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862B1 -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862B1
KR100412862B1 KR10-2001-0052766A KR20010052766A KR100412862B1 KR 100412862 B1 KR100412862 B1 KR 100412862B1 KR 20010052766 A KR20010052766 A KR 20010052766A KR 100412862 B1 KR100412862 B1 KR 10041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vehicle
fixed
cylind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566A (ko
Inventor
안창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8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선회 시 발생되는 쇽업소버의 회전모우멘트를 이용하여 오일의 흐름을 가변시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해 안정성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쇽업소버(S)의 일단이 차륜(W)에 장착된 너클(N)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차체 패널(F)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실린더(C)에는 외통(CO)의 안으로 구비된 내통(CI)에 수용된 피스톤 어셈블리(20)를 상·하 이동시키는 피스톤로드의 내부로 상기 어셈블리(20)와 연결되면서 차체패널(F)에 고정된 고정부재(30)와 결합된 스위칭로드(10)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An automotive shock absorber having rotational peristaltic mo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회 시 좌·우 차륜의 감쇠력을 선회되는 방향과 반대로 발생시켜 선회 안정성을 향상 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 장치는 노면으로부터 오는 진동을 흡수하며 각종 부품들이 받는 충격을 완충시켜 차량의 승차감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차체의 선회 시 쏠림을 방지하고 차체의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W)에 장착된 너클(N)에 결합된 로워아암(LR)과, 상기 너클(N)부위와 차체 부위에 구비되어 실린더(C)내에 충진된 오일 통로를 형성하는 피스톤 어셈블리를 통해 그 내부에서 상·하로 순환시키면서 충격과 진동을 감쇠 시키기 위한 쇽업소버(S) 및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로워아암(LR)과 간격을 두고 상부에서 차체에 고정되는 어퍼아암과 차량의 선회시 선회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쇽업소버(S)는 차량의 선회 시 차륜(W)과 함께 선회 방향으로 회전되는 너클(N)과 함께 연동되도록 차체패널(F)의 결합부위가 회전되는데 즉, 상기 쇽업소버(S)의 실린더(C)의 상단부위를 이루는 로드를 고정너트(P)를 매개로 차체패널(F)에 고정하면서 가해지는 회전모우멘트(M)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베어링(B)이 개재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쇽업소버(S)의 회전모우멘트(M)는 쇽업소버(S)의 내구력을 저하시키는 외력으로 작용하면서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이와 같이, 차량의 선회 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쇽업소버(S)내 피스톤 어셈블리의 오일 통로인 밸브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그 흐름 양을 적절히 가변 시키면서 선회 시 자세를 제어하는 전자 현가장치를 이용하게 되지만, 이러한 전자 현가장치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한 센서들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그 비용적인 측면에서 차량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선회 시 발생되는 쇽업소버의 회전모우멘트를 이용하여 오일의 흐름을 가변시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해 안정성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쇽업소버의 일단이 차륜에 장착된 너클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차체 패널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실린더에는 외통의 안으로 구비된 내통에 수용된 피스톤 어셈블리를 상·하 이동시키는 피스톤로드의 내부로 상기 어셈블리와 연결되면서 차체패널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결합된 스위칭로드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선회 시 압축되는 쇽업소버의 오일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랴의 선회 시 신장되는 쇽업소버의 오일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칭로드 20 : 피스톤어셈블리
21 : 피스톤 22 : 밸브
22a : 메인통로 22b : 서브통로
30 ; 고정부재
B : 베어링 C : 실린더
CO : 외통 CI : 내통
F : 차체패널 LR : 로워암
N : 너클 M : 회전모우멘트
S : 쇽업소버 W : 차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실린더(C)내에 충진된 오일 통로를 형성하는 피스톤 어셈블리(20)를 통해 그 내부에서 오일을 상·하로 순환시키면서 충격과 진동을 감쇠 시키기 위한 쇽업소버(S)의 일단이 차륜(W)에 장착된 너클(N)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차체 패널(F)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실린더(C)에는 외통(CO)의 안으로 구비된 내통(CI)에 수용된 피스톤 어셈블리(20)를 상·하 이동시키는 피스톤로드의 내부로 상기 어셈블리(20)와 연결되면서 차체패널(F)에 고정된 고정부재(30)와 결합된 스위칭로드(10)가 구비되어진다.
여가서, 상기 스위칭로드(10)는 차량의 선회 시 발생되는 회전모우멘트를 전달받아 회전되는 실린더(C)에 대해 피스톤 어셈블리(20)를 고정시켜 오일의 흐름을 가변시키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실린더(C)내를 이동하는 피스톤(21)내로 수용되면서 차체패널(F)에 고정된 스위칭로드(10)에 의해 고정되는 밸브(22)가 구비되되, 이 밸브(22)에는 서로 대향되는 양측부위를 개구시켜 오일을 통과시키는 메인통로(22a)의 주위로 작은 직경의 서브통로(22b)가 다수개로 형성되어진다.
