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354B1 - 이온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이온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354B1
KR100412354B1 KR10-2001-0029914A KR20010029914A KR100412354B1 KR 100412354 B1 KR100412354 B1 KR 100412354B1 KR 20010029914 A KR20010029914 A KR 20010029914A KR 100412354 B1 KR100412354 B1 KR 100412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ion beam
particles
ion
scan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1353A (ko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9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354B1/ko
Priority to DE10223533A priority patent/DE10223533B4/de
Priority to JP2002155959A priority patent/JP3883059B2/ja
Priority to US10/156,956 priority patent/US6753652B2/en
Publication of KR2002009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0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 H01J37/304Controlling tubes by information coming from the objects or from the beam, e.g. correc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0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 H01J37/317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for changing properties of the objects or for applying thin layers thereon, e.g. for ion implantation
    • H01J37/3171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for changing properties of the objects or for applying thin layers thereon, e.g. for ion implantation for ion impla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웨이퍼를 재치하고 이온빔이 조사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이온빔을 웨이퍼가 스캔하도록 웨이퍼를 가동시키는 스캔수단; 및 상기 스캔수단의 주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캔수단의 밖으로 조사된 이온빔을 차단하기 위한 빔차단수단을 구비한 이온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빔차단수단의 표면은 상기 스캔수단에 근접된 부분이 상기 스캔수단에 재치된 웨이퍼의 표면 보다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빔차단수단의 표면에서 발생된 스캐터링 파티클이 스캔수단의 웨이퍼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온주입장치{ION IMPLANTER}
본 발명은 이온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온주입장치 내의 스퍼터링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온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256M DRAM의 경우에는 현재 0.18㎛급 이하의 디자인 룰(design rule)을 요구하는 기술로서 파티클(PARTICLE)에 의한 문제가 큰 불량 원인으로 작용하여 수율을 떨어지게 한다. 이러한 PARTICLE 발생은 더 나아가서는 차세대의 1G DRAM, 4G DRAM제품 개발에 많은 어려움과 한계를 만들게 되어 문제 극복의 큰 장애로 작용을 한다.
따라서, 최근에 반도체 제조업계에서는 반도체 제조공정 상에서 파티클 발생의 억제와 파티클에 의한 오염을 감소하기 위하여 각 단위공정마다 파티클 발생원인과 그 대처방안에 대하여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특히, 이온주입공정에서 웨이퍼의 파티클 오염은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온주입공정은 이온주입장비 내에 웨이퍼를 재치하고 웨이퍼의 표면에 가속된 이온을 충돌시켜서 웨이퍼 표면 내에 원하는 이온을 필요한 양만큼, 필요한 깊이로 주입한다.
이와 같은 이온주입장비에서 발생된 파티클의 성분은 크게 기계적 파티클과 전기적 파티클로 분류될 수 있다. 전기적 파티클은 이온빔의 정전기력에 의한 파티클의 활성화와 이온빔 주사시 금속면에 이온의 고속충돌에 의한 스퍼터링 파티클이 주 오염원으로 작용한다. 기계적 파티클은 회전장치나 전송시스템의 움직임에 의한 열화가 주 오염원으로 작용한다.
기계적 파티클은 원인파악이 용이하고 발생시 불량의 정도가 아주 미약하게 나타나므로 전기적 파티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파티클 트레이스가 쉽고 기술적으로 고난이도를 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기적 파티클의 경우는 양이온에 의한 이온빔으로 인해서 정전기력의 힘은 작고 미세한 파티클을 활성화시키고, 스퍼터링을 유발함으로써 불량의 정도가 심각하고 기술적으로도 트레이스가 어려운 고기술력을 요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온주입장비에서 파티클의 오염원을 분석하고 특히 스퍼터링 파티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부품의 구조개선을 통하여 파티클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온주입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치형 이온주입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배치형 이온주입장치의 엔드 스테이션의 측면 개략도.
도 3은 웨이퍼의 표면에 대한 스필오버 컵의 높이 변화에 따른 파티클 발생 추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시간당 이온빔 전류량에 대한 스필오버 컵의 사용주기를 나타낸 도표.
