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964B1 - 강활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그의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강활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그의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964B1
KR100413964B1 KR10-2000-0058681A KR20000058681A KR100413964B1 KR 100413964 B1 KR100413964 B1 KR 100413964B1 KR 20000058681 A KR20000058681 A KR 20000058681A KR 100413964 B1 KR100413964 B1 KR 10041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sition
effective amount
extract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905A (ko
Inventor
김경호
마응천
조명행
김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Priority to KR10-2000-005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9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활(Angelica koreanaMax)로부터 암예방물질들을 분리·정제하는 방법과 이를 통해 획득된 성분물질의 암예방 작용기전 관련 효소, 종양을 화학적으로 유발시킨 조직의 배양 및 암유발 동물 모델에 대한 암예방 효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으로부터 추출된 활성 분획물 및 분리된 순수물질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암, 위암, 결장암, 유방암과 관련된 암예방 및 치료용 제제 또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강활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그의 분리 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COMPRISING ISOLATED COMPOUNDS AND EXTRACTS FROM ANGELICA KOREANA MAX AND ISOLAT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강활(Angelica koreanaMAX)로부터 얻은 각종 암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분획 추출물 및 이의 활성성분을 분리·정제하는 방법 및 상기 추출물 또는 활성성분들을 포함하는 항암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인류가 해결해야될 난치병 중의 하나로 전세계적으로 이를 치유하기 위한 치료제의 개발에 막대한 자본이 투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암은 그 유발원인이 다양하여 치료제의 개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치료제의 효과 또한 각기 다르다. 또한 현재 치료제로 사용되는 물질들은 상당한 독성을 지니고 있으며,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암의 발생 후 이를 치료하는 대응방법보다는 암의 발생을 미리 방지하는 암예방(chemoprevention)이 암을 정복한다는 대전제 하에서 훨씬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암의 예방을 위해서는 암발생의 여러 기전을 효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전이되는 과정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발암기전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회복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물질은 단기 또는 장기 독성이 없어야하며, 복용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해야만 한다. 암의 발생은 매우 복잡하며 여러 단계에 의하여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발암의 작용기전을 이해하는 것이 암의 예방 및 치료에 쓰이는 약제의 개발이 가능하다. 이런 다단계 발암기전 (Multistage Carcinogenesis)은 이미 1947년 베렌블럼 (Berenblum) 등에 의해 마우스 피부를 이용한 2단계 발암기전을 이용한 실험모델로 그 개념이 정립되었다 (베렌블럼 등의 문헌[Br. J. Cancer,1: 379-382, 1947.(1)] 참고) 이런 2단계 모델은 암의 진행과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는 중요한 모델로 현재 이용되고 있으며, 제 1 단계는 발암(tumor initiation) 단계로 발암물질들에 의하여 직접 및 간접작용으로 세포내의 유전적 기작(genetic machinary)에 영향을 주는 비가역적인 과정으로 DNA와의 작용으로 세포내의 어떤 형태학적 변화가 수반되지 않으며 발암물질의 단 한번의 저농도 투여과정 만으로도 충분히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슬라가(Slagar) 등의 문헌[Cancer Res.,37: 3126-3131, 1977. 참조). 발암제(Tumor initiator)의 예는 벤조피렌(benzo(a) pyrene), 7,12-디메틸벤즈(a)안트라센(7,12-dimethylbenz (a)anthracene) 등이 있다. 제 2 단계는 암 촉진(tumor promotion) 단계로 발암에 의하여 생긴 주요 암세포가(dormant tumor cell) 어떤 자극에 의하여 암으로 진행되는 과정이다. 암촉진제(tumor promoter)는 일반적으로 발암물질은 아니며 발암제의 작용 후 계속적인 작용이 있어야만 하며, 그 예로는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13-아세테이트 (TPA)의 수용체인 프로테인 키나제(protein kinase) C (PKC)에 작용하는 TPA-형 암촉진제 (예: 포르볼 에스테르(phorbol esters), 텔레오시딘(teleocidin))와 비-TPA 형 암촉진제 (예: 오카다익 산(okadaic acid), 팔리톡신(palytoxin))가 있다. 암촉진제가 나타내는 생화학적 작용기전은 세포형태 변화, 혈소판 응집작용, 세포분열촉진, 세포간 교감억제, 염증작용촉진, 온코진(oncogene)과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의 작용촉진, PKC의 활성증가,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 ODC)의 활성유도 등이 있다.
보고되어진 암의 예방과 관련된 활성물질의 예는 β-카로텐 (수다(Suda) 등 문헌[Carcinogenesis,7: 711-715, 1986. 5]참조), 세셀린형 쿠마린(니시노(Nishino) 등의 문헌[Carcinogenesis,11: 1557-1561, 1990. 4] 참조), 강황(Curcuma longa)에서 분리된 쿠르쿠민(라오(Rao)등의 문헌Carcinogenesis,14: 2219-2225, 1993. 6] 참조), 파슬리(parsley)에서 분리된 미리스티신(myristicin) (젱(Zheng) 등의 문헌[Carcinogenesis,13: 1921-1923, 1992. 7] 참조), 녹차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릭산(카티야(Katiyar) 등의 문헌[Nutrition and Cancer, 18: 73-73, 1992. 12] 참조) 등이 있다.
