 다르도록 습식 식각한 것이다. 이때, 도 1 내지 도 7에서 식각된 바닥면은(100)면이고, 경사진 측면은 (111)면이며, 화살표는 공정의 진행을 나타낸다.
실리콘 웨이퍼의 습식 식각은 실리콘 웨이퍼의 (100)면에 식각 마스크인 SiO2또는 SiNx 등을 증착한 다음 습식 식각을 위해 미리 설정된 너비만큼의 마스크를 제거한 후에, 실리콘 웨이퍼를 식각액에 노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실리콘 웨이퍼를 습식 식각하게 되면 (100)면은 빠른 속도로 식각이 되고, (111)면은 매우 느리게 식각되는 데 이 때, 실리콘 웨이퍼의 (100)면과 (111)면의 식각 속도는 약 수십에서 100배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식각 마스크가 적게 제거됨으로써 식각액에 대하여 노출이 적은 영역(A)에서는 (111)면으로 이루어진 식각면이 견고한 식각 중지(Etch-Stop)벽을 이루게 되어 V자 홈(V-groove)을 형성하므로 깊이 방향으로 계속해서 식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식각액의 노출이 많은 영역(B)에서는 (100)면의 식각으로 깊이 방향의 식각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여러 가지의 깊이를 갖도록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식각 마스크의 식각 공정과 실리콘 웨이퍼의 식각 공정을 반복하여야 하며, 미도시 되었지만 통상 식각 방지막으로 사용되는 포토 레지스트 패턴 공정이 수 차례 반복 실행되게 된다.
도 2는 실리콘 웨이퍼의 습식 식각으로 제조된 구조물에서 볼록 코너 및 오목(Concave Corner) 코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11)면으로 구성된 식각면들이 서로 교차함으로써 형성된 교차각이 위쪽에서 내려다보았을 경우에 90도를 이루는 코너(C)가 오목 코너이고, 교차각이 270도를 이루는 코너(D)가 볼록 코너이다.
도 3은 도 2의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습식 식각 공정을 실시하였을 경우에 볼록 코너 및 오목 코너에서의 식각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3에서 굵은 실선은 (111)면이고, 작은 정사각형은 (111)면에 존재하는 실리콘 원자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리콘 웨이퍼의 (111)면에서는 도 3의 (a)와 같이 원자층이 하나씩 순서대로 식각되지 않고 도 3의 (b)와 같이 삐뚤어지면서 식각되는 킹크(Kink)가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원자가 붙거나, 반대로 떨어지는 증착과 식각의 메카니즘(Mechanism)에서 이론적으로 적은 에너지로 증착과 식각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오목 코너에서는 점선으로 표시된 킹크들을 연결한 새로운 결정면들이 생기기는 하지만, 식각이 진행되면서 계속적으로 (111)면의 식각 방지 효과를 받게 되어 (111)면의 교차의 의한 코너(C)는 계속해서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도 3의 (d)를 참조하면, 볼록 코너에서는 역시 킹크들을 연결한 점선으로 나타낸 새로운 결정면들이 생김으로써 빠른 속도로 식각이 진행되어 (111)면의 식각 방지벽을 계속적으로 잠식하고 있다. 즉 실리콘 구조물을 습식 식각할 때, 볼록 코너에서는 습식 식각이 진행이 되면서 의도하던 바와는 달리 식각액의 식각을 받아서 (111)면의 교차에 의한 코너(D)가 그 형체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볼록 코너를 원하는 모양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식각 마스크에 보상 패턴을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볼록 코너를 보강시키고 있다.
도 4는 보상 패턴을 형성시킨 다음에 습식 식각을 진행하였을 경우의 식각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볼록 코너를 원하는 모양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식각 마스크에 보상 패턴을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볼록 코너를 보강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하지만 보상 패턴을 이용하는 경우에, 구조물의 모델이 바뀌면 보상 패턴의 형태가 다르게 되므로 사전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보상 패턴의 형태를 찾는 공정을 거쳐야 하며, 얻고자 하는 구조물의 모양이 복잡하거나 좁은 영역에서는 보상 패턴의 사용이 어렵게 된다.