도 5는 이온빔 전류량에 대한 스필오버 컵의 부식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일반적인 이온주입장치의 표면이 평탄한 스필오버 컵의 스퍼터링 파티클의 비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 배치타입 이온주입장치의 표면이 경사진 스필오버 컵의 스퍼터링 파티클의 비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 싱글타입 이온주입장치의 샘플 빔 컵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터미널 모듈 110 : 이온소스
120 : 질량분석기 200 : 엔드 스테이션 모듈
210 : 진공챔버 220 : 스캔수단
221 : 디스크 222 : 웨이퍼 홀더부
223 : 디스크 구동부재 224 : 스캔암
225 : Y축 구동부재 226 : 디스크 구동 하우징
227 : 파이프 228 : 표면이 평탄한 스필오버 컵
229 : 표면이 경사진 스필오버 컵
230 : 웨이퍼 이송수단 240 : 웨이퍼 스테이션
250 : 웨이퍼 캐리어 260 : 파라데이 컵
300 : 가속기 400 : 이온빔
500 : 스캔 웨이퍼 홀더 600 : 샘플 빔 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온주입장비는 웨이퍼를 재치하고 이온빔이 조사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이온빔을 웨이퍼가 스캔하도록 웨이퍼를 가동시키는 스캔수단과, 상기 스캔수단의 주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캔수단의 밖으로 오버스캔된 이온빔을 검출하기 위한 이온빔 검출수단을 구비한 이온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빔 검출수단은 상기 스캔수단에 인접된 부분이 상기 스캔수단에 재치된 웨이퍼의 표면 보다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그 표면이 전체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온빔 검출수단의 표면 경사각은 10 내지 30°범위 내로 한정한다. 10도 이내로 할 경우에는 경사각이 너무 작아서 비산되는 파티클이 스캔수단의 웨이퍼 상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충분치 못하며 30도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경사각이 너무 커서 스퍼터링에 의해 발생된 2차전자의 파라데이 컵에 의한 억제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스캔수단은 배치형 이온주입장치의 회전 디스크나 싱글형 이온주입장치의 스캔 웨이퍼 홀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온빔 검출수단은 스캔수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스캔수단의에지를 벗어난 이온빔을 검출하는 스필오버 컵이나 샘플 빔 컵 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치타입 이온주입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배치타입은 웨이퍼 홀더에 한 장의 웨이퍼를 홀딩하는 싱글타입과는 달리 회전형 홀더에 대략 13장 내지 25장의 웨이퍼를 홀딩하는 멀티타입을 말한다.
도 1의 배치타입 이온주입장치는 크게 터미널 모듈(100)과 엔드 스테이션 모듈(200)을 가속기(300)로 연결한 구성을 가진다.
터미널 모듈(100)은 이온 소스(110), 질량분석기(120)를 포함한다. 터미널 모듈에서는 이온소스(110)로부터 소스물질을 이온화시키고, 질량분석기(120)에서 이온들 중 불필요한 이온들을 분리한다. 가속기(300)에서는 질량분석기(120)에서 분리된 필요한 이온들을 수 keV 내지 수 MeV로 가속시켜서 이온빔(400)을 형성하여 엔드 스테이션(200)에 공급한다.
엔드 스테이션(200)은 고진공 챔버(210) 내에 스캔수단(220) 및 웨이퍼 이송수단(230)을 포함한다. 웨이퍼 이송수단(230)은 이온주입 전에 스캔수단(220)에 웨이퍼 스테이션(240)에 재치된 웨이퍼 캐리어(250)로부터 웨이퍼(W)를 로딩하고, 이온주입 후에는 스캔수단(220)로부터 웨이퍼 캐리어(250)에 웨이퍼(W)를 언로딩한다. 고진공챔버(210)는 이온주입 동안에는 고진공으로 유지된다.
도 2는 도 1의 엔드 스테이션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의 스캔수단(220)은 Z축방향으로 조사되는 이온빔(400)에 대하여 X축 및 Y축의 2차원 평면내에서 이온빔(400)을 스캐닝한다.
