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170B1 - 팩시밀리 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170B1
KR100413170B1 KR10-2000-0046360A KR20000046360A KR100413170B1 KR 100413170 B1 KR100413170 B1 KR 100413170B1 KR 20000046360 A KR20000046360 A KR 20000046360A KR 100413170 B1 KR100413170 B1 KR 10041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output
power consumption
stat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261A (ko
Inventor
다나카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1002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시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복귀해서 출력 요구가 있을 때까지의 시간 동안에 히터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히터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없앤 전력 절약형 팩시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소비 전력 모드(S11)에 있어서, 트리거(trigger) 검출 통지를 받으면, CPU(11)는 플로터(16)의 히터(16H) 전원을 확인하여 오프(off)로 하고(S13), 히터(16H) 전원 오프(off)의 대기 상태를 설정하며(S14), 다른 프로그램에 따른 화상 정보를 SAF메모리(21)에 저장을 완료하는 등 기록 출력 준비가 갖추어지고, 기록 출력 개시를 요구하는 출력 요구를 대기하여(S15), 출력 요구가 오면, 플로터(16)의 히터(16H)를 온(on)으로 하여(S16), 출력 동작을 행한다(S17).

Description

팩시밀리 장치{A FACSIMILE APPARATUS HAVING A POWER MANAGEMENT FEATURE}
본 발명은 팩시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히터에 의해 화상을 정착하는 화상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팩시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히터에 의해 화상을 정착하는 화상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팩시 밀리가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종류의 팩시밀리 장치로는 일정 시간 동안에 장치 본체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력 소비가 크고 사용하지 않는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는 저소비 전력 모드로 이행하고, 팩시밀리 통신의 수신이나 스캐너에 의한 송신 원고의 스캐너 개시에 의해 통상의 상태로 복귀해서 히터의 전원을 온(on)으로 하여 출력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는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에 히터 전원을 온(on)으로 하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복귀해서 출력 개시까지의 동안에 히터에 의해 어느 정도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팩시밀리 장치의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 팩시밀리 장치의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 팩시밀리 장치의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팩시밀리 장치
11 : CPU
12 : ROM
13 : RAM
14 : 망 제어 장치
15 : 감시 장치
16 : 플로터
17 : 모뎀
18 : 부호화/복호화부
19 : 스캐너
20 : 조작 패널
21 : SAF 메모리
30 : 버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경우, 작동하지 않는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저소비 전력 모드를 구비하고, 히터를 이용하여 화상을 정착하는 출력 수단과,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의 상태로 복귀하는 트리거를 감시하여 검출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히터의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은 상기 감시 수단에 의한 트리거 검출로부터 출력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대기 상태에는 히터의 전원을 차단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은 트리거 검출로부터 출력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대기 상태에는 히터의 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대기 상태 동안의 전력 소비가 억제된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발명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경우, 작동하지 않는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저소비 전력 모드를 구비하고, 히터를 이용하여 화상을 정착하는 출력 수단과,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의 상태로 복귀하는 트리거를 감시하여 검출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히터의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은 상기 감시 수단에 의한 트리거 검출로부터 출력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 대기 상태에 있는 히터의 전원 제어 방법을 복수개 구비하고, 그 중 1개를 선택하여 전원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복수의 전원 제어 방법으로부터 1개의 제어 방법이 선택되고 그 제어 방법에 의해 히터의 전원이 제어된다. 따라서 상황에 알맞는 대기 상태가 선택된다.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은 히터의 온도를 상기 대기 상태로부터 기록 가능한 상태까지 상승시키는 방법을 복수개 구비하고, 메모리의 사용 가능 용량에 따라 상기 상승 방법을 선택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메모리의 사용 가능 용량에 따라 대기 상태로부터 상승시키는 방법이 선택된다. 따라서 메모리의 사용 가능 용량에 알맞는 상승 방법이 선택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팩시밀리 장치(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 ROM(Read Only Memory)(12), RAM(Random Access Memory)(13), 망 제어 장치(NCU)(14), 감시 장치(15), 플로터(plotter)(16), 모뎀(17), 부호화/복호화부(DCR)(18), 스캐너(19), 조작 패널(operation panel)(20),SAF(Store And Forward)(21) 및 메모리(21)가 버스(3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CPU(11)는 ROM(12) 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 각 부를 제어하여 팩시밀리 장치의 소정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RAM(13)은 장치 각 부의 구동 조건이나 관리 데이터 등 각종 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그리고, RAM의 일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불휘발성의 메모리인 배터리 백업(battery backup) 등을 구비하고 있다.