배아(embryo)와 같이 빨리 증식하는 정상세포 혹은 종양의 세포조직에서 많은 양의 폴리아민이 함유되어 있으며 (페그(Pegg)의 문헌[Biochem. J., 234: 249-262, 1986. 13] 참조),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DC)는 세포의 증식 및 분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러셀(Russel)의 문헌[Drug. Metab. Rev., 16: 1-88, 1985. 14] 참조) 폴리아민의 생합성의 첫째 과정에 관여하여 DNA의 조절에 영향을 준다. ODC 활성의 증가와 그에 수반하는 폴리아민의 축적은 종양세포와 발암제에 의하여 종양화되는 과정의 세포에서 나타나며 (쟌느(Janne) 등의 문헌[Biochim Biophys. Acta, 473, 241-293, 1978. 15] 참조) 또한 화학적으로 변형된 세포에서는 정상세포와 비교시 계속적으로 효소활성이 증가되어 ODC의 변형이 정상적인 세포조정을 할 수 없게 한다 (오브라이언(O'Brien) 등의 문헌.[Proc. Natl. Acad. Sci. USA,84: 9448-9452, 1986. 16] 참조). 암촉진제에 의하여 일어나는 여러 생화학적 변화중 ODC 효소의 활성유도 및 푸트레신(putrescine)의 증가가 매우 현저하다. 이 효소의 유도된 활성은 암촉진제의 효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오브라이언(O'Brien)의 문헌Cancer Res., 36: 2644-2653, 1976. 17] 참조) 암 촉진(tumor promotion)에 의한 발암기전의 생표지제(biomarker)로 여겨진다 (리프만(Lippman) 등[J. Natl. Cancer Inst.," 82: 555-560, 1990. 18] 참조).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조직배양세포에서 변이나 억제제에 의하여 폴리아민의 생합성이 방해됨이 보고되었고 (페그(Pegg)의 문헌[Cancer Res.,48: 759-774, 1988. 19] 참조), ODC활성의 억제가 폴리아민의 양, DNA 합성 및 여러 조직에서의 발암기전을 억제함이 보고되었다 (톰슨(Thompson) 등의 문헌[J. Natl. Cancer Inst., 81: 839-843, 1989. 20] 참조). 이러한 발견은 폴리아민의 생합성 억제제가 악성종양을 포함한 여러 질병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고 여겨져 왔고 따라서 암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제의 개발에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ODC 효소의 억제제가 암의 예방 및 조절에 이용 될 수 있어서 현재 구미 각국에서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ODC 억제제는 크게 PLP 길항제, 경쟁적 저해제, 디아민 저해제, 기전-기초 저해제로 구별되며, 현재 잘 알려진 ODC 억제제는 오르니틴 유도체인 α-디플루오로메틸오르니틴(DFMO) 과 푸트레신 유도체인 (2R,5R)-6-헵틴-2,5-디아민(RR-MAP)이 있으며 실험동물에서 뮤린 매머리 사르코마(murine mammary sarcoma), 마우스 L1210 류케미아 등의 성장을 억제하였음이 보고되었다 (아벨로프(Abeloff) 등의 문헌[Cancer Treat. Rep., 70: 834-845, 1986. 21] 참조).
퀴논 리덕타제는 II상 효소의 일종으로서 변이원(mutagen)이나 발암물질의 작용을 무독화시키는 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루엔지(Luyengi) 등의 문헌[Phytochemistry(in press), 1994. 및 보이드(Boyd)의 문헌[J.B. Lippincott, Vol. 3 (10), Philadelphiap, pp. 1-12, 1989. 22, 23] 참조) 이 효소활성의 유도와 동물을 이용한 모델에서 암발생의 억제와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칸(Khan) 등의 문헌[Cancer Res.52, 4050-4052 (1992)], 프로카스카( Prochaska) 등의 문헌 [Proc. Natl. Acad. Sci. USA. 89, 2394-2398 (1992)] 및 [Proc. Natl. Acad. Sci. USA. 82, 8232-8236 (1985)] 참조). 퀴논 리덕타제의 활성을 유도하는 물질로는 β-나프토플라본, 쿠마린, 디설피람, 인돌 3-아세토니트릴 및 인돌 3-카르비놀, 녹차, 올티플라즈(oltiplaz)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와텐베르그(Wattenberg)의 문헌[J. Natl. Cancer Inst. 52, 1583-1587, 1974.], 리키티(Lichiti) 등의 문헌[J. Cell. Physiol., 113: 433-439, 1982], 아텐베르그(Wattenberg) 등의 문헌[Cancer 40, 2432-2435 (1977)], 로우리(Lowry) 등의 문헌[J. Biol. Chem., 193: 265-275, 1951], 와텐베르그(Wattenberg) 등의 문헌[Cancer Res. 39, 1651-1654 (1979),Cancer Res. 30, 1922-1925 (1970),Cancer Res. 38, 1410-1413 (1978)] 및Proc. Soc. Exp. Biol. Med. 128, 940-943 (1968)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 여러 종의 식물추출물로부터 암예방 활성을 지닌 물질이 보고되어 식물 추출물로부터 암예방제로서의 활성을 보이는 물질이 탐색될 확률이 상당히 높은 편이고, 식물 추출물은 장기복용에 따른 독성 발생의 위험부담이적고, 원료의 생산이 용이하며, 보존 상태가 외부환경에 대해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점에서 암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있어서 식물의 추출·분획물질의 활성 검색과 그에 따른 순수물질의 분리 및 활성검색 등의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은 높은 효율성과 많은 잇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의 구성 성분을 분리·정제하여 새로운 암예방물질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계속해오던 중, 강활 (Angelica koreanaMAX)로부터 여러 종의 순수물질, 즉 오스테놀(osthenol), 이소옥시퓨세다닌(Isooxypeucedanin), 옥시퓨세다닌 수화물(Oxypeucedanin hydrate), 옥시퓨세다닌(Oxypeucedanin), 이소임페라토린(Isoimper atorin), 비사볼란겔론(Bisabolangelone) 등을 분리·동정하였으며, 이들 물질들과 분획추출물의 암예방 및 치료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iCarboxylase; ODC), 니트릭 옥시드 신타제(Nitric Oxide Synthase) 저해, 퀴논 리덕타제(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및 각종 암에 치료 및 예방효과를 갖는 강활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각종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강활(Angelica koreanaMAX)로부터 활성성분의 분리도
도 2 : 강활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에 대한 세미-프레파라티브 HPLC 크로마토그램
도 3 : 강활의 헥산 가용분획에 대한 세미-프레파라티브 HPLC 크로마토그램
도 4 : 강활의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부터 얻어진 분획 및 분리물질들의 TLC 양상