스캔수단(220)은 디스크(221), 디스크 구동부재(223), 스캔암(224), Y축 구동부재(225), 디스크 구동 하우징(226), 파이프(227), 이온빔 검출수단(228)을 포함한다. 디스크(221)는 디스크 구동부재(223)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디스크(221)의 주변부에는 다수의 웨이퍼 홀더부(222)가 형성되어 각 웨이퍼 홀더부(222)에 웨이퍼(W)가 홀딩된다.
스캔암(224)의 자유단에는 디스크 구동하우징(226)이 설치되고, 이 하우징(226) 내에 디스크 구동부재(225)가 장착된다. 스캔암(224)의 고정단은 Y축 구동부재(225)에 고정되어 Y축 구동부재(225)에 의해 Y축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디스크 구동 하우징(226)의 상측 외주연에는 파이프(227)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파이프(227)의 종단에는 이온빔 검출수단(228), 일명 스필오버 컵(spillover cup)이 장착된다.
이온빔 검출수단(228)은 이온빔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디스크(221)의 에지를 벗어난 이온빔을 검출한다.
가속기(300)를 통하여 조사된 이온빔(400)은 디스크(221)의 상단 웨이퍼 홀더부(222)에 홀딩된 웨이퍼(W)에 이온빔이 조사되도록 도입된다. 상단 웨이퍼 홀더부(222)의 전방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온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파라데이 컵(260)(faraday cup)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치형 이온주입장치는 웨이퍼 로딩시에는 스캔암(224)이 회전되어 디스크(221)가 거의 수평하게 위치되어 디스크(221)의 상단부위가 웨이퍼이송수단(230)에 근접하게 된다. 웨이퍼 이송수단(230)에 의해 각 웨이퍼 홀더부(222)에 한 장씩 웨이퍼(W)가 놓여져 홀딩되면, 디스크는 일정 각도 회전되어 다음 웨이퍼 홀더부(222)가 웨이퍼 이송수단(230)에 근접한 위치에 오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디스크(221) 상의 모든 웨이퍼 홀더부(222)에 웨이퍼(W)가 로딩되면, 스캔암(224)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크(221)를 수직하게 위치시킨다. 수직위치에서는 웨이퍼 홀더부(222)가 파라데이 컵(260)에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어 이온빔(400)이 웨이퍼(W)에 조사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디스크(221)를 회전시키면서 이온빔(400)을 조사하게 되면, 웨이퍼들이 균일하게 이온빔을 스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와 같은 이온주입장치에서의 파티클 오염원을 규명한 여 다음과 같이 오염원과 그 대응방식을 정리하였다.
1.기계적 파티클
1) 진공성 파티클 ; 로드락(lord lock) 러깅(roughing)시 압력변화로 인하여 온도 급강화에 의해 웨이퍼에 습기가 침적되고 이러한 습기 칩적은 파티클을 흡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대응방식으로는 습기가 생기지 않을 정도로 진공펌핑을 천천이 하거나 질소가스 등으로 퍼징한 후에 러깅을 시작하면 습기 침적을 방지할 수 있다.
2) 마모성 파티클 ; 이온빔 진행로 상의 파라데이 컵 등의 개구부 얼라인 불량으로 Mo, Al, C 등의 파티클이 발생되나 에너지가 미약하고 단순 도포성이다. 대응방식으로는 주기적으로 얼라인을 점검한다.
3) 예방 메인터넌스 파티클 ; 단위 부품들의 예방성 메인터넌스(preventive maintenance) 불량으로 부품들의 틈새에 유입된 습기가 즐어드는 시기에 급격히 H2O2, 산화 알루미늄 등의 파티클이 발생된다. 대응방식으로는 예방 메인터넌스의 개선 및 표준화로 방지할 수 있다.
2. 전기적 파티클
1) 아크성 파티클 ; Al, Fe, Ti, SUS 등의 파티클이 웨이퍼 전면에 긴 꼬리를 형성를 형성하는 것으로 파티클의 에너지가 매우 강하다. 대응방식으로는 프로세스 전면에 2차 전자 발생을 억제시키거나 전기 바이어스 형성을 금지하는 대책을 강구한다.