망 제어 장치(14)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접속되고, 회선 포착, 송신할 곳의 전화 번호인 선택 신호의 송출, 착호(着呼 :수신측에 도착한 발신측의 호출)의 검출 등에 의해 소정의 송신 동작 및 수신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감시 장치(15)는 망 제어 장치(14)로부터의 착호 통지 등 후술하는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의 상태로 복귀하는 트리거를 감시하고, 트리거를 검출했을 때 CPU(11)로 통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감시 장치(15)는 감시 수단을 구성한다.
플로터(16)는 급지부, 노광부, 대전부, 감광체, 현상부 및 정착부 등으로 구성되고, 화상 정보를 용지에 기록 출력하는 것이며, 이 플로터(16)의 정착부에 있어서 히터(16H)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플로터(16)는 출력 수단을 구성한다.
모뎀(17)은 화상 정보를 변조 및 복조하여 망 제어 장치(14)를 통하여 전송함과 동시에 전송 제어 순서에 있어 각종 순서 신호도 전송하는 것이다.
부호화/복호화부(18)는 판독된 송신할 화상 정보를 부호화하거나 수신한 압축된 화상 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이다.
스캐너(19)는 송신할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정보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조작 패널(20)은 장치의 상태나 조작 가이드를 표시함과 동시에 장치에 대한 각종 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SAF(21)는 스캐너(19)에 의해 판독되고 부호화/복호화부(18)에 의해 압축된 화상 정보나 망 제어 장치(14)에 의해 수신된 압축 상태의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기록 출력시에, 일단 전개한 화상 정보를 축적하는 것에도 사용된다.
이 팩시 밀리 장치(10)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장치 본체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팩시밀리 통신의 착호에 의한 출력이나 원고를 판독하여 송신하는 등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 플로터(16)의 히터(16H) 등 동작하지 않는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저소비 전력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감시 장치(15)는 상기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의 상태로 복귀하는 트리거로서 망 제어 장치(14)로부터의 착호를 검출한 통지 등을 감시하고, 이들 통지를 받으면 CPU(11)로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CPU(11)는 감시 장치(15)로부터의 통지를 받으면 플로터(16)를 제어하여 플로터(16)의 히터(16H) 전원을 온(on)/오프(off)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팩시밀리 통신의 착호나 발신 등에 의한 조작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이없으면, 소비 전력이 많은 각 부분(예컨대, 히터 등)의 전원을 오프(off)한 저소비 전력 모드로 이행하고(S11), 저소비 전력 모드 상태로 감시 장치(15)로부터 트리거 검출의 통지를 대기한다(S12).
트리거 검출의 통지를 받으면, CPU(11)는 플로터(16)의 히터(16H) 전원을 확인하여 오프(off)하고(S13), 히터(16H) 전원이 오프(off)인 대기 상태를 설정하며(S14), 다른 프로그램에 따른 화상 정보를 SAF 메모리(21)로 저장 완료하는 등의 기록 출력 준비가 갖추어지고, 기록 출력의 출력 동작 개시를 요구하는 출력 요구를 대기한다(S15).
출력 요구가 있으면, 플로터(16)의 히터(16H)를 온(on)하고(S16), 출력 동작을 행한다(S17).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CPU(11)는 전력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리거 검출로부터 기록 출력의 출력 동작 개시까지 플로터(16)의 히터(16H) 전원을 오프(off)하고 있으므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팩시밀리 통신의 착호 요구를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트리거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스캐너(19)에 원고를 세트했을 때의 센서 정보나, 조작 패널의 키조작이나, 기록 용지의 보충이나, 관리·유지용 커버의 개폐나, 전원 스위치의 온(on) 등을 트리거로 해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거의 동등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도면을 이용하고 특징 부분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트리거 검출로부터 출력 요구가 있을 때까지의 동안에 대기 상태에 있는 히터(16H)의 전원 제어 방법을 미리 복수개 준비하여 두고, RAM(13) 내에 불휘발성으로 설정된 설정 상태에 의해 하나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팩시밀리 통신의 착호나 발신 등에 의한 조작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이 없으면, 소비 전력이 많은 각 부분(예컨대, 히터 등)의 전원을 오프(off)한 저소비 전력 모드로 이행하고(S21), 저소비 전력 모드 상태에서 감시 장치(15)로부터의 트리거 검출 통지를 대기한다(S22).
트리거 검출의 통지를 받으면, CPU(11)는 RAM(13) 내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 상태를 판정하고(S23), 설정 상태에 맞는 상태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태 4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 타이머를 감시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태 4의 상태가 계속되면 저소비 전력 모드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설정 상태가 상태 1이면 상태 1을 설정한다(S24). 이 상태 1은 예컨대, 히터의 전원을 오프(off)로 하여, 히터의 온도를 장치 본체의 외부 환경에 따른 온도로 되게 하는 것이다.
설정 상태가 상태 2이면 상태 2를 설정한다(S25). 이 상태 2는 예컨대, 타이머에 의해 히터 전원의 온(on) 상태를 소정 시간 계속하고, 그 동안에 출력 요구등 요구가 없으면 히터 전원을 오프(off)로 하는 것이다.