도 5 : 강활의 헥산 층으로부터 얻어진 분획 및 분리물질들의 TLC 양상
도 6 : DMBA로 피부암을 유도한 마우스 모델에서 강활로부터 분리·정제한 오스테놀 및 비사볼란겔론의 피부암 억제 효과
도 7 : Balb/c 웅성 마우스의 유선(mammary gland) 조직 배양을 통한 강활의 성분물질 오스테놀, 비사볼란겔론의 종양 발생 억제효과
여러 종류의 천연물을 대상으로 하여 암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활성이 기대되는 식물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국산 식물인 강활(Angelica koreanaMAX)이 유용한 활성을 나타내어 이에 대한 성분연구를 계속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강활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건 건조하여 세절한 강활 근경에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알콜, 바람직하게는 90% 메탄올을 가하고 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에서 15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메탄올 추출물은 상온 건조 또는 감압농축하여 이 농축물을 n-헥산 또는 c-헥산 등의 용매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3 내지 4회 추출하여 이를 모아 헥산 가용분획으로 하고 남은 잔사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추출용매로 3 내지 4회 추출하여 이를 모아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으로 하고 남은 잔사는 에탄올, 메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용해시켜 물분획을 얻는다.
상기로부터 얻어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분획 중 활성을 나타내는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을 실리카겔 또는 세파덱스 등으로부터 선택된 컬럼충진제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프법을 시행하여 극성에 따른 여러 개의 분획들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추출 및 분리된 각각의 헥산 분획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이들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에 대해서 암 관련 효소인 크산틴 옥시다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 니트릭 옥시드 신타제 등에 대한 저해 및 퀴논 리덕타제에 대한 유도효과를 실험한 결과 헥산 가용분획으로부터 분리·동정된 오스테놀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으로부터 분리·동정된 비사볼란겔론 등이 상기 효소들에 대하여 유의성있는 저해 또는 유도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이들은 상기 효소들과 관련된 암 질환, 특히 피부암, 위암, 결장암, 유방암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활에서 추출분리된 헥산 분획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이들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인 활성성분인 오스테놀, 및 비사볼란겔론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암질환, 특히 피부암, 위암, 결장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 및 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암질환, 특히 피부암, 위암, 결장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정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액제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와 같은 단위 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용 약제학적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암, 위암, 결장암 및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유효성분으로서 체중 1kg당 0.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g의 양을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증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들은 또한 피부암, 위암, 결장암, 유방암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건강식품용 개발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추출액 및 화합물들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육류, 음료수, 초코렛,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콜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것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 기기 분석
하기에 분리된 화합물들의 화학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역상 HPLC 조건에서 각 물질의 순도를 검정한 후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IR 스펙트럼은 KBr disc법을 사용하여 얻었고, UV 스펙트럼은 각각의 화합물을 HPLC용 메탄올에 소량 녹이고 대조물은 HPLC용 메탄올로 하여 측정하였다.1H-NMR과13C-NMR 스펙트럼은 옥시퓨세다닌 수화물의 경우를 제외한 각각의 물질을 클로로포름에 녹여 측정하였다. 옥시퓨세다닌은 DMSO-d6에 녹여 측정하였다. 분리·동정된 순수물질들에 대해서는 강활의 헥산 가용분획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과 함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재확인하였다.
참고예 2 : 암 유발 관련 효소에 대한 효과 실험
퀴논 리덕타제(Quinone reductase) 효소 유도효과
쥐의 간세포주인 Hepa 1c1c7 세포를 ATCC로부터 구입하여 배양한 후, 음성 대조군으로는 0.5% DMSO를, 양성 대조군으로는 퀴논 리덕타제 유도제인 β-나프토플라본(최종 농도 5㎍/㎖, 2㎍/㎖)를 처리하였고, 대상 시험물질들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용해 완충액(lysis buffer)으로 용해시키고, 여기에 MTT가 들어있는 반응 혼합물을 넣어 50분간(37℃, 배양기) 반응시킨 뒤 6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측정치를 이용하여 돌연변이원 및 발암물질의 작용을 무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퀴논 리덕타제 효소의 활성 증가율이 음성대조군에서의 효소활성 증가율에 대해 1.5배 (1.5FC), 2배 (2FC)가 될 때의 시험물질 농도를 산출하였다 (프로카스카(Prochaska) 등의 문헌,[Anal. Biochem.169, 328-336, 1988.] 참조).