2) 정전기성 파티클 ; 음전하 인가시 C(흑연) 등의 파티클이 활성화된어 나타난다. 정전기성 파티클은 전기 음성도가 강하고 단순 도포성이다. 대응방식으로는 흑연 파티클 발생을 억제시키고, 진공챔버 내를 주기적으로 클리닝시킨다.
3) 스퍼터링 파티클 ; 이온빔의 충돌에 의해 C, Al, Fe, Ti, 년 등의 파티클이 발생되고, 주로 웨이퍼의 에지부위에 집중적으로 발생된다. 대응방식으로는 얼라인 및 이온빔에 의한 초당 단위면적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이온주입장치에서의 파트클 오염원을 분석하고, 특히 금속성 스퍼터링 파티클 발생원인 스필오버 컵의 표면에서의 스퍼터링 파티클에 주목을 하였다.
스킬오버 컵은 스캔수단인 디스크의 에지에 고정되어 이온주입공정 동안에지속적으로 이온빔에 의한 충격을 받는다. 따라서, 스필오버 컵의 표면은 디스크 표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지속적인 이온빔의 충격에 의해 표면이 스퍼터링되게 된다.
도 3은 웨이퍼의 수평면에 대한 스필오버 컵의 표면 높이에 따른 파티클 발생 추이를 나타낸다.
디스크에 홀딩된 웨이퍼의 표면 높이를 기준으로 스필오버 컵의 표면 높이에 따른 스퍼터링 파티클의 영향을 실험한 결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필오버 컵의 표면 높이가 웨이퍼의 표면 높이 보다 높아질수록 웨이퍼의 에지부위의 스퍼터링 파티클의 오염정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스필오버 컵의 표면에 실리콘을 코팅하여 스퍼터링 파티클의 발생을 줄이고자 하였으나 스필오버 컵의 표면 마모정도를 어느 정도 줄이는 효과는 있었으나 스퍼터링 파티클의 발생을 억제하지는 못하였다.
웨이퍼의 표면보다 스필오버 컵의 표면 높이를 더 낮게 세팅할 경우에는 파티클 오염도를 낮출 수 있으나, 전방에 설치된 파라데이 컵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2차전자의 억제제어가 곤란해지므로 스필오버 컵의 표면 높이를 웨이퍼의 표면 높이 보다 더 낮게 설정할 수는 없다.
도 4는 시간당 이온빔 전류량에 대한 스필오버 컵의 사용주기를 나타내고, 도 5는 이온빔 전류량에 대한 스필오버 컵의 부식율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빔 전류의 상승은 곧 빔 파워가 증가하는 것이므로, 낮은 전류량(10㎂ ∼ 1 mA)에 비해서 높은 전류량(1mA ∼ 20mA)을사용할수록 타겟 영역에 가해지는 충돌이 강해져서 부식율이 증가하여 파티클 발생량이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전류 이온주입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스퍼터링 파티클에 의한 웨이퍼의 오염은 웨이퍼 주변부의 다이들에 치명적인 전기적 특성변화를 주게되므로 소자의 전기적 특성 불량에 의한 수율 저하의 주요인으로 체크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스필오버 컵(228)의 표면은 평탄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221) 상에 홀딩되는 웨이퍼(W)의 수평면과 미스얼라인에 의해 더 높은 위치로 세팅될 경우에 스퍼터링 파티클에 의한 오염정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스필오버 컵(228)의 표면이 이온빔의 조사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므로, 이온빔의 충돌시 표면에서 발생되는 스퍼터링 파티클의 비산각도가 충분히 커서 인접하는 웨이퍼 상에 떨어지게 된다.