설정 상태가 상태 3이면 상태 3을 설정한다(S26). 이 상태 3은 예컨대, 미리 RAM(13) 내에 설정된 대기 온도를 참조하여 그 대기 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터 전원을 온(on)/오프(off) 제어하는 것이다.
설정 상태가 상태 4이면 상태 4를 설정한다(S27). 이 상태 4는 예컨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를 참조하여 일단 그 설정 온도에 이른 다음에 히터 전원을 오프(off) 하는 것이다. 그 후, 상태 4의 타임아웃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가를 판정하고(S28), 타임아웃이 발생하고 있으면 스텝 21로 복귀하여 저소비 전력 모드로 이행한다. 타임아웃이 발생하지 않으면 다음의 스텝으로 진척한다.
상태 설정후에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한 화상 정보를 SAF 메모리(21)로의 저장이 완료되는 등의 기록 출력의 준비가 갖추어지고 기록 출력의 출력 동작 개시를 요구하는 출력 요구가 있는가를 판정하여(S29), 출력 요구가 있으면 히터를 기록 개시 가능하게 설정하여 출력 동작을 행한다(S30).
출력 요구가 없는 경우나 출력 동작이 종료된 후에는 스텝 23으로 복귀하여 이용자가 설정한 설정 상태에 따라 상태를 설정한다. 즉, 출력 동작 동안에 설정 상태로 설정된 상태는 출력 동작 종료후에는 유효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CPU(11)는 전력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설정된 설정 상태에 따라 대기 상태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설정된 전원 제어 상태로 대기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기 상태를 4개의 상태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것보다 적은 상태로 해도 관계없고, 예컨대 상태 3의 설정 온도가 상이한 상태를 추가해도 관계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한 설정 상태에 따라 대기 상태를 선택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접수한 트리거의 종류에 따라 대기 상태를 선택해도 관계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거의 동등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도면을 이용하고 특징 부분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출력 요구가 있어서 히터(16H)를 기록 가능한 상태로 할(상승시킬) 때, RAM(13)의 사용 가능 용량을 판정하고 그 메모리의 사용 가능 용량에 따라 히터의 온도 상승 방법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3에 나타낸 흐름도의 스텝 21로부터 스텝 29와 마찬가지로, CPU(11)는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트리거 검출에 의해 설정 상태에 따른 상태를 설정하고, 설정 상태를 판정하면서 출력 요구를 대기한다(S21∼S29).
출력 요구가 있으면, RAM(13)의 사용 가능 용량을 판정하고(S41), 사용 가능 용량이 소정값 n보다 작은 경우는 예컨대, 큰 전류를 히터에 가하여 고속으로 히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S42). 사용 가능 용량이 소정값 m보다 큰 경우는 예컨대, 적은 전류를 히터에 가하여 저속으로 히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S43).
상기 이외의 경우(n≤사용 가능 용량≤m)는 예컨대, 통상의 전류를 히터에 가하여 히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S44).
그 후, 히터가 기록 개시에 알맞는 온도(정착 준비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하고(S45), 기록 개시 온도에 도달하면 출력 동작을 행하고(S30), 스텝 23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CPU(11)는 전력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의 사용 가능 용량에 따라 히터의 온도 상승 방법을 바꾸기 때문에 메모리의 사용 가능 용량에 알맞는 상승 방법으로 히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류의 크기로 히터의 온도 상승 속도를 제어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전류량을 일정하게 하고 전원의 온(on)/오프(off)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히터의 온도 상승 속도를 제어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상태로 복귀하는 트리거의 접수로부터 출력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대기 상태에 히터 전원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상태를 복수개 준비하여 선택하도록 하면, 상황에 알맞는 대기 상태를 선택할 수 있어 전력 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상태로부터 상승시키는 방법을 복수개 준비하여 메모리의 사용 가능 용량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면, 메모리의 사용 가능 용량에 알맞는 상승 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음과 동시에 히터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경우, 작동하지 않는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저소비 전력 모드를 구비하고,
    히터를 이용하여 화상을 정착하는 출력 수단과,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의 상태로 복귀하는 트리거를 감시하여 검출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히터의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은 상기 감시 수단에 의한 트리거 검출에 의해 통상의 상태로 복귀할 때, 상기 히터의 전원을 계속 오프로 하고, 상기 출력 수단에서 출력 동작이 개시될 때에 상기 히터의 전원을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장치.