유도성 니트릭 옥시드 신타제(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효소 저해효과
ATCC로부터 구입한, 쥐의 마크로파아지인 RAW264.7 세포주를 24시간 배양한 후, 양성대조군으로 LPS (2μg/ml), 음성대조군으로 쿠르쿠민(10μg/ml)을 처리하였고, 대상 시험물질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설파닐아미드 12.5%, 나프틸에틸렌디아민 디클로리드 12.5%를 처리하여 발색시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를 IC50으로 나타내었다.(딩(Ding) 등의 문헌[J. Immunol.141, 2407-2413 (1988)] 참조).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효소 저해효과
ATCC로부터 구입한 마우스의 배아세포주인 NIH/3T3 세포들을 배양하여, 24시간 후 동결-해동 방법으로 용해시켜 반응 용액(670 μM NAD 5 ㎕, 1.75 μM 피루베이트 5 ㎕,14C-크산틴 0.05 ㎕, 칼륨 인산완충액(PMSF)과 함께 대상 시험물질들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셀룰로오스 TLC에 스팟팅하고 전개시킨 후 IP 필름에 감광시켜 BAS-1500 (Fuji Film)으로 판독하고 기질과 생성물의 비율을 정량함으로써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여 IC50으로 나타내었다.(라이너스(Reiners) 등의 문헌[Cancer Res.,47: 1775-1779, 1987] 참고)
실시예 1 : 강활(Angelica koreanaMAX)로부터 암 치료 및 예방 물질의 분리
한국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에서 재배, 음건한 강활 500g을 세절하여 100% 메탄올로 상온에서 냉침으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농축물을 얻었다. 이 메탄올 농축물을 물에 분산하고 여기에 헥산을 1:1(V/V%)로 가하여 추출 분획하여 헥산 가용분획(5.2g)을 얻었다. 또한 나머지 메탄올 가용분획에 에틸아세테이트를 1:1(V/V%)로 가하고 추출 분획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분획(1.0g)과 물분획을 얻었다 (도 1 참조).
헥산 가용분획은 우선, 이동상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3/1(v/v)로 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프법을 시행하여( 7 × 70 cm) 5α-리덕타제 II 형에 대한 저해활성이 높은 분획을 얻고, 이를 다시 이동상이 헥산/에틸아세테이트=4/1(v/v)인 컬럼 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분리하여 저해활성이 높은 분획을 얻어 이에 대해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HPLC)을 수행하여 2개의물질을 획득하였다.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에 대하여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HPLC)을 수행하여 4개의 물질을 분리하였다. 수행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HPLC)의 조건 및 분리한 물질의 수획량 및 성상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 (1.0g) 헥산가용분획 (5.2g)
순수 분리 물질명 옥시퓨세다닌 수화물 옥시퓨세다닌 비사볼란겔론 이소임페라토린 오스테놀 이소옥시퓨세다닌
수획량 14㎎ 22㎎ 40㎎ 10㎎ 87㎎ 144㎎
성상 백색의 침상결정 백색의 엽상결정 미황색의 판상결정 백색의 침상결정 미황색 무정형 분말 미황색 무정형 분말
HPLC 이동상 MeOH-물 농도구배(40% aq. MeOH (V/V%)→100% MeOH) 30% 아세토니트릴 수용액(V/V %)
HPLC 고정상 세미프렙용 고정상 Phenomenex Econo-prep C-18(1.0×25㎝, 5㎛)
검출기 파장 자외선 254nm
유속 4ml/분 5ml/분
강활에서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층 및 헥산층은 상기의 HPLC 조건하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분상을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피크 2는 옥시퓨세다닌 수화물이고 피크 3은 옥시퓨세다닌이고, 피크 4는 비사볼란겔론이었으며 피크 5는 이소임페라토린이었으며, 도 3에서 피크 1은 오스테놀이었으며 피크 2는 이소옥시퓨세다닌이다. 또한 이들 층과 이들로부터 각각 분리된 화합물들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반점(spot) 1은 강활의 전체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의 성분상이며, 반점 2는 옥시퓨세다닌 수화물이며, 반점 3은 옥시퓨세다닌이며, 반점 4는 비사볼란겔론이며 반점 5는 이소임페라토린이었다. 또한 도 5에서 반점 1은 강활의 전체 헥산 가용분획의 성분상이며, 반점 3은 오스테놀이며, 반점 4는 이소옥시퓨세다닌이었다.
실시예 2 : 분리된 활성물질의 구조확인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개별 화합물들에 대해 참고예 1의 방법으로 기기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얻어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오스테놀(87mg)
분자식 : C14H14O3
1H-NMR 스펙트럼 (CDCl3, δ치); 1.7597(H-4', 3H, s), 1.8615(H-5', 3H, s), 3.4974(OH, br, s), 3.6212(H-1', 2H, d, 1448.94㎐), 5.2941(H-2', 1H, t, 2117.02㎐), 6.2653(H-3, 1H, d, 2506.53㎐), 6.7967(H-6, 1H, d, 2719.59㎐), 7.6349(H-4, 1H, d, 3052.92㎐).
MS(EI) 스펙트럼: (M+= 230), 215, 187, 175, 147. 115, 57
이소옥시퓨세다닌(144mg)
분자식 : C16H14O5.
1H-NMR 스펙트럼(CDCl3, δvalue); 1.1859(H-4', 3H, s), 1.2031(H-5', 3H, s),2.8754(H-3', 1H, m, 1150.54㎐), 5.0862(H-1', 2H, s), 6.3511( H-3, 1H, d, 2541.26㎐), 6.8476(a, 1H, s), 7.62(H-8, 1H, d, 2896.95㎐), 7.6229(b, 1H, s), 8.3355(H-4, 1H, 3340.15㎐)
MS(EI) 스펙트럼: (M+=286), 215, 202, 189, 201, 173, 145, 132, 71, 69, 43
옥시퓨세다닌 수화물(14mg)
분자식 : C16H16O6
녹는 점: 134℃
IR 스펙트럼: 3501cm-1(-OH), 1716cm-1(-C=O), 1132cm-1(aromatic C=C)
UV 스펙트럼: 220, 250, 270, 308nm.