스필오버 컵(228)은 디스크 구동하우징(226)에 고정된 파이프(227)의 종단에 고정 설치되게 때문에 웨이퍼(W)의 표면과 일치하는 높이로 정확하게 얼라인한다는 것이 곤란하다. 설사 높이를 얼라인시킨다 할지라도, 디스크의 회전시 진동 도는 열팽창 등으로 높이가 틀어지게 되어 스필오버 컵(228)의 표면이 웨이퍼(W)의 표면 보다 높아지게 될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일정 시간 사용 후에는 표면 마모로 인하여 부품을 교체하거나 할 경우에 교체된 부품의 높이를 웨이퍼(W)의 수평면 높이에 정확하게 얼라인시킨다는 것이 오퍼레이터에게는 상당히 곤란한 작업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필오버 컵의 표면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구성한 스필오버 컵(229)을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스필오버 컵(229)는 알루미늄 재질에 그 표면을 실리콘으로 코팅하거나 비트리어스 그래파이트(vitrius graphite)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스필오버 컵(229)의 표면 경사도는 대략 10도 내지 30도의 범위 내로 한다. 10도 내지 30도 의 범위 이내로 경사지게 할 경우에 이온빔이 표면에 충돌시 수직인 방향이 아니므로, 충돌 에너지가 분산되어 줄어들게 될 뿐만 아니라 충돌에 의해 발생된 파티클의 비산각도도 크게 감소되므로 비산된 파티클이 디스크(221)의 에지를 넘지 못하고 디스크(221) 측면에 충돌되어 소멸되게 되므로, 디스크(221) 상에 홀딩된 웨이퍼(W)에 떨어지는 파티클의 량이 대폭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즉, 입사되는 이온 빔은 스필오버 컵(229)의 표면 경사각으로 인해서 충돌시 기준선을 넘지 않는 반발력만을 가지므로 결국은 스퍼터링 파티클은 디스크(221)의 에지에 부딪혀서 소멸되게 된다.
경사도가 10도 이내로 작을 경우에는 그 경사도가 미미하여 스퍼터링 파티클이 웨이퍼(W) 위로 비산되어 웨이퍼(W)의 에지부위를 오염시키는 정도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경사도를 30도 이상으로 크게 할 경우에는 파티클이 웨이퍼 위로 비산되지는 않으나, 충돌시 발생된 2차 전자가 디스크(221) 전방에 설치된 파라데이 컵(260)에 도달되지 못하므로 파라데이 컵(270)을 통한 2차 전자의 억제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즉, 파라데이 컵(260)과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자기장 콘트롤이 어렵기 때문에 2차 전자의 억제제어가 힘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0 내지 30도의 범위로 스필오버 컵(229)의 경사도를 유지함으로써 웨이퍼(W)에 스퍼터링 파티클이 비산되는 것은 방지하면서 파라데이 컵(260)과의 거리 간격을 유지하여 발생된 2차 전자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싱글타입 이온주입장치에 있어서, 샘플링 빔 컵에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싱글타입은 배치타입과는 달리 스캔 웨이퍼 홀더(500)에 한 장의 웨이퍼(W)를 홀딩하고 이온빔 조사영역 내를 상하, 또는 좌우로 스캔한다. 싱글타입에서도 웨이퍼(W)에 조사되는 이온빔을 샘플링하기 위하여 스캔 웨이퍼 홀더(500)수단에 인접한 위치에 샘플 빔 컵(600)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샘플 빔 컵의 표면을 상술한 배치 타입의 스필오버 컵의 표면과 유사한 방법으로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샘플 빔 컵(600)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스퍼터링 파티클이 웨이퍼(W)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되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수많은 다른 방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묘사된 특정한 실시예는 절대로 한정적으로 해석되기를 의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부분에 대한 참조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라고 간주되는 특징만을 기술하고 있는 청구범위의 보호영역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파티클 발생 문제를 개선시켜서 0.18㎛급 및 차기 0.16㎛급 제품생산의 고수율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고정된 스필오버 컵이 사용 중에 발생 될 수 있는 미세한 움직임(진동, 열평창)으로 스핀 디스크보다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경사진 표면에 의해 파티클 오염원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Claims (6)

  1. 웨이퍼를 재치하고 이온빔이 조사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이온빔을 웨이퍼가 스캔하도록 웨이퍼를 가동시키는 스캔수단; 및
    상기 스캔수단의 주변에 인접하여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캔수단의 밖으로 오버스캔된 이온빔을 검출하기 위한 이온빔 검출수단을 구비한 이온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빔 검출수단은 상기 스캔수단에 인접된 부분이 상기 스캔수단에 재치된 웨이퍼의 표면 보다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그 표면이 전체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빔 검출수단의 표면 경사각은 10 내지 30°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빔 검출수단은 알루미늄판의 표면에 실리콘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빔 검출수단은 비트리어스 그래파이트(vitrius graphit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수단은 다수의 웨이퍼들을 홀딩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수단은 한 장의 웨이퍼를 상기 이온빔이 조사되는 영역 내를 왕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장치.