특히, 도 1의 (b)와 같이 다양한 깊이를 가지는 복잡한 모양의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에도 역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최적의 보상 패턴을 찾아야 하므로고가의 실리콘 웨이퍼 습식 식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야 하며, 여러 번의 시행 착오를 거치게 되고, 식각 공정을 반복 실행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공정 또는 반복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고 저렴하게 복잡한 모양이나 다양한 식각 깊이를 갖는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실리콘 웨이퍼의 습식 식각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들;
도 2는 실리콘 웨이퍼의 습식 식각으로 제조된 구조물에서 볼록 코너 및 오목 코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도 2의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습식 식각 공정을 실시하였을 경우에 볼록 코너 및 오목 코너에서의 식각되는 현상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
도 4는 보상 패턴을 형성시킨 다음에 습식 식각을 진행하였을 경우의 식각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들;
도 5는 종래의 습식 식각 진행 과정과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식각 진행 과정을 비교한 개략도들;
도 6은 각각 다른 식각 깊이를 가지는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각 방지 패턴을 적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들; 및
도 7은 종래의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구조물과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구조물을 비교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은: 구조물의 모양을 다양하게 하고, 돌출된 볼록 코너를 가지는 상기 구조물의 (111)면이 침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실리콘 웨이퍼의 식각될 영역 상의 소정영역에 식각 방지 패턴을 복수 개 형성한 다음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식각액에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식각하되, 상기 구조물의 식각 깊이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구조물의 식각 깊이가 높은 경우보다 상기 식각 방지 패턴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식각 방지 패턴이 적어도 식각 공정 종료시까지는 소멸되도록 상기 식각 방지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습식 식각 진행 과정과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식각 진행 과정을 비교한 개략도들로서, 도 5의 (a)는 식각 마스크만을 형성하여 습식 식각하였을경우의 식각 진행을 나타낸 개략도들이고, 도 5의 (b)는 식각 방지 패턴을 형성한 다음 습식 식각 하였을 경우의 식각 진행을 나타낸 개략도들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습식 식각이 진행되면서 (100)면은 식각이 빠르게 진행이 되어 아래쪽으로는 깊게 식각이 되지만, (111)면은 매우 느리게 식각이 되어 식각 마스크 밑으로 약간의 언더 컷(Under Cut)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도 5의 (b)를 참조하면, 식각 방지 패턴 사이에서는 (100)면은 빠르게 식각되지만 (111)면은 느리게 진행되므로 V자 홈이 형성되어 깊이 방향으로는 식각이 중지되게 된다. 따라서, 식각 방지 패턴을 사용하여 식각한 경우의 식각 깊이는 식각 마스크만을 사용하여 식각한 경우의 식각 깊이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느린 속도이기는 하지만 (111)면의 식각이 진행되면 식각 방지 패턴이 점점 줄어들어서 결국은 식각 방지 패턴이 식각액의 침투를 받아 사라지게 된다. 한편, 식각 방지 패턴의 재질은 식각 마스크와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다르게 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식각 방지 패턴의 형상을 선형으로 하였을 경우에 식각 종료 직전 또는 식각 종료시에 식각 방지 패턴이 없어지게 하기 위한 식각 방지 패턴의 폭(Wp)은 (100)면과 (111)면의 식각 속도비를 이용한 후술되는 수학식 1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Wp는 식각 방지 패턴의 폭이고, R111는 (111)면의 식각 속도, R100은 (100)면의 식각 속도, D는 종래 식각 마스크만을 사용한 식각 공정에 따른 최종 식각 깊이이며, h는 식각 방지 패턴을 형성한 뒤에 식각하였을 경우에 형성되는 V자 홈의 깊이이고, α는 공정 변수로서 공정 온도, 식각액의 종류, 및 식각액의 농도 등에 따라서 변화한다.