1H-NMR 스펙트럼 (CDCl3, δvalue); 1.2600(H-4'3H, s), 1.3163(H-5', 3H, s), 2.1553(OH, br, s), 2.8298(OH, br, s), 3.7818(H-2', 1H, m, 20.2㎐), 4.4975(H-1', 2H, m, 25.74㎐), 6.3324(H-3, 1H, d, 19.92㎐), 6.9874(H-a, 1H, d, 2.34㎐), 7.1885(H-8, 1H, s), 7.6174(H-b, 1H, d, 2.42㎐), 8.1805(H-4, 1H, d, 9.86㎐)
13C-NMR 스펙트럼: δ 23.9(C-4'), 27.45(C-5'), 27.45(C-3'), 76.1(C-2'), 74.7(C-1'), 93.2(C-8), 105.4(C-a), 106.4(C-4a), 111.9(C-3), 113.2C-6), 139.9(C-4), 145.8(C-b), 149.2(C-8a), 152.0(C-5), 157.5(C-7), 160.1(C-2)
MS(EI) 스펙트럼 : 304(M+),174, 145
옥시퓨세다닌(22mg)
분자식 : C16H14O6
녹는 점: 142∼143℃
IR 스펙트럼: 1728cm-1(-C=O), 1278cm-1(에폭시드), 1074cm-1(벤조퓨란)
UV 스펙트럼: 220, 250, 268, 306nm
1H-NMR 스펙트럼 (CDCl3, δvalue): 1.32(H-5', 3H, s), 1.40(H-4', 3H, s), 3.225(H-2', 1H, m, 10.8㎐), 4.5083(H-1',2H, m, 53.68㎐), 6.2923(H-3', 1H, d, 10.44㎐), 6.9431(H-a, 1H, d, 2.34㎐), 7.16(H-8, 1H, s), 7.6031(H-b, 1H, d, 2.48㎐), 8.1872(H-4, 1H, d, 9.74㎐)
13C-NMR 스펙트럼: δ 19.0(C-4'), 24.6(C-5'), 58.4(C-3'), 61.1(C-2'), 72.3(C-1'), 94.9(C-8), 104.6(C-a), 107.5(C-4a), 113.2(C-3), 114.3(C-6), 139.1(C-4), 145.5(C-b), 148.5(C-8a), 152.7(C-5), 158.2(C-7), 161.2(C-2)
MS(EI) 스펙트럼: 286(M+), 202, 174, 145
이소임페라토린(40mg)
분자식 : C16H14O4
녹는 점: 108∼109℃
IR 스펙트럼(KBr): 1729cm-1(-C=O), 1454cm-1(aromatic C=C), 1072cm-1(benzofuran)
UV 스펙트럼: 220, 250, 270, 310nm
1H-NMR 스펙트럼(CDCl3, δvalue): 1.71(H-4', 3H, s), 1.79(H-5', 3H, s), 4.9075(H-1', 2H, m, 6.98㎐), 5.53(H-2', 1H, m, 13.98㎐), 6.2472(H-3, 1H, d, 9.6㎐), 6.9482(H-a, 1H, d, 2.5㎐), 7.1189(H-8, 1H, s), 7.5824(H-b, 1H, d, 2.34㎐), 8.1398(H-4, 1H, d, 9.94㎐)
13C-NMR 스펙트럼: δ 18.2(C-4'), 25.8(C-5'), 67.7(C-1'), 94.2(C-8), 105.1(C-a), 107.5(C-4a), 112.6(C-3), 114.2(C-6), 119.2(C-2'), 139.7(C-4), 139.94(C-3'), 145.0(C-b), 149.0(C-8a), 152.7(C-5), 158.2(C-7), 161.45(C-2)
MS(EI) 스펙트럼: 270(M+), 202, 135, 68, 40
비사볼란겔론(10mg)
분자식 : C15H20O3
녹는 점: 157∼158℃
IR 스펙트럼: 3341cm-1(-OH), 1639cm-1(-C=O)
UV 스펙트럼: 246nm
1H-NMR 스펙트럼 (CDCl3, δvalue) 1.61(H-a, 3H, s), 1.72(H-5', 3H, s), 1.79(H-4', 3H, s), 2.02(H-b, 3H, s), 2.653(H-3a, 1H, d, 10.92㎐), 3.28(OH, br, s), 4.8721(H-7a, 1H, q, 18048㎐), 5.3689(H-1', 1H, d, 12.84㎐), 5.9788(H-5, 1H, m), 6.00(H-2', 1H, m)
13C-NMR 스펙트럼: δ18.14(C-5'), 24.57(C-b), 26.0(C-4'), 27.3(C-a), 34.9(C-7), 53.6(C-3a), 76.2(C-7a), 78.6(C-3), 113.2(C-3), 94.4(C-1'), 117.8(C-2'), 127.3(C-5), 132.6(C-3'), 158.3(C-6), 160.2(C-2), 197.0(C-4)
MS(EI) 스펙트럼: 248(M+), 215, 187, 125
실시예 3 : 암 유발 관련 효소인 크산틴 옥시다제(XO),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DC), 퀴논 리덕타제(QR), 유도성 니트릭 옥시드 신타제(iNOS) 효소에 대한 효과
실시예 1에서 얻은 강활의 헥산 가용분획,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 및 물분획과 그로부터 분리된 실시예 2의 각 개별화합물을 이용하여 참고예 2와 같이 암 유발 관련 효소인 크산틴 옥시다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DC), 유도성 니트릭 옥시드 신타제(iNOS) 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 및 퀴논 리덕타제(QR)에 대한 유도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크산틴 옥시다제 효소에 대해서는 오스테놀 및 비사볼란겔론의 IC50이 각각 31.5 및 34.2 ㎍/㎖으로 유의성 있는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DC) 효소에 대해서는 오스테놀 및 비사볼란겔론의 IC50가 각각 36.1 및 35.7 ㎍/㎖으로 유의성 있는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퀴논 리덕타제(QR)효소에 대해서는 강활의 헥산 가용분획,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 및 비사볼란겔론의 2 FC는 각각 4.9, 1.2 및 2.5 ㎍/㎖, 1.5FC는 각각 1.8, 0.7 및 0.2 ㎍/㎖으로 유도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유도성 니트릭 옥시드 신타제(iNOS) 효소에 대해서는 오스테놀, 이소옥시퓨세다닌, 이소임페라토린 및 비사볼란겔론의 IC50가 각각 23.5, 26.1, 24.9, 3.66 ㎍/㎖으로 유의성 있는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2 참조)