KR10-2001-0029914A 2001-05-30 2001-05-30 이온주입장치 KR100412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914A KR100412354B1 (ko) 2001-05-30 2001-05-30 이온주입장치
DE10223533A DE10223533B4 (de) 2001-05-30 2002-05-27 Ionenimplantiervorrichtung
JP2002155959A JP3883059B2 (ja) 2001-05-30 2002-05-29 イオン注入装置
US10/156,956 US6753652B2 (en) 2001-05-30 2002-05-30 Ion impla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914A KR100412354B1 (ko) 2001-05-30 2001-05-30 이온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353A KR20020091353A (ko) 2002-12-06
KR100412354B1 true KR100412354B1 (ko) 2003-12-31

Family

ID=1971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914A KR100412354B1 (ko) 2001-05-30 2001-05-30 이온주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53652B2 (ko)
JP (1) JP3883059B2 (ko)
KR (1) KR100412354B1 (ko)
DE (1) DE1022353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0902A1 (en) 2004-02-18 2005-09-29 Sharper Image Corporation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 and/or conditioner devices with features for cleaning emitter electrodes
US20030206837A1 (en) 1998-11-05 2003-11-06 Taylor Charles E.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 and conditioner device with enhanced maintenance features and enhanced anti-microorganism capability
US6176977B1 (en) 1998-11-05 2001-01-23 Sharper Image Corporation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conditioner
US7695690B2 (en) 1998-11-05 2010-04-13 Tessera, Inc. Air treatment apparatus having multiple downstream electrodes
US7906080B1 (en) 2003-09-05 2011-03-15 Sharper Image Acquisition Llc Ai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liquid holder and a bipolar ionization device
US7724492B2 (en) 2003-09-05 2010-05-25 Tessera, Inc. Emitter electrode having a strip shape
US7767169B2 (en) 2003-12-11 2010-08-03 Sharper Image Acquisition Llc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to oxidize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20060016333A1 (en) 2004-07-23 2006-01-26 Sharper Image Corporation Air conditioner device with removable driver electrodes
US7458202B2 (en) * 2004-10-29 2008-12-02 General Electric Company Lubrication system for a counter-rotating turbine engin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7833322B2 (en) 2006-02-28 2010-11-16 Sharper Image Acquisition Llc Ai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voltage control device responsive to current sensing
KR100986522B1 (ko) * 2008-09-01 2010-10-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네비게이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6245A (ja) * 1988-05-12 1989-11-17 Nec Corp イオン注入装置
JPH06349916A (ja) * 1993-04-30 1994-12-22 Applied Materials Inc 基板上の粒子検出方法及び装置
JPH0765778A (ja) * 1993-08-20 1995-03-10 Tadahiro Omi イオン注入装置
KR970030313A (ko) * 1995-11-17 1997-06-26 김광호 반도체 제조장치의 스필오버 컵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46127A (en) * 1974-10-14 1979-0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condary-electron multiplier including electron-conductive high-polymer composition
US4234797A (en) * 1979-05-23 1980-11-18 Nova Associates, Inc. Treating workpieces with beams
EP0104818A3 (en) * 1982-09-29 1985-10-23 Eaton Corporation Ion implantation device
JPS63314750A (ja) * 1987-06-18 1988-12-22 Nec Corp イオン注入装置
US4965862A (en) * 1988-05-18 1990-10-23 Varian Associates, Inc. Disk scanning apparatus for batch ion implanters
US4937206A (en) * 1989-07-10 1990-06-26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ross contamination of species during the processing of semiconductor wafers