이에 따라, 차량이 선회하게되면 선회방향으로 이동되는 차륜(W)과 함께 너클(N)이 회전되어지고, 이 너클(N)의 선회방향 회전에 따라 차체패널(F)에 고정된 쇽업소버(S)의 실린더(C)의 상단부위에 구비된 베어링(B)을 매개로 실린더(C)자체에 회전모우멘트(M)가 발생되어진다.
이때, 이와 같이 차량이 선회하게되면 선회방향으로 이동되는 차륜(W)의 위치에 따라 즉, 선회방향의 내측으로 위치된 차륜(W)에 장착된 쇽업소버가 신장되는 반면 선회방향의 외측으로 위치된 차륜(W)에 장착된 쇽업소버는 압축되는 특성을 갖게 되므로 이와 같은 특성상, 상기 쇽업소버(S0에 작용하는 회전모우멘트(M)도 그 크기가 달라 이를 통해 실린더(C)내의 오일 흐름을 다르게 해 차량 자세를 제어하게 된다.
즉, 차량의 선회 시 선회 방향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모우멘트(M) 즉, 압축되는 쇽업소버(S)의 오일 흐름을 크게 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패널(F)에 고정된 고정부재(30)와 결합된 스위칭로드(10)의 일단에 고정된 밸브(22)의 메인통로(22a)가 피스톤(21)의 오일통로와 일치되도록 하여 오일의 흐름이 피스톤(21)의 오일통로를 통해 급격하게 빠져나가도록 하여 그 감쇠력을 크게 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선회 시 선회 방향의 외측에 구비되어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회전모우멘트(M) 즉, 신장되는 쇽업소버(S)의 오일 흐름을 작게 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패널(F)에 고정된 고정부재(30)와 결합된 스위칭로드(10)의 일단에 고정된 밸브(22)의 메인통로(22a)가 피스톤(21)의 오일통로와 불 일치되도록 하여 오일의 흐름이 피스톤(21)의 오일통로를 통해 급격하게 빠져나가는 것을차단하여 그 감쇠력을 작게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 시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차량의 선회 방향과 반대로 작용하도록 실린더 내의 오일흐름을 제어하여 차체의 선회방향 쏠림을 방지하므로 부가적인 센서와 콘트롤러드으로 이루어진 전자제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자세를 제어해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충진된 오일 통로를 형성하는 피스톤 어셈블리(20)를 통해 그 내부에서 오일을 상·하로 순환시키는 실린더(C)의 일단이 차륜(W)에 장착된 너클(N)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차체 패널(F)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실린더(C)에는 외통(CO)의 안으로 구비된 내통(CI)에 수용된 피스톤 어셈블리(20)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차체패널(F)에 고정부재(30)를 매개로 고정된 스위칭로드(10)가 구비되어진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로드(10)는 피스톤 어셈블리(20)를 상·하 이동시키는 피스톤로드의 내부로 수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로드(10)는 차량의 선회 시 발생되는 회전모우멘트를 전달받아 회전되는 실린더(C)에 대해 피스톤 어셈블리(20)를 고정시켜 오일의 흐름을 가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
KR10-2001-0052766A 2001-08-30 2001-08-30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 KR10041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766A KR100412862B1 (ko) 2001-08-30 2001-08-30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766A KR100412862B1 (ko) 2001-08-30 2001-08-30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566A KR20030018566A (ko) 2003-03-06
KR100412862B1 true KR100412862B1 (ko) 2003-12-31

Family

ID=2772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766A KR100412862B1 (ko) 2001-08-30 2001-08-30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8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566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060B2 (en)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 for vehicle
JPH043329B2 (ko)
KR20050023903A (ko) 공압 현가장치
JP2001080336A (ja) 車両の姿勢制御装置
KR100412862B1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회전연동장치
JPH07117443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00482136B1 (ko) 스태빌라이저바의 가변 마운팅 장치
KR102175411B1 (ko) 전자식 쇽업소버를 갖는 서스펜션 장치
KR100610061B1 (ko) 토오션 바아 스프링의 스프링상수 가변장치
JP3156480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H10297238A (ja) 可変式懸架装置
KR100260306B1 (ko) 차량용 현가 장치의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JPS62106137A (ja) 緩衝器
JPS647044Y2 (ko)
JPH07323714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00199731B1 (ko) 쇽 업소버를 이용한 롤링제어장치
JPH069976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58333A (ja) 減衰力可変ショックアブソーバ制御装置
KR960001966Y1 (ko) 자동차용 쇽업쇼오버의 감쇠장치
JPH07179113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00217560B1 (ko) 가변형 하부 현가암을 구비한 차량의 현가장치
KR100432025B1 (ko) 캐스터 각 유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현가장치
JPS6061365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29588B2 (ko)
JPH03208713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