강활유래 물질들의 암 유발 관련 효소들에 대한 활성 유도 또는 저해도
시험 대상 XO ODC Q R iNOS
IC50 1) IC50 1) 2FC2) 1.5FC3) IC50 1)
단위: ㎍/㎖
강활 헥산 가용분획 42.9 48.4 4.9 1.8 27.9
오스테놀 31.5 36.1 26.5 23.4 23.5
이소옥시퓨세다닌 34.6 39.2 38.7 20.0 26.1
강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 58.7 59.9 1.2 0.7 31.5
옥시퓨세다닌 수화물 42.6 47.3 37.5 32.6 29.8
옥시퓨세다닌 40.1 39.8 29.8 24.3 33.2
이소임페라토린 49.8 41.2 31.2 26.2 24.9
비사볼란겔론 34.2 35.7 2.5 0.2 3.66
강활 물 가용분획 75.4 64.3 94.2 80.4 69.8
1)IC50: 효소의 활성 저해율이 50%일 때의 시료 농도 (㎍/㎖)2)2 FC: 퀴논 리덕타제의 비활성을 음성대조군의 2배로 유도하는데 필요한 농도 (㎍/㎖)3)1.5 FC: 퀴논 리덕타제의 비활성을 음성대조군의 1.5배로 유도하는데 요구되는 농도 (㎍/㎖)
실시예 4 : 강활 유래 물질들의 암예방 효과
(1) 피부암에 대한 억제효과
실제 동물 모델에서 피부암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6-7주령의 암컷 마우스(15∼20g)를 사용하여 각 그룹 당 10마리씩 4개 그룹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실 적응기간을 1주일 둔 후, 등쪽의 털을 제거하여 2×2 cm2의 면적으로 피부를 노출시켜 암개시제로서 DMBA (7,12-dimethylbenz[a]anthracene) 200㎕ (200nM)를 1회 바르고, DMBA를 처리한 지 1주일 후부터 발암 촉진을 일으키기 위해 TPA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200㎕ (5nM)를 1주 3회, 15주 동안 반복하여 등에 발랐다. TPA를 처리함과 동시에 음성대조군은 무처리, 양성대조군은 200nM 쿠르쿠민(Curcumin)을 200㎕, 그리고 실험군에는 200nM의 오스테놀 또는 비사볼란겔론 200㎕를 각각 처리하였다. 결과는 마우스 당 발생된 종양수로 나타내었으며, 측정 당시 종양은 직경 1 mm 이상의 것을 포함시켰다 (타키가와(Takigawa) 등의 문헌 ["Inhibition of mouse skin tumor promotion and of promoter-stimulated epidermal polyamine biosynthesis by α-difluoromethy lornithine."Cancer Res., 43: 3732-3738, 1983.] 참조).
DMBA 및 TPA를 등에 도포함으로써 종양을 유발시킨 마우스 모델을 통한 오스테놀과 비사볼란겔론의 피부암 억제효과를 확인한 결과, 양성 대조군으로 처리한 쿠르쿠민 (저해율: 48%) 보다는 약하나, 각각 11%, 14%의 피부암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 참조).
(2) 유방암에 대한 억제효과
유선(mammary gland) 조직을 배양하여 이에 대한 대상시험물질의 암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톰슨(Thompson), 스틸레(Steele)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톰슨(Thompson) 등의 문헌 [Cancer Res.57: 267-271. 1997] 및 스틸레(Steele) 등의 문헌[J. Cell Biochem Suppl.26: 29-53. 199638, 39] 참조).
즉, 4 주령된 Balb/c 웅성 마우스를 에스트라디올 1㎍과 1mg 프로게스테론으로 9일 동안 처리한 후 유선을 잘라내 100 단위 스트렙토마이신과 페니실린 및 35 ㎍/ml 글루타민이 첨가된 웨이마우스(Waymouth) 751/1 MB 배지가 들어있는 배양접시에 옮긴 후, 배지 l ml당 5 ㎍ 인슐린, 5 ㎍ 프로락틴, 1 ㎍ 알도스테론, 1 ㎍히드로코르티존을 첨가하여 5% CO2,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성장촉진 단계인 배양후 72시간째에 DMBA를 처리함과 동시에 대조군을 제외한 두 개의 그룹에 대해 각각 오스테놀 또는 비사볼란겔론을 1, 10 및 100 ㎍/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고 새 배지로 옮긴 후, 10일 동안 더 배양을 하고 쇠퇴단계에서 인슐린(50ng/ml)만 포함된 배지로 10일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면 유선을 고정시키고 앨럼 카르민(alumn carmin) 염색액에 염색하여 전신생병소(preneoplastic lesion)의 형성 및 대조군에 대한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DMBA의 처리에 따라 유선조직에서 발생하는 신생조직들은 지속적으로 존재할 경우 유방암으로의 전이 가능성을 가지며, 이에 대해 오스테놀 또는 비사볼란겔론을 처리했을 경우, 각각의 시료의 처리농도에 의존적으로 신생조직의 발생이 억제되었으며, 따라서 이들 시료들은 유방암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표 3, 도 7).