JPH03136238A (ja) * 1989-10-20 1991-06-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オン注入装置
JPH04144227A (ja) * 1990-10-05 1992-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オン注入装置
JP3125384B2 (ja) * 1991-11-14 2001-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イオン注入装置
US5229615A (en) * 1992-03-05 1993-07-20 Eaton Corporation End station for a parallel beam ion implanter
US5838112A (en) * 1994-11-15 1998-11-17 Nihon Shinku Gijutsu Kabushiki Kaisha Parallel scan type ion implanter
US5981961A (en) * 1996-03-15 1999-11-09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scanning efficiency in an ion implanter
US6107637A (en) * 1997-08-11 2000-08-22 Hitachi, Ltd. Electron beam exposure or system inspection or measurement apparatus and its method and height detection apparatus
US5998798A (en) * 1998-06-11 1999-12-07 Eaton Corporation Ion dosage measurement apparatus for an ion beam implanter and method
US6084240A (en) * 1998-06-20 2000-07-04 United Integrated Circuits Corp. Ion implanter
US6297510B1 (en) * 1999-04-19 2001-10-02 Applied Materials, Inc. Ion implant dose control
JP3934828B2 (ja) * 1999-06-30 2007-06-2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レーザ装置
GB2355337B (en) * 1999-10-12 2004-04-14 Applied Materials Inc Ion implanter and beam stop therefor
US6555832B1 (en) * 1999-10-13 2003-04-29 Applied Materials, Inc. Determining beam alignment in ion implantation using Rutherford Back Scattering
US6600163B2 (en) * 2000-12-22 2003-07-29 Alfred M. Halling In-process wafer charge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ion implan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6245A (ja) * 1988-05-12 1989-11-17 Nec Corp イオン注入装置
JPH06349916A (ja) * 1993-04-30 1994-12-22 Applied Materials Inc 基板上の粒子検出方法及び装置
JPH0765778A (ja) * 1993-08-20 1995-03-10 Tadahiro Omi イオン注入装置
KR970030313A (ko) * 1995-11-17 1997-06-26 김광호 반도체 제조장치의 스필오버 컵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23533A1 (de) 2002-12-19
JP2003059442A (ja) 2003-02-28
US6753652B2 (en) 2004-06-22
US20020180366A1 (en) 2002-12-05
DE10223533B4 (de) 2007-08-09
JP3883059B2 (ja) 2007-02-21
KR20020091353A (ko) 200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354B1 (ko) 이온주입장치
EP1998356B1 (en) In-Situ STEM Sample Preparation
US7078712B2 (en) In-situ monitoring on an ion implanter
CN104241066B (zh) 对带电粒子设备中的样品成像的方法
TWI243394B (en) Hybrid scanning system and methods for ion implantation
TWI489510B (zh) 減速透鏡
US76425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articulate contamination in gas cluster ion beam processing equipment
KR101089404B1 (ko) 선형 주사 모터를 이용하는 이온 빔 주입기의 조정 가능한주입각 공작물 지지 구조물
US20080251718A1 (en) Electron beam apparatus and sample observ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5134299A (en) Ion beam im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ulate control
KR100626905B1 (ko) 이온 에너지 감쇄
CN100592460C (zh) 半导体器件加工装置以及控制半导体器件加工工艺的方法
JP6781895B2 (ja) ウェハにイオンを注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476877B2 (en) Wafer charge monitoring
KR100485387B1 (ko) 이온 주입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섀도우 지그를 갖는 이온 주입 장치
CN112151349A (zh) 一种减少气体团簇离子束加工设备中微粒污染的装置和方法
US6630677B1 (en) Electrostatic lens having glassy graphite electrodes
KR200182953Y1 (ko) 배치 타입 이온 주입 장치의 웨이퍼 지지 장치
EP0722181A1 (en) Ionen implantierungsgerät
KR100499172B1 (ko) 이온 주입 공정의 기판 경사각 측정 방법
KR0136231Y1 (ko) 이온주입장치
MATSUDA et al. Industrial Aspects of Ion-Implantation Equipment and Ion Beam Generation
White Ion implantation for VLSI
KR20020071166A (ko) 이온 주입 장치의 플러그 페러데이
Beatty et al. Particle reduction strategies for high current-high volume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