수학식 1에서,는 습식 식각 공정 중 (111)면의 식각 폭이고, 곱하기 2는 식각 방지 패턴의 양쪽에서 (111)면의 식각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변의 첫째항을 식각 방지 패턴의 폭으로 정하면 뾰족한 산 즉, V자 홈의 형태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에서는 식각 방지 패턴의 흔적을 완전히 사라지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런데 이 소요 시간은 식각 방지 패턴에 의해 형성된 V자 홈의 깊이가 깊을수록 오래 걸리므로 식각 방지 패턴의 폭을 (α×h)만큼 줄여야 한다.
예를 들어, (100)면과 (111)면의 식각비가 70:1이고, (100)면의 식각 깊이가 140㎛라고 가정을 하면 (100)면을 140㎛ 깊이로 식각을 하는 동안 (111)면이 2㎛ 식각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식각 방지 패턴의 폭은 4㎛ 이하 즉, 4㎛-(α×h)로 결정된다.
도 6은 각각 다른 식각 깊이를 가지는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각 방지 패턴을 적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식각 깊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에는식각 깊이가 가장 낮은 영역(E)에서는 식각 방지 패턴 간의 간격(x)을 좁혀서 촘촘하게 형성하고 식각 깊이가 중간 정도인 영역(F)에서는 식각 방지 패턴 간의 간격(x')을 식각 깊이가 가장 낮은 영역(E)보다 식각 방지 패턴 간의 간격을 약간 늘려서 형성한다. 이것은 식각 방지 패턴 간의 간격(x 또는 x')이 좁을수록 V자 홈이 적게 형성되므로 결과적으로 식각 깊이가 낮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 때, 식각 깊이를 중간 정도로 형성하기 위한 식각 방지 패턴 간의 간격(x')은 식각 방지 패턴없이 식각 마스크만으로 이루어진 영역(G)에 형성된 간격(x'')보다 작아야 한다.
이와 같이, 식각 방지 패턴의 간격을 이용하여 식각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식각의 높이가 각각 다른 복잡한 구조물도 단 한번의 습식 식각 만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도 7은 종래의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구조물과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구조물을 비교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7에서 (a)는 제조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형상이고, (b)는 (a)의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식각 마스크의 패턴만을 형성하여 습식 식각한 것이며 (c)는 (b)의 식각 마스크 패턴과 보상 패턴을 형성하여 습식 식각한 것이고, (d)는 (b)의 식각 마스크 패턴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각 방지 패턴을 형성하여 습식 식각한 것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구조물에는 돌출된 볼록 코너가 존재한다.
도 7의 (b)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물을 참조하면, 도 6(a)의 돌출된 볼록 코너는 식각액의 침투로 인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형태로 제조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c)를 참조하면, 시뮬레이션에 의한 보상 패턴을 넣은 경우에는 구조물의 형태가 어느 정도 제조하고자 하는 형태를 얻을 수 있으나 최적의 보상 패턴을 얻기 위해 많은 시행 착오를 거쳐야만 한다.
하지만 도 7의 (d)에 의하면, 식각 방지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도 7의 (a)와 동일한 형태의 구조물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에 의하면, 식각 공정 종료 직전 또는 식각 공정 종료시에 사라지게 되는 식각 방지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공정 또는 반복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고 저렴하게 복잡한 모양이나 다양한 식각 깊이를 갖는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조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형태를 정확하게 구현함으로써 실리콘 구조물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4)

  1.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모양을 다양하게 하고, 돌출된 볼록 코너를 가지는 상기 구조물의 (111)면이 침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실리콘 웨이퍼의 식각될 영역 상의 소정영역에 식각 방지 패턴을 복수 개 형성한 다음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식각액에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식각하되,
    상기 구조물의 식각 깊이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구조물의 식각 깊이가 높은 경우보다 상기 식각 방지 패턴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방지 패턴이 적어도 식각 공정 종료시까지는 소멸되도록 상기 식각 방지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방지 패턴의 형상을 선형으로 하였을 경우에 상기 식각 방지 패턴의 폭은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 여기서, Wp는 식각 방지 패턴의 폭이고, R111는 (111)면의 식각 속도, R100은 (100)면의 식각 속도, D는 종래의 식각 공정에 따른 최종 식각 깊이이며, h는 식각 방지 패턴을 형성한 뒤에 식각하였을 경우에 형성되는 V자 홈의 깊이, α는 공정 변수이다.