조직 배양된 유선에서 오스테놀 또는 비사볼란겔론 종양 발생 억제율
화합물 투여량(㎍/ml) NLAL*/gland 저해율(%)
대조군 - 25 -
오스테놀 100 18 28%
10 21 16%
1 24 4%
비사볼란겔론 100 20 20%
10 23 8%
1 25 0%
*NLAL : 포상돌기와 소엽포상체의 수
NLAL/gland : 유선 조직 하나 당 포상돌기와 소엽포상체의 수
(3) JB6 세포주에 대한 발암억제효과
2단계 발암기전에 대한 대상시험물질의 암 유발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후앙(Huang)(Proc Natl Acad Sci USA.94: 11957-11962. 1997 참고), 동(Dong) 등(Cancer Res.57: 4414-4419. 1997 참고)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즉, TPA에 의해 종양발생이 유도되는 마우스의 상피세포인 JB6 세포주를 (ATCC, USA), 실험이전에 미리 2x DMEM (Dulbecco's modified essential media, 시그마사) 45ml, 우태아혈청 7.5ml, PBS (phosphate-buffered saline, pH 7.4) 7.5ml, 1.25%의 한천용액 40ml을 44℃에서 혼합한 한천-배양배지 혼합액을 만들어 24-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 (코닝 사)에 일정량 분주하고 플레이트 바닥에 고르게 피복시킨 후, 굳을 수 있도록 30-60분간 방치하여 기저 한천 플레이트를 준비해두었다. 배양중인 JB6 세포 (0.5×104cells/ml) 334㎕와 한천-배양배지 혼합액 666㎕를 혼합하고 TPA (12-O-테트라데카노일 포르볼-13-아세테이트)를 최종농도 100nM로 처리한 각각의 세포현탁액에 대해 대조군의 경우 100% DMSO 5㎕를, 시험군의 경우 대상 시험물질을 각각 20, 4, 0.8, 0.16㎍/㎖등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이를 미리 준비된 기저 한천 플레이트에 250㎕/well로 분주하여 14일간 배양(37℃, 5% CO2/95% 대기)한 후 생성되는 콜로니 갯수를 기록하여 대조군에서 관찰되는 콜로니 개수에 대해 시험물질 처리군에서 나타나는 콜로니 수의 상대적인 값을 이용하여 발암 촉진에 있어서 대상 시험물질의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표 4).
강활유래 대상시험물질들의 JB6 배양 세포에 대한종양 발생 억제 효과
대상 시료 IC50(㎍/㎖)
강활 헥산 가용분획 28.9
오스테놀 19.8
이소옥시퓨세다닌 17.5
강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 26.4
옥시퓨세다닌 수화물 18.6
옥시 퓨세다닌 16.4
이소임페라토린 18.2
비사볼란겔론 15.8
강활 물 가용분획 72.1
JB6 배양세포에 대한 실험결과, 이소옥시퓨세다닌, 옥시퓨세다닌 및 비사볼란겔론의 IC50이 각각 17.5, 16.4 및 15.8 ㎍/㎖으로 나타나 상기 세포주에 대하여 유의성 있게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4) 세포 독성 조사
ATCC로부터 구입한, 배양된 간암세포주인 Hepa 1c1c7 (ATCC 번호: CRL-2026), 방광암 세포주 T24 세포주 (ATCC 번호: HTB-4), 사람의 전립선암 세포주인 LNCaP 세포주 (ATCC번호: CRL-1740) 등의 세포주를 PBS로 세척한 후 30㎕/well의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으로 10분간 (37℃, 배양기) 염색한 후 200㎕의 SDS 용액(0.5% SDS in 50% 에탄올)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여 1시간 동안 (37℃, 배양기) 반응시킨 뒤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로 6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5) (홀로바우(Holobaugh) 등의 문헌[" Effect of anticoagulants and heat on thedetection of tumour necrosis factor in murine blood."J. Immunol. Methods135, 95-99, 1990 ] 참조).
강활로부터 추출ㆍ분리된 분획 및 화합물들의 세포 독성 조사 결과 (T20 : 시료 농도 20㎍/㎖에서 암세포가 죽는 비율, T4 : 시료 농도 4㎍/㎖에서 암세포가 죽는 비율, '-': 시료 농도 20㎍/㎖에서 세포독성 나타나지 않음)
화합물 세포주 명
LNCaP(사람의 전립선암 세포주) T24(사람의 방광암 세포주) Hepa1c1c7(마우스의 간암세포)
강활의 헥산 가용분획 T20=10% T20=10% -
오스테놀 T20=30% T20=30% T20=60%
이소옥시퓨세다닌 - - -
강활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 T20=10% T20=10% T20=10%
옥시퓨세다닌 수화물 - - -
옥시퓨세다닌 - - -
이소임페라토닌 T20=10% T20=10% -
비사볼란겔론 T20=30% T20=50% T20=100%
시험 결과, 오스테놀, 이소임페라토린 및 비사볼란겔론 화합물 (시료 농도 20㎍/㎖)의 전립선암 세포주에 대한 독성은 각각 30, 10 및 30%, 방광암 세포주에 대한 독성은 각각 30, 10 및 50%, 간암세포주에 대한 독성은 각각 60, 10 및 100%로 나타나, 암세포주들에 대해서 강한 세포독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산제의 제조>
(1) 강활의 헥산 가용 분획 추출건조물 500mg
(2) 옥수수전분 100mg
(3) 유 당 100mg
(4) 탈 크 10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 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정제의 제조>
(1) 강활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분획 추출건조물 100mg
(2) 옥수수전분 100mg
(3) 유 당 100mg
(4)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캡슐제의 제조>
(1) 오스테놀 50mg
(2) 유 당 50mg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젤라틴 캡슐제에 충진하여 제조한다.