  2.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경우, 작동하지 않는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저소비 전력 모드를 구비하고,
    히터를 이용하여 화상을 정착하는 출력 수단과,
    저소비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의 상태로 복귀하는 트리거를 감시하여 검출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히터의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은 상기 감시 수단에 의한 트리거 검출에 의해 통상의 상태로 복귀한 때로부터 상기 출력 수단에서 출력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 대기 상태에 있는 히터의 전원 제어 방법을 복수개 구비하고, 그 중 1개를 선택하여 전원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은 히터의 온도를 상기 대기 상태로부터 기록 가능 상태까지 상승시키는 방법을 복수개 구비하고, 메모리의 사용 가능 용량에 따라 상기 상승 방법을 선택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장치.
  4.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경우, 작동하지 않는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저소비 전력 모드로 이행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소비 전력 모드 상태에서 감시 장치로부터 통상의 동작 모드로 복귀시키는 트리거 신호의 검출 통지를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트리거 신호의 검출 통지를 받으면, 히터의 전원이 오프(off)인 대기 상태를 설정하고, 기록 출력의 출력 동작 개시를 요구하는 출력 요구를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요구가 있으면, 히터의 전원을 온(on)하여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경우, 작동하지 않는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한 저소비 전력 모드로 이행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소비 전력 모드 상태에서 감시 장치로부터 통상의 동작 모드로 복귀시키는 트리거 신호의 검출 통지를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트리거 신호의 검출 통지를 받으면,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여 그 상태로 상기 팩시밀리 장치의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설정후에는 기록 출력 준비를 갖추면서 기록 출력의 출력 동작 개시를 요구하는 출력 요구를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요구가 있으면, 히터의 전원을 온(on)하여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 방법.
  6.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경우, 작동하지 않는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한 저소비 전력 모드로 이행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소비 전력 모드 상태에서 감시 장치로부터 통상의 동작 모드로 복귀시키는 트리거 신호의 검출 통지를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트리거 신호의 검출 통지를 받으면,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상태를 판정하여 그 상태로 상기 팩시밀리 장치의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설정 후에는 기록 출력 준비를 갖추면서 기록 출력의 출력 동작 개시를 요구하는 출력 요구를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요구가 있으면, 메모리 사용 가능 용량을 판정하고 이 사용 가능 용량에 따라 히터의 온도 상승 방법을 선택하여 상기 히터의 전원을 온(on)시키는 단계와,
    상기 히터의 온도가 기록 개시 온도에 적당한 온도에 도달하면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0-0046360A 1999-08-10 2000-08-10 팩시밀리 장치 KR100413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40899A JP3967041B2 (ja) 1999-08-10 1999-08-10 ファクシミリ装置
JP99-226408 1999-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261A KR20010021261A (ko) 2001-03-15
KR100413170B1 true KR100413170B1 (ko) 2003-12-31

Family

ID=1684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360A KR100413170B1 (ko) 1999-08-10 2000-08-10 팩시밀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76448A1 (ko)
JP (1) JP3967041B2 (ko)
KR (1) KR100413170B1 (ko)
CN (1) CN120473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3517B2 (ja) * 2004-12-08 2009-03-0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168984B1 (ko) * 2005-08-30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모드 팩스정보 출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력방법
US7773236B2 (en) * 2006-06-01 2010-08-1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processing circu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51723A1 (en) * 2008-04-02 2009-10-08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774A (ko) * 1996-09-18 1998-06-25 유기범 절전기능을 갖춘 팩시밀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956B2 (ja) * 1988-09-06 2000-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JPH06189048A (ja) * 1992-09-14 1994-07-08 Ricoh Co Ltd 操作表示用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源投入用制御装置
KR960010183B1 (ko) * 1993-10-23 1996-07-26 김광호 에너지절감 화상기록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5764864A (en) * 1995-06-09 1998-06-09 Ricoh Company, Ltd. Facsimile machine having a power sav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774A (ko) * 1996-09-18 1998-06-25 유기범 절전기능을 갖춘 팩시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6448A1 (en) 2001-02-14
CN1283923A (zh) 2001-02-14
JP2001053914A (ja) 2001-02-23
JP3967041B2 (ja) 2007-08-29
KR20010021261A (ko) 2001-03-15
CN1204733C (zh)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55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power-mode switching function
US20070058190A1 (en) Multi-function printer
KR100413170B1 (ko) 팩시밀리 장치
JP3882559B2 (ja) 入出力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09214623A (ja) データ通信装置
JP518205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JP375790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094693A (ja) ファクシミリ機能付き画像形成装置
JP2678621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283754B2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23800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33641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19802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0138780A (ja) 複合装置の制御方法
JP2005178106A (ja) 節電機能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304355A (ja) 複合機
JP2001103195A (ja) 画像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731539B2 (ja) 画像形成装置
JP3422259B2 (ja) 通信端末装置
JPH10297059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200135885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12744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その電力供給方法
JP2000151943A (ja) 省エネ移行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それに関する省エネ移行方法
JP2001268283A (ja) 省エネルギー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
JPH0310136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における電源駆動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