  4. 삭제
KR10-2001-0000616A 2001-01-05 2001-01-05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 KR10041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616A KR100414199B1 (ko) 2001-01-05 2001-01-05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616A KR100414199B1 (ko) 2001-01-05 2001-01-05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532A KR20020057532A (ko) 2002-07-11
KR100414199B1 true KR100414199B1 (ko) 2004-01-07

Family

ID=2769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616A KR100414199B1 (ko) 2001-01-05 2001-01-05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851B1 (ko) * 2019-03-12 2021-01-26 주식회사 에프에스티 미세 금속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초극자외선 리소그라피용 펠리클의 제조방법
KR102288534B1 (ko) * 2019-10-15 2021-08-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선택적 액적 흐름 표면 및 이의 제작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8980A (en) * 1977-12-07 1979-06-23 Hitachi Ltd Anisotropic etching method
JPS57130433A (en) * 1981-02-04 1982-08-12 Nec Corp Manufacture of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thin film
JPS5898927A (ja) * 1981-12-09 1983-06-13 Hitachi Ltd シリコン基板のエツチング方法
KR940004777A (ko) * 1992-08-24 1994-03-16 김광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JPH06163511A (ja) * 1992-11-19 1994-06-10 Toyota Motor Corp エッチングマスクパターンとこのエッチングマスクパターンを用いた微細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03107A (ko) * 1997-06-24 1999-01-15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습식 식각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8980A (en) * 1977-12-07 1979-06-23 Hitachi Ltd Anisotropic etching method
JPS57130433A (en) * 1981-02-04 1982-08-12 Nec Corp Manufacture of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thin film
JPS5898927A (ja) * 1981-12-09 1983-06-13 Hitachi Ltd シリコン基板のエツチング方法
KR940004777A (ko) * 1992-08-24 1994-03-16 김광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JPH06163511A (ja) * 1992-11-19 1994-06-10 Toyota Motor Corp エッチングマスクパターンとこのエッチングマスクパターンを用いた微細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03107A (ko) * 1997-06-24 1999-01-15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습식 식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532A (ko)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8841A (en) Two-level lithographic mask for producing tapered depth
US4808260A (en) Directional aperture etched in silicon
US6366392B1 (en) Photonic crystal
US5338400A (en) Micromachining process for making perfect exterior corner in an etchable substrate
EP0676092A1 (en) Periodic dielectric structure for production of photonic band gap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US20050153247A1 (en) Method of making multilevel MEMS structures
JP5078058B2 (ja) モールド及びモールドの作製方法
US5259925A (en) Method of clean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US7158701B2 (en) Method for making optical devices with a moving mask and optical devices made thereby
KR100414199B1 (ko) 습식 식각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의 구조물 제조방법
US20050231802A1 (en) Birefringence optic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086774A (en) Method of making released micromachined structures by directional etching
US20080283487A1 (en) Proces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photonic crystal and the three-dimensional photonic crystal
JPH06169135A (ja) 矩形状光部品の位置決め構造
JP2006313300A (ja) プリズムの製造方法
WO2015161808A1 (en) A method of manufacture of micro components, and components formed by such a process
JPS6314322B2 (ko)
JPH06232112A (ja) シリコンの微細加工方法
KR100283338B1 (ko) 실리콘웨이퍼의패턴가공을위한박막가공방법및장치
KR20030071899A (ko) 건식 식각 방법을 이용한 웨이브 가이드 홈 제작 방법
JPS63281488A (ja) 光学部品の製造方法
JP3944585B2 (ja) ドライエッチングによる垂直面作製方法
KR100310943B1 (ko) 초전도 소자의 포토리소그라피 방법
JP2006222378A (ja) ステンシル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2041507A2 (en) Two-level u-shaped groov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