<주사제의 제조>
(1) 오스테놀 10mg
(2)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3)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활성성분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전체를 주사용 증류수로 2ml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여 멸균시켜서 주사제를 제조한다.
<액제의 제조>
(1) 비사볼란겔론 1g
(2) 이성화 당 10g
(3) 서 당 10g
(4) 레몬향 적량
(5)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고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강활 헥산 분획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이들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은 암 관련 효소인 크산틴 옥시다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 니트릭 옥시드 신타제 등에 대해 저해활성 및 퀴논 리덕타제에 대한 유도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들 효소들과 관련된 암 질환, 즉 피부암, 위암, 결장암, 유방암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활성성분으로서 강활(Angelica koreanaMAX)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유기 용매로 추출 또는 분획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암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질환이 피부암, 위암, 결장암 또는 유방암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강활 추출물의 유효량이 0.01 내지 10 g/kg 체중/일인 조성물.
  5. 유효량의 강활(Angelica koreanaMAX)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용 건강 보조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강활(Angelica koreanaMAX)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인 건강 보조 식품.
  7. 제 5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강활(Angelica koreanaMAX)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인 건강보조 식품.
  8. 삭제
  9. 활성성분으로서 오스테놀, 이소옥시퓨세다닌, 옥시퓨세다닌 수화물, 옥시퓨세다닌, 이소임페라토린 또는 비사볼란겔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약제학적으로 허용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암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질환이 피부암, 위암 결장암 또는 유방암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활성성분의 유효량이 0.01 내지 10 g/kg 체중/일인 조성물.
  12. 유효량의 오스테놀, 이소옥시퓨세다닌, 옥시퓨세다닌 수화물, 옥시퓨세다닌, 이소임페라토린 또는 비사볼란겔론을 포함하는 암 예방용 건강 보조식품.
KR10-2000-0058681A 2000-10-06 2000-10-06 강활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그의 분리 방법 KR100413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681A KR100413964B1 (ko) 2000-10-06 2000-10-06 강활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그의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681A KR100413964B1 (ko) 2000-10-06 2000-10-06 강활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그의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905A KR20020027905A (ko) 2002-04-15
KR100413964B1 true KR100413964B1 (ko) 2004-01-13

Family

ID=1969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681A KR100413964B1 (ko) 2000-10-06 2000-10-06 강활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그의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3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669A (ko) * 2001-03-24 2003-01-10 주식회사 메덱스바이오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다이옥신 유사물질에대한 길항성 조성물
CN113101308B (zh) * 2021-04-14 2022-09-13 吉林大学珠海学院 一种土当归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933A (ja) * 1983-07-26 1985-02-14 Tsumura Juntendo Inc 新規な多糖体、その製造法、及び該多糖体を有効成分とする癌症状改善剤
KR100314608B1 (ko) * 1999-05-19 2001-11-22 한수길 황금 추출물을 퀴논 리덕타아제의 활성 유도물질로 사용하는 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음식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933A (ja) * 1983-07-26 1985-02-14 Tsumura Juntendo Inc 新規な多糖体、その製造法、及び該多糖体を有効成分とする癌症状改善剤
KR100314608B1 (ko) * 1999-05-19 2001-11-22 한수길 황금 추출물을 퀴논 리덕타아제의 활성 유도물질로 사용하는 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음식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Pharm.Res., Chang Min Kim et al., 1991, 14(1), p.87-92 *
Cancer Letters, C.C.Wang et al., 1999, 145, p.151-15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905A (ko) 200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chemical study of a flavonoid-enriched fraction from adlay bran
JP2007536375A (ja) 黒豆(インゲンマメl)エキスによる癌細胞の増殖抑制
KR20000004499A (ko)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KR101165248B1 (ko) 플라반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후군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A2738834C (en) Alpha-amylase inhibitors: the montbretins and uses thereof
JP5627585B2 (ja) カナクギノキ由来抽出物、分画物または、化合物を含有する皮膚美白用組成物
US20090181110A1 (en) Compositions from Garcinia as Aromatase Inhibitors for Breast Cancer Chemoprevention and Chemotherapy
KR100345825B1 (ko) 홍화씨로부터 뼈 형성을 촉진하는 세로토닌, 리그난 및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추출방법
KR100413964B1 (ko) 강활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그의 분리 방법
KR102022279B1 (ko)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14723A (ko) 상백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상기 분획물에서 분리한2―아릴벤조퓨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40107185A (ko) 알란토락톤 또는 이소알란토락톤을 포함하는 암 또는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43232A (ko) 프루누스 세라소이데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암과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1017779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ntaining marine fungus penicillium sp. sf-5859-derived curvularin-type metabolites
KR20190090716A (ko) 와송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뇌 신경세포 보호 및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44451A (ko) 권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2313064A (zh) 新穎異黃酮化合物
KR102331782B1 (ko) 해양 유래 진균 페니실리움 글라브룸(Penicillium glabrum) SF-7123의 대사체를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당뇨용 조성물
El Hawary et al. Phytochemical profile and cytotoxic activity of selected organs of Sambucus nigra L. via enzyme assay and molecular docking study
KR101592373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35127A (ko) 곰피와 감태 추출물 유래의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억제용 조성물
US7759391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iacremonone for treating colon cancer
KR20140044223A (ko) 자외선을 처리한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42323B1 (ko) 후박나무로부터 세포사멸 유도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WO2021210673A1 (ja) 更年期症状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